KR20040015699A - 디지털 도어락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5699A
KR20040015699A KR1020030088683A KR20030088683A KR20040015699A KR 20040015699 A KR20040015699 A KR 20040015699A KR 1020030088683 A KR1020030088683 A KR 1020030088683A KR 20030088683 A KR20030088683 A KR 20030088683A KR 20040015699 A KR20040015699 A KR 20040015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door lock
input
imaginary
digital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익서
선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스텍인터내셔날
박익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스텍인터내셔날, 박익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스텍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030088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5699A/ko
Publication of KR20040015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69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 E05B2047/0054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using microprocessor, printed circuits, or the like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버튼키를 갖는 키패드로 비밀번호를 눌러 도어를 개폐하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패드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서, 그 비밀번호 앞과 뒤에 허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밀번호 판독 프로그램을 도어락의 제어부에 내장함으로써, 비밀번호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락{DIGITAL DOOR LOCK}
본 발명은 다수개의 버튼키를 갖는 키패드로 비밀번호를 눌러 도어를 개폐하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키패드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서, 그 비밀번호 앞과 뒤에 허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밀번호 판독 프로그램을 도어락의 제어부에 내장함으로써, 비밀번호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락은 누름 버튼으로 3~10자리의 숫자를 조합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몸체 외측에 다수개의 버튼키, 표시램프를 구비하고, 몸체 내측에는 건전지 홀더, 비밀번호 세팅 버튼, 보조키 개폐 장치, 보조키 잠금레바, 개폐기 열림 손잡이를 구비한다. 그리고, 실 내측에는 기계적 개폐장치를 갖는 통상의 디지털 도어락과 상기 버튼키로 설정된 비밀번호를 순차적 눌러 문을 개방하는 비밀번호 판독 프로그램을 내장한 제어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디지털 도어락은 키패드의 누름버튼으로 비밀번호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면 내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입력된 번호가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도어락의 잠금장치가 해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디지털 도어락은 사용자 주변의 제3자가 키 입력을 주시할 경우에 쉽게 비밀번호가 누출될 염려가 있어 보안성에 있어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할 경우에 임의의 허수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는 임의의 허수 입력 과정에서 기 입력된 비밀번호의 시작 번호가 금지 되어 있어 임의의 허수 입력 과정 중 기 입력된 비밀번호의 등록 시작번호를 누르면 이로부터 비밀번호 입력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허수 입력의 한계 및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키패드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서, 그 비밀번호 앞과 뒤에 허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밀번호 판독 프로그램을 도어락의 제어부에 내장함으로써, 비밀번호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도어락에 내장된 비밀번호 판독 프로그램의 순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도어락의 환형 큐 방식의 메모리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환형-큐 메모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키 입력과 미리 설정한 비밀번호의 동일 여부에 따라 문을 개폐하는 비밀번호 판독프로그램을 내장한 제어부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 판독프로그램은, 키 입력정보를 입력확인 버튼이 입력될 때까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키 입력정보에서 미리 설정한 비밀번호의 자릿수 이외의 전위와 후위의 자릿수는 허수로 처리하여 비밀번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비밀번호와 미리 설정한 비밀번호의 동일 여부에 따라 개폐장치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모리는 다수의 버퍼수를 갖는 환형-큐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밀번호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후위의 허수 자릿수는, 제로에서 환형-큐 메모리의 버퍼수로부터 비밀번호 자릿수를 차감한 수까지 선 정의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비밀번호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후위의 허수 자릿수는, 최초 입력되는 숫자가 후위의 허수 자릿수가 되도록 선 정의 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밀번호의 입력 확인키가 입력되기 전까지의 키 입력을 다수의 버퍼수를 갖는 환형-큐 방식으로 구현된 비밀번호 입력 메모리에 입력하고, 비밀번호의 입력 확인키가 입력되면 선 정의한 후위의 허수의 자릿수 만큼의 입력 정보를 허수로 처리하여 무시하고, 그 후위 허수 앞의 입력정보에서 기 설정한 비밀번호 자릿수만큼 입력정보를 취하며, 그 입력정보의 전위 자릿수는 모두 허수로 처리하여 비밀번호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추출한 비밀번호와 기 설정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그 결과값에 따라 개폐장치를 구동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도어락에 내장된 비밀번호 판독 프로그램의 순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도어락의 환형 큐 방식의 메모리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내장된 비밀번호 판독 프로그램의 진행과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비밀번호 입력(S100)이 시작(S200)되면 입력확인 버튼이 입력될 때까지(S300) 입력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S400).
이때, 상기 메모리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버퍼수를 갖는 환형-큐 방식으로 구현한다. 환형-큐는 선형큐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진 자료구조로써, 삽입과 삭제 동작은 선형 큐와 같지만, 큐의 상한과 하한이 서로 연결된 고리 모양을 하고 있어, 사실상 큐의 한계가 없는 것과 같다.
그 동작은 선형 큐에서와 마찬가지로 삽입 위치를 가리키는 rear포인터와 삭제 위치를 가리키는 front 포인터가 있다. 두개의 포인터는 초기에 시작점에서 출발하여 삽입과 삭제가 일어남에 따라 그 값이 하나씩 증가하여 이동한다. 포인터가 큐의 끝점에 있을 때 삽입이나 삭제가 일어나면 포인터가 reset 되어 다시 시작점을 가리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비밀번호 버튼을 환형-큐 메모리의 버퍼수 이상을 눌러도 그 사용에는 한계가 없다.
계속해서, 도 1로 돌아와 설명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키 입력정보에서 미리 설정한 비밀번호의 자릿수 이외의 전위와 후위의 자릿수는 선 정의한 후위 자릿수에 따라(S500) 허수로 처리(S700)하여 비밀번호를 추출한다(S600).
특히, 상기 비밀번호를 추출하는 단계(S600)에서 후위의 허수 자릿수(S500)는, 제로에서 환형-큐 메모리의 버퍼수로부터 비밀번호 자릿수를 차감한 수까지 선 정의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출한 비밀번호와 미리 설정한 비밀번호의 동일 여부(S800)에 따라 승인을 하여 개폐장치 구동부를 동작시킨다(S900).
좀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기 설정된 암호숫자가 '1-3-5-7-9' 5개 숫자일 경우 버튼키의 '1-3-5-7-9'를 순차적으로 입력할 때 도어는 제어부에 내장된 비밀번호 해독 프로그램이 작동하여 개방된다. 이때,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전 임의의 버튼이 다수개 눌러지더라도 즉, 임의의 수 1,2,3,4,5,6,7,8,9,0이 눌러진 후 비밀번호 1-3-5-7-9 순서대로 눌러진다 하더라도 이를 정상의 비밀번호 입력으로 인정하여 도어는 개방된다.
그리고, 선 정의에 의하여 후위 허수를 4자리로 정하였다면 비밀번호 '1-3-5-7-9'가 먼저 눌러진 후 그 후 '1-2-3-4' 4자리의 번호가 입력되어진다 하더라도 이를 정상의 비밀번호의 입력으로 인정하여 도어를 개방한다. 또한, 임의의 수 1,2,3,4,5,6,7,8,9,0 이 눌러진 후 비밀번호 1-3-5-7-9 가 순서대로 눌러진 후 4,5,6,7 의 4자리 번호가 입력되어도 이를 정상의 비밀번호로 인정하여 도어를 개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밀번호의 입력 확인키가 입력되기 전까지의 키 입력을 다수의 버퍼수를 갖는 환형-큐 방식으로 구현된 비밀번호 입력 메모리에 입력하고, 비밀번호의 입력 확인키가 입력되면 선 정의한 후위의 허수의 자릿수 만큼의 입력 정보를 허수로 처리하여 무시하고, 그 후위 허수 앞의 입력정보에서 기 설정한 비밀번호 자릿수만큼 입력정보를 취하며, 그 입력정보의 전위 자릿수는 모두 허수로 처리하여 비밀번호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추출한 비밀번호와 기 설정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그 결과값에 따라 개폐장치를 구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밀번호 이외의 허수를 비밀번호 앞이나 뒤에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밀번호 판독 프로그램을 내장함으로써, 주변에서 제3자가 비밀번호를 누르는 과정을 지켜보더라도 비밀번호의 조합을 알 수 없어 비밀번호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비밀번호를 추출하는 단계(S600)에서 후위의 허수 자릿수는, 최초 입력되는 숫자가 후위의 허수 자릿수가 되도록 선 정의 할 수도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최초 '3'의 숫자를 키 입력 하면 후위 허수 자릿수는 '3'이 된다. 만약, 기 설정한 비밀번호가 '1-3-5-7-9' 5개 숫자일 경우, 사용자가 버튼키를 3-2-4, 1-3-5-7-9, 4-2-3 를 누르면 최초 버튼키의 숫자가 3이기 때문에 후위 허수 자릿수는 3이 된다. 즉, 위의 경우는 정상의 비밀번호 입력으로 인정하여 도어가 개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은 비밀번호 이외의 허수를 비밀번호 앞이나 뒤에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밀번호 판독 프로그램을 내장함으로써, 주변에서 비밀번호를 누르는 과정을 지켜보더라도 비밀번호의 조합을 알 수 없어 비밀번호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부주의로 비밀번호 입력도중 잘못된 정보를 입력 하였다 하더라도 입력 취소 후 재시도하는 것이 아니라 연속하여 정상의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4)

  1. 키 입력과 미리 설정한 비밀번호의 동일 여부에 따라 문을 개폐하는 비밀번호 판독프로그램을 내장한 제어부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 판독프로그램은,
    키 입력정보를 입력확인 버튼이 입력될 때까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키 입력정보에서 미리 설정한 비밀번호의 자릿수 이외의 전위와 후위의 자릿수는 허수로 처리하여 비밀번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비밀번호와 미리 설정한 비밀번호의 동일 여부에 따라 개폐장치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다수의 버퍼수를 갖는 환형-큐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후위의 허수 자릿수는, 제로에서 환형-큐 메모리의 버퍼수로부터 비밀번호 자릿수를 차감한 수까지 선 정의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후위의 허수 자릿수는, 최초 입력되는 숫자가 후위의 허수 자릿수가 되도록 선 정의 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KR1020030088683A 2003-12-08 2003-12-08 디지털 도어락 KR200400156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683A KR20040015699A (ko) 2003-12-08 2003-12-08 디지털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683A KR20040015699A (ko) 2003-12-08 2003-12-08 디지털 도어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699A true KR20040015699A (ko) 2004-02-19

Family

ID=3732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683A KR20040015699A (ko) 2003-12-08 2003-12-08 디지털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569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717B1 (ko) * 2008-02-05 2008-09-03 (주)에버넷 돈케어 컨디션이 구현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제어방법
KR100884045B1 (ko) * 2008-03-11 2009-02-19 주식회사 아이레보 터치패드를 구비한 도어락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923787B1 (ko) * 2007-12-05 2009-10-27 (주)대양디앤티 보안성을 강화시킨 비밀번호 처리방법 및 이에 적합한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787B1 (ko) * 2007-12-05 2009-10-27 (주)대양디앤티 보안성을 강화시킨 비밀번호 처리방법 및 이에 적합한시스템
KR100855717B1 (ko) * 2008-02-05 2008-09-03 (주)에버넷 돈케어 컨디션이 구현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제어방법
KR100884045B1 (ko) * 2008-03-11 2009-02-19 주식회사 아이레보 터치패드를 구비한 도어락 및 그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5124B2 (en) Password input and verification method
RU2692570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чтения сообщений
US20130113736A1 (en) Touch entry of password on a mobile device
US20090258667A1 (en) Function unlocking system, function unlocking method, and function unlocking program
KR100455648B1 (ko) 원격적외선암호키시스템
CN108319832A (zh) 解锁方法及装置
US11113371B2 (en) Continuous authentication based on motion input data
KR20070027124A (ko) 입력 정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
KR20100062900A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상태 해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전자장치
CN104394145B (zh) 一种具有日志功能的动态令牌及其工作方法
US7114077B2 (en) Verification system for confidential data input
WO2021088272A1 (zh) 应用保护方法、控制装置和可读存储介质
KR20040015699A (ko) 디지털 도어락
KR100884045B1 (ko) 터치패드를 구비한 도어락 및 그의 제어방법
EP1708110A1 (en) Password input and verification method
CN106843727B (zh) 防止文字误删除方法和系统
WO2020052357A1 (zh) 一种基于指纹的文件加密存储读取系统、方法和移动终端
KR200282656Y1 (ko) 디지털 도어록
KR10066626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키 잠금 제어 방법 및 그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025004A (ko) 지문이 조합된 비밀번호 인증시스템
KR100399194B1 (ko) 패스워드 각 문자 정보사이의 입력시간 차이를 이용한범용컴퓨터 해킹 방지 및 기계식 보안 장치용 패스워드보안시스템
US20080134318A1 (en) Authentication device, authentication method, authentication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same
KR200425914Y1 (ko) 휴대폰을 이용한 근거리 디지털 잠금장치
KR101767752B1 (ko) 보안키 입력 시스템 및 방법
JP2005190335A (ja) 情報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