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5095A - 전자 장치용 통신 인터페이스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용 통신 인터페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5095A
KR20040015095A KR10-2003-7013321A KR20037013321A KR20040015095A KR 20040015095 A KR20040015095 A KR 20040015095A KR 20037013321 A KR20037013321 A KR 20037013321A KR 20040015095 A KR20040015095 A KR 20040015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mmunication interface
communication
line
u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3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0883B1 (ko
Inventor
크로일리챠드
콕스사이몬
브리펫네일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015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8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7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different data processing systems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e.g. protocol converters for incompatible systems, open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동 전화 핸드셋에 커넥터(8) 및 회로(18, 19)가 제공되는데 상기 회로(18, 19)는 개인용 컴퓨터, 다른 이동 전화 핸드셋 또는 키보드와 같은 다른 장치와의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데이터 전송 모드 및 단일 종단(SE) 데이터 전송 모드를 허용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용 통신 인터페이스{Communication interface for an electronic device}
프린터, 스캐너, 키보드, 모뎀, 카메라 및 저장 장치들과 같은 127개까지의 주변 장치들이 4-선 버스를 통해 호스트, 보통 개인용 컴퓨터(PC)에 부착되도록 허용하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표준이 개발되었다. 이들 장치들은 직접 또는 부가적인 접속을 제공하는 허브를 통해 PC에 연결될 수 있다. USB는 상이한 유형의 장치들의 연결이 표준화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더욱이, 장치는 PC가 켜져 있는 동안 그리고 다른 장치들이 사용중인 동안 연결될 수 있다. USB는 480 Mbps만큼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USB의 개요는 제이. 가네이 등(J. Garney et al.)의 "USB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안나 북스, 1998)[ISBN 0-929392-3-X]에서 발견될 수 있고 USB 규격의 현재 버전은 www.usb.org 또는 미국 오리건주(OR) 97221, 포틀랜드, 스위트 217, 5440 에스더블유(SW) 웨스트게이트 드라이브에 있는, USB-IF 본부로부터 입수가능하다.
USB를 지원하는 이동 전화 핸드셋들이 소개되고 있다. USB 인터페이스는 이동 전화 핸드셋들이 PC 또는 주변 장치에 접속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핸드셋은 주변 장치 또는 호스트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핸드셋이 USB의 많은 이점들을 누릴지라도, 몇몇 단점들이 존재한다. 상기 핸드셋에 접속하기 위한 간단한 주변 장치들은 그들 자신이 USB를 지원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복잡하고 비싸게 된다. 더욱이, 일단 접속되면, 이들 장치들은 제한된 전력 자원들을 갖는, 핸드셋으로부터 높은 전류를 인출한다.
RS-232 표준에 기초한 간단한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단일 종단 데이터 전송을 사용하는 이동 전화 핸드셋들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핸드셋들이 짧은 메시지 서비스(SMS) 및 이메일을 위해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와 같은 주변 장치들에 접속되도록 허용한다. 이들 유형의 인터페이스는 훨씬 더 적은 전류를 인출해서 저 전력 애플리케이션에 더 적합하다.
USB 인터페이스를 갖는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양쪽 유형의 인터페이스가 단일 핸드셋에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작은 핸드셋에 실제적이지 않다. 더욱이, 이것은 표준화된 커넥터를 제공하는 목적에 어긋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대한 해법을 제공하려고 한다.
본 발명은 제1 데이터 전송 모드 또는 제2 데이터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전자 장치가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하도록 허용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이동 전화 핸드셋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이동 전화 회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직렬 입력/출력 회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송수신기 회로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단일 종단 데이터 전송을 사용하는 이동 전화에 키보드를 연결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양방향 차동 데이터 전송을 사용하는 이동 전화 핸드셋에 개인용 컴퓨터를 연결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데이터 전송 모드 또는 제2 데이터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전자 장치가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하도록 허용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를 사용하는 통신을 위한 제1 통신 수단; 상기 제2 모드를 사용하는 통신을 위한 제2 통신 수단; 및 상기 제1 통신 수단과 상기 제2 통신 수단을공통 전송 경로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모드는 단일 종단 데이터 전송과 같은 직렬 데이터 전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모드는 차동 데이터 전송과 같은 직렬 데이터 전송을 포함할 수 있고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규격을 따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제1 및 제2 입력/출력 데이터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입력/출력 데이터 라인들은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입력/출력 데이터 라인은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제2 입력/출력 데이터 라인은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입력/출력 데이터 라인은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입력/출력 데이터 라인들은 각각 D+ 및 D-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입력/출력 데이터 라인들은 데이터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USB 규격을 따를 수 있는, 데이터 버스를 수신하기 위한 커넥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모드는 제1 세트의 전압 레벨들을 사용할 수 있고, 반면에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모드는 제2의 다른 세트의 전압 레벨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제1 또는 제2 세트의 전압 레벨들을 다른 세트의 전압 레벨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공통 전송 경로에 대한 데이터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태 라인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전원 라인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수단은 양방향 통신 또는 반양방향 통신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자 장치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전자 장치는 휴대가능하고 이동 전화 핸드셋,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또는 이동 통신 장치,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또는 핸드헬드 게임 시스템일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전화 핸드셋(1)은 케이스(2), 배터리 팩(3), 액정 디스플레이(LCD) 패널(4), 마이크로폰(5), 이어폰(6), 키패드(7), 커넥터(8), 안테나(9), 가입자 식별 모듈(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10) 및 SIM 카드 독출기(11)를 포함한다. 이동 전화 회로는 무선 인터페이스 회로(12), 코덱 회로(13), 제어기(14), 메모리(15) 및 입력/출력(I/O) 송수신기 회로(16)를 포함한다. 상기 I/O 송수신기 회로(16)는 단일 종단(SE: Single-Ended) 및 USB 직렬 데이터 전송 모드들을 허용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I/O 송수신기 회로(16)는 마이크로제어기 유닛(MCU)(17), 시스템 주문형 반도체(ASIC)(18) 및 송수신기 회로(19)를 포함한다. 본 예에서, 상기 커넥터(8)는 핸드셋(1)을 USB 호스트(미도시)에 연결하는데 적합하고 USB 규격을 따른다. 핸드셋(1)을 USB 주변 장치에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 케이블의 일단에 소위 'B'-형 플러그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상기 커넥터(8)는 또한 핸드셋(1)을 SE 데이터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다른 유형의 주변 장치(미도시)에 연결시키는데 적합하다. 데이터 전송 모드는 장치들 또는 회로들과 같은 두 실체들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있는 구성을 지칭한다.
상기 커넥터(8)는 전원(Vbus) 및 접지(GND) 라인들(20, 21)과 D+/RxD 및 D-/TxD로 지칭되는 한 쌍의 데이터 라인들(22, 23)을 구비하는 USB 포트이다. 상기 커넥터(8)는 또한 상기 핸드셋(1)과 부착된 장치(미도시)간의 데이터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상태 라인(Id)(24)을 구비한다. 상기 전원, 접지 및 데이터 라인들(20, 21, 22, 23)은 상기 송수신기 회로(19)로 공급된다.
상기 송수신기 회로(19)는 두 전송 모드, 즉 USB 전송 모드 및 SE 전송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각 전송 모드는 자신의 이점들을 갖는다. USB 전송 모드는 특히 고속 데이터 전송 속도로 양호한 노이즈 제거를 달성하는데 사용되는 차동 데이터 전송 방식을 사용한다. 한편, SE 전송은 USB 전송과 달리, 엄격한 타이밍 요건을 갖지 않는다. 더욱이, SE 전송은 5-볼트 전원이 구비되거나 제공되는 키보드(도 5)와 같은 주변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송수신기 회로(19)는 시스템 ASIC(18)과 상기 커넥터(8)에 연결된 데이터 버스(미도시)간에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상기 송수신기 회로(19)는 레벨 이동 및 데이터 조절을 행하여서 상기 핸드셋(1)이 어느 한 유형의 인터페이스를 갖는 주변 장치들과 사용되도록 허용한다. 예를 들어, 레벨 이동은 상기 ASIC(18)에 의해 사용되는 비교적 낮은 전압들 및 USB 전송에 사용되는 비교적 높은 전압들간에 신호들을 변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반면에 신호 조절은 상기 D+/RxD 및 D-/TxD 라인들(22, 23)상의 상승 및 하강 시간들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기 회로(19)는 이진 '0' 신호를 SE 모드 라인(25)에 인가함으로써 USB 전송 모드로 전환될 수 있고 '1'을 인가함으로써 SE 전송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송수신기 회로(19)는 상기 시스템 ASIC(18)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시스템 ASIC(18)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1 및 제2 데이터 경로들(Fse0/FTX, Vp/FRX)(26, 27)을 지원한다. 상기 Fse0/FTX와 Vp/FRX 데이터 경로들(26, 27) 및 상기 D+/RxD와 D-/TxD(22, 23)간의 관계는 나중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송수신기 회로(19)에는 또한 복수의 USB-특정 데이터 및 제어 라인들이 제공된다. 이들은 상기 D-/TxD 라인(23)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한 경로를 제공하는 수신된 데이터 라인 Vm(28), 차동 수신 데이터 라인 RCV(29), 데이터가 전송되거나 수신되는지를 제어하기 위한 전송/수신 제어 라인 OE#(30), 전송 데이터 라인 Vo(31) 및 전송된 데이터 슬루 레이트(slew rate)를 선택하는 속도 제어 라인 SPEED(32)를 포함한다. 본 예에서, 상기 전송된 데이터 슬루 레이트는 4 내지 20ns 또는 75 내지 300ns 사이가 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ASIC(18)은 단일 종단 유니버설 비동기 수신기/송신기 회로(SE UART)(33) 및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로직 회로(34)를 포함한다. 상기 USB 로직 회로(34)는 USB 데이터 명령들을 부호화하고 복호화한다. 상기 Fse0/FTX 및 Vp/FRX 데이터 경로들(26, 27)은 MCU(17)로부터의 제어 라인(37)에 의해 각각 제어되는 제1 및 제2 스위치 쌍들(35a, 35b, 36a, 36b)에 의해 상기 SE UART 및 상기 USB 로직 회로들(33, 34)간에 절환된다. 상기 제어 라인(37)은 또한 상기 SE 모드 라인(25)을 통해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시스템 ASIC(18)은 또한 부착된 장치(미도시)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 유형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8)상의 상기 상태 라인 Id(24)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제1 검출 회로(381)를 포함한다. 상기 상태 라인 Id(24)는 약한 풀-업 저항(40)을 통해 핸드셋 전원(39), 예를 들어 배터리(3)에 연결된다. 본 예에서, 상기 저항(40)은 220㏀의 값을 갖는다. 저항을 측정하는 대신에, 신호 방식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상기 시스템 ASIC(18)은 Vbus 전원 라인(23)에 연결된 제2 검출 회로(3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 회로들(38)은 상기 데이터 전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는 MCU(17)에 보고한다.
상기 SE UART 회로(33)는 부착된 장치(미도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SETx 라인(39) 및 부착된 장치(미도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SERx 라인(40)을 구비한다.
상기 USB 로직 회로(34)는 D+/RxD 및 D-/TxD 라인들(22, 23)이 수신된 D+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하여 0 볼트로 구동되고 Rxdp_i 라인(42)이 되도록 야기하기 위하여 신호 상태(SE0)를 상기 Fse0/FTX 라인(26)에 인가하기 위한 Se0_o 라인(43)을 구비한다.
상기 SE UART 및 USB 로직 회로들(33, 34)은 제1 및 제2 버스들(44, 45)에 의해 MCU(17)와 명령 및 전송 데이터를 교환한다.
상기 송수신기 회로(19)가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송수신기 회로(19)에 상이한 데이터 및 제어 라인 구성들이 제공될 수 있다는것은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Fse0/FTX 데이터 라인(26) 및 상기 전송 데이터 라인 Vo(31)은 Fse0 라인 및 Vo/FTX 라인으로 각각 대체될 수 있다. 결과로서, 상기 Fse0 라인들은, 상술된 바와 같이 USB 모드에서 상기 SE0 신호 상태를 적용하는 단일 기능 역할을 한다. 상기 Vo/FTX 라인은 상술된 바와 같이 전송 데이터 라인 Vo 또는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관용 TxD SE 라인을 제공하는 이중 기능을 갖는다. 이 구성은 상기 ASIC(18)의 변경, 특히 상기 스위치들(35, 36)의 변경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기 Se0_o 라인(41)은 영구적으로 상기 Fse0 라인에 연결된다. 상기 Vo/FTX 라인은 상기 스위치(35a)를 통해 UART(33)의 SETx 라인(39)에 연결되고 또한 제어 라인(37)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미도시)를 통해 상기 USB 로직 회로(34)의 TxD_o 라인(미도시)에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송수신기 회로(19)는 전압 Vio에서 상기 시스템 ASIC(19)과 신호들을 교환한다. 상기 송수신기 회로(19)는 USB 모드일 때 3.3V의 공칭 전압에서 그리고 SE 모드일 때 Vreg의 전압에서 부착된 장치(미도시)와 신호들을 교환한다. 본 예에서, Vio < 3.3V 그리고 Vio < Vreg이다. 따라서, 상기 송수신기 회로(19)는 상기 ASIC(19)과 부착된 장치(미도시)간의 신호들의 레벨 이동을 행한다.
상기 송수신기 회로(19)는 제1 및 제2 출력 수단(46, 47)을 포함한다. 상기 전송/수신 제어 라인 OE#(30)은 상기 출력 수단(46, 47)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반면에 속도 제어 라인(32)은 상기 전송된 데이터의 슬루 레이트를 결정한다.
USB 모드에서, 상기 제1 출력 수단(46)에는 상기 USB 로직 회로(34)로부터 USB 전송 라인 Vo(31)로부터의 전송 데이터가 공급되고 상기 제1 데이터 경로 Fse0/FTX(26)를 따라 신호 SE0가 공급된다. 상기 제2 출력 수단(47)에는 또한 상기 USB 전송 라인 Vo(31)으로부터 전송 데이터가 공급된다. 상기 신호 SE0는 D+ = D- = 0V로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출력 수단(46, 47)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D+/RxD 및 D-/TxD 라인들(22, 23)은 관용 USB 데이터 라인들과 같이 각각 D+ 및 D-로서 동작한다.
SE 모드에서, 상기 제1 출력 수단(46)에는 상기 SE UART(33)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 경로 Fse0/FTX(26)로부터의 전송 데이터가 공급된다. 상기 신호 SE 모드(25)는 상기 제1 및 제2 출력 수단(46, 47)을 SE 모드로 전환시키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D-/TxD 라인(23)은 관용 SE 라인과 같이 TxD로서 동작한다.
상기 송수신기(19)는 추가로 제1, 제2 및 제3 입력 수단(48, 49, 50)을 포함한다.
USB 모드에서, 상기 제1 입력 수단(48)에는 상기 D-/TxD 라인(23)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공급된다. 그것은 수신된 데이터 라인 Vm(28)을 사용하여 상기 USB 로직 회로(34)에 상기 데이터를 공급한다. 유사하게, 상기 제2 입력 수단(49)에는 상기 D+/RxD 라인(22)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공급된다. 다시 그것은 상기 제2 데이터 라인 Vp/FRX(27)를 사용하여 상기 USB 로직 회로(34)에 상기 데이터를 전달한다. 상기 제3 입력 수단(50)은 D+/RxD 라인(22) 및 D-/TxD 라인(23) 양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차동 수신된 데이터 신호 RCV를 상기 USB 로직 회로(34)에공급한다.
SE 모드에서, 상기 제2 입력 수단(49)에는 상기 D+/RxD 라인(22)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공급된다. 그것은 제2 데이터 라인 Vp/FRX(27)를 사용하여 상기 SE UART 회로(33)에 상기 데이터를 공급한다.
데이터를 스위칭하는 것에 부가하여, 상기 입력 및 출력 수단(48, 49, 50, 46, 47)은 또한 부착된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레벨 이동 및 신호 조절을 수행한다.
수신되고 전송된 신호들의 전압 레벨들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송수신기 회로(19)에는 전압 기준 소스가 제공된다. 상기 핸드셋에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상기 회로(19)는 소스 Vio(51)가 연속적으로 제공되고, 반면에 소스 Vref(52)는 MCU(17)에 의해 제어된다. Vbus(20)는 상기 커넥터(8)를 통해 제공된다. 따라서, SE 모드에서, 상기 송수신기 회로(19)에는 전압 소스 Vio(51) 및 Vreg(52)가 공급되고, 반면에 USB 모드에서 상기 송수신기 회로(19)에는 전압 소스들 Vio(51) 및 Vbus(20)가 제공된다.
이제 SE 전송 모드 및 USB 전송 모드가 설명될 것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RS-232 표준에 따라 통신하는 키보드(53)가 커넥터(8)를 사용하여 핸드셋(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키보드(53)는 상기 상태 라인(24)을 접지에 연결하는 저항(미도시)을 구비한다. 이것은 상기 제1 검출 회로(381)에 의해 측정되고 따라서 상기 MCU(17)는 상기 키보드(53)가 단일 종단 전송 모드에 따라 동작하는 단순한 주변 장치라는 것을 결정한다. 제어기(17)는 '1'을 제어 라인(37)에 인가하는데, 이것은 상기 송수신기(19)를 SE 전송 모드로 전환시킨다. 제어 라인(37)상의 높은(high) 신호는 상기 데이터 경로들(26, 27)을 각각 상기 SE UART(33)의 SETx 및 SERx 라인들(39, 40)로 절환한다. 결과로서 커넥터(8)의 D+ 라인(22)은 수신(Rx) 라인으로서 구동되고, 반면에 커넥터(8)의 D- 라인(23)은 전송(Tx) 라인으로서 구동된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핸드셋(1)은 USB 케이블(54)을 사용하여 USB 허브(56)의 포트(55)에 연결된다. 상기 허브(56)는 케이블(57)에 의해 개인용 컴퓨터(미도시)에 연결된다. 상기 상태 라인(24)은 연결해제되고 Vio로 플로팅된 상태로 남겨진다. 상기 제2 검출 회로(382)는 Vbus를 검출해서 상기 마이크로제어기(17)는 상기 핸드셋(1)이 USB 호스트에 연결되어 있는지 따라서 USB 전송 모드에 따라 동작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상기 제어기(17)는 '0'을 제어 라인(37)에 인가하는데, 이것은 상기 송수신기(19)를 USB 전송 모드로 전환시킨다. 상기 제어 라인(37)상의 낮은(low) 신호는 상기 데이터 경로들(26, 27)을 상기 USB 로직 회로(34)의 각 Se0_o 및 Rxdp_i 라인들(39, 40)로 전환시킨다. 결과로서 D+ 및 D- 라인들(22, 23)은 관용 USB 전송 모드로 사용된다. 상기 핸드셋(1)이 개인용 컴퓨터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이것은 USB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고 SE 전송에 따라 동작하는 시스템들과 여전히 역방향 호환성을 갖는 이점을 가진다. 부가적인 핀들 또는 커넥터들을제공할 필요가 없다.
상기에 설명된 예에 있어서, SE 모드에서, 한 라인(22)이 Rx를 위해 사용되고 다른 라인(23)은 Tx를 위해 채용된다. 이것은 핸드셋(1)이 다른 장치들과 동시에 신호들을 전송하고 수신하는 것, 즉 양방향 통신을 허용한다. 하지만, 하나 또는 양 라인들(22, 23)은 하나 이상의 장치들과 반양방향 동작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라인(22, 23)이 SE 모드로, 전송 및 수신 양자를 위해 사용되는 경우, 즉, 반양방향 통신인 경우, 그들은 서로에 상관없이 사용될 수 있어서 핸드셋(1)이 2개의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도록 허용한다. 상기 라인들(22, 23)은 동일한 장치와의 반양방향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반양방향 통신중, 상기 라인들(22, 23)은 동시에 또는 다른 시간에 상기 핸드셋(1)으로부터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다.
많은 변경들이 상기에 설명된 실시예에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또는 휴대용 게임 시스템과 같은 많은 유형의 휴대용 디지털 장치가 이동 전화 핸드셋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호스트는 개인용 컴퓨터일 필요가 없고 예를 들어 소니 플레이스테이션 2 또는 마이크로소프트 X-박스와 같은 게임 콘솔일 수 있다. 상기 MCU 및/또는 상기 송수신기 회로는 상기 시스템 ASIC에 통합될 수 있다. 다른 신호들이 상기 송수신기 회로를 USB 모드와 SE 모드간에 전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송수신기 회로는 SE 모드 라인에 '1'을 인가함으로써 USB 모드로 전환될 수 있고 '0'을 사용하여 SE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데이터 버스 통신을 사용하는 더 복잡한 신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6)

  1. 제1 데이터 전송 모드 또는 제2 데이터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전자 장치가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하도록 허용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를 사용하는 통신을 위한 제1 통신 수단;
    상기 제2 모드를 사용하는 통신을 위한 제2 통신 수단; 및
    상기 제1 통신 수단 및 상기 제2 통신 수단을 공통 전송 경로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모드는 직렬 데이터 전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모드는 단일 종단 데이터 전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모드는 직렬 데이터 전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모드는 차동 데이터 전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모드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규격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모드는 단일 종단 데이터 전송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모드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규격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입력/출력 데이터 라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입력/출력 데이터 라인들은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출력 데이터 라인은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입력/출력 데이터 라인은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출력 데이터 라인은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출력 데이터 라인은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입력/출력 데이터 라인들은 각각 D+ 및 D- 라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입력/출력 데이터 라인들은 데이터 버스에 연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 버스를 수신하기 위한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USB 규격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모드는 제1 세트의 전압 레벨들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모드는 제2의 상이한 세트의 전압 레벨들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제1 또는 제2 세트의 전압 레벨 들을 다른 세트의 전압 레벨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전송 경로에 대한 데이터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태 라인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전원 라인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수단은 양방향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수단은 반양방향 통신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037013321A 2001-04-30 2002-04-11 전자 장치용 통신 인터페이스 KR100860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110565.9 2001-04-30
GB0110565A GB2375273B (en) 2001-04-30 2001-04-30 Communication interface for an electronic device
PCT/IB2002/001168 WO2002088973A1 (en) 2001-04-30 2002-04-11 Communication interface for an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095A true KR20040015095A (ko) 2004-02-18
KR100860883B1 KR100860883B1 (ko) 2008-09-29

Family

ID=9913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3321A KR100860883B1 (ko) 2001-04-30 2002-04-11 전자 장치용 통신 인터페이스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7627704B2 (ko)
EP (2) EP1384154B1 (ko)
JP (1) JP2004534995A (ko)
KR (1) KR100860883B1 (ko)
CN (2) CN101038577B (ko)
AT (2) ATE439634T1 (ko)
BR (1) BR0208730B1 (ko)
CA (1) CA2443790C (ko)
DE (2) DE60220398T2 (ko)
ES (1) ES2328971T3 (ko)
GB (1) GB2375273B (ko)
WO (1) WO20020889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768B1 (ko) * 2004-11-19 2008-10-22 리니어 테크놀러지 코포레이션 PoE 시스템을 위한 공통-모드 데이터 전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3693A1 (en) * 2003-01-21 2004-07-22 Denny Hwang Data storage apparatus of multiple serial interfaces
CN100459636C (zh) * 2003-07-03 2009-02-04 深圳市中兴移动技术有限公司 手机与计算机通讯的系统
CN1620167B (zh) * 2003-11-20 2010-04-28 启碁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无线网络模块以及存储器模块的移动电话
US7124222B2 (en) * 2003-12-16 2006-10-17 1X1 Mobile, Lt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communications interface
US20050135393A1 (en) * 2003-12-19 2005-06-23 Benco David S. Peripheral hub for mobile phones
TWM249116U (en) * 2004-01-08 2004-11-01 Uis Abler Electronics Co Ltd Switching device for RS-232 serial port and USB serial port
HK1066446A1 (en) * 2004-01-21 2005-02-04 Dragonchip Ltd Bi-directional data transfer between a mobile phone and a computer device.
KR100606717B1 (ko) * 2004-04-27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듀얼 uart회로
KR100619988B1 (ko) 2005-02-22 2006-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레벨 변환 장치
EP1717910B1 (en) * 2005-04-27 2011-12-14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using multi-functional socket and method thereof
JP2006343815A (ja) * 2005-06-07 2006-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装置、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
US8112565B2 (en) * 2005-06-08 2012-02-07 Fisher-Rosemount Systems, Inc. Multi-protocol field device interface with automatic bus detection
US7743187B2 (en) 2006-01-05 2010-06-22 Telechips, Inc. Audio system, and USB/UART common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CN100437541C (zh) * 2006-03-28 2008-11-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串行外设接口的实现方法
JP5076351B2 (ja) * 2006-04-18 2012-11-21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データ転送制御方法、そのデータ転送制御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転送システム
US8359416B1 (en) * 2006-06-06 2013-01-22 Marvell International Ltd. Multi-mode USB-satellite digital transceiver port
JP2008192106A (ja) * 2007-02-08 2008-08-21 Ricoh Co Ltd インタフェース回路
US7991932B1 (en) * 2007-04-13 2011-08-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irmware and/or a chipset determination of state of computer system to set chipset mode
EP1998579A1 (en) * 2007-05-29 2008-12-03 Teldat S.A. Wireless modem, and system and method therefor
CN101933007B (zh) * 2007-12-21 2015-07-22 金雅拓股份有限公司 Usb桥路
DE102010016283B4 (de) * 2010-03-31 2011-12-15 Schneider Electric Automation Gmbh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Daten über einen CANopen-Bus sowie Verwendung des Verfahrens zum Konfigurieren und/oder Parametrieren von Feldgeräten über den CANopen-Bus
CN102063399B (zh) * 2011-01-10 2014-02-19 深圳市润天智数字设备股份有限公司 多通道数据传输方法和设备及系统
JP5100854B2 (ja) * 2011-01-31 2012-12-19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8543753B2 (en) * 2011-04-06 2013-09-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use physical architecture
US9514019B2 (en) 2011-12-23 2016-12-06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in a serial communication
US9312576B2 (en) * 2012-02-15 2016-04-12 Htc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apable of obtaining charging current value of charger and charging method thereof
US9087158B2 (en) * 2012-06-30 2015-07-21 Intel Corporation Explicit control message signaling
KR101754728B1 (ko) 2013-09-26 2017-07-10 인텔 코포레이션 고속 위상 고정을 위한 장치와 방법
WO2015080710A1 (en) * 2013-11-26 2015-06-04 Intel Corporation Low power clamp for electrical overstress protection
US9133019B2 (en) * 2013-12-03 2015-09-15 Barry John McCleland Sensor prob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9059906B1 (en) * 2013-12-03 2015-06-16 Barry John McCleland Data communication interface
US9727514B2 (en) * 2014-12-09 2017-08-08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Integrated circuits with universal serial bus 2.0 and embedded universal serial bus 2 connectivity
CN106804081B (zh) 2015-11-26 2019-10-11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调光电路与调光控制方法
CN108702830B (zh) * 2016-01-27 2021-07-13 昕诺飞控股有限公司 外围设备、包括外围设备的系统和方法
KR20180044602A (ko) * 2016-10-24 2018-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블 삽입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311000B2 (en) * 2017-09-29 2019-06-04 Intel Corporation Integrated universal serial bus (USB) type-C switching
WO2021092778A1 (en) * 2019-11-12 2021-05-20 Mount Schiehallion Ltd Microphone blocking apparatus
TWI768439B (zh) * 2020-08-20 2022-06-21 黃湘豪 非入侵式通訊檢查和控制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2470A (en) * 1987-08-06 1990-11-20 Steven Farago Programmable connector
US5715409A (en) 1993-05-24 1998-02-03 I-Tech Corporation Universal SCSI electrical interface system
US5594874A (en) * 1993-09-30 1997-01-14 Cirrus Logic, Inc. Automatic bus setting, sensing and switching interface unit
US5715449A (en) * 1994-06-20 1998-02-03 Oceania, Inc. Method for generating structured medical text through user selection of displayed text and rules
US5832244A (en) * 1996-02-20 1998-11-03 Iomega Corporation Multiple interface input/output port for a peripheral device
US5961351A (en) * 1996-08-21 1999-10-0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Universal serial Bus B-type plug connector
US5935224A (en) * 1997-04-24 1999-08-1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ly coupling an external peripheral device to either a universal serial bus port on a computer or hub or a game port on a computer
US6009480A (en) * 1997-09-12 1999-12-28 Telxon Corporation Integrated device driver wherein the peripheral downloads the device driver via an I/O device after it is determined that the I/O device has the resources to support the peripheral device
TW378770U (en) * 1998-06-24 2000-01-01 Primax Electronics Ltd Switching device for the mouse interface
US6442734B1 (en) * 1998-07-08 2002-08-27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type of interface to which a peripheral device is connected
US6243776B1 (en) * 1998-07-13 2001-06-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ectable differential or single-ended mode bus
GB2344429A (en) * 1998-12-01 2000-06-07 Nokia Mobile Phones Ltd Electrical device and connector
US6334160B1 (en) * 1999-01-28 2001-12-25 Hewlett-Packard Co.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ple protocols through a common connector in a device
GB2351421B (en) * 1999-06-22 2001-05-16 3Com Corp Link technology detection in multiple speed physical links
JP2001067159A (ja) 1999-08-27 2001-03-16 Alps Electric Co Ltd インターフェース切替装置
JP4659175B2 (ja) 2000-04-25 2011-03-30 富士通東芝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US6772253B1 (en) * 2000-12-20 2004-08-0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ed system communication and system hardware management communication via USB using a non-USB communicat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768B1 (ko) * 2004-11-19 2008-10-22 리니어 테크놀러지 코포레이션 PoE 시스템을 위한 공통-모드 데이터 전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70319B2 (en) 2011-01-11
CN101038577A (zh) 2007-09-19
CN1633645A (zh) 2005-06-29
GB0110565D0 (en) 2001-06-20
CA2443790C (en) 2012-01-31
DE60220398D1 (de) 2007-07-12
ATE439634T1 (de) 2009-08-15
US20040133722A1 (en) 2004-07-08
GB2375273B (en) 2004-07-07
EP1771020A2 (en) 2007-04-04
EP1771020A3 (en) 2007-04-25
KR100860883B1 (ko) 2008-09-29
CN101038577B (zh) 2011-04-27
EP1384154B1 (en) 2007-05-30
EP1771020B1 (en) 2009-08-12
EP1384154A1 (en) 2004-01-28
DE60220398T2 (de) 2007-10-31
BR0208730B1 (pt) 2014-11-04
ATE363688T1 (de) 2007-06-15
CA2443790A1 (en) 2002-11-07
WO2002088973A1 (en) 2002-11-07
US20090307381A1 (en) 2009-12-10
US7627704B2 (en) 2009-12-01
GB2375273A (en) 2002-11-06
DE60233357D1 (de) 2009-09-24
ES2328971T3 (es) 2009-11-19
JP2004534995A (ja) 2004-11-18
BR0208730A (pt) 2004-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0883B1 (ko) 전자 장치용 통신 인터페이스
KR100755971B1 (ko) 듀얼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동작하는 단일 포트 유에스비장치
US20060106962A1 (en) USB On-The-Go implementation
CN101359316B (zh) 一种实现通用串行总线usb otg的方法及装置
JP3610424B2 (ja) 電子機器及びインタフェース回路
WO2004049149A1 (en) Usb accessory adaptor
TW200415828A (en) Interface integrated circuit device for a USB connection
US6941399B2 (en) Electronic interface device
JPH10301898A (ja) 電子機器及びインタフェース回路
US7073008B2 (en) Method of function activation on a bridge system
US20050091437A1 (en) Multi-function universal serial bus wireless bridge
US829536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interfacing of connections between a multiplicity of handheld devices
KR10065120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6919878B2 (en) Keyboard/mouse switching controller
WO2013042976A2 (ko) 유에스비 주변 장치 및 그의 송신 전력 감소 방법
US7136379B2 (en) Multiple-interface port multiplexer
KR200377353Y1 (ko) 스위칭 기능을 가지는 데이터통신용 장치
US20130019046A1 (en) Data transmitting device and system for portable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0446938B1 (ko) 휴대형 단말장치에서 개인정보단말회로와 이동통신단말회로간의 인터페이스구조 및 방법
KR2005010372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듀얼 uart회로
KR20060099230A (ko) Usb방식 또는 uart방식 자동선택 회로를 가지는gsm휴대전화
KR101219801B1 (ko) 다수의 신호 레벨을 자동으로 지원하는 직렬 통신 회로 및이를 구비하는 통신 단말기
KR20040102976A (ko) Usb otg 인터페이스 블락과 usb otg인터페이싱 방법
KR20030069238A (ko) 차량 정보 단말기와 휴대용 컴퓨터를 연결하는 케이블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