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9230A - Usb방식 또는 uart방식 자동선택 회로를 가지는gsm휴대전화 - Google Patents

Usb방식 또는 uart방식 자동선택 회로를 가지는gsm휴대전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9230A
KR20060099230A KR1020050020548A KR20050020548A KR20060099230A KR 20060099230 A KR20060099230 A KR 20060099230A KR 1020050020548 A KR1020050020548 A KR 1020050020548A KR 20050020548 A KR20050020548 A KR 20050020548A KR 20060099230 A KR20060099230 A KR 20060099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art
usb
mobile phone
cable
level pot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020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9230A/ko
Publication of KR20060099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USB방식 또는 UART방식 자동선택 회로를 가지는 GSM휴대전화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GSM휴대전화를 양산하는 과정에서 USB방식 또는 UART방식 케이블을 연결함에 따라 GSM휴대전화내의 회로상에서 자동적으로 USB방식과 UART방식의 구분이 가능하고, 별도의 USB방식 또는 UART방식의 구분에 따른 회로상의 변경을 수행할 필요가 없는, USB방식 또는 UART방식 자동선택 회로를 가지는 GSM휴대전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GSM휴대전화에 있어서, UART케이블 혹은 USB케이블이 연결됨에 따라 상기 휴대전화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휴대전화와 소프트웨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연결수단; 상기 UART케이블 혹은 USB케이블이 연결됨에 따라 상기 케이블연결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전원을 제2 방식 선택핀 혹은 제1 방식 선택핀으로 인가하는 전원공급수단;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의 전원인가 여부에 따라 하이레벨 혹은 로우레벨 전위를 나타내어, 연산제어수단이 USB방식 혹은 UART방식으로 결정되도록 하는 상기 제1 방식 선택핀;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의 전원인가 여부에 따라 하이레벨 혹은 로우레벨 전위를 나타내어, 상기 연산제어수단이 UART방식 혹은 USB방식으로 결정되도록 하는 상기 제2 방식 선택핀; 및 상기 제1 혹은 제2 방식 선택핀의 상태에 따라 USB방식 혹은 UART방식을 결정하며, 결정된 방식에 따라 상기 케이블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소프트웨어를 송수신하는 상기 연산제어수단을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GSM휴대전화 등에 이용됨.
USB, UART, AD6528B칩, AD6535칩, 24핀 커넥터 등

Description

USB방식 또는 UART방식 자동선택 회로를 가지는 GSM휴대전화{Circuit for automatic selection of USB type or UART type in GSM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도 1 은 종래 GSM휴대전화에서 USB방식과 UART방식을 구분하지 않은 상태의 구성 예시도,
도 2 는 종래 GSM휴대전화에서 UART방식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3 은 종래 GSM휴대전화에서 USB방식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USB방식 또는 UART방식 자동선택 회로를 가지는 GSM휴대전화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USB방식 또는 UART방식 자동선택 회로를 가지는 GSM휴대전화에서 UART방식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설명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USB방식 또는 UART방식 자동선택 회로를 가지는 GSM휴대전화에서 USB방식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1 : AD6528B 402 : 제 1 외부입력핀
403 : 제 2 외부입력핀 404 : AD6535
405 : VUSB단자 406 : VEXT단자
407 : 24핀 커넥터 408 : EXT_G입력핀
본 발명은 USB방식 또는 UART방식 자동선택 회로를 가지는 GSM휴대전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GSM휴대전화를 양산하는 과정에서 USB방식 또는 UART방식 케이블을 연결함에 따라 GSM휴대전화내의 회로상에서 자동적으로 USB방식과 UART방식의 구분이 가능하고, 별도의 USB방식 또는 UART방식의 구분에 따른 회로상의 변경을 수행할 필요가 없는, USB방식 또는 UART방식 자동선택 회로를 가지는 GSM휴대전화에 관한 것이다.
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ETSI)에서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으로 표준화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은 미국이나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되는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과는 다른 협대역 시분할다중접속(TDMA :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을 적용하는 무선통신 방식이다.
종합정보통신망(ISDN)과 연결되므로 모뎀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화 단말기와 팩시밀리, 랩톱 컴퓨터, 텔리텍스트 터미널 등에 직접 접속하여 이동데이터 서비스 를 받을 수 있으며, 기지국의 송신 주파수는 935∼960㎒, 기지국 수신 주파수는 890∼915㎒로 송수신 주파수 간격은 45㎒이다.
이러한 GSM휴대전화에서는 USB방식과 UART방식으로 구분되어 I/O포트를 사용하고 있는데, GSM휴대전화를 양산하는 과정에서 USB방식과 UART방식으로 구분하여, USB방식의 경우에는 USB케이블을 연결하여 휴대전화 구동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받아야 하며, UART방식의 경우에는 UART케이블을 연결하여 휴대전화 구동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받아야 한다.
여기서, USB방식과 UART방식의 용어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도록 한다.
USB(Universal Serial Bus)방식은, 범용직렬버스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주변기기를 컴퓨터 제조회사에 관계없이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특히, USB방식은 마우스, 프린터, 모뎀, 스피커 등과 같은 주변기기와 컴퓨터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이를 이용하면 복잡한 어댑터들의 설치를 제거할 수 있어 현재 대부분의 PC 표준장비에 장착되고 있다.
최근에는 핸드폰이나 디지털카메라에서 PC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도 대부분 USB포트를 사용한다. 직렬포트의 한계속도가 초당 100K도 채 안되는데 반해, USB는 12Mbps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지원하므로 웬만한 주변기기를 연결해도 속도가 충분하고, 최대 127개까지 장치들을 사슬처럼 연결한다. PC를 사용하는 도중에 연결해도 인식을 하며, 주변기기의 전원이 필요없다. USB를 사용하면 주변기기 등을 PC와 연결할때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별도로 설정할 필요없이 모든 주변기기를 동일한 접속기로 접속하기 때문에 포트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가 간편하고, 휴대형 PC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PC에는 2개의 USB포트가 있지만 USB 허브가 있어서 하나의 포트를 다수의 포트로 나눠주기 때문에 다양한 주변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방식은,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 방식으로서, 컴퓨터에 부착된 직렬 장치들로 향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모뎀이나 기타 다른 직렬장치들과 통신하거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한다. 또한, 컴퓨터로부터 병렬 회로를 통해 받은 바이트들을 외부에 전달하기 위해 하나의 단일 직렬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내부로 전송할 때에는 직렬 비트 스트림을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도록 바이트로 변환한다. 또한, 키보드나 마우스로부터 들어오는 인터럽트를 처리하고, 다른 종류의 인터럽트 처리와 컴퓨터의 동작 속도를 장치의 속도와 동등하게 맞추도록 요구하는 장치를 관리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 GSM휴대전화에서 USB방식과 UART방식을 구분하지 않은 상태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GSM휴대전화의 내부 회로에는, GSM휴대전화의 중앙처리장치의 역할을 담당하는 디지털 베이스밴드 칩인 AD6528B(101)와, GSM휴대전화의 전원 공급을 총괄하는 아날로그 베이스밴드 칩인 AD6535(102)가 있으며, UART케이블이나 USB케이블을 통해 외부로부터 폰 구동과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24핀 커넥터(103)가 있다.
그래서, 24핀 커넥터(103), AD6528B(101) 및 AD6535(102)가 회로를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UART방식으로 폰 구동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고, USB방식으로 폰 구동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이때, USB방식과 UART방식의 구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AD6528B(101)에 위치하고 있는 제 1 외부입력핀(104)과 제 2 외부입력핀(105)이다.
여기서, UART방식으로 휴대전화 구동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고자 한다면, 제 1 외부입력핀(104)으로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회로를 설계하여 제 1 외부입력핀(04)은 로우레벨 전위상태가 되도록 하고, 제 2 외부입력핀(105)으로 전압이 인가되도록 회로를 설계하여 제 2 외부입력핀(105)은 하이레벨 전위상태가 되도록 하면, AD6528B(101)은 제 1 외부입력핀(104)과 제 2 외부입력핀(105)의 상태를 인지하여 UART방식으로 휴대전화 구동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반면에, USB방식으로 휴대전화 구동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고자 한다면, 제 1 외부입력핀(104)으로 전압이 인가되도록 회로를 설계하여 제 1 외부입력핀(104)을 하이레벨 전위상태가 되도록 하고, 제 2 외부입력핀(105)으로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회로를 설계하여 제 2 외부입력핀(105)을 로우레벨 전위상태가 되도록 하면, AD6528B(101)이 두 핀의 상태를 인지하여 USB방식으로 휴대전화 구동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 1 외부입력핀(104)과 제 2 외부입력핀(105)을 하이레벨 전위상태 또는 로우레벨 전위상태로 설정해 주기 위해서 회로를 설계하는 방법은, PU1저항(107), PU2저항(108), PD1저항(109) 및 PD2저항(110)의 위치가 바뀜에 따라 결정된다.
여기서, 저항의 위치가 바뀐다는 것은, PCB기판상에서 저항이 삽입되는 위치에는 모두 공간으로 비워두고 UART방식인가 USB방식인가에 따라 해당 저항이 삽입되어야 하는 위치에 저항을 조립하는 것을 의미하며,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의 설명부분을 참조하도록 한다.
그리고, 저항이 삽입되는 위치에 공간을 비워두고 해당 저항을 삽입하여 회로를 설계하는 방법외에도 PCB기판상에 PU1저항(107), PU2저항(108), PD1저항(109) 및 PD2저항(110)이 모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UART방식인가 USB방식인가에 따라 해당 저항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거나 흐르지 않도록 딥 스위치로 조정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도 2 는 종래 GSM휴대전화에서 UART방식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UART방식으로 휴대전화 구동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는 제 1 외부입력핀(201)이 로우레벨 전위상태가 되어야 하고 제 2 외부입력핀(202)은 하이레벨 전위상태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원공급부 역할을 수행하는 AD6535(210)에서 제 2 외부입력핀(202)으로 전원이 인가되는 회로상에는 PU2저항(108)을 삽입하고, AD6535(210)에서 제 1 외부입력핀(201)으로 전원이 인가되는 회로상에는 PU1저항(107)을 삽입하지 않고 공간으로 비워둔다. 그리고, 제 1 외부입력핀(201)은 GND에 연결한다.
이때, 전원공급부의 역할을 수행하는 AD6535(210)의 VUSBIN(211)은 외부에서 전원을 인가받으면 VUSB(203)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UART방식에서는 VUSBIN(211)으로 전원인가가 없으므로 VUSB(203)에도 역시 0V의 전위만을 가지 게 된다.
하지만, VBAT(212)는 외부에서 전원을 인가받으면 VEXT(213)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제 2 외부입력핀(202)은 VEXT(213)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서 하이레벨 전위상태가 되고, 제 1 외부입력핀(201)은 GND에 연결됨에 따라 로우레벨 전위상태가 된다.
그러면, AD6528B(214)는 UART방식으로 휴대전화 구동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설정되고, 24핀 커넥터(205)에 UART케이블(204)이 연결되면, UART케이블(204)의 직렬 데이터 라인인 TXD(206)와 24핀 커넥터(205)의 TXD(207), UART케이블(204)의 직렬 데이터 라인인 RXD(208)와 24핀 커넥터(205)의 RXD(209)가 병렬로 연결되어 소프트웨어를 AD6528B(214)로 다운로드 받게 된다.
도 3 은 종래 GSM휴대전화에서 USB방식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USB방식으로 휴대전화 구동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는 제 1 외부입력핀(301)이 하이레벨 전위상태가 되어야 하고 제 2 외부입력핀(302)은 로우레벨 전위상태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원공급부 역할을 수행하는 AD6535(311)에서 제 1 외부입력핀(301)으로 전원이 인가되는 회로상에는 PU1저항(107)을 삽입하고, AD6535(311)에서 제 2 외부입력핀(302)으로 전원이 인가되는 회로상에는 PU2저항(108)을 삽입하지 않고 공간으로 비워둔다. 그리고, 제 2 외부입력핀(302)은 GND에 연결한다.
이때, 전원공급부의 역할을 수행하는 AD6535(311)의 VUSBIN(312)은 외부에서 전원을 인가받으면 VUSB(303)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제 1 외부입 력핀(301)은 VUSB(303)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서 하이레벨 전위상태가 되고, 제 2 외부입력핀(302)은 GND에 연결됨에 따라 로우레벨 전위상태가 된다.
그러면, AD6528B(314)는 USB방식으로 휴대전화 구동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설정된다.
이때, USB방식에서는 UART방식과는 다르게 외부와의 연결신호가 D+(306), D-(308)의 디퍼런셜 신호로 USB케이블(304)과 24핀 커넥터(305)간에 연결되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직렬 버스로서 5V의 전위를 가지는 VUSB(310) 전원라인이 추가된다.
그래서, 24핀 커넥터(305)에 USB케이블(304)이 연결되면, USB케이블(304)의 D+(306)디퍼런셜 신호라인은 24핀 커넥터(305)의 D+(307)라인에, USB케이블(304)의 D-(308)디퍼런셜 신호라인은 24핀 커넥터(305)의 D-(309)라인에 연결되어 소프트웨어를 AD6528B(314)로 다운로드 받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GSM휴대전화의 양산과정에서는 먼저 휴대전화 내부의 회로구성에 따라 USB방식 또는 UART방식으로 결정되고, 결정된 방식에 맞추어 케이블을 연결해야하기 때문에 USB방식의 경우에는 USB케이블을 연결하고 UART방식의 경우에는 UART케이블을 연결하여야만 휴대전화 구동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었다.
그래서, USB방식 또는 UART방식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딥 스위치를 이용하여 USB방식 또는 UART방식으로 모드를 셋팅하는 공정이 필요하거나, 회로상의 저항의 위치가 UART방식과 USB방식에서 다르게 적용되기 때문에 저항의 위치를 바꿔주어야 하는 공정이 추가된다.
또한, USB방식과 UART방식의 셋팅상태를 파악하기가 모호하여 USB방식으로 셋팅되어진 GSM휴대전화에 UART케이블을 연결하거나, UART방식으로 셋팅되어진 GSM휴대전화에 USB케이블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휴대전화 구동 소프트웨어를 순조롭게 다운로드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GSM휴대전화를 양산하는데 UART방식과 USB방식을 변경할 때마다 저항을 변경해야 하고, 회로구성에 따라 셋팅되어진 UART방식 및 USB방식에 맞추어서 해당 케이블을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추가되므로 인력이나 시간적인 측면에서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GSM휴대전화를 양산하는 과정에서 USB방식 또는 UART방식 케이블을 연결함에 따라 GSM휴대전화내의 회로상에서 자동적으로 USB방식과 UART방식의 구분이 가능하고, 별도의 USB방식 또는 UART방식의 구분에 따른 회로상의 변경을 수행할 필요가 없는, USB방식 또는 UART방식 자동선택 회로를 가지는 GSM휴대전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GSM휴대전화에 있어서, UART케이블 혹은 USB케이블이 연결됨에 따라 상기 휴대전화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휴대전화와 소프트웨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연결수단; 상기 UART케이블 혹은 USB케이블이 연결됨에 따라 상기 케이블연결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전원을 제2 방식 선택핀 혹은 제1 방식 선택핀으로 인가하는 전원공급수단;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의 전원인가 여부에 따라 하이레벨 혹은 로우레벨 전위를 나타내어, 연산제어수단이 USB방식 혹은 UART방식으로 결정되도록 하는 상기 제1 방식 선택핀;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의 전원인가 여부에 따라 하이레벨 혹은 로우레벨 전위를 나타내어, 상기 연산제어수단이 UART방식 혹은 USB방식으로 결정되도록 하는 상기 제2 방식 선택핀; 및 상기 제1 혹은 제2 방식 선택핀의 상태에 따라 USB방식 혹은 UART방식을 결정하며, 결정된 방식에 따라 상기 케이블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소프트웨어를 송수신하는 상기 연산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 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USB방식 또는 UART방식 자동선택 회로를 가지는 GSM휴대전화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ART케이블이 연결됨에 따라 AD6535(404)로 전원을 인가하고 AD6528B(401)로 휴대전화 구동 소프트웨어를 전달하며, USB케이블이 연결됨에 따라 AD6535(404)로 전원을 인가하고 제 2 외부입력핀(403)과 접지회로를 구성하며 AD6528B(401)로 휴대전화 구동 소프트웨어를 전달하는 24핀 커넥터(407), UART케이블이 연결됨에 따라 24핀 커넥터(407)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아 제 2 외부입력핀(403)으로 전원을 인가하고, USB케이블이 연결됨에 따라 24핀 커넥터(407)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아 제 1 외부입력핀(402)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AD6535(404), AD6535(404)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으면 하이레벨 전위를 나타내어 AD6528B(401)가 USB방식으로 결정하도록 하며, AD6535(404)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지 않으면 로우레벨 전위상태를 나타내어 AD6528B(401)가 UART방식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제 1 외부입력핀(402), AD6535(404)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으면 하이레벨 전위상태를 나타내어 AD6528B(401)가 UART방식으로 결정하도록 하며, AD6535(404)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지 않고 24핀 커넥터(407)로부터 접지회로를 구성하면 로우레벨 전위상태를 나타내어 AD6528B(401)가 USB방식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제 2 외부입력핀(403),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입력핀(402,403)의 상태를 확인함에 따라 USB방식 혹은 UART방식을 결정하며, 결정된 방식에 따라 24핀 커넥터(407)를 통해 휴대전화 구동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는 AD6528B(401)등으로 구성된다.
기존 PCB기판상 저항의 삽입위치에 따라 USB방식과 UART방식을 구분하고 USB케이블이나 UART케이블이 연결되기 전에 회로의 설계에 따라 USB방식과 UART방식을 미리 선택했던 것과는 달리, USB케이블이나 UART케이블을 연결할 경우에 케이블로부터 인가되는 전원과 접지회로 구성에 따른 GND접속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USB방식과 UART방식이 구분되도록 회로가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설계는 기존 방식의 회로에 별도의 부품을 추가할 필요가 없이 회로라인을 약간만 수정하면 가능하다.
먼저, 중앙처리부의 역할을 수행하는 AD6528B(401)의 제 1 외부입력핀(402)을 전원공급부의 역할을 수행하는 AD6535(404)의 VUSB(405)에 연결하고, 제 2 외부입력핀(403)을 AD6535(404)의 VEXT(406)에 연결함과 동시에 24핀 커넥터(407)에 추가된 EXT_G(408)라는 별도의 핀에 연결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USB방식 또는 UART방식 자동선택 회로를 가지는 GSM휴대전화의 내부 회로도에서 UART방식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4의 회로에 UART케이블(501)을 연결하면, 24핀 커넥터(502)의 충전핀(503)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서, VUSBIN(504)에도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다.
그래서, VUSBIN(504)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VUSB(505)의 출력도 로우레벨 전위상태가 되어, VUSB(505)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AD6528B(506)의 제 1 외부입력핀(507)은 로우레벨 전위상태가 된다.
반면에, 24핀 커넥터(502)의 전원핀(510)에는 전원이 인가되고, VBAT(511)에도 전원이 인가되어 VBAT(511)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VEXT(509)의 출력은 하이레 벨 전위상태가 되기 때문에, VEXT(509)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AD6528B(506)의 제 2 외부입력핀(508)은 하이레벨 전위상태가 된다.
결국, 중앙처리부의 역할을 수행하는 AD6528B(506)는 제 1 외부입력핀(507)이 로우레벨 전위상태이고 제 2 외부입력핀(508)이 하이레벨 전위상태이므로 UART방식으로 휴대전화 구동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게 된다.
즉, UART케이블(501)의 TXD(512)와 24핀 커넥터(502)의 TXD(513)가 연결되고, UART케이블(501)의 RXD(514)와 24핀 커넥터(502)의 RXD(515)가 연결됨에 따라 AD6528B(506)는 24핀 커넥터(502)의 TXD(513), RXD(515)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USB방식 또는 UART방식 자동선택 회로를 가지는 GSM휴대전화의 내부 회로도에서 USB방식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4의 회로에 USB케이블(601)을 연결하면, 24핀 커넥터(602)의 충전핀(603)에는 전원이 인가되어, VUSBIN(604)에도 전원이 인가된다.
그래서, VUSBIN(604)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VUSB(605)의 출력도 하이레벨 전위상태가 되어, AD6528B(606)의 제 1 외부입력핀(607)도 하이레벨 전위상태가 된다.
반면에, 24핀 커넥터(602)의 전원핀(611)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고, VBAT(612)에도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다.
그래서, VBAT(612)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VEXT(610)의 출력도 로우레벨 전위상태가 된다.
뿐만 아니라, 24핀 커넥터(602)에 추가된 입력핀인 EXT_G(609)는 USB케이블(601)을 통해 GND에 연결됨으로써 회로상에 EXT_G(609)와 연결되어 있는 제 2 외부입력핀(608)은 로우레벨 전위상태가 된다.
결국, 중앙처리부의 역할을 수행하는 AD6528B(606)는 제 1 외부입력핀(607)이 하이레벨 전위상태이고 제 2 외부입력핀(608)이 로우레벨 전위상태이므로 USB방식으로 휴대전화 구동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받게 된다.
즉, USB케이블(601)의 D+(613)와 24핀 커넥터(602)의 D+(614)가 연결되고, USB케이블(601)의 D-(615)와 24핀 커넥터(602)의 D-(616)가 연결됨에 따라 AD6528B(606)는 24핀 커넥터(602)의 D+(614), D-(616)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GSM휴대전화를 생산하는 공정에서 USB방식과 UART방식을 구분함에 있어서 케이블만을 연결하면 USB방식이나 UART방식을 별도의 조작없이 자동으로 구분하여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능률이 향상되고 작업상의 오류를 줄일 수 있어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GSM휴대전화에 있어서,
    UART케이블 혹은 USB케이블이 연결됨에 따라 상기 휴대전화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휴대전화와 소프트웨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연결수단;
    상기 UART케이블 혹은 USB케이블이 연결됨에 따라 상기 케이블연결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전원을 상기 제2 방식 선택핀 혹은 제1 방식 선택핀으로 인가하는 전원공급수단;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의 전원인가 여부에 따라 하이레벨 혹은 로우레벨 전위를 나타내어, 연산제어수단이 USB방식 혹은 UART방식으로 결정되도록 하는 상기 제1 방식 선택핀;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의 전원인가 여부에 따라 하이레벨 혹은 로우레벨 전위를 나타내어, 상기 연산제어수단이 UART방식 혹은 USB방식으로 결정되도록 하는 상기 제2 방식 선택핀; 및
    상기 제1 혹은 제2 방식 선택핀의 상태에 따라 USB방식 혹은 UART방식을 결정하며, 결정된 방식에 따라 상기 케이블연결수단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송수신하는 상기 연산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USB방식 또는 UART방식 자동선택 회로를 가지는 GSM휴대전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연결수단은,
    상기 USB케이블이 연결되면,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1 방식 선택핀으로 하이레벨의 전위를 인가시키고, 상기 제2 방식 선택핀과 접지회로를 구성하여 로우레벨의 전위를 인가시키며,
    상기 UART케이블이 연결되면,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1 방식 선택핀으로 로우레벨의 전위를 인가시키고, 상기 제2 방식 선택핀으로 하이레벨의 전위를 인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방식 또는 UART방식 자동선택 회로를 가지는 GSM휴대전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식 선택핀은,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하이레벨의 전위를 인가받으면 상기 연산제어수단이 USB방식으로 상기 소프트웨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로우레벨의 전위를 인가받으면 상기 연산제어수단이 UART방식으로 상기 소프트웨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방식 또는 UART방식 자동선택 회로를 가지는 GSM휴대전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식 선택핀은,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하이레벨의 전위를 인가받으면 상기 연산제어수단이 UART방식으로 상기 소프트웨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케이블연결수단으로부터 로우레벨의 전위를 인가받으면 상기 연산제어수단이 USB방식으로 상기 소프트웨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방식 또는 UART방식 자동선택 회로를 가지는 GSM휴대전화.
  5.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제어수단은,
    상기 제1 혹은 제2 방식 선택핀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방식 선택핀이 하이레벨의 전위를 갖고 제2 방식 선택핀이 로우레벨의 전위를 가지면 USB방식으로 결정하여 USB방식으로 상기 소프트웨어를 송수신하며, 상기 제1 방식 선택핀이 로우레벨 전위를 갖고 상기 제2 방식 선택핀이 하이레벨 전위를 가지면 UART방식으로 결정하여 UART방식으로 상기 소프트웨어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방식 또는 UART방식 자동선택 회로를 가지는 GSM휴대전화.
KR1020050020548A 2005-03-11 2005-03-11 Usb방식 또는 uart방식 자동선택 회로를 가지는gsm휴대전화 KR20060099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548A KR20060099230A (ko) 2005-03-11 2005-03-11 Usb방식 또는 uart방식 자동선택 회로를 가지는gsm휴대전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548A KR20060099230A (ko) 2005-03-11 2005-03-11 Usb방식 또는 uart방식 자동선택 회로를 가지는gsm휴대전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230A true KR20060099230A (ko) 2006-09-19

Family

ID=37630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548A KR20060099230A (ko) 2005-03-11 2005-03-11 Usb방식 또는 uart방식 자동선택 회로를 가지는gsm휴대전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92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050B1 (ko) 2019-05-21 2020-04-24 오미혜 질소산화물 저감용 조성물 및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는 방법
KR20210045853A (ko) 2019-10-17 2021-04-27 오미혜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한 조성물 및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050B1 (ko) 2019-05-21 2020-04-24 오미혜 질소산화물 저감용 조성물 및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는 방법
KR20210045853A (ko) 2019-10-17 2021-04-27 오미혜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한 조성물 및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1020B1 (en) Communication interface for an electric device
KR100755971B1 (ko) 듀얼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동작하는 단일 포트 유에스비장치
KR10038293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직렬 및 유에스비 포트에 대한 공용인터페이스장치
US8245942B2 (en) Dual mode smart card and smart card controller
CN103095855B (zh) I2c通信接口装置
CN101102119A (zh) 一种电器设备的充电检测电路及充电检测方法
US7457645B2 (en) Power supply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JP2004507834A (ja) Usbにおけるデバイスの接続状態の認識
CN100452667C (zh) 用于移动电信终端的通用异步接收机/发射机电路
CN212846570U (zh) Type-C接口电路及触控一体机
KR20060099230A (ko) Usb방식 또는 uart방식 자동선택 회로를 가지는gsm휴대전화
KR20010101532A (ko) 인터페이스
CN202434853U (zh) 一种usb线缆装置
CN206363306U (zh) 一种终端及其串口通信电路
CN211180806U (zh) 基于hdmi接口的调试串口电路、hdmi接口模块及hdmi设备
KR2006004420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0377353Y1 (ko) 스위칭 기능을 가지는 데이터통신용 장치
US6889273B2 (en) Communication adapter and network system using the communication adapter
CN111552656B (zh) 开发板Type-C接口连接电路
CN218676032U (zh) 一种基于usb3.0的双设备切换电路
CN219370339U (zh) 一种实用可拓展的USB Type-C接口
KR200329462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
CN216118787U (zh) 模块切换电路及模块切换装置
KR101284616B1 (ko) 범용직렬버스 장치 및 이를 위한 데이터 전송 속도 개선방법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2005000580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