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4429A - 탄성 스탠드오프 패스너 - Google Patents

탄성 스탠드오프 패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4429A
KR20040014429A KR10-2003-7007423A KR20037007423A KR20040014429A KR 20040014429 A KR20040014429 A KR 20040014429A KR 20037007423 A KR20037007423 A KR 20037007423A KR 20040014429 A KR20040014429 A KR 20040014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nk
panel
diameter
hol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7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완스트롬케네스에이.
로스해럴드디.
맥도노우프윌리엄피.
Original Assignee
펨 매니지먼트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펨 매니지먼트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펨 매니지먼트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14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42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5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the plates being one on top of the other and distanced from each other, e.g. by using protrusions to keep contact and dis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4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internal, i.e. with spread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 Standing Axle, Rod, Or Tube Structures Coupled By Welding, Adhesion, Or Deposition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연장된 탄성 패스너(13, 19)는 헤드(13)와 배럴부(19)를 포함한다. 패스너는 구멍(12)을 통과하고 패스너(13, 19)상에 힘을 해제시키는 것에 구멍(12) 둘레에서 그립핑되어 고정되도록 지름이 감소되는 연장된 탄성부를 신장시키는 것에 의해 패널(11)의 구멍(12)안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중심 푸쉬-핀(35)이 패스너(13, 19) 조작에 필요한 패스너상에 축방향 힘을 적용하도록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탄성 스탠드오프 패스너{RESILIENT STANDOFF FASTENER}
2000년 12월 15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탄성 스탠드오프 패스너"인, 가출원번호 제 60/255,374 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
본 발명은 두 평면 패널을 일정 거리로 조립하는 스탠드오프형 패스너를 포함하는 탄성 패스너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별하게는, 패스너의 탄성에 의해 단독으로 패널 그래스핑 및 스페이싱 기능을 제공하는 탄성 패스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
스탠드오프 패스너는 두 패널을 일정한 거리로 부착시키는 요소이다. 패널은 어떤 유형의 클립핑 기구를 통해 부착되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두 유형, 즉 금속으로 기계가공되어 형성된 유형과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유형을 포함하는 스레드된 패스너나 또는 나사에 의해 클램핑되는 것에 의해 부착된다. 그러나, 패스너가 금속이든지 플라스틱이든지 간에, 다양한 유형의 스탠드오프는 포즈 문제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의 문제는 두 인쇄회로기판을 분리시키기 위해 금속 스탠드오프를 이용할때 발생한다. 인쇄회로기판이 금속 새시로부터 떨어져 있으면, 일반적으로 패스너는 보통 공구가 필요한 리벳 또는 셀프-클린칭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새시에 부착된다. 스레드된 패스너의 부착은 시간이 소모되고, 나사와 같은 루스 교합 구성요소가 필요하며, 본 기술분야의 구성요소를 수리하는데 있어 수리 시간이 증가된다.
또한 셀프-클린칭 패스너가 이용되면, 몇몇의 다른 문제들이 발생된다. 새시 금속은 연성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새시에 이용되는 금속의 선택이 제한되고, 이러한 패스너의 제거는 제거후에 쓸모없는 새시 또는 패스너중 하나를 버려야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한, 패스너의 설치 또는 제거는 상대적으로 값이 비싸고 본 기술분야에서 쉽게 사용할 수 없는 특정 공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패스너가 인쇄회로기판과 새시사이에서 접지 접촉을 할 필요가 있으면, 금속 패스너가 사용되어야 하지만 이 금속 패스너는 부착되는 회로기판에 관련하여 상술한 문제점외에 또 다른 문제점을 줄 수 있다.
플라스틱 패스너의 사용은 금속 패스너에서 발생되는 많은 문제점들을 다 해결하지는 못한다. 플라스틱 스탠드오프가 스레드를 이용하면, 파편이 조립체안으로 떨어질 수 있고 스레드를 이용하지 않는 플라스틱 스탠드오프는 충격, 열 및 진동에 약하다. 특정 설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 플라스틱 패스너는 종종 제거시에 재조립를 할 수 없을 정도로 손상을 입는다. 또한 플라스틱 패스너는 접지 접촉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해도 전기 도전성을 제공할 수 없다.
또한 제조 과정동안에 민감성 장치상에 우발적으로 파편 또는 나사등이 접촉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스레드된 구멍이 닳는 경우에는 전체 패널을사용할 수 없다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조립체에서 분리되는 패널내 구멍의 위치가 중요하고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의 구멍사이에서 간극이 누적되면 구멍이 정렬되지 않음으로서 패널을 조립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비록 본 기술분야에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시도를 해보았지만, 어떤 것도 성공한 경우는 없다. 따라서 상술한 본 기술분야에서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새로운 잇점들을 제공할 수 있는 패스너용 패널 고정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탄성 스탠드오프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스탠드오프에서 발생되는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한다. 이 패스너는 이하에서 "테일부"로 지칭되는 탄성부를 구비하고, 이 탄성부는 대체된 테일부 물질의 압축 방사 그립에 의해 부착된 패널의 유지를 제공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헤드와 배럴부를 포함하는 패스너의 베이스는 패널의 구멍안으로 삽입되는 테일부를 고려하여 인위적인 정지부를 제공한다. 또한 베이스는 스탠드오프 기능을 제공하면서, 두 패널을 일정 거리로 확실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를 통해 확장하는 푸쉬-핀을 이용하여 패스너의 대향된 측면으로 테일부를 연장시킬 수 있다. 모든 세 실시예 뿐만 아니라 또 다른 수정도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서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패널에 테일부의 이완된 지름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가지는 구멍이 제공되면,테일부는 감소된 지름으로 신장될때 패널의 구멍안으로 끼워질 수 있다. 신장력이 해제되면, 테일부는 구멍의 내부 표면 뿐만 아니라 구멍 둘레의 패널 표면까지 그립한다. 이것은 테일부의 신장력이 없어질때 테일부가 원래의 지름으로 되돌아가려 하지만 패널에 의해 테일부의 물질이 제한되어 패널의 양측면상으로 테일부가 확장되거나 벌지되기 때문이다. 이 벌지부는 신장이 이완되면 테일부에 따른 위치에서 패널을 유지한다. 또한 테일부가 프리 길이로 되돌아가려는 경향은 확장 및 벌징에 도움을 준다. 패널을 제거하기 위해, 테일부는 패널이 테일부 위로 다시 통과할 수 있을 만큼 지름이 감소할때까지 다시 신장된다.
비록 스탠드오프처럼 사용되지만, 본 발명의 패스너중 가장 단순한 형태는 단일 패널을 적용하는 것이고 여기서 패널의 한 측면상에서 돌출하는 베이스는 가정용품 또는 전자 장치상에서 공통적으로 설치되는 지지 다리와 같은 기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테일부 확장부(예를 들어, 벌지부)의 대부분은 패널과 인접하는 패스너 베이스의 환상의 아래면과 마주보고 있는 패널의 측면상에서 발생된다. 더욱 복잡한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는 전기 도전성, 정밀한 간격과 같은 부가적인 기능 또는 하기에서 언급되는 또 다른 기능들을 얻기 위하여 리테이너 또는 슬리브와 같은 다양한 다른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특별하게는, 본 출원인은 스레드된 구조체를 사용하지 않고 패널의 조립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탄성 패스너를 발명하였다. 상기 패스너는 확장된 지름의 베이스 및 두가지의 치수 상태를 제공하면서 베이스로부터 연장하는 늘어진 탄성 생크를 포함한다. 제 1 상태는 생크에 외력이 전혀 없는 이완된 상태이다.제 2 상태는 생크에 적용되는 축방향의 인장력이 생크를 감소된 지름의 상태로 신장시키는 인장 상태이다. 또한 제 1 패널과 패스너를 고정시키기 위해 부착수단이 패스너의 베이스에 인접할 수 있다.
제 2 패널은 생크의 제 2 인장 상태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지만 제 1 이완 상태에서의 생크 지름보다는 더 작은 지름을 가지는 구멍을 구비한다. 조립동안에, 생크에서 제 1 패널의 방향으로 제 2 패널의 배면과 접촉하는 벌지부는 제 2 인장상태에서 제 2 패널안에 구멍을 통해 생크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그때 적용되는 인장력이 해제된다. 벌지부는 패널들이 함께 고정되도록 제 2 패널에 클램프력을 제공한다.
또한 패스너는 구멍내에서 슬라이드가능한 핀의 말단부에 인접한 단부 벽을 구비하고 패스너의 대향된 단부의 외면을 통해 확장하는 내부 축 막힘 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멍안으로 핀을 밀면 테일부의 세로 확장부가 발생된다. 이것은 상술한 테일부 신장 기능을 제공하고 패널의 한 측면에서만 패스너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하기의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패스너를 이용하는 패널 조립체의 공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하는 일련의 측면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 부분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패널 부착 적용을 단계적으로 도시하는 일련의 측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측면 단면도; 및
도 9은 대안적인 실시예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길이에 따른 모든 지점에서 측면 단면이 실질적으로 원형인 패스너가 도시된다. 패스너가 축 대칭을 가지기 때문에, 도면에서 상기 특정 형상으로 도시된 측면도는 본 발명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실시예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극단적으로 단순화시킨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 도면들에서 탄성 스탠드오프는 그 단부 표면에 접착제(15)가 적용되는 헤드(13)를 가진 패스너를 묘사한다. 따라서, 패널(17)에서 조립용 구멍이 필요하지 않고, 이것에 의해 부착된 패널중 어느 하나에서 위치 간극이 필요한 구멍이 제거된다. 스탠드오프는 패널(11)이 부착되기전 또는 부착된 후에 패널(17)을 조립할 수 있다.
그때 하기와 같은 조립 과정을 가진다. 첫째로, 리드(10)가 패널(11)안의 구멍(12)안으로 정렬되고 삽입된다. 일단 테일(tail)부(19)의 끝이 패널(11)안의 구멍(12)을 통해 돌출되면, 테일부는 리드(10)를 손으로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신장될 수 있다. 테일부(19)의 지름이 구멍(12)의 지름보다 작게 감소되면,패널(11)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테일부(19)를 통해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다. 만일 패널(11)과 먼저 부착되면, 제 1 패널 및 패스너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패널(17)상에 배치될 수 있고 패널은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접착 본드는 테일부(19)에서 반복되는 신장력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강하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일단 패널(11)의 소정 위치가 얻어지면, 테일부(19)는 이완되고 테일부(19)의 지름 및 길이는 원래의 크기로 되돌아가도록 시도되어, 패널에 대해 그립핑(gripping)되고 벌지(bulge)된 상태의 테일부가 생성된다. 테일부의 표면은 패널(11)이 가상선으로 도시되는 위치에서 대체 위치로 이동하는 바와같이 그립된 패널이 테일부의 길이를 따라 어떤 지점에서 부착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매끄러운 것이 바람직하다. 테일부(19)가 이완되면 패널이 위치되는 지점에서 패널을 견고하게 유지시키도록 패널(11)의 양측면상에서 벌지부(14 및 16)가 형성된다. 패널사이에 측면 탄성 정도 또는 다른 간격을 얻기 위하여 테일부를 따라 부착 지점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힘이 이용될 수 있다. 패널(11)을 제거하기 위해, 테일부(19)가 다시 신장되면 벌지부(14 및 16)가 제거되고 패널은 어느 한 방향으로 테일부를 통해 슬라이드될 수 있다. 만일 테일부가 이완되어 패널(11)이 실선으로 도시되는 위치에 있으면, 벌지부(18)는 패널(11 및 17)사이의 간격의 양을 결정하는 베이스(13)에 패널을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이러한 형태에 관한 절차는 동일한 탄성 그립 원리가 기능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패스너와 유사하지만, 베이스(13)의반대측에서 또 다른 테일부(21)가 추가된 실시예가 도시된다. 한 측면상에서 도 1 내지 도 3에 관련된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절차가 패널사이에 유지되는 베이스(13)의 높이와 동등한 두 패널(11 및 17)의 분리를 제공하기 위해 베이스(13)의 또 다른 측면에서 반복된다. 이러한 패널 배치에서, 테일부(19 및 21)가 이완되면, 적절하게 패널들을 유지시키는 두 벌지부(23 및 25)가 형성된다.
도 5에서는 패스너의 베이스(31)가 헤드(33) 및 푸쉬-핀 엑츄에이터(35)를 포함하는 더욱 복잡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패스너의 헤드로된 베이스는 헤드의 아래에 인접한 홈(34)에 의해 유지되는 제 1 패널안에 구멍을 통해 삽입된다.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제 2 패널은 상술한 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생크(shank)의 탄성 테일부가 신장 및 벌징되는 것에 의해 부착되지만, 푸쉬-핀은 패널(17)의 한측면으로만 접근하여 패스너를 신장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푸쉬-핀은 탄성 물질에 의해 몰드되거나 또는 추후 작업에서 조립될 수 있다. 핀은 생크(38), 헤드(36) 및 패스너의 구멍에서 핀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좁은 유지 슬리브와 대응되는 유지 홈(41)을 구비하는 핀의 단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패스너의 베이스에서 푸쉬-핀의 헤드(36)을 압축하면 대향된 단부에서 테일부(37)가 신장되어 패널(11)을 결합할 수 있다. 푸쉬-핀(35)을 향하는 힘이 도 7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완화되면, 벌지부(39)가 유지되어 베이스(40)의 환상의 아래면으로 패널(11)을 압축한다. 패널(11)을 제거하기 위해, 다시 푸쉬-핀(35)을 압축하면 벌지부(39)가 제거되어 패널(11)이테일부(37)통해 다시 슬라이드 할 수 있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베이스(40)의 배럴부는 패널 사이에서 스페이싱 수단을 제공한다.
도 8에서는 금속 리테이너(51)와의 결합에서 탄성 스탠드오프를 이용하여 간격을 가지는 두 패널사이에서 전기 접촉이 제공되는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시된다. 금속 리테이너(51)는 클린치 수단(55)에 의해 제 1 연성 패널(53)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셀프 클린칭 수단(55)외에 리테이너는 카운터보어(57) 및 관통 구멍(59)을 구비한다. 스탠드오프의 탄성부는 셀프-클린칭 리테이너(51)가 연성 패널(53)안으로 설치되기 전이나 또는 설치된 후에 조립될 수 있다. 이것은 패널 구멍과 같은 리테이너 관통 구멍이 테일부(50)의 이완된 지름보다 작기때문에 패널(54)과 조립하기전에 벌지부(52)를 그립핑하는 것에 의해 리테이너에 부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 내지 도 3에 관해 기술한 바와 같이 패널을 조립하는 것에 의해, 패널(54)은 리테이너(51)와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고, 원한다면 패널(53 및 54)사이에서 전기 접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기 도전성은 리테이너의 필요성을 제거하기 위해 탄성 스탠드오프의 물질에 직접 도전성 물질을 몰딩하는 것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탄성 스탠드오프의 베이스(56)에 삽입되는 단순한 금속 슬리브 또는 압축 부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도 8에 도시된 셀프-클린칭 리테이너와 다른 스냅-인 리테이너를 이용하는 또 다른 삽입 구성이 이용된다. 이 리테이너(61)는 어떤 패널안으로 일시적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도 8의 셀프-클린칭 실시예와 같이 연성을 가질 필요가 없다. 리테이너(61)는 클린치 특징을 대신하는 스냅-인 부착 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스냅 돌출부(63)와 헤드(65)가 결합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8의 리테이너와 동일한 카운터보어 및 관통 구멍을 가진다. 이 실시예는 도 8의 실시예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패널을 조립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를 고려하면, 본 발명의 목적 및 잇점들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탄성 스탠드오프는 어떤 특정 물질에 제한되지 않는다. 탄성 스탠드오프는 전자적으로 손상을 줄 수 있는 금속 칩이나 파편등을 사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민감한 장치상으로 우발적으로 떨어질 수 있는 나사등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패널을 조립하거나 또는 분해하기 위한 특정 공구가 필요하지 않는다. 나사등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조립 및 분해등이 쉬워지고 특정 대상물을 수리하는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패스너는 패널 또는 패스너중 어느 하나를 손상시키는 것 없이 쉽게 제거될 수 있고 재조립될 수 있다. 또한, 패스너의 탄성 물질은 전기 절연체 또는 전도체로 작동할 수 있다. 금속 구성요소는 전기 접촉 또는 접지를 제공하기 위해 몰드될 수 있고 또는 나중에 조립될 수 있다. 접착제는 패스너 일부에 부가될 수 있고 이것으로 패널중 하나에서 구멍을 펀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러한 패스너에 의한 수단은 구성요소를 유지하고 또한 공지된 스냅-인 패스너와 달리 패스너가 충격 및 진동에 의해 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패널 패스닝 시스템의 많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또 다른 변경 및 수정을 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의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됨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9)

  1. 탄성물질로 구성되고 스레드되지 않은 패스너에 의해 고정되는 패널 조립체에 있어서,
    생크의 한 단부에서 확대된 지름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서 연장되는 늘어진 탄성 생크를 구비하는 탄성 패스너;
    상기 패스너상에 제 1 패널을 부착시키는 부착 수단;
    상기 생크의 상기 제 2 인장 상태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지만 상기 제 1 이완 상태에서의 상기 생크 지름보다는 더 작은 지름을 가지는 구멍을 구비한 제 2 패널; 및
    상기 생크에서 상기 제 1 패널의 방향으로 상기 제 2 패널의 배면에 힘을 가하여 접촉하는 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생크는 두가지의 치수 상태, 즉 외력이 전혀 없는 제 1 이완 상태와 상기 생크에 적용되는 축방향의 인장력이 생크를 축소된 지름의 상태로 신장시키는 제 2 인장 상태를 제공하며, 상기 생크는 상기 제 2 패널의 상기 구멍을 통과하고, 상기 벌지부는 상기 제 2 인장 상태로 상기 생크가 상기 제 2 패널의 상기 구멍을 통과하고, 이후 적용된 상기 인장력이 해제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들이 일정 거리로 유지되도록 상기 패널들사이에서 위치되고 상기 제 2 구멍의 지름보다 더 큰 상기 생크의 증가된 지름의 영역인 스페이싱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조립체.
  3. 단부면을 포함하고,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생크의 한 단부에서 지름이 확장된 헤드;
    패널에 패스너를 부착시키기 위해 상기 헤드에 인접하는 부착 수단; 및
    두가지의 치수 상태, 즉 상기 생크에서 외력이 전혀 없는 제 1 이완 상태와 상기 생크에 적용되는 축방향의 인장력이 생크를 축소된 지름의 상태로 신장시키는 상기 생크의 제 2 인장 상태를 제공하는 지름이 축소된 상기 생크의 세로로 연장하는 탄성 테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패스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와 일체인 증가된 지름의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패스너의 헤드와 상기 테일부 사이에서 위치되어 상기 생크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헤드의 지름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패스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수단은 상기 헤드의 상기 베이스에 인접한 변형가능한 원주 홈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패스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를 둘러쌓는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헤드의 단부면에 인접한 이것의 한 단부에서 부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패스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패스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수단은 클린치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패스너.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의 말단부에 근접한 단부벽을 구비한 내부 축방향으로 막힘 구멍 및 상기 구멍내에 있는 상기 구멍보다 더 큰 길이를 가지는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헤드의 외면을 통해 연장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구멍안으로 핀을 밀어 넣음으로서 상기 탄성 테일부가 세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패스너.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싱 수단은 상기 제 2 패널과 인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조립체.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전체적으로 탄성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패스너.
  12. 탄성 물질로 구성되고 스레드되지 않은 패스너에 의해 고정되는 패널 조립체에 있어서,
    확대된 지름의 헤드, 상기 헤드와 인접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서 연장하는 늘어진 생크를 포함하는 탄성 패스너;
    상기 헤드에 부착되는 제 1 패널;
    상기 생크의 상기 제 2 인장 상태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지만 상기 제 1 이완 상태에서의 생크의 지름보다는 더 작은 지름을 가지는 구멍을 구비한 제 2 패널; 및
    상기 생크에서 상기 제 1 패널의 방향으로 상기 제 2 패널의 배면에 힘을 가하여 접촉되는 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헤드의 지름보다 더 작은 증가된 지름의 상기 생크의 일부이며, 상기 생크는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외부 표면을 구비하면서 두가지의 치수상태, 즉 상기 생크에서 외력이 전혀 없는 제 1 이완 상태와 상기 생크에 적용되는 축방향의 인장력이 생크를 축소된 지름의 상태로 신장시키는 상기 생크의 제 2 인장 상태를 제공하고, 상기 생크는 상기 구멍을 통과하고, 상기 벌지부는 상기 제 2 인장 상태로 상기 생크가 상기 제 2 패널의 구멍을 통과하고, 이후 상기 인장력이 해제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조립체.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는 인장력을 적용하기 위해 움켜쥐기에 적당한 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패스너.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의 테일부는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외부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패스너.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수단은 리벳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패스너.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수단은 베이스에 적용되는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조립체.
  1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금속이고 상기 생크의 상기 베이스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패스너.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수단은 상기 베이스에 부착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제 1 패널안으로 스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조립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조립체.
KR10-2003-7007423A 2000-12-15 2001-12-04 탄성 스탠드오프 패스너 KR200400144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537400P 2000-12-15 2000-12-15
US60/255,374 2000-12-15
PCT/US2001/045359 WO2002047866A1 (en) 2000-12-15 2001-12-04 Resilient standoff faste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429A true KR20040014429A (ko) 2004-02-14

Family

ID=22968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7423A KR20040014429A (ko) 2000-12-15 2001-12-04 탄성 스탠드오프 패스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355761A4 (ko)
JP (1) JP2004515929A (ko)
KR (1) KR20040014429A (ko)
CN (1) CN1481291A (ko)
AU (1) AU2002220044A1 (ko)
CA (1) CA2429547A1 (ko)
MX (1) MXPA03005276A (ko)
TW (1) TW524731B (ko)
WO (1) WO20020478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63083B4 (de) * 2004-12-28 2014-10-30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elektrischer Anschlusskabel
GB0721325D0 (en) 2007-10-31 2007-12-12 Rolls Royce Plc fastener arrangement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90264A (en) * 1946-08-24 1952-03-25 Ohio Rubber Co Sleeve type fastening device for resilient plastic articles and the like
US3330522A (en) * 1965-12-10 1967-07-11 Clevite Corp Vibration isolating mount
AU497866B2 (en) * 1975-06-11 1979-01-18 Mackay Consolidated Industries Pty. Ltd. Anti-vibration fastener
US5190482A (en) * 1990-11-13 1993-03-02 Electro-Wire Products, Inc. Bulkhead connector assembly
GB2309998A (en) * 1996-02-06 1997-08-13 Lee Patrick Mullins Retaining device
US5980325A (en) * 1998-07-30 1999-11-09 Berg Technology, Inc. Micro miniature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343827B1 (en) * 2000-06-08 2002-02-05 John P. Nepper, Sr. Bridgelike connector (axially extending between apertured leadward rigid-sheet and trailward fixture-bar(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24731B (en) 2003-03-21
WO2002047866A1 (en) 2002-06-20
EP1355761A4 (en) 2005-03-16
EP1355761A1 (en) 2003-10-29
CA2429547A1 (en) 2002-06-20
JP2004515929A (ja) 2004-05-27
CN1481291A (zh) 2004-03-10
MXPA03005276A (es) 2003-09-25
AU2002220044A1 (en) 200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79789B1 (en) Hybrid panel fastener with snap-on cap
KR0158204B1 (ko) 연결구
EP1223354B1 (en) Fastener
US4969065A (en) Spacer for circuit boards and circuit board assembly including same
CN2672712Y (zh) 固定装置
US8747040B2 (en) Screw assembly element
US10704587B2 (en) Captive fastener assembly
US20110158772A1 (en) Locking assembly
US5223674A (en) Locking standoff for circuit boards
US20190090356A1 (en) Pcb assembly with fasteners
US5366332A (en) Compliant fastener
KR20040014429A (ko) 탄성 스탠드오프 패스너
CA2486425A1 (en) Front mounted retaining mechanism
KR20050115213A (ko) 풀림방지용 너트
US20040045147A1 (en) Resilient standoff fastener
US7614835B2 (en) Simple fastening device
US20080315731A1 (en) Flexible mount for a fan and like devices
KR100725047B1 (ko) 조립식 구조물용 미끄럼방지 프레임 고정너트
KR200245573Y1 (ko) 리니어 모터의 마그네트 조립체 고정장치
US20060226662A1 (en) Fastener
JPH0720410U (ja) 取付具固着構造
DE69826968T2 (de) Blindniet für die Befestigung eines Gestells auf einer Kunststoffplatte
JPH0751825Y2 (ja) プリント基板用取付け具
KR960008415Y1 (ko) 어스 (earth)용 나사
KR0129803Y1 (ko) 나사 고정용 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