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4176A - A wheel chair - Google Patents
A wheel chai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14176A KR20040014176A KR1020030032060A KR20030032060A KR20040014176A KR 20040014176 A KR20040014176 A KR 20040014176A KR 1020030032060 A KR1020030032060 A KR 1020030032060A KR 20030032060 A KR20030032060 A KR 20030032060A KR 20040014176 A KR20040014176 A KR 200400141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wheelchair
- climbing device
- pivot point
- obstacle climb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A61G5/06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for climbing stai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convertible to stretchers or be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6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backrest relative to the seat por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Handcart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행 중에 단차 등의 장해물을 용이하게 타고 넘을 수 있는 장해물 승월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provided with an obstacle climbing device that can easily ride an obstacle such as a step while driving.
종래의 휠체어는 일반적으로 파이프형상의 기체 프레임에 고정된 좌석부, 주차륜, 전방 차륜 및 조향핸들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보호자 조작타입과 이용자 조작타입으로 분별할 수 있으며, 또한, 동력주행타입과 보호자 또는 이용자 구동타입으로 분별할 수 있다.Conventional wheelchairs are generally composed of seats, parking wheels, front wheels, steering wheels, etc., fixed to a pipe-shaped body frame, and can be classified into a guardian operation type and a user operation type. Or it can classify as a user drive type.
상기와 같은 휠체어는 모두, 사람 한명을 태운 상태로 주차륜과 전방 차륜에의해서 도로 상, 실내 등을 주행하고 있고, 또한, 전방 차륜의 조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작은 지름의 바퀴로 되어 있다.The above wheelchairs are all driven on the road, indoors, etc. by the parking wheels and the front wheels in the state of carrying one person, and are made of wheels of small diameter in order to improve steering of the front wheels.
따라서, 도로 상이나 실내 등에 단차 등의 장해물이 있을 경우에는 이것을 타고 넘기 위하여 많은 고생을 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re are obstacles such as a step on the road or indoors, a lot of trouble is taken to ride over them.
휠체어에 의한 장해물 승월의 일반적인 방법으로서는 보호자 등이 휠체어 전체를 후방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전방 차륜을 장해물의 높이까지 올리고, 그 상태로 휠체어를 전진시킴으로써 장해물을 타고 넘어간다. 또한, 보호자가 힘이 없는 부녀자나 노인인 경우에는 휠체어 전체를 후방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이 위험하고, 또한, 곤란하다.As a general method of the obstacle climbing by a wheelchair, a guardian or the like tilts the entire wheelchair to the rear to raise the front wheel to the height of the obstacle, and then moves over the obstacle by advancing the wheelchair. In addition, when the guardian is a weak woman or an elderly person, it is dangerous and difficult to tilt the entire wheelchair backward.
이와 같은 문제가 휠체어에는 존재하므로 종래로부터 각종 제안이 행해지고 있다. 예컨대, 일본 특개평8-38552호 공개공보에는 주차륜과 전방 차륜 이외에 주차륜의 후방에 후방 차륜을 추가로 설치하고, 전방 차륜이 장해물을 타고 넘을 때에는 후방 차륜을 조작하여 휠체어 전체를 후방으로 경사지게 하여 특정량을 경사지게 하면 후방 차륜에 의해 휠체어 전체가 지지되는 구성으로 하고, 전방 차륜을 장해물의 높이까지 부상시켜 휠체어 전체를 전진시켜서 장해물을 타고 넘은 후, 후방 차륜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는 조작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후방 차륜을 휠체어에 설치함으로써 휠체어가 장해물을 타고 넘을 때에 휠체어가 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Since such a problem exists in a wheelchair, various proposals have been made in the past. For example,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8-38552 discloses that the rear wheel is additionally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parking wheel in addition to the parking wheel and the front wheel, and when the front wheel rides over the obstacle, the rear wheel is operated so that the entire wheelchair is inclined backward. If the inclined amount is inclined, the entire wheel chair is supported by the rear wheel, the front wheel is lifted to the height of the obstacle, and the entire wheelchair is advanced to ride over the obstacle, and then the operation of returning the rear wheel to its original position is performed. It is. Thus, by installing the rear wheel in the wheelchair, the wheelchair is prevented from falling backward when the wheelchair rides over an obstacle.
또한, 일본 실개소59-185159호 공개공보에는 일반적인 손수레식 운반대차에 운반대차의 전륜과 후륜 사이의 전륜으로부터의 대차 프레임에 보조륜 장치를 설치하고, 운반대차가 장해물을 타고 넘을 때에 상기 보조륜을 하강시킴으로써 전륜을 부상시켜서 장해물을 타고 넘는 고안이 개시되어 있다.Further,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59-185159 discloses an auxiliary wheel device in a trolley frame from a front wheel between a front wheel and a rear wheel of a transport cart in a general cart-type transport truck, and when the transport cart rides over an obstacle, the auxiliary wheel By lowering the injured front wheel to devise over the obstacle is disclosed.
또한, 일본 특개2001-112837호 공개공보에는 병들어 누워 있는 상태의 고령자, 병자, 다리가 불편한 사람, 심신장해자 등을 누워 있는 채로 또는 앉아 있는 채로 일손이 많이 들지 않고 입욕시킬 수 있는, 휠체어를 이용한 입욕 시스템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1-112837 discloses a wheelchair which can bathe an elderly person, a sick person, an uncomfortable leg person, a person with a disability, a physically disabled person, etc., lying down or sitting, without taking a lot of hands. An invention of a bathing system is disclosed.
일본 실개소59-185159호 공개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고안은 통상의 주행용 주차륜과 전방 차륜 이외에 장해물 승월용 차륜을 구비하고 있고, 이 승월용 차륜을 조작하여 승월용 차륜을 접지시킴으로써 전방 차륜을 부상시켜 장해물을 타고 넘을 수 있게 하는 고안이다. 또한, 타고 넘기 전 및 타고 넘은 후의 쌍방에서 승월용 차륜을 조작할 필요가 있음과 아울러 조작장치 자체의 구성도 복잡하고, 또한, 조작도 번거로움과 아울러 이용자 자신이 휠체어에 타서 조작하는 경우에는 조작이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존재한다.The invention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9-185159 discloses a wheel for obstacle occupancy in addition to a normal driving wheel and a front wheel, and the front wheel is operated by grounding the wheel for climbing by operating the wheel for climbing. It is designed to allow people to jump over obstacl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riding wheels both before and after the rid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device itself is complicated, and the operation is cumbersome and the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user himself rides on a wheelchair. This very difficult problem exists.
또한, 일본 특개2001-112837호 공개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발명은 휠체어를 눕힌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지만 휠체어를 눕힌 상태인 채로는 그 안정성에 부족하며, 횡으로 구르는 등의 위험이 있다. 또한, 입욕차까지 이동시킬 때에는 단차 등의 장해물이 있을 가능성이 있고, 이 경우에는 종래는 보호자 등이 전방 차륜을 부상시키는 것 등에 의해서 단차를 타고 넘어야만 하고, 특히 휠체어를 눕힌 상태인 채로는 위험성이 높다.In addition, the invention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112837 discloses that the wheelchair can be moved in a lying state, but the stability thereof is insufficient while the wheelchair is in a lying state, and there is a risk of rolling sideways. In addition, when moving to a bathing car, there may be obstacles such as a step, and in this case, a guardian or the like must conventionally cross the step by injuring the front wheel, and in particular, the wheelchair is in danger of lying down. This is high.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보호자 조작타입과 이용자 조작타입, 동력주행타입과 보호자 또는 이용자 구동타입에 관계없이, 어떠한 타입의 휠체어이여도 적용할 수 있고, 또한, 그 조작이 매우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 등의 장해물을 타고 넘는 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s object is applicable to any type of wheelchair, regardless of the protector operation type and the user operation type, the power traveling type and the protector or the user drive type. It is to provide a wheelchair equipped with a device that rides over obstacles such as a step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is very easy.
또한, 상기 공개공보에 개시된 입욕 시스템의 휠체어에 본 발명의 장해물 승월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이용자를 눕힌 상태로도 그 안정성이 부족하지 않고, 안전하게 입욕차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heelchair of the bathing system disclosed in the above publication, even when the user is lying down, the stability is not lacking and it can be safely moved to the bathing car.
도 1은 보호자 조작타입에 의한 휠체어(10a)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heelchair 10a according to a guardian operation type.
도 2는 휠체어(10a)의 II-II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I-II of wheelchair 10a.
도 3은 보조륜이 접지한 상태의 휠체어(10a)의 II-II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I-II of the wheelchair 10a in which the auxiliary wheel is grounded.
도 4는 전방 차륜이 부상한 상태의 휠체어(10a)의 II-II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I-II of the wheelchair 10a in which the front wheels are injured.
도 5는 보조륜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 상태의 휠체어(10a)의 II-II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I-II of the wheelchair 10a with the auxiliary wheels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도 6은 이용자 조작타입에 의한 휠체어(10b)의 단면도이다.6 is a sectional view of the wheelchair 10b according to the user operation type.
도 7은 보조륜이 접지한 상태의 휠체어(10b)의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heelchair 10b with the auxiliary wheel grounded.
도 8은 전방 차륜이 부상한 상태의 휠체어(10b)의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heelchair 10b in a state where the front wheel is injured.
도 9는 보조륜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 상태의 휠체어(10b)의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heelchair 10b with the auxiliary wheels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도 10은 휠체어(10c)의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heelchair 10c.
도 11은 휠체어(10c)의 정면도이다.11 is a front view of the wheelchair 10c.
도 12는 휠체어(10c)의 II-II의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I-II of wheelchair 10c.
도 13은 보조륜이 접지한 상태의 휠체어(10c)의 II-II의 단면도이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I-II of the wheelchair 10c with the auxiliary wheels grounded.
도 14는 전방 차륜이 부상한 상태의 휠체어(10c)의 II-II의 단면도이다.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I-II of the wheelchair 10c with the front wheels injured.
도 15는 보조륜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 상태의 휠체어(10c)의 II-II의 단면도이다.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I-II of the wheelchair 10c with the auxiliary wheels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도 16은 이용자 조작타입에 의한 휠체어(10d)의 단면도이다.Fig. 16 is a sectional view of the wheelchair 10d by the user operation type.
도 17은 보조륜이 접지한 상태의 휠체어(10d)의 단면도이다.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heelchair 10d with the auxiliary wheels grounded.
도 18은 전방 차륜이 부상한 상태의 휠체어(10d)의 단면도이다.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heelchair 10d in which the front wheels are injured.
도 19는 보조륜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 상태의 휠체어(10d)의 단면도이다.1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heelchair 10d with the auxiliary wheels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도 20은 횡단프레임을 상하로 회동할 수 있게 한 경우의 휠체어의 정면도이다.20 is a front view of the wheelchair when the transverse frame can be rotated up and down.
도 21은 횡단프레임이 상하에 걸려 있는 상태의 휠체어의 정면도이다.21 is a front view of the wheelchair in a state where the transverse frame is suspended above and below.
도 22는 장해물 승월장치(50)를 장착한 휠체어의 측면도이다.22 is a side view of a wheelchair equipped with an obstacle climbing device 50.
도 23은 받침대를 수평으로 한 휠체어의 측면도이다.23 is a side view of a wheelchair with the pedestal horizontally;
도 24는 욕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athtub.
도 25는 욕조도입 전의 휠체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5 is a view showing a wheelchair before a bathtub is introduced.
도 26은 욕조도입 후의 휠체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wheelchair after bathtub introduction.
도 27은 욕조개폐부분의 단면도이다.27 is a sectional view of the bath opening and closing portion.
도 28은 받침대의 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net of a base.
도 29는 욕조의 단면도이다.29 is a sectional view of the bath.
도 30은 입욕차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athing car.
도 31은 박스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31 is a plan view of the box portion.
도 32는 박스부분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a box part.
도 33은 휠체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wheelchair.
도 34는 슬라이드 프레임의 상세도이다.34 is a detailed view of the slide frame.
도 35는 슬라이드부의 상세도이다.35 is a detailed view of the slide section.
도 36은 잠금레버의 상세도이다.36 is a detailed view of the lock lever.
도 37은 유압실린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7 is a view showing a hydraulic cylinder.
도 38은 장해물 승월장치를 구비한 휠체어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which folded the wheelchair provided with the obstacle climbing apparatus.
도 39는 장해물 승월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bstacle climbing device.
도 40은 탄성체(56)가 피벗점(E)에 끼워져 걸려져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0: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ase where the elastic body 56 is hooked by the pivot point E. FIG.
도 41은 탄성체(56)가 피벗점(E)에 끼워져 걸려져 있고, 전방 차륜이 부상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1: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elastic body 56 was caught by the pivot point E, and the front wheel floate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 휠체어 20 … 의자 프레임10... Wheelchair 20. Chair frame
25 … 핸들 30 … 주차륜25…. 30 handle; Parking wheel
35 … 전방 차륜 40 … 좌석부35. Front wheel 40... Seat
45 … 등받이부 50 … 장해물 승월장치45.. Back part 50. Obstacle Rising Device
51 … 지지프레임 52 … 조작프레임51. Support frame 52... Operation frame
53 … 보조륜 프레임 54 … 연결프레임53. Auxiliary wheel frame 54... Connecting frame
55 … 보조륜 56 … 탄성체55. Auxiliary wheel 56. Elastomer
60 … 횡단프레임 65 … 횡단프레임 베어링부60... Transverse frame 65... Cross frame bearing
100 … 휠체어 108, 108' … 대차100... Wheelchair 108, 108 '. Balance
109,109' … 받침대 121 … 욕조109,109 '... Pedestal 121. tub
157,157',157" … 휠체어 리프트 162 … 전방 차륜157,157 ', 157 "… wheelchair lift 162… front wheel
163 … 주차륜 170 … 유압기163. Parking wheel 170... Oil press
180 … 휠체어 프레임180... Wheelchair frame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서,By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의자 프레임과, 상기 의자 프레임에 설치된 핸들과, 상기 의자 프레임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한쌍의 주차륜 및 전방 차륜과, 상기 의자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장해물 승월장치를 구비한 휠체어로서, 상기 장해물 승월장치는 서로 피벗 연결되는 사변형 링크 상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 보조륜 프레임, 조작프레임, 연결프레임 및 탄성체를 갖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단측이 상기 의자 프레임에 고정 지지되어서 거의 연직방향을 지향하여 수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작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간위치의 피벗점(A)에서 피벗부착되고, 양단측이 전후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조작레버로 되거나, 혹은, 일단측이 상기 의자 프레임의 후방 또는 전방 중 어느 일방으로 연장 설치된 조작레버로 되고, 상기 보조륜 프레임은 상기 조작프레임과 대향하는 변 상에 있어, 일단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측의 피벗점 (B)에서 피벗부착되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타단측에 회전할 수 있게 보조륜이 피벗되어 있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일단이 피벗점(C)에서 상기 조작프레임에 피벗부착되고, 타단이 피벗점(D)에서 상기 보조륜 프레임에 피벗부착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보조륜 프레임을 상방으로 끌어 올리도록 힘을 가하고, 상기 보조륜은 상기 조작레버의 하방 또는 상방이동에 의해 상기 전방 차륜측으로 회동하여 전방 차륜의 후방에 착지한 후에, 상기 조작레버를 더욱더 하강 또는 상방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전방 차륜측으로 추가로 회동하여 상기 전방 차륜을 상기 보조륜보다 상방으로 부상시키는 휠체어이다.A wheelchair comprising a chair frame, a handle provided on the chair frame, a pair of parking wheels and front wheels rotatably supported on the chair frame, and an obstacle climbing device installed below the chair frame, wherein the obstacle climbing The device has a support frame, an auxiliary wheel frame, an operating frame, a connecting frame and an elastic body disposed on a quadrilateral link that are pivot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upport frame being vertically supported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with its upper side fixedly supported on the chair frame The operating frame is pivotally attached at a pivot point A at an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support frame, and both end sides are provided as operating levers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or one end is rearward or front of the chair frame. An operation lever extending in one of the directions, wherein the auxiliary wheel frame faces the operation frame. On the side, the one side is pivoted at the pivot point (B)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auxiliary wheel is pivot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to the other end side extending rearward, and the connecting frame is pivoted at one end. Pivoted to the operation frame at the point (C), the other end is pivoted to the auxiliary wheel frame at the pivot point (D), the elastic force exerts a force to pull up the auxiliary wheel frame upwards, the auxiliary wheel Is rotated to the front wheel side by moving downward or upward of the operation lever and landed on the rear of the front wheel, and then further rotates the operation lever to the front wheel side by further lowering or moving the operation lever to the front wheel side. It is a wheelchair that is injured above the wheel.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은,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2,
의자 프레임과, 상기 의자 프레임에 설치된 핸들과, 상기 의자 프레임에 회동할 수 있게 지지된 한쌍의 주차륜 및 전방 차륜과, 상기 의자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장해물 승월장치와 상기 의자 프레임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횡단프레임을 구비한 휠체어로서, 상기 장해물 승월장치는 서로 피벗 연결되는 사변형 링크 상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 보조륜 프레임, 조작프레임, 연결프레임 및 탄성체를 갖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단측이 상기 횡단프레임에 지지되어서 거의 연직방향을 지향하여 수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작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간위치의 피벗점(A)에서 피벗부착되고, 양단측이 전후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조작레버로 되거나, 혹은, 일단측이 상기 의자 프레임의 후방 또는 전방 중 어느 일방으로 연장 설치된 조작레버로 되고, 상기 보조륜 프레임은 상기 조작프레임과 대향하는 변 상에 있어, 일단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측의 피벗점(B)에서 피벗부착되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타단측에 회전할 수 있게 보조륜이 피벗되어 있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일단이 피벗점(C)에서 상기 조작프레임에 피벗부착되고, 타단이 피벗점(D)에서 상기 보조륜 프레임에 피벗부착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보조륜 프레임을 상방으로 끌어 올리도록 힘을 가하고, 상기 보조륜은 상기 조작레버의 하방 또는 상방이동에 의해 상기 전방 차륜측으로 회동하여 전방 차륜의 후방에 착지한 후에 상기조작레버를 더욱더 하강 또는 상방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전방 차륜측으로 추가로 회동하여 상기 전방 차륜을 상기 보조륜보다 상방으로 부상시키는 휠체어이다.A chair frame, a handle provided on the chair frame, a pair of parking wheels and a front wheel supported to pivot on the chair frame, an obstacle climbing device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chair frame, and the chair frame in a horizontal direction A wheelchair having a transversal frame, wherein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has a support frame, an auxiliary wheel frame, an operation frame, a connection frame, and an elastic body disposed on a quadrilateral link that are pivot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upport frame has an upper side thereof. It is supported by the transverse frame and is installed vertically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and the operation frame is pivotally attached at pivot point A at an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support frame, and both ends are operated levers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Or, one end side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lever installed to either one of the rear or front of the chair frame The auxiliary wheel frame is on the side opposite to the operation frame so that one end side pivots at the pivot point B on the lower end side of the support frame and is rotatable on the other end side extending rearward. The wheel is pivoted, the connecting frame is pivotally attached to the operation frame at one end of the pivot point C, the other end is pivotally attached to the auxiliary wheel frame at the pivot point D, and the elastic body is the auxiliary wheel frame. To raise upwards, the auxiliary wheel rotates to the front wheel side by moving downward or upward of the operation lever and lands on the rear of the front wheel, and then moves the operation lever further downward or upward to move the front lever. It is a wheelchair which further rotates to the wheel side and floats the said front wheel upwards than the said auxiliary wheel.
일반적으로 전방 차륜은 휠체어의 조향을 중시하고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의 바퀴이고, 장해물을 타고 넘는 것이 곤란하다. 그래서, 청구항1 및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서 휠체어가 장해물에 접촉하였을 때에 이용자 또는 보호자가 보조륜을 접지시켜 전방 차륜을 부상시킴으로써 장해물을 용이하게 타고 넘을 수 있게 된다.In general, the front wheel is a wheel of a relatively small diameter because it is important to the steering of the wheelchair, it is difficult to ride over the obstacle. Therefo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s 1 and 2, when the wheelchair is in contact with the obstacle, the user or guardian can ground the auxiliary wheel to float the front wheel so that the obstacle can be easily carried over.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은,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3,
상기 장해물 승월장치는 상기 보조륜이 접지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전방 차륜이 부상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피벗점(A)과 상기 피벗점(B)을 연결하는 가상선(α)보다 상기 피벗점(A)과 상기 피벗점(D)을 연결하는 가상선(β), 또는, 상기 지지프레임 또는 상기 횡단프레임과 상기 피벗점(D)을 연결하는 가상선(γ)이 전방에 위치하는 휠체어이다.The obstacle climbing device has the pivot point more than the imaginary line α connecting the pivot point A and the pivot point B in a state where the auxiliary wheel is grounded and the front wheel is floating. A virtual line β connecting (A) and the pivot point D or a virtual line γ connecting the support frame or the transverse frame and the pivot point D is a wheelchair positioned forward. .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서 장해물을 타고 넘기 전에는 보조륜을 접지시키지 않고 부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보조륜이 접지하고 있기때문에 발생하는 마찰을 피할 수 있고, 휠체어의 주행시의 이용자 또는 보호자의 소비에너지를 체감시킨다. 또한, 장해물을 타고 넘은 후에는 탄성체의 장력의 방향변화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보조륜이 자동적으로 돌아가고, 부드럽게 장해물 승월후의 휠체어의 주행을 할 수 있다. 즉, 이용자 또는 보호자가 장해물 승월장치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는 수고가 들지 않게 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3,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injured state without grounding the auxiliary wheels before passing the obstacles, to avoid friction caused by the grounding of the auxiliary wheels, and to consume the user or guardian when driving the wheelchair. Feel the energy. In addition, after passing the obstacle, the auxiliary wheel automatically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the change in the direction of tension of the elastic body, and the wheelchair can be smoothly driven after the obstacle climbs. That is, the user or guardian does not have the trouble of returning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to the original position.
청구항4에 기재된 발명은,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4,
상기 후방으로 연장 설치된 조작레버는 발걸이부를 갖고 있는 휠체어이다.The operation lever installed in the rear is a wheelchair having a foot portion.
청구항5에 기재된 발명은,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5,
상기 전방으로 연장 설치된 조작레버는 좌석부의 전방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휠체어이다.The operation lever extended forward is a wheelchair located in front of the seat below.
청구항4 및 청구항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서 보호자는 발걸이부에 의해 이용자는 조작레버에 의해 용이하게 장해물 승월장치의 보조륜을 접지시켜 전방 차륜을 부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4 and claim 5, the protector can be injured by the foot by the user by using the operation lever to easily ground the auxiliary wheel of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청구항6에 기재된 발명은,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전방으로 연장 설치된 조작레버는 내부에 탄성체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조작레버의 전방 일단에 파지부분을 설치하고, 상기 탄성체를 상기 파지부분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파지부분이 신축될 수 있는 휠체어이다.The operation lever extending forward is a wheelchair in which an elastic body is mounted, and a grip portion is installed at one front end of the operation lever, and the grip portion can be stretched by attaching the elastic body to the grip portion.
조작레버가 휠체어의 전방에 존재하고 있으면 좌석부에 착좌하고 있는 이용자의 발과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청구항6과 같이 조작레버를 신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장해물을 타고 넘을 때인 필요한 경우에만 조작레버를 휠체어의 좌석부로부터 전방으로 신장시켜 이용자가 조작레버를 이용할 수 있고, 평상시에는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로 축소시켜 둘 수 있다.If the operation lever is present in front of the wheelchair, there is a possibility of contact with the foot of the user seated in the seat. In this case, by allowing the operation lever to be stretched as shown in claim 6, the operation lever can be extended forward from the seat of the wheelchair only when necessary to ride over an obstacle,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operation lever. It can be reduced to the position where it is not.
청구항7에 기재된 발명은,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7,
상기 보조륜 프레임은 복수의 피벗구멍을 갖고 있고, 상기 피벗점(B)과 상기 피벗점(D)이 상기 피벗구멍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있는 휠체어이다.The auxiliary wheel frame is a wheelchair having a plurality of pivot holes, and the pivot point B and the pivot point D are provided in any one of the pivot holes.
청구항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서 피벗점(B)과 피벗점(D)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전방 차륜을 얼만큼 부상시킬지의 조절을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7, the lengths of the pivot point B and the pivot point D can be adjusted,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how much the front wheels are raised.
청구항8에 기재된 발명은,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8,
상기 휠체어는 상기 횡단프레임의 좌우 어느 하나의 일단에 상기 횡단프레임을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접합하고, 또한, 상기 의자 프레임의 좌우 어느 하나와 접합되어 있는 횡단프레임 회동부, 및 상기 횡단프레임 회동부가 접합되어 있는 의자 프레임과는 반대의 위치에 접합되어 있고, 상기 횡단프레임의 다른 일단과 결합가능한 횡단프레임 베어링부를 갖는 휠체어이다.The wheelchair is joined to one end of either side of the traverse frame so that the traverse frame can be rotat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further includes a traverse frame pivot that is join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hair frame, and the traverse frame pivot. It is a wheelchair which is joined in the opposite position to the chair frame to which the part is joined and which has a cross frame bearing part which can be engaged with the other end of the said cross frame.
청구항9에 기재된 발명은,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9,
상기 횡단프레임은 상기 횡단프레임 회동부와 회동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는 회동접합부; 상기 장해물 승월장치의 상기 지지프레임과 접합되어 있고, L자형상의 이동홈을 갖는 장해물 승월장치 접합부; 및 상기 횡단프레임 베어링부와 결합가능하고, 상기 장해물 승월장치 접합부에 그 일부가 내삽되어 있는 횡단프레임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홈에 상기 횡단프레임 결합부와 접합한 신장핀을 설치하고, 상기 장해물 승월장치 접합부의 내부에 탄성체를 장착하고, 이 탄성체를 상기 횡단프레임 결합부에 장착하고, 상기 신장핀의 좌우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횡단프레임 결합부가 상기 이동홈을 따라서 좌우로 이동하는 휠체어이다.The transverse frame may include a pivot joint rotatably joined to the traverse frame pivot; An obstacle climbing device joining unit joined to the support frame of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and having an L-shaped moving groove; And a transverse frame coupling portion which is engageable with the transverse frame bearing portion and part of which is inserted in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joint, and which has an extension pin joined to the transverse frame coupling portion in the moving groove, An elastic body is mounted inside the ascending device junction, and this elastic body is mounted on the transverse frame coupling portion, and the transverse frame coupling portion moves left and right along the moving groove by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extension pin.
청구항8 및 청구항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서 횡단프레임을 의자 프레임에 접합된 횡단프레임 베어링부와 결합상태ㆍ비결합상태로 함으로써 횡단프레임을 상방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되고, 휠체어를 접을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s 8 and 9, the transverse frame can be rotated upward by folding the transverse frame into the engaged state and non-engaged state with the transverse frame bearing portion joined to the chair frame, and the wheelchair can be folded.
청구항10에 기재된 발명은,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0,
상기 휠체어는 상기 의자 프레임의 프레임형상 내에서 상기 좌석부의 하부로서, 또한, 상기 횡단프레임을 상기 횡단프레임 회동부에 의해 상방으로 회동시킨 경우의 궤도 상에 상기 횡단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핀을 상기 의자 프레임에 접합하고 있는 휠체어이다.The chair has a support pin for supporting the traverse frame on the track when the traverse frame is rotated upward by the traverse frame pivot, as a lower portion of the seat in the frame of the chair frame. It is wheelchair bonding to frame.
청구항1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서 휠체어를 접었을 때에 횡단프레임을 지지핀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휠체어를 펼친 상태이여도 장해물 승월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지지핀으로 상방으로 걸음으로써 장해물 승월장치를 수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0, when the wheelchair is folded, the transverse frame can be supported by the support pins. In addition, even when the wheelchair is unfolded, when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is not used,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can be stored by walking upward with the support pin.
청구항11에 기재된 발명은,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1,
상기 장해물 승월장치는 상기 회동접합부가 コ자형상 또는 역 コ자형상의 회전홈을 갖고 있고, 상기 장해물 승월장치 접합부가 상기 회동접합부에 내삽되어 있고, 상기 회전홈에 상기 장해물 승월장치 접합부와 접합한 돌기부를 설치하고, 상기 장해물 승월장치 접합부가 상기 회전홈을 따라서 전후로 회전가능함으로써 상기 장해물 승월장치가 전후로 회전할 수 있는 휠체어이다.The obstacle climbing device has a rotatable groove in which the pivot joining portion has a U-shaped or inverted Ko-shape,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join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pivot joining portion, and the projection portion joined to the obstacle climbing apparatus joining portion in the rotary groove.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is rotatable back and forth along the rotary groove,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is a wheelchair that can rotate back and forth.
접을 수 있는 휠체어에는 좌석부의 하부에 의자 프레임이 교차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한 휠체어의 경우, 휠체어를 접었을 때에 장해물 승월장치와 상기 교차구조가 접촉하여 충분히 휠체어가 접히지 않을 경우가 있으므로 청구항1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서 장해물 승월장치를 전방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여 접을 때에는 장해물 승월장치를 전방으로 위치시킴으로써 교차구조와의접촉을 피할 수 있다. 이로써, 교차구조를 갖는 휠체어이여도 종래와 같이 충분히 휠체어를 접을 수 있게 된다.Folding wheelchairs have a chair structure with a cross structure under the seat. In the case of the wheelchair having such a structure, when the wheelchair is folded,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and the cross structure ma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wheelchair may not be fully folded, and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1,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can be rotated forward. In this case, by placing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forward, contact with the cross structure can be avoided. Thus, even a wheelchair having a cross structure can fully fold a wheelchair as in the prior art.
청구항12에 기재된 발명은,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2,
상기 탄성체가 코일스프링 또는 고무 중 어느 하나인 휠체어이다.The elastic body is a wheelchair which is either coil spring or rubber.
탄성체는 피벗점(A)과 피벗점(D) 사이에서 장력을 갖을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입수용이성, 가격, 내구성 등을 감안하면 코일스프링이나 고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astic body may be any one as long as it can have a tension between the pivot point (A) and the pivot point (D). However, in consideration of availability, price, and durability, it is preferable to use a coil spring or rubber.
청구항13에 기재된 발명은,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3,
대차 및 받침대로 이루어지는 휠체어로서, 상기 대차는 청구항1 내지 청구항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해물 승월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받침대는 발부와 시트부와 등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대를 상기 발걸이부와 상기 시트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전체부 또는 일부의 접속부에 있어서 각도변경할 수 있고, 또한, 원하는 각도로 고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받침대 전체가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는 휠체어이다.A wheelchair comprising a trolley and a pedestal, wherein the trolley comprises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wherein the pedestal comprises a foot, a seat, and a back, and the pedestal includes the footrest and the foot. It is a wheelchair which can change an angle in the seat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whole part or a part of the said backrest part, can be fixed at a desired angle, and the whole pedestal can be arranged horizontally.
청구항1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서 휠체어의 각도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예컨대, 침대와 같이 하여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각도를 변경하여 두고, 장해물을 타고 넘을 때에는 특히, 그 주행시에 안정성이 부족하며, 횡으로 구르는 위험성이 있지만 장해물 승월장치를 상기 휠체어에 구비함으로써 이것을 피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3, the angle of the wheelchair can be freely changed, for example, it can be moved as a bed. In addition, when the angle is changed and the obstacle is crossed, the stability is insufficient at the time of running, and there is a risk of rolling horizontally. However, this can be avoided by providing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in the wheelchair.
청구항14에 기재된 발명은,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4,
상기 발부가 발판부 및 발받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등부가 등받침부와 슬라이드 스트로크부와 머리받침매트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받침대와 상기 대차가 분리될 수 있는 휠체어이다.The foot is made of a footrest and a footrest, and the back is made of a backrest, a slide stroke part and a headrest mat part, and is a wheelchair in which the pedestal and the cart can be separated.
청구항15에 기재된 발명은,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5,
상기 받침대가 대차 프레임을 따라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휠체어이다.The pedestal is a wheelchair that can move back and forth along the bogie frame.
청구항16에 기재된 발명은,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6,
상기 받침대가 받침대 시트부 아래 대차 프레임 상에 상기 받침대에 직각방향으로 설치한 프레임을 따라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휠체어이다.The pedestal is a wheelchair that can move from side to side along a frame installed at right angles to the pedestal on a trolley frame under the pedestal seat.
청구항17에 기재된 발명은,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7,
상기 대차에 승강기를 설치하고, 상기 승강기의 선단을 슬라이드 프레임에 접속하고,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을 통해서 상기 승강기의 상하이동에 의해서 상기 받침대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휠체어이다.An elevator is provided in the trolley, the front end of the elevator is connected to a slide frame, and the pedestal can move up and down by moving the elevator up and down through the slide frame.
청구항18에 기재된 발명은,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8,
상기 슬라이드 스트로크부가 상기 등받침부에 있어서 전후, 좌우 또는 전후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휠체어이다.The said slide stroke part is a wheelchair which can move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front and rear, right and left in the said backrest part.
청구항14 내지 청구항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서 받침대와 대차를 분리, 전후, 좌우, 전후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받침대와 대차의 위치관계의 유연성이 향상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any one of claims 14 to 18, the pedestal and the trolley can be separated, moved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front and rear and right and left, thereby improving the flexibility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edestal and the trolley.
청구항19에 기재된 발명은,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9,
입욕용 욕조로서, 일방의 타단이 개폐가능하게 배치되고, 머리부(전방부) 및바닥부에 휠체어의 받침대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욕조에 물통로가 배치됨과 아울러 이 물통로로부터 욕조 내부로 온수가 배출될 수 있게 하고, 또한, 욕조 하부에 리프트를 배치하여 욕조 전체의 상하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입욕조, 및 청구항13 내지 청구항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휠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 시스템이다.A bath for bathing, the other end of which is arranged to be opened and closed, an introduction member for introducing a support of a wheelchair to the head (front) and the bottom is provided, and a water passage is arranged in the tub, 19. A bath comprising a hot tub from which hot water can be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bathtub and a lift placed under the bathtub to enable the movement of the entire bath, and the wheelchai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8. It is a bathing system.
청구항20에 기재된 발명은,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20,
입욕조 및 이 입욕조에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설비와 배출설비를 탑재하고, 반송가능하며, 또한, 입욕이 가능하게 구성된 입욕차로서: 상기 입욕차 후부에 도입부재에 의해 출입할 수 있게 배치된 박스; 상기 휠체어의 상기 입욕차로의 이송을 행하기 위한 리프트; 상기 박스의 출입을 위하여 상기 입욕차의 천정에 1개 및 차바닥에 2개의 레일을 갖는 휠체어; 및 청구항13 내지 청구항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휠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 시스템이다.A bathing car equipped with a bath and a water supplying and discharging device for supplying to the bath, which is transportable, and which is capable of bathing: a box disposed at the rear of the bathing car to be accessible by an introduction member ; A lift for transferring the wheelchair to the bathing car; A wheelchair having one rail at the ceiling of the bathing car and two rails at the bottom of the bath to access the box; And a wheelchai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8.
청구항19 및 청구항2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서 휠체어 그대로 물에 들어갈 수 있는 입욕조, 이것을 구비하는 입욕차가 가능하게 되고, 종래와 같이 다수의 보호자를 필요로 하지 않고, 비교적 간단한 설비로, 넓은 작업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직접 입욕하는 사람을 욕조까지 반송하여 입욕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s of Claims 19 and 20, a bath tub which can enter a water as it is a wheelchair, and a bathing car provided with the same are possible, and a large work space is provided with a relatively simple facility without requiring a large number of protectors as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carry the person bathing directly to the bathtub without having to need it.
본 발명의 장해물 승월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의 실시형태의 일예를 도면을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보호자 조작타입에 의한 휠체어(10a)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휠체어(10a)의 II-II의 단면도이다.An example of embodiment of the wheelchair provided with the obstacle climbing apparatus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based on drawin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heelchair 10a according to a guardian operation type,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I-II of the wheelchair 10a of FIG. 1.
휠체어(10a)는 휠체어의 외형을 구성하는 의자 프레임(20), 의자 프레임(20)으로부터 후부 상방으로 신장되는 핸들(25), 의자 프레임(20)의 후부 하방에 회전할 수 있게 피벗 고정된 좌우 한쌍의 주차륜(30), 의자 프레임(20)의 전방부 하방에 회전할 수 있게 피벗 고정된 좌우 한쌍의 전방 차륜(35), 의자 프레임(20)의 상부에 고정된 좌석부(40), 좌우 핸들(25) 간에 설치되어 있는 등받이부(45), 좌석부(40)의 하부이며 의자 프레임(20)의 프레임형상 내에 구비된 장해물 승월장치(50)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장 구조가 단순한 휠체어(10a)에 장해물 승월장치(50)를 구비한 경우를 설명하는 것이므로, 장해물 승월장치(50) 이외의 휠체어(10a)를 구성하는 각부는 통상의 휠체어의 구조를 하고 있으면 좋다. 따라서, 예컨대, 핸들(25)이 상하로 요동할 수 있게 되어 있고, 핸들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등의, 부수기능이 휠체어(10a)에 구비되어 있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The wheelchair 10a is pivotally fixed to the chair frame 20 constituting the appearance of the wheelchair, the handle 25 extending upwardly from the chair frame 20 to the rear, and the rear frame lower of the chair frame 20 so as to be rotatable. A pair of parking wheels 30,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wheels 35 pivotally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of the chair frame 20, seat 40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hair frame 20, The obstacle backing device 50 provid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handles 25 and the lower part of the seat part 40 and provided in the frame shape of the chair frame 20 is compri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is provided in the wheelchair 10a having the simplest structure, the parts constituting the wheelchair 10a other than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will be described. It is good to have structure. Therefore, needless to say, for example, the handle 25 may swing up and down, and an additional function may be provided in the wheelchair 10a, such as a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andle. .
장해물 승월장치(50)는 좌석부(40)의 하부이며 의자 프레임(20)의 프레임형상 내에 거의 연직방향을 지향하여 수직 설치된 지지프레임(51)에 장착되어 있다. 지지프레임(51)을 포함하는 4개의 프레임을 사변형으로 피벗 연결한 구조(이하, 사변형 링크)를 갖고 있다.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is mounted to the support frame 51 which is lower than the seat 40 and vertically installed in the frame shape of the chair frame 20 so as to be oriented substantially vertically. Four frames including the support frame 51 have a quadrilateral pivotal connection (hereinafter, a quadrilateral link).
즉, 4개의 프레임을 사변형으로 피벗 연결한 사변형 링크는 지지프레임(51)의 피벗점(A)에 일단이 피벗부착된 조작프레임(52)과, 지지프레임(51)의 피벗점 (A)보다 하부의 피벗점(B)에 일단이 피벗부착된 보조륜 프레임(53)과, 조작프레임 (52)에 일단이 피벗점(C)에 피벗부착되고, 또한, 보조륜 프레임(53)에 일단이 피벗점(D)에 피벗부착된 연결프레임(54)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피벗점 (A,B,C,D)은 각각 볼트 등으로 회동할 수 있게 피벗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변형 링크의 사변형의 형상은 변형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연결프레임(54)은 그 양단이 피벗점(C) 및 피벗점(D)로 되어 있지만 양단이 아니여도 연결프레임(54) 상에 피벗점 (C) 및 피벗점(D)이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That is, a quadrilateral link pivotally connecting four frames is more than an operation frame 52 having one end pivoted to a pivot point A of the support frame 51 and a pivot point A of the support frame 51. The auxiliary wheel frame 53, one end of which is pivoted to the lower pivot point B, and one end of the auxiliary frame, 53, the pivoting point C of which is attached to the operation frame 52. In addition to being formed by a connecting frame 54 pivotally attached to the pivot point (D), the pivot points (A, B, C, D) are pivotally fix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with a bolt or the like, respectively. Therefore, the shape of the quadrilateral of the quadrangle link is deformable. In addition, the connecting frame 54 has both ends of the pivot point (C) and the pivot point (D), but not both ends, the pivot point (C) and pivot point (D) is installed on the connection frame 54 It is good to have.
보조륜 프레임(53)에는 피벗점(D)보다 후방에 하나이상의 보조륜(55)이 회동할 수 있게 피벗 고정되어 있다.At least one auxiliary wheel 55 is pivotally fixed to the auxiliary wheel frame 53 so as to be rearward from the pivot point D. FIG.
또한, 조작프레임(52)의 피벗점(C)보다 후방의 일단에는 상기 장해물 승월장치(50)를 보호자가 조작할 수 있게 하는 발걸이부(52a)가 설치되어 있다Further, at one end behind the pivot point C of the operation frame 52, a footrest portion 52a is provided for allowing the guardian to operate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또한, 피벗점(A)과 피벗점(D) 사이에는 탄성체(56)가 끼워져 걸려져 있고, 피벗점(A)에 대해서 피벗점(D)이 접근하기 위하여 힘이 가해져 있고, 조작프레임 (52)과 보조륜 프레임(53)의 후방, 즉, 발걸이부(52a)와 보조륜(55)을 상방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작용하고 있다. 조작프레임(52)은 그 상승위치에서 일정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적절히 의자 프레임(20)에 걸려져 있다. 또한, 탄성체(56)는 코일스프링이나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재료이면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코일스프링이나 고무가 그 입수가 쉽고, 내구성 등에서 알맞다.In addition, an elastic body 56 is interposed between the pivot point A and the pivot point D, and a force is applied to the pivot point D to approach the pivot point A. And the rear of the auxiliary wheel frame 53, that is, the footrest portion 52a and the auxiliary wheel 55, are operated upward. The operation frame 52 is appropriately hung on the chair frame 20 so as not to rise more than a predetermined level in the raised position. The elastic body 56 may be any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coil springs or rubber, but coil springs and rubber are easily available and suitable for durability.
추가로, 보조륜 프레임(53)에 복수의 피벗구멍(53a)이 뚫려 있고, 피벗점 (D) 및 보조륜(55)의 위치를 선택하여 피벗함으로써 보조륜(55)의 이동궤도를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어도 좋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pivot holes 53a are drilled in the auxiliary wheel frame 53, and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auxiliary wheels 55 can be changed by selecting and pivoting the positions of the pivot point D and the auxiliary wheels 55. FIG. You may be.
당연히, 보조륜(55)이 접지함으로써 전방 차륜(35)을 부상시키는 것이므로,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벗점(B)으로부터의 지면에 대한 수직선의 거리(L1)과, 피벗점(B)으로부터 보조륜의 외경까지의 거리(L2)의 관계는 L1〈L2이다.As a matter of course, since the auxiliary wheels 55 are grounded, the front wheels 35 are floated, and as shown in FIG. 2, the distance L 1 of the vertical line to the ground from the pivot point B and the pivot point B are as shown in FIG. 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ance L 2 from))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auxiliary wheel is L 1 <L 2 .
[실시예]EXAMPLE
이어서, 장해물 승월장치(55)를 구비하는 휠체어(10a)의 작동상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휠체어(10a)를 사용하기 전에 좌석부(40)의 하부이며 의자 프레임(20)의 프레임형상 내에 장해물 승월장치(50)를 구비한다.Next, the operation state of the wheelchair 10a provided with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5 will be described. Before using the wheelchair 10a,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is provided under the seat 40 and in the frame shape of the chair frame 20.
휠체어(10a)의 사용자는 좌석부(40)에 착좌하고, 보호자가 휠체어(10a)의 후방에 위치하여 핸들(25)을 파지하여 휠체어(10a)를 밀어서 주행한다.The user of the wheelchair 10a is seated on the seat 40, and the guardian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wheelchair 10a to grasp the handle 25 to push the wheelchair 10a to travel.
휠체어(10a)의 주행과정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차륜(35)이 단차부(Z)에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전방 차륜은 바퀴지름이 작기 때문에 단차부(Z)의 높이에 따라서는 용이하게 타고 넘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In the traveling process of the wheelchair 10a, as shown in FIG. 2, the front wheel 35 may contact the step part Z.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since the front wheel has a small wheel diameter, the front wheel may not easily ride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step portion Z.
이와 같은 경우, 보호자는 조작프레임(52)의 발걸이부(52a)를 발 또는 손으로 하방으로 눌러 회동시킴으로써 조작프레임(52)이 하강한다. 조작프레임 (52)의 하강에 수반하여 피벗점(C)이 하강함과 아울러 피벗점(D)도 하강함으로써 보조륜 프레임(53)에 설치된 보조륜(55)도 하강한다. 보조륜(55)의 하강에 의해서 보조륜 (55)이 접지한다. 이 경우의 도면을 도 3에 나타낸다.In such a case, the guardian lowers the operation frame 52 by rotating the footrest portion 52a of the operation frame 52 downward with the foot or the hand. With the lowering of the operating frame 52, the pivot point C is lowered, and the pivot point D is also lowered, thereby lowering the auxiliary wheel 55 provided in the auxiliary wheel frame 53. The auxiliary wheel 55 is grounded by the lowering of the auxiliary wheel 55. The figure in this case is shown in FIG.
이 접지상태에서 추가로 조작프레임(52)의 발걸이부(52a)를 하방으로 눌러서 회동시킴으로써 보조륜(55)이 접지하여 전방 차륜(35)이 부상하는 상태로 된다. 이 때에 휠체어(10a)를 적절히 후방으로 경사지게 하여 전방 차륜(35)을 약간 부상시킴으로써 조작프레임(52)을 하방으로 누르기 쉽게 되어 전방 차륜(35)의 단차부(Z)의 높이까지의 부상을 용이하게 한다.In this grounded state, the auxiliary wheels 55 are grounded and the front wheels 35 are raised by further pressing the footrest 52a of the operation frame 52 downward to rotate. At this time, the wheelchair 10a is inclined rearward appropriately, so that the front wheel 35 is slightly lifted, so that the operation frame 52 is easily pushed downward, and the injury to the height of the step portion Z of the front wheel 35 is easy. Let's do it.
이와 같이 발걸이부(52a)를 하방으로 누름으로써 단차부(Z)보다 상방에 전방 차륜(35)이 부상하고, 휠체어(10a)는 주차륜(30)과 보조륜(55)으로 지지시키는 상태로 된다. 이 경우의 도면을 도 4에 나타낸다.In this way, by pressing the footrest portion 52a downward, the front wheel 35 rises above the step portion Z, and the wheelchair 10a is supported by the parking wheel 30 and the auxiliary wheel 55 in a state. do. The figure in this case is shown in FIG.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전방 차륜이 부상한 상태에 있어서는 사변형 링크의 피벗점(D)이 하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되고, 또한, 피벗점(A)과 피벗점(B)을 연결하는 가상선보다 전방(단면도에서는 우측)에 위치하도록 걸어서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피벗점(A)과 피벗점(B)을 연결하는 가성선(α)과 피벗점(A)과 피벗점(D)을 연결하는 가상선(β)에서는 가상선(β)이 가상선(α)보다 전방(단면도에서는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피벗점(A)과 피벗점(D)을 연결하는 탄성체(56)의 탄력에 의해서 장해물 승월장치(50)가 도 2에 나타내는 상태로 돌아가지 않도록 저지하고 있게 된다.Moreover, in the state where the front wheel shown in FIG. 4 floats, the pivot point D of a quadrangle link is located below, and is ahead of the virtual line which connects pivot point A and pivot point B. Moreover, in FIG. It is fixed by walking so as to be located on the right side in the cross section. Therefore, in the virtual line β connecting the pivot point A and the pivot point B and the virtual line β connecting the pivot point A and the pivot point D, the virtual line β is the virtual line. It is located in front of (alpha) ahead (right side in sectional drawing). In this state,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is prevented from returning to the state shown in FIG. 2 b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body 56 connecting the pivot point A and the pivot point D. FIG.
도 4의 상태에서 추가로 휠체어(10a)를 전방으로 밀어서 전진시키면 보조륜 (55)이 단차부(Z)에 의해서 그 전진이 저지되고, 보조륜(55)은 후방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작용한다. 즉, 피벗점(D)이 가상선(α)<즉, 가상선(β)이 가상선(α)>보다 후방(단면도에서는 좌측)으로 된 순간에 탄성체(56)의 장력의 방향변화에 수반하여 장해물 승월장치(50)가 자동적으로 후방으로 돌아간다. 또한, 전방 차륜(35)은 단차부(Z)의 상부에 접지함과 아울러 보조륜(55)은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된다. 이 상태를 도 5에 나타낸다.In the state of FIG. 4, when the wheelchair 10a is further pushed forward, the auxiliary wheel 55 is prevented from moving forward by the step portion Z, and the auxiliary wheel 55 acts to move backward. That is, at the moment when the pivot point D becomes the virtual line α (that is, the virtual line β becomes behind the virtual line α) (left side in cross section), it is accompanied by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tension of the elastic body 56.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rear side. In addition, the front wheel 35 is groun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tep portion Z, and the auxiliary wheel 55 is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ground. This state is shown in FIG.
또한, 휠체어(10a)를 전방으로 밀어서 전진시키면 주차륜(30)이 단차부(Z)에 접촉하게 되지만 주차륜(30)은 단차부(Z)에 비해서 차바퀴지름이 크므로 단차부(Z)를 용이하게 타고 넘어서 전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wheelchair 10a is pushed forward to move forward, the parking wheel 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epped portion Z, but the parking wheel 30 has a larger wheel diameter than the stepped portion Z, and thus the stepped portion Z You can easily ride over and move forward.
이상과 같이 휠체어(10a)로 단차부(Z)를 타고 넘을 때에 보호자가 조작프레임(52)의 발걸이부(52a)를 하방으로 누르는 것만으로 이후의 아무런 조작도 필요없이 용이하게 장해물을 타고 넘을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assenger rides over the step portion Z with the wheelchair 10a, the guardian simply pushes the footrest portion 52a of the operation frame 52 downward to easily ride the obstacle without any subsequent operation. Will be.
즉, 장해물 승월장치(50)의 보조륜(55)의 하방누름은 보호자가 발 또는 손으로 조작을 하지만 장해물을 타고 넘은 후의 보조륜(55)의 하방누름은 탄성체(56)의 장력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That is, the downward press of the auxiliary wheel 55 of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is operated by the guardian or the hand, but the downward press of the auxiliary wheel 55 after the obstacle is crossed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tension of the elastic body 56. This can be done.
[실시예2]Example 2
이어서, 이용자 조작타입에 의한 휠체어(10b)의 경우를 설명한다. 도 6에서 부터 도 9까지는 휠체어(10b)의 단면도이다. 휠체어(10b)는 이용자가 좌석부(40)에 착좌한 채로 장해물 승월장치(50)를 조작할 수 있도록 좌석부(40)의 전방 하부에 조작레버(52b)를 배치한 이외에는 실시예1과 그 구성이 동일하다. 단, 경우에 따라서는 조작프레임(52)의 피벗점(C)의 후방 일단에 발걸이부(52a)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Next, the case of the wheelchair 10b by a user operation type is demonstrated. 6 to 9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wheelchair 10b. The wheelchair 10b has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ame except that the operation lever 52b is disposed at the lower front part of the seat 40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while seated on the seat 40.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In some cases, however, the footrest portion 52a may not b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pivot point C of the operation frame 52.
조작레버(52b)는 조작프레임(52)과 일체 성형으로 하거나, 또는, 조작프레임 (52)과 일체로 접합되어 있는 것이다. 휠체어(10b)의 주행과정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차륜(35)이 단차부(Z)에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전방 차륜은 차바퀴가 작기 때문에 단차부(Z)의 높이에 따라서는 용이하게 타고 넘을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좌석부(40)에 착좌하고 있는 이용자가 하방으로 손을 내밀어서 조작레버(52b)를 상방으로 끌어 올림과 아울러 이용자 자신의 중심을 약간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륜(55)이 접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추가로 조작레버(52b)를 상방으로 끌어 올리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차륜(55)이 단차부(Z)의 높이보다 부상한 상태로 된다.The operation lever 52b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peration frame 52 or is integrally joined to the operation frame 52. In the traveling process of the wheelchair 10b, as shown in FIG. 6, the front wheel 35 may contact the step part Z. In this case, since the front wheel is small, the wheel may not easily ride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step portion Z. In this case, the user seated on the seat 40 extends the hand downwards, pulls up the operating lever 52b upwards, and moves the center of the user himself slightly to the rear, as shown in FIG. 7. 55 is grounded. In this state, when the operation lever 52b is further pulled upward, as shown in FIG. 8, the front wheel 55 is in a state where the height of the step portion Z rises.
도 8의 상태로 되면 좌석부(40)에 착좌하고 있는 이용자가 주차륜(30)의 외주부의 측부에 장착되어 있는 조작핸드림을 회전조작하여 휠체어(10b)를 전진시킴으로써 보조륜(55)은 단차부(Z)에 의해서 그 전진이 저지되므로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작용한다. 즉, 피벗점(D)이 가상선(α)<즉, 가상선(β)이 가상선(α)>보다 후방(단면도에서는 좌측)으로 된 순간에 탄성체(56)의 장력의 방향변화에 수반하여 장해물 승월장치(50)가 자동적으로 후방으로 돌아간다. 또한, 전방 차륜(35)은 단차부(Z)의 상부에 접지함과 아울러 보조륜(55)은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된다. 이 상태를 도 9에 나타낸다.In the state shown in Fig. 8, the user seated on the seat 40 rotates the operation hand mounted on th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arking wheel 30 to advance the wheelchair 10b so that the auxiliary wheel 55 Since the advance is prevented by the stepped portion Z, it acts to move relatively backwards. That is, at the moment when the pivot point D becomes the virtual line α (that is, the virtual line β becomes behind the virtual line α) (left side in cross section), it is accompanied by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tension of the elastic body 56.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rear side. In addition, the front wheel 35 is groun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tep portion Z, and the auxiliary wheel 55 is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ground. This state is shown in FIG.
또한, 휠체어(10b)를 전방으로 밀어서 전진시키면 주차륜(30)이 단차부(Z)에 접촉하게 되지만 주차륜(30)은 단차부(Z)에 비해서 차바퀴지름이 크므로 단차부(Z)를 용이하게 타고 넘어서 전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wheelchair 10b is pushed forward to move forward, the parking wheel 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epped portion Z, but the parking wheel 30 has a larger wheel diameter than the stepped portion Z, so the stepped portion Z You can easily ride over and move forward.
또한, 조작레버(52b)에 있어서 이용자의 파지부분(52c)(도 6)을 설치하고, 이 파지부분(52c)을 신축가능하게 하고, 또한, 파지부분(52c)을 조작레버(52b)의 내부에 장착한 코일스프링이나 고무 등의 탄성체(52d)에 저항하여 신장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조작레버(52b)의 조작시에는 파지부분(52c)을 신장하여 조작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조작이 종료한 시점에서 파지부분(52c)으로부터 손을 떼어내면 파지부분(52c)이 탄성체(52d)의 장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압축되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와 같은 조작레버(52b)로 함으로써 전방부로 돌출하게 되는 조작레버 (52b)가 이용자를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operation lever 52b, a user's grip portion 52c (FIG. 6) is provided, the grip portion 52c can be stretched and stretched, and the grip portion 52c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lever 52b. By constructing a structure that resists and stretches the elastic body 52d such as coil springs or rubbers mounted therein, the operation lever 52b is extended to facilitate the operation by extending the gripping portion 52c. When the hand is removed from the gripping portion 52c at the time point, the gripping portion 52c is automatically compressed by the tension of the elastic body 52d to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By setting it as such operation lever 52b, it becomes possible to prevent the operation lever 52b which protrudes to the front part not to disturb a user.
[실시예3]Example 3
장해물 승월장치(50)를 휠체어(10a) 및 휠체어(10b)에 장착한 경우에는 좌석부(40)로부터 하방으로 지지프레임(51)을 설치하고 거기에 장해물 승월장치(50)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휠체어의 경우, 좌석부(40)와 지지프레임 (51)이 접합되어 있을 필요성때문에 좌석부(40)가 판이나 철, 알루미늄 등의 경질재료로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또한, 통상의 휠체어에서는 착좌하였을 때의 쾌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나 접을 때의 사정상, 등받이부(45) 및 착좌부(40)는 직물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실시예1 및 실시예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석부(40)의 하방에 지지프레임(51)을 설치하는 것은 곤란하다.When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is mounted on the wheelchair 10a and the wheelchair 10b, the support frame 51 is installed downward from the seat 40, and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is mounted thereon. In the case of the wheelchai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seat 40 is required to be made of a hard material such as plate, iron, aluminum, etc. because of the necessity that the seat 40 and the support frame 51 are joined. In addition, in a normal wheelchair, the back portion 45 and the seating portion 40 may be made of fabric or the like in order to improve the comfort when seated or on the occasion of folding. In such a case, it is difficult to provide the support frame 51 under the seat portion 40 as shown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직물 등의 부드러운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좌석부(40c) 및 등받이부(45c)의 경우의 휠체어(10c)에 장해물 승월장치(50)를 장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10에 좌석부(40c)의 하부이고, 의자 프레임(20)의 프레임형상 내에 종방향으로 배치 고정된 지지프레임(51)을 장착할 수 없는 경우의 휠체어(10c)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11에 휠체어(10c)의 정면도를 나타낸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is mounted on the wheelchair 10c in the case of the seat portion 40c and the backrest portion 45c, which is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fabric, will be described.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heelchair 10c in the case where the support frame 51 which is lower than the seat 40c and fixed in the frame shape of the chair frame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not be mounted. 11 is a front view of the wheelchair 10c.
휠체어(10c)는 휠체어의 외형을 구성하는 의자 프레임(20), 의자 프레임(20)으로부터 후부 상방으로 신장되는 핸들(25), 의자 프레임(20)의 후부 하방에 회전할 수 있게 피벗 고정된 좌우 한쌍의 주차륜(30), 의자 프레임(20)의 전방부 하방에 회전할 수 있게 피벗 고정된 좌우 한쌍의 전방 차륜(35), 의자 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된 직물 등의 부드러운 재료로 이루어지는 좌석부(40c), 좌우의 핸들(25)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직물 등의 부드러운 재료로 이루어지는 등받이부(45c), 좌석부(40c)의 하부이며 의자 프레임(20)의 프레임형상 내에 구비된 장해물 승월장치 (50)와 횡단프레임(6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2에 휠체어(10c)의 II-II의 단면도이다.The wheelchair 10c is pivotally fixed to the chair frame 20 constituting the outline of the wheelchair, the handle 25 extending upward from the chair frame 20 to the rear, and pivotally fixed to the rear of the rear of the chair frame 20. It consists of a pair of parking wheels 30,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wheels 35 pivotally fixed below the front part of the chair frame 20, and a soft material such as a fabric provided on the chair frame 20. Obstacles 45c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a fabric provided between the seat portion 40c, the left and right handles 25, and a lower portion of the seat portion 40c and provided in a frame shape of the chair frame 20. It consists of a climbing device 50 and a transverse frame 60. It is sectional drawing of II-II of the wheelchair 10c in FIG.
횡단프레임(60)은 의자 프레임(20)의 프레임 내를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정면과 나란히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ansverse frame 60 is arrange | positioned inside the frame of the chair frame 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t is preferable to be joined to the front side.
장해물 승월장치(50)는, 횡단프레임(60)에 장착되어 있고, 지지프레임(51)이 횡단프레임(60)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장해물 승월장치(50)는 지지프레임(51)을 포함하는 4개의 프레임이 사변형 링크로 이루어진다. 이 사변형 링크는 실시예1 및 실시예2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즉, 지지프레임(51)과 조작프레임 (52)과 보조륜 프레임(53)과 연결프레임(54)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피벗점(A)과 피벗점(D) 사이에는 탄성체(56)가 끼워져 걸려져 있다.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is attached to the transverse frame 60, and the support frame 51 is joined to the transverse frame 60. In addition,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has four frames including the support frame 51 is a quadrilateral link. Since this quadrilateral link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 and Example 2,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That is, the support frame 51, the operation frame 52, the auxiliary wheel frame 53 and the connecting frame 54, and the elastic body 56 between the pivot point (A) and pivot point (D) Is jammed.
이어서, 장해물 승월장치(50)를 구비하는 휠체어(10c)의 보호자 조작타입의 작동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휠체어(10c)를 사용하기 전에 좌석부(40c)의 하부이며 의자 프레임(20)의 프레임형상 내에 횡단프레임(60)을 배치하고, 또한, 횡단프레임(60)에 장해물 승월장치(50)를 접합한다.Next, the operation mode of the guardian operation type of the wheelchair 10c provided with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will be described. Before using the wheelchair 10c, the transverse frame 60 is disposed in the frame shape of the chair frame 20 and is lower than the seat 40c, and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is bonded to the transverse frame 60. do.
휠체어(10c)의 사용자는 좌석부(40c)에 착좌하고, 보호자가 휠체어(10c)의후방에 위치하여 핸들(25)을 파지하여 휠체어(10c)를 밀어서 주행한다.The user of the wheelchair 10c is seated on the seat 40c, and the guardian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wheelchair 10c to grasp the handle 25 to push the wheelchair 10c to travel.
휠체어(10c)의 주행과정에 있어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차륜 (35)이 단차부(Z)에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전방 차륜은 바퀴지름이 작기 때문에 단차부(Z)의 높이에 따라서는 용이하게 타고 넘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In the running process of the wheelchair 10c, the front wheel 35 may contact the step part Z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since the front wheel has a small wheel diameter, the front wheel may not easily ride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step portion Z.
이와 같은 경우, 보호자는 조작프레임(52)의 발걸이부(52a)를 발 또는 손으로 하방으로 눌러서 회동시킴으로써 조작프레임(52)이 하강한다. 조작프레임 (52)의 하방에 수반하여 피벗점(C)이 하강함과 아울러 피벗점 (D)도 하강한다. 따라서, 보조륜 프레임(53)에 설치된 보조륜(55)도 하강한다. 보조륜(55)의 하강에 의해서 보조륜(55)이 접지한다. 이 경우의 도면을 도 13에 나타낸다.In such a case, the guardian lowers the operation frame 52 by rotating the footrest portion 52a of the operation frame 52 downward by pressing the foot or hand. Along with the lower side of the operation frame 52, the pivot point C falls, and the pivot point D also falls. Therefore, the auxiliary wheel 55 provided in the auxiliary wheel frame 53 also descends. The auxiliary wheels 55 are grounded by the lowering of the auxiliary wheels 55. The figure in this case is shown in FIG.
이 접지상태에서 추가로 조작프레임(52)의 발걸이부(52a)를 하방으로 눌러서 회동시킴으로써 보조륜(55)이 접지하여 전방 차륜(35)이 부상하는 상태로 된다. 이 때에 휠체어(10c)를 적절히 후방으로 경사지게 하여 전방 차륜(35)을 약간 부상시킴으로써 조작프레임(52)을 하방으로 누르기 쉽게 되어 전방 차륜(35)의 단차부(Z)의 높이까지의 부상을 용이하게 한다.In this grounded state, the auxiliary wheels 55 are grounded and the front wheels 35 are raised by further pressing the footrest 52a of the operation frame 52 downward to rotate. At this time, the wheelchair 10c is properly inclined rearward so that the front wheel 35 is slightly lifted, so that the operation frame 52 can be easily pushed down, and the injury to the height of the step portion Z of the front wheel 35 is easy. Let's do it.
이와 같이 발걸이부(52a)를 하방으로 누름으로써 단차부(Z)보다 상방에 전방 차륜(35)이 부상하고, 휠체어(10c)는 주차륜(30)과 보조륜(55)으로 지지시키는 상태로 된다. 이 경우의 도면을 도 14에 나타낸다.In this way, by pressing the footrest portion 52a downward, the front wheel 35 rises above the step portion Z, and the wheelchair 10c is supported by the parking wheel 30 and the auxiliary wheel 55. do. The figure in this case is shown in FIG.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전방 차륜이 부상한 상태에 있어서는 사변형 링크의 피벗점(D)이 하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되고, 또한, 피벗점(A)과 피벗점(B)을 연결하는 가상선보다 전방(단면도에서는 우측)에 위치하도록 걸어서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피벗점(A)과 피벗점(B)을 연결하는 가상선(α)과 피벗점(A)과 피벗점(D)을 연결하는 가상선(β)에서는 가상선(β)이 가상선(α)보다 전방(단면도에서는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피벗점(A)과 피벗점(D)을 연결하는 탄성체(56)의 장력에 의해서 장해물 승월장치(50)가 도 12에 나타내는 상태로 돌아가지 않도록 저지하고 있게 된다.Moreover, in the state where the front wheel shown in FIG. 14 floats, the pivot point D of a quadrilateral link will be in the state located downward, and is ahead of the virtual line which connects pivot point A and pivot point B. Moreover, in FIG. It is fixed by walking so as to be located on the right side in the cross section. Therefore, in the virtual line α connecting the pivot point A and the pivot point B and the virtual line β connecting the pivot point A and the pivot point D, the virtual line β is the virtual line. It is located in front of (alpha) ahead (right side in sectional drawing). In this state,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is prevented from returning to the state shown in FIG. 12 by the tension of the elastic body 56 connecting the pivot point A and the pivot point D. FIG.
도 14의 상태에서 추가로 휠체어(10c)를 전방으로 밀어서 전진시키면 보조륜 (55)이 단차부(Z)에 의해서 그 전진이 저지되고, 보조륜(55)은 후방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작용한다. 즉, 피벗점(D)이 가상선(α)<즉, 가상선(β)이 가상선(α)>보다 후방(단면도에서는 좌측)으로 된 순간에 탄성체(56)의 장력의 방향변화에 수반하여, 장해물 승월장치(50)가 자동적으로 후방으로 돌아간다. 또한, 전방 차륜(35)은 단차부(Z)의 상부에 접지함과 아울러 보조륜(55)은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된다. 이 상태를 도 15에 나타낸다.In the state of FIG. 14, when the wheelchair 10c is further pushed forward, the auxiliary wheel 55 is prevented from moving forward by the step portion Z, and the auxiliary wheel 55 acts to move backward. That is, at the moment when the pivot point D becomes the virtual line α (that is, the virtual line β becomes behind the virtual line α) (left side in cross section), it is accompanied by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tension of the elastic body 56.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rear side. In addition, the front wheel 35 is groun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tep portion Z, and the auxiliary wheel 55 is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ground. This state is shown in FIG.
또한, 휠체어(10c)를 전방으로 밀어서 전진시키면 주차륜(30)이 단차부(Z)에 접촉하게 되지만 주차륜(30)은 단차부(Z)에 비해서 차바퀴지름이 크므로 단차부(Z)를 용이하게 타고 넘어서 전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wheelchair 10c is pushed forward to move forward, the parking wheel 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epped portion Z, but the parking wheel 30 has a larger wheel diameter compared with the stepped portion Z, so the stepped portion Z You can easily ride over and move forward.
이상과 같이 휠체어(10c)로 단차부(Z)를 타고 넘을 때에 보호자가 조작프레임(52)의 발걸이부(52a)를 하방으로 누르는 것만으로 이후의 아무런 조작도 필요없이 용이하게 장해물을 타고 넘을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guardian rides over the step portion Z with the wheelchair 10c, the guardian simply pushes the footrest portion 52a of the operation frame 52 downward to easily ride the obstacle without any subsequent operation. Will be.
즉, 장해물 승월장치(50)의 보조륜(55)의 하방누름은 보호자가 발 또는 손으로 조작을 하지만 장해물을 타고 넘은 후의 보조륜(55)의 상방누름은 탄성체(56)의장력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That is, the downward press of the auxiliary wheel 55 of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is operated by the protector by the foot or the hand, but the upper pressing of the auxiliary wheel 55 after the obstacle is crossed by the tension of the elastic body 56 is automatically performed. This can be done.
[실시예4]Example 4
또한, 실시예3에 나타낸 휠체어(10c)는 보호자 조작타입이므로 휠체어에 횡단프레임(60)이 설치된 경우의 이용자 조작타입에 의한 휠체어(10d)의 경우를 설명한다. 도 16에서부터 도 19까지는 휠체어(10d)의 단면도이다. 휠체어(10d)는 이용자가 좌석부(40c)에 착좌한 채 장해물 승월장치(50)를 조작할 수 있도록 좌석부 (40c)의 전방 하부에 조작레버(52b)를 배치한 이외에는 실시예3과 그 구성이 동일하다. 단, 경우에 따라서는 조작프레임(52)의 피벗점(C)의 후방 일단에 발걸이부 (52a)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Moreover, since the wheelchair 10c shown in Example 3 is a guardian operation type, the case of the wheelchair 10d by the user operation type when the cross-frame 60 is installed in a wheelchair is demonstrated. 16 to 19 are sectional views of the wheelchair 10d. The wheelchair 10d is the third embodiment except that the operation lever 52b is disposed below the front of the seat 40c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while seated on the seat 40c.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In some cases, however, the footrest portion 52a may not b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pivot point C of the operation frame 52.
조작레버(52b)는 조작프레임(52)과 일체 성형으로 하거나, 또는, 조작프레임 (52)과 일체로 접합되어 있는 것이다. 휠체어(10d)의 주행과정에 있어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차륜(35)이 단차부(Z)에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전방 차륜은 바퀴지름이 작기 때문에 단차부(Z)의 높이에 의해서는 용이하게 타고 넘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좌석부(40c)에 착좌하고 있는 이용자가 하방으로 손을 내밀어서 조작레버(52b)를 상방으로 끌어 올림과 아울러 이용자 자신의 중심을 약간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륜(55)이 접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추가로 조작레버(52b)를 상방으로 끌어 올리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차륜(55)이 단차부(Z)의 높이보다 부상한 상태로 된다.The operation lever 52b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peration frame 52 or is integrally joined to the operation frame 52. In the traveling process of the wheelchair 10d, as shown in FIG. 16, the front wheel 35 may contact the step part Z in some cases. In this case, since the wheel diameter is small, the front wheel may not easily ride over by the height of the stepped portion Z. In this case, the user seated on the seat 40c extends his / her hand downwards, pulls up the operating lever 52b upwards and moves the center of the user himself slightly to the rear, as shown in FIG. 17. 55 is grounded. In this state, when the operation lever 52b is further pulled upward, as shown in FIG. 18, the front wheel 55 is in a state where the height of the step portion Z rises.
도 18의 상태로 되면 좌석부(40c)에 착좌하고 있는 이용자가 주차륜(30)의외주부의 측부에 장착되어 있는 조작핸드림을 회전조작하여 휠체어(10d)를 전진시킴으로써 보조륜(55)은 단차부(Z)에 의해서 그 전진이 저지되어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작용한다. 즉, 피벗점(D)이 가상선(α)<즉, 가상선(β)이 가상선(α)>보다 후방(단면도에서는 좌측)으로 된 순간에 탄성체(56)의 장력의 방향변화에 수반하여 장해물 승월장치(50)가 자동적으로 후방으로 돌아온다. 또한, 전방 차륜(35)은 단차부(Z)의 상부에 접지함과 아울러 보조륜(55)은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된다. 이 상태를 도 19에 나타낸다.In the state shown in Fig. 18, the user seated on the seat 40c rotates the operation hand wheel mounted on th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arking wheel 30 to advance the wheelchair 10d so that the auxiliary wheel 55 Since the advance is inhibited by the stepped portion Z, it acts to move relatively backwards. That is, at the moment when the pivot point D becomes the virtual line α (that is, the virtual line β becomes behind the virtual line α) (left side in cross section), it is accompanied by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tension of the elastic body 56.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rear side. In addition, the front wheel 35 is groun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tep portion Z, and the auxiliary wheel 55 is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ground. This state is shown in FIG.
또한, 휠체어(10d)를 전방으로 밀어서 전진시키면 주차륜(30)이 단차부(Z)에 접촉하게 되지만 주차륜(30)은 단차부(Z)에 비해서 차바퀴지름이 크므로 단차부(Z)를 용이하게 타고 넘어서 전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wheelchair 10d is pushed forward to move forward, the parking wheel 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epped portion Z, but the parking wheel 30 has a larger wheel diameter compared to the stepped portion Z. You can easily ride over and move forward.
또한, 조작레버(52b)에 있어서 이용자의 파지부분(52c)(도 16)을 설치하고, 이 파지부분(52c)을 신축가능하게 하고, 또한, 파지부분(52c)을 조작레버(52b)의 내부에 장착한 코일스프링이나 고무 등의 탄성체(52d)에 저항하여 신장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조작레버(52b)의 조작시에는 파지부분(52c)을 신장하여 조작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조작이 종료한 시점에서 파지부분(52c)으로부터 손을 떼어내면 파지부분(52c)이 탄성체(52d)의 장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압축되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와 같은 조작레버(52b)로 함으로써 전방부로 돌출하게 되는 조작레버 (52b)가 이용자를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operation lever 52b, a user's grip portion 52c (FIG. 16) is provided, the grip portion 52c can be stretched and stretched, and the grip portion 52c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lever 52b. By constructing a structure that resists and stretches the elastic body 52d such as coil springs or rubbers mounted therein, the operation lever 52b is extended to facilitate the operation by extending the gripping portion 52c. When the hand is removed from the gripping portion 52c at the time point, the gripping portion 52c is automatically compressed by the tension of the elastic body 52d to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By setting it as such operation lever 52b, it becomes possible to prevent the operation lever 52b which protrudes to the front part not to disturb a user.
[실시예5]Example 5
실시예3 및 실시예4의 휠체어(10c) 및 휠체어(10d)에서는 횡단프레임(60)이의자 프레임(20)의 프레임형상 내를 횡방향으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대로는 접을 수 없으므로 의자 프레임(20)의 좌우 어느 하나의 일단에 횡단프레임 회동부 (63)를 설치하여 횡단프레임(60)과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접합하고, 의자 프레임(20)의 타단에 횡단프레임(60)을 결합하기 위한 횡단프레임 베어링부 (65)를 설치한다. 이 경우의 휠체어의 정면도를 도 20에 나타낸다. 또한, 의자 프레임(20)의 프레임형상 내에서 좌석부(40c)의 하부로서, 또한, 횡단프레임(60)을 횡단프레임 회동부(63)에서 상방향으로 회동시킨 경우의 궤도 상에 횡단프레임 (60)을 지지하는 지지핀(72)을 설치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도면에 있어서는 도면을 향하여 좌측방향으로 횡단프레임 회동부(63)를 설치하고, 우측방향으로 횡단프레임 베어링부(65)를 설치한 경우를 설명하는 것이므로 이들을 좌우 반대로 설치한 경우에는 이들 설명도 대응하여 좌우 반대로 되는 것은 당연하다.In the wheelchair 10c and the wheelchair 10d of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since the transverse frame 60 is arranged in the frame shape of the chair frame 2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chair frame 20 cannot be folded. By installing the transverse frame rotating part 63 at one end of the left and right to be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transverse frame 60, and for coupling the transverse frame 60 to the other end of the chair frame 20 The transverse frame bearing part 65 is installed. The front view of the wheelchair in this case is shown in FIG. In addition, in the frame shape of the chair frame 20, as a lower part of the seating portion 40c, and on the track when the transverse frame 60 is rotated upward from the traverse frame pivot 63, a traverse frame ( 60 support pins 72 are installed. In addition, in the drawing of this specification, when the transverse frame rotation part 63 is provided to the left direction toward the figure, and the transverse frame bearing part 65 is installed to the right direction, it demonstrates, When these are instal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Naturally, these explanations are also reversed in correspondence.
또한, 횡단프레임(60)은 횡단프레임 회동부(63)와 회동할 수 있게 접합되어 있는 회동 접합부(67), 장해물 승월장치(50)와 접합하고 있는 장해물 승월장치 접합부(68), 횡단프레임 베어링부(65)와 결합함으로써 횡단프레임(60)을 수평으로 유지하고 있는 횡단프레임 결합부(69)로 이루어진다. 또한, 횡당 프레임 결합부 (69)를 장해물 승월장치 접합부(68)의 내부에 장착하고, 코일스프링이나 고무 등의 탄성체(도시않함)에 저항하여 신장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횡단프레임(60)과 횡단프레임 베어링부(65)가 결합한 상태(결합상태), 결합에서 분리된 상태(비결합상태)의 조작을 할 수 있게 된다. 이 조작은 횡단프레임 결합부(69)에 신장핀(70)을 설치하고, 또한, 장해물 승월장치 접합부(68)에 상기 신장핀(70)을 좌우로 이동할 수있게 하는 이동홈(71)을 설치한다. 이 이동홈(71)을 따라서 신장핀(70)을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횡단프레임 결합부(69)가 좌우로 이동하게 되고, 횡단프레임 베어링부(65)와의 결합상태, 비결합상태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transverse frame 60 is a pivot joint 67 connected to the traverse frame pivot 63, an obstacle climbing device joint 68 joined to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and a cross frame bearing. Combination with the section 65 is composed of a cross frame coupling portion 69 that holds the cross frame 60 horizontally. Furthermore, the transverse frame 60 and the transverse frame are mounted by mounting the transverse frame coupling part 69 inside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joint 68 and resisting the elastic spring (coil spring or rubber) (not shown). It becomes possible to operate the state in which the bearing part 65 is engaged (coupling state) and the state separated from the coupling (non-coupling state). This operation installs the elongation pin 70 in the transverse frame coupling portion 69, and also installs the moving groove 71 in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joining portion 68 to move the elongation pin 70 to the left and right. do. By moving the extension pin 70 to the left and right along the movable groove 71, the transverse frame coupling portion 69 is moved left and right, and the engagement state and the non-engagement state with the transverse frame bearing portion 65 can be manipulated. Will be.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유지된 횡단프레임(60)을 접기 위하여 상부로 회동하기 위해서는 신장핀(70)을 좌측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횡단프레임 결합부(69)의 일부가 장해물 승월장치 결합부(68) 중에 끼워넣어지므로 횡단프레임(60)의 길이를 일시적으로 휠체어의 폭보다 짧게 한다. 신장핀(70)을 이용자 또는 보호자가 잡은 채, 신장핀(70)을 상방으로 잡아 올림으로써 접합점(X)을 지점으로 하여 횡단프레임(60)이 상방으로 회동한다.Therefore, in order to pivot upwards in order to fold the horizontal frame 60 hel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portion of the transverse frame coupling portion 69 is moved to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coupling portion 68 by moving the extension pin 70 to the left. As it is fitted, the length of the transverse frame 60 is temporarily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wheelchair. By holding the extension pin 70 upward while holding the extension pin 70, the transverse frame 60 rotates upward with the joining point X as the point.
횡단프레임(60)을 지지핀(72)의 위치까지 회동하고, 지지핀(72)에 횡단프레임 결합부(69)를 통함으로써 횡단프레임(60)을 상방에 건다. 지지핀(72)에 횡단프레임 결합부(69)를 통할 때에는 신장핀(70)을 조금전 이동한 좌측에서부터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횡단프레임 결합부(69)가 탄성체(도시않함) 등의 작용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까지 돌아가고, 횡단프레임(60)도 원래의 길이(휠체어의 폭)까지 돌아감으로써 지지핀(72)으로 횡단프레임(60)을 걸 수 있게 된다. 이 상태를 도 21에 나타낸다.The transverse frame 60 is rotated to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in 72 and the transverse frame 60 is fastened upward by the transverse frame coupling portion 69 through the support pin 72. When the transverse frame coupling portion 69 passes through the support pin 72, the transverse frame coupling portion 69 is moved by the action of an elastic body (not shown) by moving the extension pin 70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Returning to the position of the, the transverse frame 60 is also returned to its original length (width of the chair) it is possible to hang the transverse frame 60 with the support pin 72. This state is shown in FIG.
이와 같이 횡단프레임(60)을 상방에 걸음으로써 휠체어를 접을 때에도 횡단프레임(60)이 접합점(X)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기 위하여 휠체어를 접을 수 있게 한다.As such, when the wheelchair is folded, the crossing frame 60 is able to fold the wheelchair in order to rotate the junction frame X as a point.
휠체어를 접은 상태에서 펼쳐서 장해물 승월장치(50)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조작을 역으로 하면 좋다. 즉, 지지핀(72)에 걸려져 있는 횡단프레임 (60)을 신장핀(72)을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므로 횡단프레임 결합부(69)의 일부가 장해물 승월장치 접합부(68) 중에 끼워넣어지고, 횡단프레임(60)의 길이가 휠체어의 폭보다 짧게 된다. 이 상태에서 횡단프레임(60)은 지지핀(72)의 걸림에서 떨어지게 된다.If you want to use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in a state where the wheelchair is folded, the above operation may be reversed. That is, since the transversal frame 60 hung on the support pin 72 moves the extension pin 72 to the left side, a part of the transverse frame coupling part 69 is inserted into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joint 68. , The length of the transverse frame 60 is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wheelchair. In this state, the transverse frame 60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of the support pin 72.
지지핀(72)으로부터 떨어진 횡단프레임(60)을 하방으로 회동하고, 수평으로 되는 위치의 바로전까지 이동한다. 신장핀(70)을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횡단프레임 결합부(69)의 일부를 장해물 승월장치 접합부(68) 중에 끼워넣어 횡단프레임(60)의 길이를 휠체어의 폭보다 짧게 한다. 그 상태에서 횡단프레임(60)을 수평으로 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신장핀(70)을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횡단프레임 결합부(69)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횡단프레임 베어링부(65)와 결합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횡단프레임(60)을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조작을 이용자 또는 보호자가 함으로써 도 20에 나타낸 상태로 할 수 있게 되고, 실시예3 또는 실시예4의 조작을 함으로써 장해물 승월장치(5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 transverse frame 60 away from the support pin 72 is rotated downward and moved to just before the horizontal position. By moving the extension pin 70 in the left direction, a portion of the transverse frame coupling portion 69 is inserted into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joint 68 so that the length of the transverse frame 60 is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wheelchair. In this state, the transverse frame 60 is moved to a horizontal position, and the transverse frame coupling portion 69 is moved to the right direction by moving the extension pin 70 in the right direction to engage with the cross frame bearing portion 65. Let's do it. As a result, the transverse frame 60 can be kept horizontal. Such operation allows the user or guardian to make the state shown in FIG. 20, and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can be used by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r the fourth embodiment.
또한, 이대로는 단지 횡단프레임(60)을 횡단프레임 회동부(63)와 회동 접합부(67)의 접합점(X)을 지점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할 수 있음에 지나지 않으므로 장해물 승월장치(50)는 휠체어를 접었을 때에 좌석부(40c)의 중앙 또는 후방에 존재하게 된다. 또한, 접을 수 있는 휠체어의 경우에는 의자 프레임(20)이 좌석부(40c)의 하방에서 도 20과 같은 교차구조를 갖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휠체어를 접을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좌석부(40c)에 걸리는 이용자의 체중 등의 부하를 분산시키고, 휠체어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구조이다.In addition, since only the transverse frame 60 can be rotated up and down by using the junction X of the transverse frame pivot 63 and the pivot joint 67 as a point,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is a wheelchair. When folded, it is present at the center or rear of the seat portion 40c. Moreover, in the case of a foldable wheelchair, the chair frame 20 may have the cross structure like FIG. 20 under the seat part 40c. This allows the wheelchair to be folded and to distribute the load such as the weight of the user to the seat 40c and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wheelchair.
이와 같은 휠체어의 경우에는 휠체어를 접은 상태에서도 장해물 승월장치 (50)가 좌석부(40c)의 하방의 중앙 또는 후방에 위치함으로써 교차구조로 겹쳐지고, 충분히 접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접은 상태의 휠체어가 불안정하게 되어 넘어지는, 접었을 때의 휠체어의 폭이 넓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In the case of such a wheelchair, even when the wheelchair is folded,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is located at the center or the rea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40c and overlaps in a cross structure, and may not be fully folded. In such a case,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wheelchair in the folded state becomes unstable, and that the wheelchair becomes wide when folded.
따라서, 교차구조와 장해물 승월장치(50)가 겹쳐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장해물 승월장치(50)를 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으면 좋다. 이 경우를 이어서, 설명한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crossover structure and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from overlapping,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may be rotated forward. This case will be described next.
횡단프레임(60)의 장해물 승월장치(68)는 추가로 회동 접합부(67)에 끼워넣어지고, 전후로 장해물 승월장치 접합부(68) 및 횡단프레임 접합부(69)를 회전시킬 수 있다.The obstacle climbing device 68 of the transverse frame 60 is further inserted into the pivot joint 67, and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joint 68 and the transverse frame joint 69 can be rotated back and forth.
또한, 장해물 승월장치(68)는 돌기부(73)를 갖고 있고, 회동 접합부(67)에는 역 コ자형상(또는 コ자형상)의 회전홈(74)을 형성하고, 상기 돌기부(73)가 상기 회전홈(74)을 따라서 전후로 회전할 수 있게 되도록 한다. 도 39에 이 경우의 장해물 승월장치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68 has a protrusion 73, and the rotating joint 67 forms an inverted U-shaped (or U-shaped) rotating groove 74, and the protrusion 73 is the above-mentioned. It is to be able to rotate back and forth along the rotary groove (74). Fig. 39 shows an obstacle climbing device in this case.
휠체어를 접을 때에는 신장핀(70)을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횡단프레임 결합부(69)의 일부가 장해물 승월장치 접합부(68) 중에 끼워넣어지므로 횡단프레임(60)의 길이가 일시적으로 휠체어의 폭보다 짧게 된다. 신장핀(70)을 이용자또는 보호자가 잡은 채, 신장핀(70)을 상방으로 잡아 올림으로써 접합점(X)을 지점으로 하여 횡단프레임(60)이 상방으로 회동한다. 이 때에 추가로 장해물 승월장치 접합부(68)를 회전홈(74)의 역 コ자형상을 따라서 후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돌기부 (73)가 회전홈(74)의 역 コ자형상을 따라 이동되어 장해물 승월장치(50)가 전방으로 회전하여 이동한다. 즉, 장해물 승월장치 접합부(68)를 우측방향으로 어긋나게 하고, 돌기부(73)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 때에 장해물 승월장치 접합부 (68)를 후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보조륜(55)을 포함하는 장해물 승월장치(50)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장해물 승월장치 접합부(68)가 회전홈(74)를 따라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서, 장해물 승월장치(50)가 전방으로 고정되게 된다.When folding the wheelchair, by moving the extension pin 70 to the left side, a part of the transverse frame coupling part 69 is inserted into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joint 68, so that the length of the transverse frame 60 is temporari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wheelchair. It will be short. While holding the extension pin 70 by the user or guardian, the transverse frame 60 rotates upward with the joining point X as the point by lifting the extension pin 70 upward. At this time,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junction portion 68 is further rotated backward along the inverted U-shape of the rotary groove 74, so that the protrusion 73 moves along the inverted U-shaped shape of the rotary groove 74, thereby preventing the obstacle multiplier. 50 rotates and moves forward. That is,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junction part 68 is shifted to the right direction, and the projection part 73 can move back, At this time, the obstacle containing the auxiliary wheel 55 by rotating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junction part 68 backwards. Since the climbing device 50 moves forward,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junction 68 moves to the left along the rotary groove 74. As a result,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is fixed forward.
이상과 같은 과정을 경유한 후에 신장핀(70)을 이용자 또는 보호자가 잡은 채, 신장핀(70)을 상방으로 잡아 올림으로써 접합점(X)을 지점으로 하여 횡단프레임(60)이 상방으로 회동한다. 횡단프레임(60)이 지지핀(72)의 위치까지 회동하고, 지지핀(72)에 횡단프레임 결합부(69)를 통함으로써 횡단프레임(60)을 상방에 건다. 지지핀(72)에 횡단프레임 결합부(69)를 통할 때에는 신장핀(70)을 조금전 이동한 좌측에서부터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횡단프레임 결합부(69)가 탄성체(도시않함) 등의 작용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까지 돌아가고, 횡단프레임(60)도 원래의 길이(휠체어의 폭)까지 돌아온다. 따라서, 지지핀(72)으로 횡단프레임(60)을 걸 수 있게 된다. 또한, 장해물 승월장치(50)가 전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휠체어의 교차구조와 접촉하는 일이 없고, 종래와 동일하도록 휠체어를 접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접은상태의 휠체어를 도 38에 나타낸다.After passing through the process described above, the transverse frame 60 rotates upward with the junction point X as a point by pulling the extension pin 70 upward while the extension pin 70 is held by the user or guardian. . The transverse frame 60 rotates to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in 72, and the transverse frame 60 is fastened upward by the transverse frame coupling portion 69 through the support pin 72. When the transverse frame coupling portion 69 passes through the support pin 72, the transverse frame coupling portion 69 is moved by the action of an elastic body (not shown) by moving the extension pin 70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The traverse frame 60 also returns to its original length (width of the wheelchai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hang the transverse frame 60 with the support pin 72. In addition, since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is located in the front, the wheelchair can be folded so that i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structure of the wheelchair, and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one. The wheelchair in the folded state is shown in FIG.
휠체어를 접은 상태에서 펼쳐서 장해물 승월장치(50)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조작을 역으로 하면 좋다. 즉, 지지핀(72)에 걸려져 있는 횡단프레임 (60)을 신장핀(72)을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횡단프레임 결합부(69)의 일부가 장해물 승월장치 접합부(68) 중에 끼워넣어지고, 횡단프레임(60)의 길이가 휠체어의 폭보다 짧게 된다. 이 상태에서 횡단프레임(60)은 지지핀(72)의 걸림에서 떨어지게 된다.If you want to use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in a state where the wheelchair is folded, the above operation may be reversed. That is, since the transversal frame 60 hung on the support pin 72 moves the elongation pin 72 to the left direction, a part of the transverse frame coupling part 69 is inserted into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joint 68, The length of the transverse frame 60 is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wheelchair. In this state, the transverse frame 60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of the support pin 72.
지지핀(72)으로부터 떨어진 횡단프레임(60)을 하방으로 회동하고, 수평으로 되는 위치의 바로앞까지 이동한다. 이동후에 장해물 승월장치 접합부(68)를 회전홈 (74)의 역 コ자형상을 따라서 전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돌기부(73)를 회전홈(74)의 역 コ자형상을 따라서 이동시키고, 장해물 승월장치(50)가 후방으로 회전하여 이동한다. 즉, 장해물 승월장치 접합부(68)를 우측방향으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돌기부 (73)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이 때에 장해물 승월장치 접합부(68)를 전방으로 회전시킨다. 전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보조륜(55)을 포함하는 장해물 승월장치(50)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장해물 승월장치 접합부(68)를 회전홈(74)을 따라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서, 장해물 승월장치(50)가 후방에 고정되게 된다.The transverse frame 60 away from the support pin 72 is rotated downward and moved to the front of the horizontal position. After moving,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joining portion 68 is moved forward along the inverted U-shape of the rotary groove 74 to move the projection 73 along the inverted U-shape of the rotary groove 74, thereby preventing the obstacle multiplier ( 50) rotates backward and moves. That is, since the protrusion 73 can move forward by shifting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joint 68 in the right direction,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joint 68 is rotated forward. Since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including the auxiliary wheels 55 is moved to the rear by rotating forward,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joining unit 68 moves to the left along the rotary groove 74. As a result,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is fixed to the rear side.
이 후에 신장핀(70)을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횡단프레임 결합부(69)의 일부를 장해물 승월장치 접합부(68) 중에 끼워넣어 횡단프레임(60)의 길이를 휠체어의 폭보다 짧게 한다. 이 상태에서 횡단프레임(60)을 수평으로 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신장핀(70)을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횡단프레임 결합부(69)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횡단프레임 베어링부(65)와 결합시킨다. 이로써, 횡단프레임 (60)을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조작을 이용자 또는 보호자가 함으로써 도 20에 나타낸 상태로 할 수 있게 되고, 실시예3 또는 실시예4의 조작을 함으로써 장해물 승월장치(5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reafter, by moving the extension pin 70 to the left direction, a portion of the transverse frame coupling portion 69 is inserted into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joint 68 so that the length of the transverse frame 60 is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wheelchair. In this state, the transverse frame 60 is moved to a horizontal position, and the transverse frame coupling portion 69 is moved to the right direction by moving the extension pin 70 in the right direction to engage with the transverse frame bearing portion 65. Let's do it. Thereby, the transverse frame 60 can be kept horizontal. Such operation allows the user or protector to be in the state shown in FIG. 20, and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can be used by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r the fourth embodiment.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장해물 승월장치의 탄성체(56)는 피벗점(A)에 걸어서 끼워져 있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피벗점(A)뿐만 아니라 지지프레임 (51), 횡단프레임(60)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 상태를 도 40에 나타낸다. 이 경우, 탄성체(56)의 지지프레임(51) 또는 횡단프레임(60)이 걸려서 끼워져 있는 점을 피벗점(E) 및 피벗점(D)으로 하면 전방 차륜(35)이 부상한 상태이고, 보조차륜 (55)이 단차부(Z)에 접촉한 경우에는 피벗점(A)과 피벗점(B)을 연결하는 가상선(α)과 피벗점(E)과 피벗점(D)을 연결하는 가상선(γ)에 있어서 가상선(γ)이 가상선(α)보다 전방(단면도에서는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피벗점 (E)과 피벗점(D)을 연결하는 탄성체(56)의 장력에 의해서 장해물 승월장치가 원래대로 돌아오지 않도록 저지하고 있게 된다. 이 상태를 도 41에 나타낸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lthough the elastic body 56 of the obstacle climbing apparatus is demonstrated when it is hooked on the pivot point A, it connects to not only the pivot point A but the support frame 51 and the transverse frame 60. You may be. This state is shown in FIG. In this case, when the point where the support frame 51 or the transverse frame 60 of the elastic body 56 is hooked is set to the pivot point E and the pivot point D, the front wheel 35 is in a floating state, When the wheel 55 is in contact with the stepped portion Z, the virtual line α connecting the pivot point A and the pivot point B and the virtual point connecting the pivot point E and the pivot point D In the line γ, the virtual line γ is located in front of the virtual line α (right side in cross section). In this state,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is prevented from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tension of the elastic body 56 connecting the pivot point E and the pivot point D. FIG. This state is shown in FIG.
이 상태에서 추가로 휠체어를 전방으로 밀어서 전진시키면 보조륜(55)이 단차부(Z)에 의해서 그 전진이 저지되고, 보조륜(55)은 후방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작용한다. 즉, 피벗점(D)이 가상선(α)<즉, 가상선(γ)이 가상선(α)>보다 후방(단면도에서는 좌측)으로 된 순간에 탄성체(56)의 장력의 방향변화에 수반하여 장해물 승월장치(50)가 자동적으로 후방으로 돌아간다. 또한, 전방 차륜(35)은 단차부(Z)의 상부에 설치함과 아울러 보조륜(55)은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할 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wheelchair is further pushed forward, the auxiliary wheel 55 is prevented from moving forward by the step portion Z, and the auxiliary wheel 55 acts to move backward. That is, at the moment when the pivot point D becomes the virtual line α (that is, the virtual line γ becomes behind the virtual line α) (left side in cross section), it is accompanied by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tension of the elastic body 56.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rear side. In addition, the front wheel 35 is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tep portion Z, and the auxiliary wheel 55 can be in a state away from the ground.
[실시예6]Example 6
또한, 실시예1에서부터 실시예5까지 상술한 장해물 승월장치(50) 및 이것을 구비하는 휠체어를 설명하였지만 휠체어를 이용하는 것은 병들어 누워 있는 상태의 고령자, 병자, 다리가 불편한 사람 등이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and the wheelchair provided with the above-mentioned were explained from Example 1 to Example 5, the wheelchair may be used by an elderly person, a sick person, an uncomfortable person, etc. in a sick state. .
이와 같은 사람들을 일손을 들이지 않고, 또한, 막대한 설비, 많은 비용 등을 이용하지 않고 기분좋게 입욕시키는 것도 과제의 하나로 되어 있고,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이 일본 특개2001-112837호 공개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개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발명은 휠체어의 상부를 말하자면 침대나 들것과 같이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입욕할 수 있는 휠체어, 입욕조 및 입욕조를 탑재반송할 수 있는, 또한, 입욕할 수 있는 입욕차 및 이들의 2자 또는 3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입욕 시스템이다.It is also one of the problems to bathe such people comfortably without using their hands and using enormous equipment, large costs, etc., and an inven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is disclosed i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1-112837. .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is publication discloses an upper part of a wheelchair, such as a bed or a stretcher, so that a wheelchair, a bath, and a bath, which can be easily bathed, can be carried back, and a bath can be bathed. It is a bathing system which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these 2 or 3 characters.
상기 공개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휠체어를 이용할 때에 있어서도 그 이동이 필요하게 되고, 단차 등의 장해물을 타고 넘을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실시예1에서부터 실시예5까지 상술한 장해물 승월장치(50)를 상기 공개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휠체어에 구비함으로써 용이하게 장해물을 타고 넘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침대와 같이 이용자가 위를 보는 상태로 하고 있는 경우에는 장해물을 타고 넘는 것이 곤란하므로 본 발명의 장해물 승월장치(50)를 구비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이하에 이 경우의 구체적의 예를 상술한다.Even when using the wheelchair disclosed in the above publication, the movement is necessary, and it is necessary to ride over obstacles such as a step. Therefore, by providing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described above from the first embodiment to the wheelchair disclosed in the above public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ride the obstacle. In particular, when the user is in a state of looking upwards, such as a bed, it is difficult to ride over the obstacle, so it is very effective to provide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w, the specific example in this case is explained in full detail.
휠체어(100)는 기본적으로는 받침대(109) 및 대차(108)로 이루어진다. 대차 (108)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전방부에 상대적으로 작은 차륜<전방 차륜 (162)>, 후부에 상대적으로 큰 차륜<주차륜(163)>을 갖고, 또한, 장해물 승월장치 (50)가 장착되어 있다. 이 장해물 승월장치(50)는 실시예1 내지 실시예4 중 어느 하나와 같이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즉, 지지프레임(51)이 받침대(109)로부터 하방으로 접합되어 있는 경우(실시예1 및 실시예2), 대차(108)에 횡단프레임(60)을 설치하고, 지지프레임(51)이 횡단프레임(60)에 접합되어 있는 경우(실시예3 내지 실시예5) 중 어느 하나이어도 좋다. 받침대(109)는 발부, 시트부 (106) 및 등부로 이루어진다. 발부는 발판부(102) 및 발받침부(101)로 이루어지고, 등부는 등받이부 (104), 슬라이드 스트로크부(103), 머리받침매트부(105) 및 필요에 따라서 손잡이부(107)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2에 그 외관을 나타낸다.The wheelchair 100 basically consists of a pedestal 109 and a trolley 108. The trolley 108 has a relatively small wheel <front wheel 162> in the front part and a relatively large wheel <parking wheel 163> in the rear part to facilitate the movement, and furthermore,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Is equipped.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may be mounted as in any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That is, when the support frame 51 is joined downward from the pedestal 109 (Example 1 and Example 2), the transverse frame 60 is installed in the trolley 108, and the support frame 51 crosses. Any one of the cases (Examples 3 to 5) may be bonded to the frame 60. The pedestal 109 consists of a foot, a seat portion 106 and a back portion. The foot is composed of the footrest 102 and the footrest 101, and the back is the backrest 104, the slide stroke 103, the headrest mat 105 and, as necessary, the handle portion 107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external appearance is shown in FIG.
도 22는 휠체어를 통상의 휠체어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전형적인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휠체어(100)는 받침대(109)와 대차(108)로 이루어져 있다. 대차(108)는 전방 차륜(162), 주차륜(163)을 파이프, コ자형상의 프레임 등으로 서로 연결하여 성형되어 있다. 받침대(109)을 탑재하는 상부(164)는 コ자형상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고, 받침대에 설치된 롤러(112)를 상기 コ자형상 프레임에 삽입하고, 상기 프레임을 받침대 롤러(112)가 이동함으로써 대차(108) 상에서 받침대(109) 자신을 이동시킬 수 있다. 받침대(109)를 대차(108)에 고정하기 위하여 잠금레버(111)가 상부(164)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등받이부(104)의 선단 부근에 롤러(1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롤러는 상기 휠체어(100)의 받침대 (109)가 욕조(121)에 들어갈 때에유용한 것이다.Fig. 22 shows a typical form when the wheelchair is used as a normal wheelchair. The wheelchair 100 is composed of a pedestal 109 and a cart 108. The trolley | bogie 108 is shape | molded by connecting the front wheel 162 and the parking wheel 163 with a pipe, a U-shaped frame, etc., mutually. The upper portion 164 on which the pedestal 109 is mounted consists of a U-shaped frame, and the roller 112 installed in the pedestal is inserted into the U-shaped frame, and the pedestal roller 112 moves to move the bogie ( The pedestal 109 itself may be moved on 108. In order to fix the pedestal 109 to the trolley 108, a locking lever 111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164. Moreover, the roller 117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front-end | tip of the backrest part 104. As shown in FIG. This roller is useful when the pedestal 109 of the wheelchair 100 enters the bath 121.
받침대(109)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발부, 시트부(106) 및 등부로 이루어지고, 발부는 발판부(102) 및 발받침부(101)로 이루어지고, 등부는 등받이부(104), 손잡이부(107), 슬라이드 스트로크부(103) 및 머리받침매트부(105)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서로의 접속점, 113, 114, 115 및 116에서 각도가 변할 수 있고, 원하는 각도로 잠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각도의 조정 및 고정은, 예컨대, 잠금기능이 있는 경첩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받침대(109)는 입욕시 물 안에 들어가므로 입욕후 욕조로부터 나왔을 때에 물기를 잘 빼기 위하여 네트 상의 매트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은 네트 사이로부터 아래로 떨어져서 매트 상에는 남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형태는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22의 형태에서 장해물 승월장치(50)를 갖는 통상의 휠체어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까지도 없다. 이 때, 받침대(109) 상에 적절히 방석이나 매트를 둠으로써 쾌적한 기분으로 앉을 수 있다.The pedestal 109 is formed of the foot, the seat 106 and the back as described above, the foot is composed of the footrest 102 and the footrest 101, the back portion 104, the handle portion 107, the slide stroke portion 103 and the headrest mat portion 105 is preferable. They can vary in angle at the junctions 113, 114, 115 and 116 of each other and are adapted to lock at the desired angle. Adjustment and fixing of an angle can be performed by the hinge with a locking function, for example. Since the pedestal 109 enters the water during bathing, it is preferable to have a mat on the net to drain water well when coming out of the bath after bathing. Water should fall down between the nets and not remain on the mat. This form is as shown in FIG.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can also be used as a normal wheelchair having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in the form of FIG. 22.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sit in a comfortable mood by appropriately placing a cushion or a mat on the pedestal 109.
도 23은 받침대(109)를 수평으로 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슬라이드 스트로크부(103)는 머리받침매트부(105)에 접속하고, 머리받침매트부(105)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등받이부(104)에 출입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받침대(109)는 대차 (108)에서 롤러(112) 등을 통해서 대차(108) 상을 이동할 수 있다. 휠체어(100)의 받침대(109)를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받침대(109)를 들것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예컨대, 병자, 병들어 누워 있는 사람을 받침대 (109)에 눕힌 상태로 대차 (108)를 이동시킴으로써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이동시에 장해물이 있을 경우에는 장해물을 타고 넘기 위하여 전방 차륜(162)을 잡아 올리는 것에 의존해야만 한다.23 shows a state where the pedestal 109 is horizontal. The slide stroke portion 103 is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headrest mat portion 105 and to enter and exit the backrest portion 104 so that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mat portion 105 can be adjusted. The pedestal 109 can move on the bogie 108 through the roller 112 or the like in the bogie 108.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stand 109 as a lifter in a state where the stand 109 of the wheelchair 100 is leveled. That is, for example, a sick person or a sick person can be conveyed by moving the trolley | bogie 108 in the state lying on the pedestal 109. FIG. Therefore, if there is an obstacle during this movement, it must rely on lifting up the front wheel 162 to ride over the obstacle.
또한, 이와 같은 병자나 병들어 누워 있는 사람을 눕힌 상태로 전방 차륜 (162)을 잡아 올리는 것은 매우 곤란하며, 또한, 안정감이 부족하기 때문에 횡으로 구르기 등이 쉽다. 그래서, 대차(108)에 접속한 장해물 승월장치(50)를 실시예1 내지 실시예5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장해물을 용이하게 타고 넘고, 또한, 횡으로 구르는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장해물 승월장치(50)의 사용방법은 실시예1에서부터 실시예5까지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Moreover, it is very difficult to pull up the front wheel 162 in such a state as to lay down such a sick person or a sick person, and since it lacks a sense of stability, it is easy to roll sideways. Thus, by using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connected to the trolley 108 in any one of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easily ride the obstacle and to prevent it from rolling laterally. . Since the method of using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is the same as in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또한, 여기에서는, 슬라이드 스트로크부(103)는 등받이부(104)에 신축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전후의 이동을 가능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드 스트로크부(103)에서 등받이부(104)에 접속하는 부분에 홈을 형성하고, 그 한점을 나사 등으로 체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후, 좌우 및 전후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머리받침매트부 (105), 즉, 슬라이드 스트로크부(103), 예컨대, 도 33과 같이 잠금부(181)로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e stroke part 103 is installed in the backrest part 104 so that expansion and contraction is possible, and it can move back and forth. In addition, a groove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slide stroke portion 103 connected to the backrest portion 104, and one point can be fastened with a screw or the like to move back, front, left, right, left, and right. The headrest mat portion 105, that is, the slide stroke portion 103, for example, it can be fixed by the locking portion 181 as shown in FIG.
또한, 휠체어(100)의 등받이부(104)는 받침대(109)에 올라 탄 사람에 따라서, 또는, 필요한 작업에 따라서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5는 휠체어 (100)가 욕조에 들어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점선은 입욕시의 등받이부(104)의 상태, 또한, 실선은 입욕조에 들어가기 전의 등받이부(104)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손잡이부(107)는 입욕시는 입욕시의 손잡이부로 된다.In addition, the backrest 104 of the wheelchair 100 can change the angle depending on the person riding on the pedestal 109 or according to the required work. For example, FIG. 25 shows a state where the wheelchair 100 enters the bathtub. The dotted line shows the state of the backrest part 104 at the time of bathing, and the solid line shows the state of the backrest part 104 before entering a bath. The handle part 107 becomes a handle part at the time of bathing.
상기 휠체어(100)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 33에 나타낸다. 이 휠체어의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도 22에서 설명한 것에다가 기능을 추가한 것으로 되어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wheelchair 100 is shown in FIG. 33. This wheelchair configuration basically adds a function to that described in FIG. 22.
상기 휠체어(100')는 대차(108') 및 받침대(109')로 이루어지고, 대차는 전방 차륜(162)과 주차륜(163)을 휠체어 프레임(180)으로 연결하고, 상기 휠체어 프레임(180)에는 유압기(17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대차(108')의 휠체어 프레임 (180)에는 상기 휠체어(100)와 마찬가지로 장해물 승월장치(50)가 장착되어 있다. 이 장해물 승월장치(50)는 휠체어 프레임(180)으로부터 하방으로 접합되어 있다.The wheelchair 100 'includes a trolley 108' and a pedestal 109 ', and the trolley connects the front wheel 162 and the parking wheel 163 to the wheelchair frame 180, and the wheelchair frame 180 ), The oil press 170 is installed. In addition,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is mounted on the wheelchair frame 180 of the cart 108 'similarly to the wheelchair 100.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is joined downward from the wheelchair frame 180.
유압기(170)의 상부는 슬라이드 프레임(171)에 접속되어 있고, 이 슬라이드 프레임(171)에는 받침대(109')에 설치된 롤러(85)가 들어가고, 받침대(109')가 전후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롤러(85)는 잠금레버(183)에 의해서 고정할 수 있다. 유압기(170)는 형상이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유압실린더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형상의 실린더케이스(177)에 배치되어 있다. 유압실린더의 작용으로 휠체어(100')의 받침대(109')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유압기레버(178)로 받침대(109')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것은 유압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전동타입의 승강기 등의 동력으로 승강시키는 것이나 인력으로 승강시키는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유압기(170)의 확대도를 도 37에 나타낸다.The upper part of the oil pressure machine 170 is connected to the slide frame 171, and the roller 85 provided in the pedestal 109 'enters into this slide frame 171, and the pedestal 109' can move back and forth. . The roller 85 can be fixed by the locking lever 183. Since the oil press 170 is cylindrical in shape, the oil press 170 is disposed in the cylindrical cylinder case 177 to prevent rot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The pedestal 109 'of the wheelchair 100' can be moved up and down by the ac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The height of the pedestal 109 ′ may be adjusted by the hydraulic lever 178. This is not limited to the oil pressure machine, and it is also possible to use elevating by an electric power such as an electric type elevating machine or by elevating by an attractive force. 37 is an enlarged view of the oil press 170.
받침대(109')는 발부, 시트부(106) 및 등부로 이루어지고, 발부는 발판부 (102) 및 발받침부(101)로 이루어지고, 등부는 등받이부(104), 슬라이드 스트로크부(103), 머리받침매트부(105) 및 필요에 따라서 손잡이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은 서로의 접속점에서 각도가 변할 수 있고, 원하는 각도로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머리받침매트부(105)는 슬라이드 스트로크부(103)를 통해서 슬라이드부(175)(도 35)를 전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드 스트로크부(103)는 슬라이드부 (175)에 있어서 슬라이드부 잠금부(181)에 의해서 머리받침매트부(105)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The pedestal 109 'consists of the foot, the seat 106 and the back, the foot consists of the footrest 102 and the footrest 101, the back of the back 104, the slide stroke 103 ), The headrest mat portion 105 and the handle portion as necessary. They can be varied in angle at each other's connection point and can be fixed at a desired angle. The headrest mat part 105 can move the slide part 175 (FIG. 35)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through the slide stroke part 103. FIG. The slide stroke portion 103 can fix the headrest mat portion 105 to a desired position by the slide portion locking portion 181 in the slide portion 175.
시트부(106)의 하부에는 롤러(174)를 설치하고, 이 롤러(174)가 대차 슬라이드 프레임(171) 위, 시트부(106) 아래에 받침대(109')에 직각방향으로 설치한 프레임(176)을 따라서 움직임으로써 시트받침대를 좌우(도면에서는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부분을 확대하여 도 34에 나타낸다. 이 때, 좌우의 이동을 잠그기 위한 잠금레버(179)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176)은 좌우의 프레임을 전후의 프레임 (186)으로 고정하고 있는 외에는 대차(108')에도 받침대(109')에도 고정되어 있지 않고, 롤러(174)에 의해 지지된다.The roller 174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sheet | seat part 106, and the frame which this roller 174 installed in the orthogonal direction to the base 109 'on the bogie slide frame 171 and under the sheet | seat 106 ( By moving along 176, the seat rest can be moved left and right (up and down in the drawing). This part is enlarged and shown in FIG. At this time, a locking lever 179 for locki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s is provided. The frame 176 is not fixed to the trolley | bogie 108 'nor the pedestal 109' except having fixed the left and right frames by the front and back frame 186, and is supported by the roller 174.
슬라이드 프레임(171)은 コ자형상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프레임에 롤러(182,184,185) 등이 설치되고, 이 롤러 등을 コ자형상 슬라이드 프레임(171)에 삽입하여 이 프레임을 롤러가 이동함으로써 대차(108') 상에서 받침대 (109') 자신을 전후(도면에서는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이받침(109')을 대차(108')에 고정하기 위하여 잠금레버(183)가 대차(108')에 설치되어 있다(도 36).The slide frame 171 is composed of a U-shaped frame, and rollers 182, 184, 185 and the like are installed in the frame, and the rollers are inserted into the U-shaped slide frame 171 to move the frame to the bogie ( 108 'may move the pedestal 109' itself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in the figure). A locking lever 183 is provided in the trolley 108 'to fix the die support 109' to the trolley 108 '(FIG. 36).
도 33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휠체어는 물론, 도 22의 실시형태의 휠체어와 마찬가지의 사용이 가능하다. 도 33에 나타낸 휠체어는 손잡이부를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물론 손잡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33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받침대(109')를 전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라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받침대 (109')를 유압기(170) 등으로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고, 편리하게 휠체어를사용할 수 있다. 받침대(109')의 좌우로의 이동은 특히 휠체어(100')를 수평상태로 하여 병자 등을 휠체어(100')로부터 침대로 또는 침대에서 휠체어(100')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유효하다. 또한, 이 이동시에 단차나 문턱 등의 장해물이 있는 경우에는 휠체어 프레임(180)의 하부에 장착된 장해물 승월장치(50)를 사용함으로써 용이하게 타고 넘을 수 있게 된다.As well as the wheelchair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3, the use similar to the wheelchair of the embodiment of FIG. 22 is possible. Although the wheelchair shown in FIG. 33 does not show a handle part, it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part.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3, the pedestal 109 ′ can be moved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In addition, the pedestal 109 'can be lifted up and down by the oil press 170 and the like, and a wheelchair can be conveniently used. The movement of the pedestal 109 'to the left and right is particularly effective when the wheelchair 100' is moved in a horizontal state to move the sick person or the like from the wheelchair 100 'to the bed or from the bed to the wheelchair 100'. In addition, when there is an obstacle such as a step or a threshold during this movement, it is possible to easily ride over by using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50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wheelchair frame 180.
이어서, 휠체어에 탄 상태로 욕조에 들어가고, 그 후 입욕하는 상황에 관해서 설명한다. 입욕하는 사람은 수평으로 한 받침대에 누운 상태, 또는,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등받이부(104)를 약간 위로 수용하고, 슬라이드 스트로크부(103)를 등받이부(104)에 넣어서 머리의 위치를 하방으로 비키어 두고, 발받침부(101), 발판부(102)를 수평으로 한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 대차를 욕조의 위치로 이동시킨다.Next, the situation in which the user enters the bathtub while in a wheelchair and bathes afterwards will be described. The person bathing receives the backrest part 104 slightly upward as shown in FIG. 4 in the state lying on the horizontal support | restor, or sitting in a wheelchair, and puts the slide stroke part 103 in the backrest part 104, The position is set downward, and the footrest part 101 and the footrest part 102 are made into the horizontal state. In this state, the bogie is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bathtub.
도 24에 욕조(121)의 개요를 나타낸다. 욕조(121)의 타단, 이 경우는 도면을 향하여 우방향의 단부는 개폐가능하게 되어 있다. 욕조(121)의 바닥부에 레일(122)이 좌우로 1개씩, 머리부에 레일(123)이 좌우로 1개씩 설치되어 있다. 도면을 향하여 좌단은 입욕하는 사람의 머리가 위치하는 머리세정부(138)이다. 이 부분은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레일(123)은 욕조 바닥부로부터 경사지게 위로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욕조(121)의 바닥 및 머리세정부(138)에는 배수구멍(133,132)이 형성되어 있다. 욕조(121)의 측면 거의 중앙부에 물통로(128)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욕조에 휠체어를 도입할 때에 도 24에서는 레일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외에 롤러나 홈을 이용할 수도 있다.The outline of the bathtub 121 is shown in FIG. The other end of the bath 121, in this case, is openable to the end in the right direction toward the drawing. The rail 122 is provided in the bottom part of the bathtub 121 one by one from side to side, and the rail 123 is provided in the head part by one from side to side. The left end toward the figure is the head washing machine 138 in which the head of the bathing person is located. Since this part is in a high position, the rail 123 is provided inclined upwardly from the bathtub bottom part. Drainage holes 133 and 132 ar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bath 121 and the head washing unit 138.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passage 128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ide surface of the bathtub 121. Although a rail is used in FIG. 24 when introducing a wheelchair into a bath, not only this but a roller and a groove | channel can also be used.
물통로(128)는, 예컨대, 스테인레스제 판을 L자형상으로 하여 욕조(121)에 설치한 것이므로 스테인레스판과 욕조 사이에 온수를 통할 수 있다. 상기 판은 반듯시 스테인레스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철제, 알루미늄 등의 다른 금속이여도 좋다. 상기 판은 동시에 욕조의 보강의 역할도 한다. 물통로(128)에 있어서의 욕조에는 급탕노즐(129)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은 온수를 급탕노즐로부터 분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물통로(128)의 상황은 도 29에 나타내고 있다. 또한, 욕조(121)는 욕조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하여 욕조리프트(124,140) 상에 탑재되어 있다.The water passage 128 is, for example, provided with a stainless steel plate in an L-shape and installed in the bath 121, so that hot water can pass between the stainless steel plate and the bath. The plate is not limited to stainless steel, but may be other metal such as iron or aluminum. The plate also serves as a reinforcement of the bath at the same time. The hot water nozzle 129 is provided in the bathtub in the water passage 128. These are for spraying hot water from the hot water supply nozzle. The situation of the water passage 128 i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tub 121 is mounted on the tub lifts 124 and 140 to move the tub.
도 26은 욕조(121)에 받침대가 도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받침대의 롤러 (117)는 레일(123)에 들어가고, 동일 롤러(112)는 레일(122)에 들어가므로 받침대 (109)가 욕조(121)에 도입되어 있다. 손잡이부(107)는 입욕시 손으로 파지하는 것으로 된다. 대차(108)는 받침대(109)와 떨어져서 욕조(121) 아래에 대기하는 상태로 된다. 욕조(121)는 리프트(124) 상에 탑재되고, 상하이동이 가능하며 입욕하는 사람, 보호하는 사람의 체격에 맞추어서 욕조의 높이를 조절하고, 작업하기 쉬운 상태로 한다.FIG. 26 shows a state in which a pedestal is introduced into the bath 121. The roller 117 of the pedestal enters the rail 123, and the same roller 112 enters the rail 122, so the pedestal 109 is introduced into the bath 121. The handle 107 is to be gripped by hand when bathing. The trolley 108 is separated from the pedestal 109 to be in a state of waiting under the bath 121. The bathtub 121 is mounted on the lift 124, and can be moved to Shanghai, and adjust the height of the bathtub in accordance with the physique of the person bathing, protector, and makes it easy to work.
욕조 개폐부(125)를 개방한 상태를 도 27(A)에 나타내고 있다. 도 27(B)는 욕조(121)의 바닥부를 나타낸 것이다. 욕조(121)의 바닥에는 레일이 2개 설치되어 있고, 받침대(109)의 롤러가 상기 레일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욕조 개폐부 (125)는 힌지부재(131)에 의해 개폐된다. 폐쇄하였을 때에는 누수가 없도록 고무패킹이 플랜지(141)면에 적용되고, 또한, 잠금부재(130)에 의해 잠겨진다.The state which opened the bathtub opening-and-closing part 125 is shown to FIG. 27 (A). 27B shows the bottom of the bath 121. Two rails are provided in the bottom of the bathtub 121, and the roller of the base 109 enters the said rail. The tub opening and closing part 125 is opened and closed by the hinge member 131. When closed, rubber packing is applied to the flange 141 surface so as to prevent leakage, and is also locked by the locking member 130.
도 24에 있어서 욕조 개폐부(125)를 개방하고, 도면을 향하여 우방향으로부터 받침대(109)를 대차(108)에 태운 상태로 욕조(121)에 접근하고, 받침대 (109)만을 욕조 내에 이동시킨다. 대차(108)는 입욕중은 욕조 아래에서 대기한다. 도 27(A)에 있어서 대차(109) 상의 받침대(108)의 롤러(112)가 욕조 (121)의 레일 (122)로 이동할 수 있도록 욕조(121)를 욕조리프트로 상하이동시키고, 대차(108)를 적절히 이동시켜 대차 상부(164)와 레일(122)의 위치를 일치시키면 받침대롤러 (112)는 용이하게 욕조레일(122)로 이동하여 받침대(109)를 욕조(121) 내로 들어갈 수 있다. 레일(122)은 입구, 즉, 개폐부(125)쪽을 머리세정부 (138)보다 높은 위치로 하여 두면 받침대(109)를 부드럽게 욕조 내로 도입할 수 있다.In FIG. 24, the bathtub opening-closing part 125 is opened, the bathtub 121 is approached with the pedestal 109 mounted on the trolley 108 from the right direction toward the drawing, and only the pedestal 109 is moved in the bathtub. The bogie 108 waits under the bath while bathing. In FIG. 27A, the tub 121 is moved up and down by the tub lift so that the roller 112 of the pedestal 108 on the trolley 109 can move to the rail 122 of the tub 121. By properly moving) to match the position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164 and the rail 122, the pedestal roller 112 can easily move to the bath rail 122 to enter the pedestal 109 into the bath 121. When the rail 122 is positioned at the entrance, that is,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25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head washing unit 138, the pedestal 109 can be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bathtub.
받침대(109)를 욕조(121)에 넣음에 있어서 등받이부(104)는 약간 상향의 위치로 하여 두는 것은 상기와 같다(도 25). 등받이부(104)의 선단 부근에 설치한 롤러(117)는 레일(123)에 들어가고, 받침대(109)의 욕조 진입을 돕는다. 레일 (122,123) 및 대차 상부(164)는 コ자형상의 형상을 하고 있고, コ자 중에 롤러 (117)가 들어가도록 된다. 단, 레일(123)은 도중까지는 L자형상이고, 그 앞이 コ자형상으로 되어 있고, 롤러(117)가 레일(123)에 들어가기 쉽도록 되어 있다. 또한, 다이받침(109)을 욕조(121)에 도입할 때, 손잡이부(107)를 머리세정부(138)로 반전 (反轉)시켜 이것을 보호자가 잡아당김으로써 받침대(109)의 이동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받침대(109)가 욕조(121) 내에 도입되면 개폐부(125)를 폐쇄하여 잠근다. 필요에 따라서 보호자 또는 입욕인의 높이에 따라서 욕조리프트의 위치를 상하이동시켜서 보호하기 쉬운 위치에 고정한다. 대차(108)는 욕조리프트의 아래에 대기시킨다.It is as above-mentioned to put the backrest part 104 in the slightly upward position in putting the pedestal 109 into the bathtub 121 (FIG. 25). The roller 117 provided near the tip end of the backrest part 104 enters the rail 123 and helps the pedestal 109 enter the bathtub. The rails 122 and 123 and the trolley | bogie upper part 164 have a U-shape shape, and the roller 117 enters in a U-shape. However, the rail 123 is L-shaped up to the middle, and the front side is L-shaped, and the roller 117 enters the rail 123 easily. In addition, when the die holder 109 is introduced into the bathtub 121, the handle 107 is reversed to the head washing unit 138 so that the guard member pulls it to further move the pedestal 109. It can be done easily. When the pedestal 109 is introduced into the bathtub 121,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25 is closed and locked. If necessary, the position of the bath lift is moved to the height of the guardian or the bather and fixed at a position where it is easy to protect. The bogie 108 waits under the tub lift.
이와 같이, 받침대(109)를 욕조(121)에 도입한 후는 통상과 같은 입욕을 행한다. 입욕하는 사람은 몸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하여 손잡이부(107)를 잡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manner, after the pedestal 109 is introduced into the bath 121, the usual bathing is per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erson taking the bath grab the handle 107 in order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the body.
이어서, 입욕차에 관해서 설명한다. 입욕차의 전체도를 도 30에 나타낸다. 입욕차(151)는 욕조(121) 및 급탕설비, 배수설비를 탑재하고, 또한, 입욕하는 사람의 갈아입을 옷 등의 입욕준비를 하는 박스(156) 및 휠체어를 욕조(121)에 도입하기 위하여 휠체어를 상하이동시키는 휠체어 리프트(157)를 갖고 있다. 박스(156)는 입욕시 이외에는 사내에 배치되고, 입욕시에는 차밖으로 밀어낸다. 박스(156)는 입욕차의 마루에 설치된 레일에 의해 차내외로의 이동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레일은 도입부재로서 레일 외에 롤러나 홈도 이용할 수 있고, 단지, 레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박스(156)는 입욕시 좁은 차내의 공간을 조금이라도 넓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입욕개시전에 입욕차의 리어게이트(154,155)를 개방하고, 차외로 밀어내고, 입욕준비실로서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갈아입을 옷, 준비체조, 그 외의 필요한 처리를 취한다. 박스(156)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입욕차의 마루면에 2개의 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입욕차의 천정에도 레일을 설치하여 박스(156)의 이동을 도울 수도 있다.Next, the bath difference will be described. 30 shows an overall view of the bathing car. The bath car 151 is equipped with a bathtub 121, a hot water supply facility, a drainage facility, and also introduces a box 156 and a wheelchair for bathing preparation, such as changing clothes of a bather, into a bathtub 121. It has a wheelchair lift 157 for moving the wheelchair. The box 156 is disposed in-house except when bathing, and is pushed out of the car when bathing. The box 156 is easily moved in and out of the car by rails provided on the floor of the bathing car. In addition to the rail, a rail and a groove can also be used as a rail, and the rail is not limited to a rail. The box 156 is intended to widen the space in the narrow car even a little when bathing. Before the start of bathing, the rear gates 154 and 155 of the car are opened, pushed out of the car, and used as a bath preparation room. Take clothes, change gymnastics and other necessary treatments. In order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box 156, two rails are provided on the floor of the bathing car. In addition, a rail may be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bathing vehicle to assist the movement of the box 156.
입욕차는 입욕하는 사람을 위해서 욕조 등의 입욕에 필요한 것을 탑재하여 이동하고, 원하는 장소에서 입욕 서비스를 할 수 있다.A bathing car can carry and move what is necessary for bathing, such as a bathtub, for a person to bathe, and can provide a bathing service at a desired place.
입욕에 있어서는 우선, 입욕차의 리어게이트(154,155)를 개방한다. 이 리어게이크(154,155)는 편측개방, 양측개방 중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좁은 장소에서 입욕을 하는 것을 전제로 하므로 양측개방으로 270도 회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욕차의 리어게이트(154,155)를 개방한 후, 휠체어 리프트(157)를 넓은 지면에 내린다. 이 상태는 도 32(A)에서 157"로 나타내져 있다. 박스(156)를 차밖으로 밀어내서 공간을 넓힌다. 박스(156)의 리어게이트(168)를 위로 올려서 개방한다. 도 32(A)에서 박스의 리어게이트(168)를 위로 올린 상태를 168"로 나타내고 있다. 지면에 내린 휠체어 리프트(157") 상에 입욕하는 사람을 태운 상태로 휠체어를 이동시킨다. 휠체어 리프트(157")를 상승시키고, 157'의 위치로 상승시켜 이 상태로 휠체어를 박스(156) 내로 이동시킨다. 또한, 이 박스(156)의 리어게이트(168)를 폐쇄한다. 박스(156) 내에서 갈아입을 옷 등의 준비를 한 후, 입욕하는 사람을 태운 휠체어를, 예컨대,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받이부(104)를 약간 높게 하여 받침대(109)를 욕조레인(122)에 접근시키고, 받침대(109)의 잠금레버(111)를 조작하고, 받침대(109)와 대차(108)의 잠금을 푼다. 최종적으로는 받침대 상부(164)의 롤러(112)가 레일(122)에 들어가고, 받침대(109)를 대차로부터 떼어내서 받침대 (109)만을 욕조(121) 내에 도입한다.In bathing, first, the rear gates 154 and 155 of the car are opened. The rear gates 154 and 155 may be any one side open or both sides open,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gates 154 and 155 can be rotated 270 degrees in both sides open. After opening the rear gates 154 and 155 of the bathing car, the wheelchair lift 157 is lowered to the wide ground. This state is indicated by 157 "in Fig. 32A. The box 156 is pushed out of the car to increase the space. The rear gate 168 of the box 156 is lifted up to open it. Fig. 32 (A) Shows that the rear gate 168 of the box is raised to 168 ". The wheelchair is moved with the person bathing on the wheelchair lift 157 "lowered to the ground. The wheelchair lift 157" is lifted up to the position of 157 'and the wheelchair is moved into the box 156 in this state. Move it. In addition, the rear gate 168 of the box 156 is closed. After preparing clothes to be changed in the box 156, a wheelchair carrying a bathing pers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5, the backrest part 104 is slightly raised, and the pedestal 109 is attached to the bathtub lane 122. ), The lock lever 111 of the pedestal 109 is operated, and the pedestal 109 and the trolley 108 are unlocked. Finally, the roller 112 of the pedestal upper part 164 enters the rail 122, removes the pedestal 109 from the trolley, and introduces only the pedestal 109 into the bathtub 121.
도 31은 박스(156)가 차밖으로 밀어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박스마루면의 약 3분의 1이 차내 마루면으로서 밀어낸 부분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휠체어 리프트(157)는 받침대(109)를 욕조에 도입한 후는 상승한 상태에 있어서 박스 (156)를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31 shows a state in which the box 156 is pushed out of the vehicle. About one third of the floor of the box supports the pushed out portion of the car floor. In addition, the wheelchair lift 157 also supports the box 156 in a raised state after the pedestal 109 is introduced into the bathtub.
이상, 장해물 승월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 입욕조 및 입욕차에 관해서 설명하였다. 이들 2자 또는 3자를 적절히 조합시켜서 효율적인 입욕 시스템을 형성할수 있다. 휠체어 및 입욕조의 양자의 조합, 휠체어, 입욕조 및 입욕차의 3자의 조합에 의해 입욕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들 입욕 시스템은 1인의 보호자로 충분히 고령자, 병자, 장해자의 입욕을 할 수 있고, 아주 효율좋은 입욕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다.In the above, the wheelchair, the bath, and the bath provided with the obstacle climbing apparatus were demonstrated. By combining these two or three characters properly, an efficient bathing system can be formed. The bathing system can be configured by a combination of both a wheelchair and a bath, and a combination of three of a wheelchair, a bath and a car. These bathing systems can bathe the elderly, the sick and the disabled in a single caregiver, and are composed of a very efficient bathing system.
이상과 같이, 실시예1에서부터 실시예6까지에 나타낸 장해물 승월장치, 이것을 구비하는 휠체어, 또는 이 휠체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한 입욕 시스템이 실현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shown in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a wheelchair provided with the obstacle, or a bathing system using the wheelchair can be realized.
실시예1에서부터 실시예4까지에는 사변형 링크와 코일스프링, 고무 등의 탄성체 등으로 토글(toggle)구조를 구성한 장해물 승월장치가 가능하게 되고, 이것을 휠체어에 구비함으로써 휠체어를 주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단차 등의 장해물에 접했을 때에 보호자 또는 이용자가 간단히 발 또는 손으로 일방향으로 조작부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장해물 승월장치의 보조륜을 하강작동시킴으로써 전방 차륜을 부상시켜서 단차 등의 장해물을 타고 넘을 수 있게 된다.From Example 1 to Example 4, an obstacle climbing device having a toggle structure made of a quadrilateral link, an elastic body such as a coil spring, rubber, etc. can be provided. When the guardian or the user is in contact with the obstacle, the guard wheel or the user can simply move the operation unit in one direction with his feet or hands to lower and operate the auxiliary wheel of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thereby injuring the front wheel and riding over obstacles such as steps.
또한, 타고 넘은 후는 상기 휠체어를 전진시키는 것만으로 탄성체의 장력에 의해 장해물 승월장치의 보조륜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으므로 아주 간단히 단차 등의 장해물을 타고 넘을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ride, the auxiliary wheel of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simply by advancing the wheelchair, and thus, it is possible to easily ride the obstacle such as a step.
또한, 실시예5에 나타낸 장해물 승월장치에서는 횡단프레임을 상방으로 회동할 수 있게 한 것이므로 휠체어 자체를 접을 수 있다. 또한, 장해물 승월장치를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함으로써 휠체어의 의자 프레임이 교차구조를갖는 경우이여도 장해물 승월장치와 교차구조의 접촉을 피하고, 종래와 같은 폭으로 접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shown in the fifth embodiment, since the traverse frame can be rotated upward, the wheelchair itself can be folded. Further, by allowing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to rotate forward from the rear, even if the chair frame of the wheelchair has a cross structure, contact between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and the cross structure can be avoided, and it can be folded in the same width as before.
또한, 실시예6에 나타낸 상기 장해물 승월장치를 구비한 휠체어를 입욕 시스템에 이용함으로써, 예컨대, 병자 등을 눕힌 상태로도 안정성을 유지한 채 입욕차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종래는 휠체어를 입욕차까지 이동할 때의 단차 등의 장해물이 있을 경우에는 종래는 병자 등을 눕힌 채로 그대로 상기 휠체어의 전방 차륜을 보호자가 부상시킴으로써 타고 넘었지만, 특히 눕힌 상태 그대로는 휠체어의 안정성이 부족하고 횡으로 구르는 등의 위험이 있었지만 장해물 승월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안정성을 유지한 채로 휠체어를 입욕차까지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휠체어 자체는 통상의 휠체어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 외에도, 부상자를 실어 나르는 들것으로서의 기능, 입욕하는 기능도 가지며, 또한, 받침대를 수평으로 할 수도 있고, 휠체어에 타는 사람의 신장에 맞추어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을 갖고 있다.Further, by using the wheelchair equipped with the obstacle climbing device shown in Example 6 in the bathing system, for example, the wheelchair can be moved to the bathing car while maintaining stability even when the sick person is lying down. Conventionally, when there is an obstacle such as a step when moving a wheelchair to a bathing car, in the past, the front wheel of the wheelchair was injured as the guardian injured while lying on the sick person, but in particular, the wheelchair stability is insufficient as it lies down. However, there was a risk of rolling sideways and the like, but by providing an obstacle climbing device, the wheelchair can be easily moved to the bathing car while maintaining stability. In addition to having a function as a normal wheelchair, the wheelchair itself also has a function as a stretcher for carrying injured people and a bathing function. The wheelchair can also be leveled and its length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erson in the wheelchair. It can have such features.
Claims (2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2-00145392 | 2002-05-20 | ||
JP2002145392A JP2003334216A (en) | 2002-05-20 | 2002-05-20 | Wheelchair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0273A Division KR101032035B1 (en) | 2002-05-20 | 2010-05-28 | Bath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14176A true KR20040014176A (en) | 2004-02-14 |
KR101017280B1 KR101017280B1 (en) | 2011-02-28 |
Family
ID=297047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32060A KR101017280B1 (en) | 2002-05-20 | 2003-05-20 | A wheel chair |
KR1020100050273A KR101032035B1 (en) | 2002-05-20 | 2010-05-28 | Bath apparatus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0273A KR101032035B1 (en) | 2002-05-20 | 2010-05-28 | Bath apparatus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2003334216A (en) |
KR (2) | KR10101728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735373A (en) * | 2013-11-18 | 2014-04-23 | 安徽淮化股份有限公司 | Movement assisting vehic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549592B2 (en) * | 2015-08-28 | 2019-07-24 | 株式会社ユーキ・トレーディング | Wheelchair Headrest Support Mechanism |
JP6963232B2 (en) * | 2017-04-19 | 2021-11-05 | 株式会社森山鉄工 | Wheelchair caster device |
CN107307951A (en) * | 2017-07-28 | 2017-11-03 | 嘉兴川页奇精密自动化机电有限公司 | A kind of cat ladder barrier-surpassing robot |
ES1225070Y (en) * | 2018-11-07 | 2019-05-13 | Morales Buades Maria Lourdes | SALVA SYSTEM - STAIRS FOR WHEELCHAIR |
CN110025434B (en) * | 2019-05-13 | 2024-07-19 | 昆明医科大学第一附属医院 | Nursing wheelchair capable of relieving jolt |
CN115300280A (en) * | 2022-07-25 | 2022-11-08 | 徐力军 | Multifunctional shifting machine |
KR102553998B1 (en) * | 2023-03-09 | 2023-07-11 | (주)다우테크놀로지 | Wheelchair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13648Y2 (en) * | 1971-04-14 | 1975-04-25 | ||
JPS62295661A (en) * | 1987-05-16 | 1987-12-23 | 田中 美穂 | Folding and holding apparatus of wheelchair |
JPH059532U (en) * | 1991-02-19 | 1993-02-09 | 株式会社ダクロ・静岡 | wheelchair |
JPH0511923A (en) * | 1991-07-05 | 1993-01-22 | Sony Corp | Input device |
JP2580211Y2 (en) * | 1991-07-31 | 1998-09-03 | 川村技研株式会社 | wheelchair |
JPH0588539U (en) * | 1991-08-20 | 1993-12-03 | オージー技研株式会社 | Bathing device for wheelchair with nozzle |
JPH0717305Y2 (en) * | 1991-12-03 | 1995-04-26 | 東陽精工株式会社 | wheelchair |
JPH06121819A (en) * | 1992-10-13 | 1994-05-06 | Tokio Kainuma | Bathing apparatus, bath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mobile bathing vehicle carrying the same |
JP3557499B2 (en) * | 1994-08-02 | 2004-08-25 | 日進医療器株式会社 | wheelchair |
JPH0947472A (en) * | 1995-08-04 | 1997-02-18 | Og Giken Co Ltd | Wheel chair capable of riding on step |
JPH1085264A (en) * | 1996-09-18 | 1998-04-07 | Hidaka Gas Kk | Wheelchair |
JPH1133060A (en) * | 1997-07-17 | 1999-02-09 | Hidaka Gas Kk | Wheelchair |
JP2000217866A (en) * | 1999-02-03 | 2000-08-08 | Toyota Macs Inc | Wheelchair |
JP3584263B2 (en) * | 1999-10-20 | 2004-11-04 | イメディカ株式会社 | Bathing system |
JP3749697B2 (en) * | 2001-09-17 | 2006-03-01 | 近藤 猛 | Bathing device for care |
-
2002
- 2002-05-20 JP JP2002145392A patent/JP2003334216A/en active Pending
-
2003
- 2003-05-20 KR KR1020030032060A patent/KR101017280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0
- 2010-05-28 KR KR1020100050273A patent/KR101032035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735373A (en) * | 2013-11-18 | 2014-04-23 | 安徽淮化股份有限公司 | Movement assisting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32035B1 (en) | 2011-05-02 |
KR20100082817A (en) | 2010-07-20 |
JP2003334216A (en) | 2003-11-25 |
KR101017280B1 (en) | 2011-0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32035B1 (en) | Bath apparatus | |
KR102269093B1 (en) | wheelchair for easy getting on and off | |
US5373591A (en) | Shower-commode chair and transfer track | |
CA2121731C (en) | Bathing apparatus for the infirm | |
US4141094A (en) | Increased mobility apparatus for the disabled | |
KR20010098666A (en) | Multifunctional bed | |
WO2008127089A1 (en) | Transport aiding device for descending or climbing a staircase | |
KR102445702B1 (en) | Electric Wheelchair Including Obstacle Overcoming Unit And Fixing Part | |
US6074306A (en) | Amusement park vehicle for the physically disabled | |
JP4452082B2 (en) | Special bathing system and wheelchair / stretcher | |
CN210728050U (en) | Safety seat convenient to open and close | |
JP2009106692A (en) | Chair for nursing care | |
JPH05220196A (en) | Wheelchair | |
JP2926319B2 (en) | Mobility support equipment | |
JP3584263B2 (en) | Bathing system | |
JP2003175082A (en) | Transfer assisting machine | |
JPH09285496A (en) | Machine body moving mechanism for walking supporting machine | |
JP2525048Y2 (en) | Lifting device for bathing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 |
CN110464609A (en) | Multi-functional device of helping the elderly | |
JP2004008678A (en) | Sliding chair system for care | |
CN221865528U (en) | Multifunctional bathing pool | |
JP3792380B2 (en) | Seat with boarding / alighting assistance structure and boarding / alighting aid | |
JP2963621B2 (en) | Bathing equipment | |
JP7414358B2 (en) | Chair unit, transfer device, and bathing assistance system including the same | |
JP7488000B2 (en) | Transport device and bathing assistance system having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