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3586A - 차량용 매연 유입 차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매연 유입 차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3586A
KR20040013586A KR1020020046582A KR20020046582A KR20040013586A KR 20040013586 A KR20040013586 A KR 20040013586A KR 1020020046582 A KR1020020046582 A KR 1020020046582A KR 20020046582 A KR20020046582 A KR 20020046582A KR 20040013586 A KR20040013586 A KR 20040013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gas sensor
concentration
voltage value
voltag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6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형기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두원학원
여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두원학원, 여형기 filed Critical 학교법인 두원학원
Priority to KR1020020046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3586A/ko
Publication of KR20040013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58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60H1/00428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화성 및 환원성 가스센서를 이용해 매연을 검출하여 환기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먼저 산화성 가스센서가 산화성 가스의 농도에 따른 제1전압신호를 발생하고, 환원성 가스센서가 환원성 가스의 농도에 따른 제2전압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전압신호 및 제2전압신호를 각각 소정 레벨로 증폭하고, 상기 소정 레벨로 증폭된 상기 제1전압신호 및 제2전압신호를 각각 디지털값으로 변환하여 제1전압값 및 제2전압값을 발생한다. 이후, 상기 제1 및 제2전압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제1 및 제2전압값이 동시에 증가한 경우, 상기 제1전압값의 변화량을 산출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환기장치를 구동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매연 유입 차단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OLLUTION PROTECTION IN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매연 유입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스센서를 이용해 매연을 검출하여 환기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매연 유입 차단 장치는 가스 센서를 이용하여 매연 가스의 증감을 판단하고 환기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자동차 매연은 가솔린 차량의 경우 산화성 가스인 CO 가스가 주성분이고, 디젤 차량의 경우 환원성 가스인 NO 가스가 주요 성분이다.
기존의 차량용 매연 유입 차단 장치는 접촉연소식 센서를 사용하거나 반도체식 가스센서(산화성 가스센서와 환원성 가스센서를 별도로 사용)하여 매연을 검출한다. 상기 접촉연소식 가스센서는 보통 산화성 가스가 증가하면 전기 저항이 증가하고, 환원성 가스가 증가하면 전기저항이 감소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접촉연소식 센서를 사용하여 매연가스를 검출할 경우, 산화성 가스와 환원성 가스가 동시에 증가하면 매연 검출이 곤란하다. 한편, 상기 반도체식 산화성 가스센서는 산화성 가스(CO)가 증가하면 전기저항이 감소(출력 전압이 증가)하는 특성이 있고, 상기 반도체식 환원성 가스센서는 환원성 가스(NO)가 증가하면 전기저항이 감소(출력 전압이 증가)하는 특성이 있다.
통상적으로, 가스센서는 반도체식과 접촉연소식 모두 센서의 온도에 따라 전기 저항과 가스에 대한 민감도가 변화하며, 센서의 민감도가 극대화되는 특정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히터를 사용한다. 그러나 가스센서를 차량에 탑재하면, 차량의 속도에 따라 센서에 유입되는 풍속이 변하기 때문에 차량의 속도에 따라서 히터가빼앗기는 열량이 달라진다. 따라서, 센서 시스템이 일정 온도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고, 이는 차량 속도에 따라서 센서 저항이 변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용 매연 유입 차단 장치는 가스센서의 전기 저항이 변화하는 것으로부터 산화성 또는 환원성 가스의 증감을 판단해야 한다. 그러나 가스 센서는 온도의 변화에 의해서도 전기 저항이 변하기 때문에, 가스 센서의 전기 저항이 변하는 원인이 가스의 증감인지 또는 온도의 변화인지를 구분할 수가 없다. 이와 같이, 센서의 전기 저항의 변화 원인을 구분하지 못하면 차량용 매연 유입 차단 장치가 오동작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차량이 저속에서 고속으로 가속하거나 고속에서 저속으로 감속할 경우 매연 가스가 유입되지 않더라도 온도 변화에 의해 센서의 전기 저항이 변화하므로 매연 가스의 유입으로 오판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내부의 매연가스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화성 가스센서와 환원성 가스센서를 동시에 사용하여 두 센서의 전기저항의 변화에 근거하여 매연 유입을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용 매연 유입 차단 장치에서 산화성 가스센서와 환원성 가스센서를 동시에 사용하여 두 센서의 전기저항의 변화에 근거하여 매연 유입을 판단하고, 이로부터 차량의 환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르면, 차량용 매연 유입 차단 장치에서 매연농도를 감지하여 환기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가, 산화성 가스의 농도에 따른 전압신호를 출력하는 산화성 가스센서와, 환원성 가스의 농도에 따른 전압신호를 출력하는 환원성 가스센서와, 상기 산화성 가스센서로부터의 전압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1증폭기와, 상기 환원성 가스센서로부터의 전압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증폭기와, 상기 제1증폭기로부터의 전압신호를 디지털값으로 변환하여 제1전압값을 출력하는 제1ADC와, 상기 제2증폭기로부터의 전압신호를 디지털값으로 변환하여 제2전압값을 출력하는 제2ADC와, 상기 제1 및 제2ADC로부터의 전압값들이 모두 이전 측정된 전압값들보다 증가한 경우, 상기 제1ADC로부터의 전압값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변화량이 소정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매연유입으로 판단하여 덕트솔레노이드를 폐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차량용 매연 유입 차단 장치에서 매연농도를 감지하여 환기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방법이, 산화성 가스센서가 산화성 가스의 농도에 따른 제1전압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환원성 가스센서가 환원성 가스의 농도에 따른 제2전압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제1전압신호 및 제2전압신호를 각각 소정 레벨로 증폭하는 과정과, 상기 소정 레벨로 증폭된 상기 제1전압신호 및 제2전압신호를 각각 디지털값으로 변환하여 제1전압값 및 제2전압값을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및 제2전압값의 변화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및 제2전압값이 모두 이전 측정된 전압값들보다 증가한 경우, 상기 제1전압값의 변화량을 산출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덕트솔레노이드를 폐쇄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전압값이 모두 이전 측정된 전압값들보다 감소한 경우, 상기 제1전압값의 변화량을 산출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덕트솔레노이드를 개방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전압값은 증가하고 상기 제2전압값은 감소하는 경우, 디젤 매연 가스의 증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2전압값에 따른 가스농도가 미리 정해진 가스농도보다 큰 경우, 상기 덕트솔레노이드를 폐쇄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전압값은 감소하고 상기 제2전압값은 증가하는 경우, 디젤 매연 가스의 감소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2전압값에 따른 가스농도가 미리 정해진 가스농도보다 작은 경우, 덕트솔레노이드를 개방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매연 유입 차단 시스템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증폭기(111,114)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연을 검출하여 환기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부 101 : 메모리
102 : 표시부 103 : 덕트솔레노이드
110 : 산화성 가스센서 111 : 증폭기
112 : ADC 113 : 환원성 가스센서
114 : 증폭기 115 : ADC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차량용 매연 유입 차단 장치에서 반도체식 산화성 가스센서와 반도체식 환원성 가스 센서를 동시에 사용하여 두 센서의 전기저항(출력 전압)의 변화에 근거하여 매연 유입을 판단하고, 이로부터 차량의 환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매연 유입 차단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용 매연 유입 차단는 제어부(100), 메모리(101), 표시부(102), 덕트슬레노이드(103), 산화성 가스센서(110), 환원성 가스센서(113), 증폭기(111,114),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112,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00)는 상기 차량용 매연 유입 차단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01)는 상기 차량용 매연 유입 차단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표시부(102)는 상기 차량용 환기시스템의 동작 상태 및 측정된 매연 가스 농도를 액정표시창(LCD)에 디스플레이한다.
덕트솔레노이드(103)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덕트개폐부를 직접 구동하여 환기팬모터에 따라 차량 내의 순환공기가 외부와 내부중 어느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도록 한다. 즉, 상기 덕트솔레노이드(103)는 차량의 내부공기와 외부공기가 서로 유통되도록 하는 환기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환기장치를 구동하기 위한매연 유입 차단 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편, 차량에는 환기를 수행할수 있는 다수의 장치들이 존재하지만 이하 설명은 매연유입을 검사하여 덕트솔레노이드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예를들어 설명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이 덕트솔레노이드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환기를 수행할수 있는 다른 장치를 사용할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산화성 가스센서(110)는 차량내의 유해가스(또는 매연가스)의 농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농도에 따른 전압신호를 발생한다. 환원성 가스센서(113)는 차량내의 유해가스의 농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농도에 따른 전압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산화성 가스센서(110) 및 환원성 가스센서(113)는 반도체식 가스센서이다. 증폭기들(111,114)은 각각 대응되는 반도체식 가스센서로부터의 전압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증폭기들(111,114)의 상세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고, 전달함수 H(s)는 하기 <수학식 1>과 같다
여기서, s는 라플라스(Laplace) 변환 연산자이다.
상기 증폭기들(111,114)은 입력 전압의 직류성분은 그대로 출력으로 전달하고, 상기 입력 전압의 교류성분은 주파수 성분에 비례하여 증폭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센서 저항의 변화량이 클수록 상기 증폭기의 출력 전압은 더 크게 변화하고, 센서 저항이 서서히 변화하면 상기 증폭기들(111,114)의 출력 전압도 서서히 변하기 때문에, 상기 증폭기들(111,114)의 출력 전압의 변화량으로부터 유해가스의 유입을 명확히 판단할 수 있다. 이후,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들(112,115)은 각각 대응되는 증폭기(111,114)로부터의 전압신호를 상기 제어부(100)가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ADC들(112,115)로부터의 전압값들에 근거하여 상기한 환기장치(덕트솔레노이드)의 구동을 제어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산화성 가스센서(110)는 산화성 가스인 CO가스가 증가하면 저항이 감소되어 출력 전압(Vg)이 증가하고, 반대로 CO가스가 감소하면 저항이 증가되어 출력 전압(Vg)이 감소하게 된다. 한편, 상기 환원성 가스센서(113)는 환원성 가스인 NO 가스가 증가하면 저항이 증가되어 출력 전압(Vd)이 감소하고, 반대로 NO가스가 감소하면 저항이 감소되어 출력 전압(Vd)이 증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환원성 가스센서(113)는 산화성 가스 CO가 증가하면 센서의 저항이 감소하는 특성이 있고, 상기 산화성 가스센서(110)는 디젤 매연 가스 성분인 SO2가 증가하면 가스센서의 저항이 감소하는 특성이 있다. 또한, 이러한 반도체식 산화성 가스센서(110)와 반도체식 환원성 가스센서(113)는 센서가 동작하는 온도가 낮으면 센서 자체의 저항이 증가하여 출력 전압이 감소하고, 온도가 높으면 저항이 감소하여 출력 전압이 증가하는 특성도 있다.
상기한 특성들을 조합해 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1) 산화성 가스센서(110)와 환원성 가스센서(113)의 출력전압이 동시에 증가하는 경우, 가솔린 매연 가스가 증가하거나 온도가 증가하는 경우이다.
(2) 산화성 가스센서(110)의 출력전압은 증가하고, 환원성 가스센서(113)의 출력전압은 감소할 경우, 디젤 매연 가스가 증가하는 경우이다.
(3) 산화성 가스센서(110)의 출력전압은 감소하고, 환원성 가스센서(113)의 출력전압은 증가할 경우, 디젤 매연 가스가 감소하는 경우이다.
(4) 산화성 가스센서(110)와 환원성 가스센서(113)의 출력전압이 동시에 감소하는 경우, 가솔린 매연이 감소하거나 온도가 감소하는 경우이다.
한편, 가솔린 매연 가스의 증감에 의한 센서 저항의 시간적 변화율은 일반적으로 온도 변화에 의한 센서 저항의 시간적 변화율보다 크다. 따라서 가스 센서의 시간적 변화율을 고려하면 상기 (1)와 (4)의 경우도 온도 변화에 의한 센서 저항의 변화와 매연 가스 농도 변화에 의한 센서 저항의 변화를 구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유입되는 유해가스를 검출하여 환기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되는 알고리즘은 미리 정해진 시간주기에 따라 반복 수행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알고리즘을 수행함에 있어 최근 감지된 센서 전압값을 저장해 둔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00)는 301단계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주기에 따른 측정시간이 되었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측정시간이 되었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303단계에서 상기 산화성 가스센서(110) 및 상기 환원성 가스센서(113)의 출력 전압값들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전압값들은 상기 두 개의 센서들(110,113)의 출력 전압신호들을 각각 증폭하고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값이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305단계에서 산화성 가스센서(110)의 전압값이이전 전압값보다 증가되었는지 검사한다. 만일, 이전 전압값보다 증가되었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환원성 가스센서(113)의 전압값이 이전 전압값보다 증가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즉, 산화성 가스센서(110)와 환원성 가스센서(113)의 전압값이 모두 증가되었는지를 검사한다. 만일, 두 개의 센서들(110,113)의 전압값들이 모두 증가했으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솔린 매연 가스가 증가했거나 온도가 증가한 경우이므로, 정확한 이유를 찾기 위해 전압값 변화량을 산출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는 309단계에서 상기 산화성 가스센서(110)의 전압값 변화량을 산출한다. 다시말해, 현재 측정된 전압값과 이전 측정된 전압값과의 차이로부터 단위시간당 변화량을 산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311단계에서 상기 산출된 변화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상인지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기준값 이상일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313단계에서 가솔린 매연가스 증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세팅한후 315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325단계로 진행하여 센서의 온도증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세팅한후 종료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315단계에서 산화성 가스센서(110)의 출력 전압값에 대응하는 산화성 가스농도를 산출하여 제1규정농도를 초과하는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 전압값에 대응하는 가스농도는 미리 주어진 알고리즘에 의해 산출할 수도 있고, 미리 구비되어 있는 메모리 테이블로부터 독출할수도 있다. 만일, 검출된 상기 산화성 가스농도가 상기 제1규정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317단계에서 상기 환기장치(덕트솔레노이드)를 폐쇄하여 매연 유입을차단한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를 구동함과 동시에 표시부에 환기장치의 구동 및 현재의 매연가스농도를 디스플레이하여 운전자에게 알린다.
한편, 상기 307단계에서 상기 환원성 가스센서(113)의 전압값이 감소되었다면 판단되면, 319단계로 진행한다. 이 경우는 산화성 가스센서(110)의 전압값이 증가되고 환원성 가스센서(113)의 전압값이 감소된 경우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319단계에서 디젤 매연 가스 증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세팅하고, 321단계에서 환원성 가스센서(113)의 출력 전압값에 대응하는 가스농도가 제3규정농도를 초과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제3규정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323단계에서 상기 환기장치(덕트솔레노이드)를 폐쇄하여 매연 유입을 차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305단계에서 상기 산화성 가스센서(110)의 출력 전압값이 감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327단계에서 상기 환원성 가스센서(113)의 출력 전압값이 증가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일, 환원성 가스센서(113)의 출력 전압값이 증가되었다면, 즉 산화성 가스 센서(110)의 출력 전압값이 감소되고 상기 환원성 가스센서(113)의 출력 전압값이 증가되었다면, 상기 제어부(100)는 329단계로 진행하여 디젤 매연 가스 감소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세팅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331단계에서 상기 환원성 가스센서(113)의 출력 전압값에 대응하는 가스농도가 제4규정농도 이하인지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제4규정농도 이하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333단계에서 현재 폐쇄중인 환기장치(덕트솔레노이드)를 개방한다.
한편, 상기 327단계에서 상기 환원성 가스센서(113)의 출력 전압값이 감소되었다고 판단되면, 즉, 상기 두 센서들(110,113)의 출력 전압값들이 모두 감소되었다고 판단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솔린 매연이 감소하거나 온도가 감소하는 경우이므로, 정확한 이유를 찾기 위해 가스센서의 전압값 변화량을 산출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는 33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산화성 가스센서(110)의 전압값 변화량을 산출한다. 즉, 현재 측정된 전압값과 이전 측정된 전압값과의 차이로부터 단위시간당 변화량을 산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337단계에서 상기 산출된 변화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상인지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기준값 이상일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339단계에서 가솔린 매연가스 감소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세팅한후 341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345단계로 진행하여 센서의 동작온도감소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세팅한후 종료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341단계에서 산화성 가스센서(110)의 출력 전압값에 대응하는 산화성 가스농도를 산출하여 제2규정농도 이하인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 전압값에 대응하는 가스농도는 미리 주어진 알고리즘에 의해 산출할수도 있고, 미리 구비되어 있는 메모리 테이블로부터 독출할수도 있다. 만일, 검출된 상기 산화성 가스농도가 상기 제2규정농도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343단계에서 현재 폐쇄중인 환기장치(덕트솔레노이드)를 개방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예는 산화성 가스센서의 전압값 변화량으로부터 온도변화에 따른 전압값 변화 및 가스농도에 따른 전압값 변화를 판별하였지만, 환원성 가스센서의 전압값 변화량으로부터 상기 두 변화를 구별할 수도 있다. 또한,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 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스센서의 출력 전압값의 변화량으로부터 매연 유입을 판단함으로써 매연 가스의 유입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센서의 온도변화에 의해 출력 전압의 변할 때 매연유입으로 판단하여 환기장치를 가동시키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차량용 매연 유입 차단 장치에서 매연농도를 감지하여 차량의 내부공기와 외부공기가 서로 유통되도록 하는 환기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산화성 가스의 농도에 따른 전압신호를 출력하는 산화성 가스센서와,
    환원성 가스의 농도에 따른 전압신호를 출력하는 환원성 가스센서와,
    상기 산화성 가스센서로부터의 전압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1증폭기와,
    상기 환원성 가스센서로부터의 전압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증폭기와,
    상기 제1증폭기로부터의 전압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여 제1전압값을 출력하는 제1ADC와,
    상기 제2증폭기로부터의 전압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여 제2전압값을 출력하는 제2ADC와,
    상기 제1 및 제2ADC로부터의 전압값들이 모두 이전 측정된 전압값들보다 증가한 경우, 상기 제1ADC로부터의 전압값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변화량이 소정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매연유입으로 판단하여 상기 환기장치를 폐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증폭기는, 입력 전압의 직류성분은 그대로 출력으로 전달하고, 상기 입력 전압의 교류 성분은 주파수 성분에 비례하여 증폭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차량용 매연 유입 차단 장치에서 매연농도를 감지하여 차량의 내부공기와 외부공기가 서로 유통되도록 하는 환기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산화성 가스센서가 산화성 가스의 농도에 따른 제1 전압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환원성 가스센서가 환원성 가스의 농도에 따른 제2 전압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제1전압신호 및 제2전압신호를 각각 소정 레벨로 증폭하는 과정과,
    상기 소정 레벨로 증폭된 상기 제1전압신호 및 제2전압신호를 각각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여 제1전압값 및 제2전압값을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및 제2전압값의 변화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및 제2전압값이 모두 이전 측정된 전압값들보다 증가한 경우, 상기 제1전압값의 변화량을 산출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환기장치를 폐쇄시키는 과정을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전압값이 모두 이전 측정된 전압값들보다 감소한 경우, 상기 제1전압값의 변화량을 산출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환기장치를 개방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값은 증가하고 상기 제2전압값은 감소하는 경우, 디젤 매연 가스의 증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2전압값에 따른 가스농도가 미리 정해진 가스농도보다 큰 경우, 상기 환기장치를 폐쇄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값은 감소하고 상기 제2전압값은 증가하는 경우, 디젤 매연 가스의 감소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2전압값에 따른 가스농도가 미리 정해진 가스농도보다 작은 경우, 현재 폐쇄되어 있는 환기장치를 개방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20046582A 2002-08-07 2002-08-07 차량용 매연 유입 차단 장치 및 방법 KR200400135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582A KR20040013586A (ko) 2002-08-07 2002-08-07 차량용 매연 유입 차단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582A KR20040013586A (ko) 2002-08-07 2002-08-07 차량용 매연 유입 차단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586A true KR20040013586A (ko) 2004-02-14

Family

ID=37320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6582A KR20040013586A (ko) 2002-08-07 2002-08-07 차량용 매연 유입 차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358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392B1 (ko) * 2008-05-23 2011-03-23 주식회사 오토산업 차량내 환경제어 시스템
CN104002641A (zh) * 2014-05-22 2014-08-27 苏州卫生职业技术学院 一种汽车自动抽风换气系统
KR101475794B1 (ko) * 2012-12-27 2014-12-30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392B1 (ko) * 2008-05-23 2011-03-23 주식회사 오토산업 차량내 환경제어 시스템
KR101475794B1 (ko) * 2012-12-27 2014-12-30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N104002641A (zh) * 2014-05-22 2014-08-27 苏州卫生职业技术学院 一种汽车自动抽风换气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42513B1 (en) Gas detecting method and system
US20160161430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atalyst presence detection
JP2007298507A (ja) 時間的に離間した計測値の処理方法、センサ用フィルタ、ガスセンサ装置、及びガスセンサ装置の作動方法
KR20040013586A (ko) 차량용 매연 유입 차단 장치 및 방법
US202101316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etermining the onset of impending oscillatory instabilities in practical devices
US6082177A (en) Nitric oxide enhanced response circuit for gas analyzer
JP7055873B2 (ja) 車載電子制御装置
CN109057929A (zh) 一种检测三元催化器堵塞的方法及装置
JP2003227807A (ja) ガス検出装置及び車両用オートベンチレーションシステム
US6877354B2 (en) Method for balancing ozone sensors
JPH1162887A (ja) 送風機のサージング検出装置、検出方法及びサージング修正方法
US20040184962A1 (en) Method and device for assessing the operativeness of a device for reducing the ozone content in the air
CN212586066U (zh) 过压保护的烟尘烟气采样检测设备
KR20130114929A (ko) 일산화탄소 센싱에 의한 오염물질 측정에 따른 차량 환기시스템 제어 장치
JPH05157714A (ja) 空調制御装置
CN217521102U (zh) 一种用于机动车尾气遥感监测设备的动态检测装置
JP4209604B2 (ja) ガス検出装置、車両用オートベンチ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H0666755A (ja) ガス検出装置
KR960002729B1 (ko) 주파수 스펙트럼 분석에 의한 부저 양부 검사회로
KR940002605A (ko) 배기가스 자동분석방법 및 그 장치
JP3249504B2 (ja) ガス検出装置
JP4013404B2 (ja) 感震器
KR100494780B1 (ko) 엔진시험 시스템의 냄새감지에 의한 이상경보장치
JP2645564B2 (ja) ガス検出方法
CN111413160A (zh) 过压保护的烟尘烟气采样检测设备及过压保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