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16Y1 -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 - Google Patents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16Y1
KR200400116Y1 KR20-2005-0021677U KR20050021677U KR200400116Y1 KR 200400116 Y1 KR200400116 Y1 KR 200400116Y1 KR 20050021677 U KR20050021677 U KR 20050021677U KR 200400116 Y1 KR200400116 Y1 KR 2004001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shoe sole
receiving groove
sole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6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수
Original Assignee
김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수 filed Critical 김재수
Priority to KR20-2005-00216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1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1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combined with heel stiffener, toe stiffener, or shank stiffen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02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0Heels with metal springs

Abstract

본 고안은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발바닥의 뒤꿈치가 닿는 부분의 하부면에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신발중창과, 상기 신발중창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에 안착결합되는 완충장치 및 상기 신발중창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신발중창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과 대응되게 위치되어 상기 완충장치가 삽입되면 그 완충장치의 둘레를 감싸는 수용홀이 형성되어 있는 쿠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신체하중에 의한 압력이 발뒤꿈치로 전달되어 발생 되는 지면과의 충격을 완충 및 분산시킴으로써 보행 및 운동을 하면서 발생 되는 피로감을 극소화시킴과 동시에 척추 등의 중추신경을 통해 머리로 전달되어 뇌세포를 손상시키는 충격이 감소 되어 이로 인해 발생 되는 질병 등이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BUFFER HAVE THE MIDDLE LAYER OF A FOOTWEAR SOLE}
본 고안은 신발중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하중에 의한 압력이 발뒤꿈치로 전달되어 발생 되는 지면과의 충격을 완충 및 분산시킴으로써 보행 및 운동을 하면서 발생 되는 피로감을 극소화시킴과 동시에 척추 등의 중추신경을 통해 머리로 전달되어 뇌세포를 손상시키는 충격이 감소 되어 이로 인해 발생 되는 질병 등이 예방되는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외피, 중창, 바닥창, 깔창, 뒷굽 등으로 구성되어 이를 신고 보행하거나 운동하게 되는 경우 자세 공학적, 보행공학적, 생리 해부학적, 발의학적 연구에 의하면 체중의 약 40% 이상의 하중이 발뒤꿈치에 걸리고 엄지발가락과 타 발가락에 분산되어 35%의 하중을 받게 되며 그 외 발바닥 등에 나머지 하중을 받게 되는 것이 알려져 왔다.
따라서 보행 중 정지하여 서있거나 보행 및 운동하는 방법 및 체중 등의 조건에 따라 특정지점에 하중이 집중되므로 그 충격이 발바닥, 뒤꿈치, 척추 및 중추신경을 통해 머리의 뇌세포로 전달됨에 따라 많은 뇌세포가 손상을 입게 되어 그 피로가 축적이 되면 복잡한 사회구성 속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으며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는 이로 인한 여러 가지 질병이 쉽게 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신체하중에 의한 압력이 발뒤꿈치로 전달되어 발생 되는 지면과의 충격을 완충 및 분산시킴으로써 보행 및 운동을 하면서 발생 되는 피로감을 극소화시킴과 동시에 척추 등의 중추신경을 통해 머리로 전달되어 뇌세포를 손상시키는 충격이 감소 되어 이로 인해 발생 되는 질병 등이 예방되는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은 발바닥의 뒤꿈치가 닿는 부분의 하부면에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신발중창과, 상기 신발중창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에 안착결합되는 완충장치 및 상기 신발중창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신발중창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과 대응되게 위치되어 상기 완충장치가 삽입되면 그 완충장치의 둘레를 감싸는 수용홀이 형성되어 있는 쿠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의 상기 완충장치는, 하부면에 복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삽입홈과 대응되게 상부면에 복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삽입홈과 대응되게 복수개의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중간부재 및 상기 중간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삽입홈에 양단이 각각 억지끼움 삽입되며,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의 상기 쿠션부재는, 다수의 통기공이 구비되어 있는 다공성 재질,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질, 실리콘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에 있어서 완충장치의 상기 중간부재는, 다수의 통기공이 구비되어 있는 다공성 재질,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질, 실리콘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에 있어서 완충장치의 상기 탄성부재는, 변형이 적고 고탄력을 이루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고안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을 나타낸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의 분해 사시도를, 도 3은 도 1의 I-I 선의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100)은 신발중창(10)과, 완충장치(50)와, 쿠션부재(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신발중창(10)은 인체의 발바닥 형상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발바닥과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발뒤꿈치가 닿는 부분의 하부면에 완충장치(5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홈(11)이 형성된다.
상기 완충장치(50)는 상기 신발중창(10)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11)에 안착결합되며, 상부부재(60)와, 하부부재(90)와, 중간부재(70)와, 복수개의 탄성부재(80)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서 복수개의 탄성부재(80)는 변형이 적고 고탄력을 이루는 복수개의 코일스프링(80)으로 한다.
상기 상부부재(60)는 하부면에 복수개의 삽입홈(61)이 형성되어 복수개의 코일스프링(80)의 일단이 각각 억지끼움 삽입되며, 그 삽입홈(61)에 의해 그 복수개의 코일스프링(80)의 일단은 지지된다.
상기 상부부재(60)의 상단부는 신발중창(1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11)에 수용된다.
상기 하부부재(90)는 상부면에 상기 상부부재(6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삽입홈(61)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삽입홈(91)이 형성되어 복수개의 코일스프링(80)의 타단이 각각 억지끼움 삽입되며, 그 삽입홈(91)에 의해 그 복수개의 코일스프링(80)의 타단은 지지된다.
상기 중간부재(70)는 상기 상부부재(60)와 하부부재(90) 사이에 위치되며, 그 상,하부재(60,9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삽입홈(61,91)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삽입홀(73)이 형성된다.
상기 중간부재(70)는 다수의 통기공이 구비되어 있는 다공성 재질,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질 및 실리콘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개의 코일스프링(80)은 상기 중간부재(7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삽입홀(73)에 각각 삽입되며, 그 일단은 상기 상부부재(6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삽입홈(61)에 각각 억지끼움 삽입되며, 그 타단은 상기 하부부재(9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삽입홈(91)에 각각 억지끼움 삽입되며, 그 상부부재(60)와 하부부재(90)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반복적인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쿠션부재(30)는 상기 신발중창(10)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그 신발중창(10)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11)과 대응되게 수용홀(33)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홀(33)은 상기 완충장치(50)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그 완충장치(50)가 삽입되면 그 완충장치(50)의 둘레를 감싸게 된다.
이러한 쿠션부재(30)는 상기 완충장치(50)가 위치되지 못하는 부분에서 쿠션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쿠션부재(30)는 다수의 통기공이 구비되어 있는 다공성 재질,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질 및 실리콘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신발중창(10)에 있어서 발뒤꿈치가 닿는 부분의 하부면에는 수용홈(11)이 형성되며, 그 신발중창(10)의 하부면에는 쿠션부재(30)가 결합되어 그 신발중창(10)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11)과 대응되게 수용홀(33)이 형성되며, 그 쿠션부재(30)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홀(33)에 완충장치(50)가 삽입되어 그 수용홀(33)에 의해 그 완충장치(50)의 둘레가 감싸지며, 상기 신발중창(10)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11)에 그 완충장치(50)의 상단부가 안착결합된다.
상기 신발중창(10)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11)에 안착결합되는 상기 완충장치(50)가 신체하중에 의한 압력이 그 신발중창(10)을 통해 전달되면 압축이 되고, 그 신체하중에 의한 압력이 해제되면 원상복귀되는 일련의 작동을 반복적으로 행함으로써 신체하중에 의한 압력이 발뒤꿈치로 전달되어 발생하게 되는 지면과의 충격을 완충 및 분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완충장치(50)의 상단부가 상기 신발중창(10)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11)에 안착결합되어 지지되고, 그 완충장치(50)의 둘레가 상기 쿠션부재(30)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홀(33)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완충장치(50)는 그 일련의 반복적인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완충장치(50)를 가지는 신발중창(10)에 있어서 상기 완충장치(50)는 중간부재(7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삽입홀(73)에 복수개의 코일스프링(80)이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코일스프링(80)의 양단이 상,하부부재(60,9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삽입홈(61,91)에 각각 억지끼움 삽입되어 하나의 조립체를 이루게 됨으로써 신발 중창(10)을 통한 신체하중이 전달되더라도 변형 및 파손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그 상,하부부재(60,90)에서 그 복수개의 코일스프링(80)이 이탈되는게 방지된다.
또한 상기 완충장치(50)의 둘레가 상기 쿠션부재(30)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홀(33)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그 완충장치(50)는 더 안정적으로 작동되게 된다.
상기 신발중창(10)을 통해 신체하중에 따른 압력이 상부부재(60)를 통해 전달되게 되면 중간부재(70)와 그 중간부재(70)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홀(73)에 삽입되어 있는 복수개의 코일스프링(80)이 압축됨으로써 그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지면과의 충격이 완충 및 분산되게 된다.
아울러 발뒤꿈치 부분 이외에서의 신체하중에 따른 압력은 신발중창(10)과 쿠션부재(30)를 통해 지면과의 충격이 완충 및 분산되게 된다.
상기 상부부재(60)와 하부부재(90)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코일스프링(80)과 중간부재(70)는 상기 상부부재(60)로 전달되던 신체하중에 따른 압력이 제거되게 되면 그 상부부재(60)와 하부부재(90)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반복적인 완충 및 분산 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코일스프링(80)이 상기 중간부재(7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삽입홀(73)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하부부재(60,90) 사이에 불필요한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하부부재(60,90) 사이에 불필요한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코일스프링(80)을 통한 완충 작용시 발생 될 수 있는 소음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코일스프링(80)과 함께 상기 상,하부부재(60,90) 사이에 위치된 상기 중간부재(70)가 완충작용을 동시에 행함으로써 완충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와 같은 완충장치(50)가 신발중창(10)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11)에 안착결합되고, 그 둘레가 쿠션부재(30)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홀(33)에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작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은 신체하중에 의한 압력이 발뒤꿈치로 전달되어 발생 되는 지면과의 충격을 완충 및 분산시킴으로써 보행 및 운동을 하면서 발생 되는 피로감을 극소화시킴과 동시에 척추 등의 중추신경을 통해 머리로 전달되어 뇌세포를 손상시키는 충격이 감소 되어 이로 인해 발생 되는 질병 등이 예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 선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발중창 30 : 쿠션부재
50 : 완충장치

Claims (5)

  1. 발바닥의 뒤꿈치가 닿는 부분의 하부면에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신발중창;
    상기 신발중창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에 안착결합되는 완충장치; 및
    상기 신발중창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신발중창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과 대응되게 위치되어 상기 완충장치가 삽입되면 그 완충장치의 둘레를 감싸는 수용홀이 형성되어 있는 쿠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장치는,
    하부면에 복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부재;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삽입홈과 대응되게 상부면에 복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부재;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삽입홈과 대응되게 복수개의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중간부재; 및
    상기 중간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삽입홈에 양단이 각각 억지끼움 삽입되며,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는,
    다수의 통기공이 구비되어 있는 다공성 재질,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질, 실리콘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는,
    다수의 통기공이 구비되어 있는 다공성 재질,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질, 실리콘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변형이 적고 고탄력을 이루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
KR20-2005-0021677U 2005-07-26 2005-07-26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 KR2004001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677U KR200400116Y1 (ko) 2005-07-26 2005-07-26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677U KR200400116Y1 (ko) 2005-07-26 2005-07-26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6Y1 true KR200400116Y1 (ko) 2005-11-02

Family

ID=43701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677U KR200400116Y1 (ko) 2005-07-26 2005-07-26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1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577B1 (ko) 2010-01-13 2010-08-1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중량 조절 신발
WO2020262882A1 (ko) * 2019-06-28 2020-12-30 장홍영 탄성력 조절이 용이한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
KR102223789B1 (ko) 2019-12-18 2021-03-05 (주)빅토스 에어버블 시스템이 적용된 미드솔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577B1 (ko) 2010-01-13 2010-08-1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중량 조절 신발
WO2020262882A1 (ko) * 2019-06-28 2020-12-30 장홍영 탄성력 조절이 용이한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
KR102223789B1 (ko) 2019-12-18 2021-03-05 (주)빅토스 에어버블 시스템이 적용된 미드솔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769B1 (ko) 신발깔창
KR101231022B1 (ko) 진동발생수단이 내장된 구두
EP2241208A1 (en) Sole for shoes enabling exchange of shock-absorbing member
US20120137541A1 (en) Shock absorbing unit, sole and shoe having the same
US20120179274A1 (en) Bifurcated, multi-purpose prosthetic foot
US20210227925A1 (en) Shoes including arch pad
JP2009101139A (ja) ハイヒール用の機能性中敷
KR100872865B1 (ko) 충격완화 탄성신발
KR200400116Y1 (ko)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
KR101450432B1 (ko) 충격 흡수용 신발 밑창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15995A (ko) 완충식 통기성 신발
WO2014061862A1 (ko)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JP2010509020A (ja) 衝撃吸収部を有する靴
KR20110112975A (ko) 신발 밑창
KR102346677B1 (ko) 발바닥 지지돌부와 탄성진동체를 구비한 신발용 아웃솔
KR102345807B1 (ko) 탄성진동체를 구비한 캐쥬얼화용 아웃솔
KR101880228B1 (ko) 신발
KR101600973B1 (ko) 신발창
KR200361981Y1 (ko) 신발의 충격흡수용 패드 구조
CN113498910A (zh) 运动鞋及其中底系统
KR200238273Y1 (ko) 판스프링이 내장된 신발밑창.
KR200399340Y1 (ko) 신발용 완충장치
KR101693773B1 (ko) 보행의 특성을 고려한 신발
KR200461630Y1 (ko) 중창 내부에 보행압력완충부가 형성된 신발
KR200370556Y1 (ko) 신발용 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