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9900A -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9900A
KR20040009900A KR1020020044270A KR20020044270A KR20040009900A KR 20040009900 A KR20040009900 A KR 20040009900A KR 1020020044270 A KR1020020044270 A KR 1020020044270A KR 20020044270 A KR20020044270 A KR 20020044270A KR 20040009900 A KR20040009900 A KR 20040009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voltage
reset
period
common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4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0516B1 (ko
Inventor
손현호
박종진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4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516B1/ko
Publication of KR20040009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9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5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14Control of polarity reversal in gener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1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common or backgrou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이 스플레이 상태에서 밴드 상태로 빠르게 전이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한 프레임의 리셋기간 동안 액정이 스플레이 상태에서 밴드 상태로 전이됨과 아울러 리셋기간 이후의 정상구동기간 동안 정상 구동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판과 하판 사이에 액정이 주입되며 상판에 형성된 공통전극과 하판에 형성된 화소전극에 공급된 전압의 차에 의하여 액정이 구동함과 아울러 액정의 구동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과, 정상구동기간 동안 공통전압이 공급되는 공통전극과, 액정패널을 구동시키는 구동전압들을 생성하는 DC/DC 컨버터와, DC/DC 컨버터에 전압을 공급하며 리셋기간 동안 공통전극에 리셋전압을 직접 공급하여 액정에 걸리는 전압이 정상구동기간보다 더 크게 하는 전원 공급부와, 전원 공급부에서 리셋기간 동안 공통전극에 리셋전압을 공급하며 정상구동기간 동안 공통전극에 공통전압을 공급하도록 선택하는 스위치소자와, 스위치소자의 스위칭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이 스플레이 상태에서 밴드 상태로 빠르게 전이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비디오신호에 따라 액정셀들의 광투과율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액정표시장치 중 액정셀별로 스위칭소자가 마련된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타입은 동영상을 표시하기에 적합하다.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액정표시장치 스위칭소자로는 주로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라 함)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브라운관에 비하여 소형화가 가능하여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와 노트북 컴퓨터(Note Book Computer)는 물론, 복사기 등의 사무자동화기기, 휴대전화기나 호출기 등의 휴대기기까지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카드(40)와, 구동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42)와, 액정패널(30)의 데이터라인들(DL)에 비디오 데이터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드라이버(36)와, 액정패널(30)의 게이트라인들(GL)을 순차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38)와, 데이터 드라이버(36)와 게이트 드라이버(38)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부(34)와, 데이터 드라이버(36)에 감마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감마전압 발생부(32)를 구비한다.
액정패널(30)은 두 장의 유리기판 사이에 액정이 주입되며, 그 하부기판 상에 게이트라인들(GL)과 데이터라인들(DL)이 상호 직교되도록 형성된다. 게이트라인들(GL)과 데이터라인들(DL)의 교차부에는 데이터라인들(DL)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액정셀(Clc)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TFT가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TFT는 게이트라인(GL)에 드레인단자가 접속되며, 데이터라인(DL)에 소스단자가 접속된다. 그리고 TFT의 드레인단자는 액정셀(Clc)의 화소전극에 접속된다.
디지털 비디오 카드(40)는 아날로그 입력 영상신호를 액정패널(30)에 적합한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고 영상신호에 포함된 동기신호를 검출하게 된다.
타이밍 제어부(34)는 디지털 비디오 카드(40)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압으로 구동된다. 타이밍 제어부(34)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데이터 드라이버(36)에 공급한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34)는 디지털 비디오 카드(40)로부터 입력되는 수평/수직 동기신호(H,V)를 이용하여 도트클럭(Dclk)과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를 생성하여 데이터 드라이버(36)와 게이트 드라이버(38) 타이밍을 제어한다. 여기서, 도트클럭(Dclk)은 데이터 드라이버(36)에 공급되며,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는 게이트 드라이버(38)에 공급된다.
전원 공급부(42)는 디지털 비디오 카드(4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공급받아 액정패널(3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전압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공급부(42)는 게이트 하이전압(Vgh), 게이트 로우전압(Vgl), 공통전압(Vcom) 등을 생성한다.
게이트 드라이버(38)는 타이밍 제어부(34)로부터 입력되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에 응답하여 순차적으로 스캔펄스를 발생하는 쉬프트 레지스터와, 스캔펄스의 전압을 액정셀의 구동에 적합한 레벨로 쉬프트 시키기 위한 레벨 쉬프터 등으로 구성된다. 게이트 드라이버(38)는 게이트 하이전압(Vgh)과 게이트 로우전압(Vgl)을 액정패널(30)에 공급하여 게이트라인(GL) 중 어느 한 라인에 공급한다. 이 게이트 하이전압(Vgh)을 가지는 스캔펄스는 TFT의 스위치를 턴-온 시키며 TFT가 턴-온되는 기간동안 액정셀에는 데이터 드라이버(36)로부터 공급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충전하게 된다.
데이터 드라이버(36)에는 타이밍 제어부(34)로부터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함께 도트클럭(Dclk)이 입력된다. 이 데이터 드라이버(36)는 도트클럭(Dclk)에 동기하여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래치한 후에, 래치된 데이터를 감마전압(Vγ)에 따라 보정하게 된다. 그리고 데이터 드라이버(36)는 감마전압(Vγ)에 의해 보정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여 1 라인분씩 데이터라인(DL)에 공급하게 된다.
액정표시장치에 이용되는 액정으로는 트위스티드 네마틱(Twisted Nematic : 이하 "TN"이라 함) 모드의 액정이 주로 이용된다. 이 TN 모드의 액정은 트위스트된 각이 90°로 전기장의 인가에 따라 액정배열 상태를 바꾸어 광을 투과시키게 된다. 이러한 TN 모드의 액정은 액정분자의 장축방향으로 진동하는 광과 장축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진동한다. 이렇게 광의 진동 방향이 서로 다름으로 인해 광의 굴절율이 달라지는 것을 굴절율 이방성이라 하는데, 이 굴절율 이방성에 의해 TN모드의 액정은 시야각이 좁으며 액정의 응답속도가 느리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TN 모드 액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IPS(in-plane switch) 모드, OCB(Optically Compensated Bend) 모드 등의 액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중에서 OCB 모드의 액정은 TN 모드의 액정에 비해 구조적으로 넓은 시야각과 빠른 응답속도를 가지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OCB 모드의 액정을 채용한 액정패널은 도시되지 않은 컬러필터 어레이(Color filter array) 및 배향막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상부기판(10)과, 도시되지 않은 TFT 어레이 및 배향막이 형성된 하부기판(12)과, 상부기판(10)과 하부기판(12)은 도시되지 않은 스페이서에 의해 소정의 갭을 가지며 그 소정 공간에 주입된 OCB 모드의 액정(18)과, 상/하부기판(10, 12) 바깥으로 배치된 상/하부 편광판들(14, 22)과, 상부기판(10)과 상부 편광판(14) 사이에 배치된 상부 보상필름(16)과, 하부기판(12)과 하부 편광판(22) 사이에 배치되어 입사되는 광의 위상을 지연시켜 시야각을 보상하는 보상필름(20)으로 구성된다.
상부기판(10)과 하부기판(12)의 배향막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처리된다. 상부기판(10)과 하부기판(12) 사이에 주입되는 OCB 모드의 액정은 배향막의 배향 처리방향에 따라 전이전압(Vtr) 이하에서 초기 배향상태인 스플레이(splay)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액정분자들은 상/하부 배향막의 표면에서 각각 θ와 -θ°의 틸트각(tilt angle)으로 배열되며 액정셀의 중심으로 가면서 틸트각이 감소하여 액정셀의 중심에서 액정분자의 틸트각이 0°가 된다. 이러한 스플레이 상태로 배열된 액정분자들의 광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스플레이 상태로 배열된 액정분자들은 전이전압(Vtr) 이하에서 증가하는 전압(V)에 불규칙적으로 광을 투과시킨다. 이에 따라, 스플레이 상태를 가지는 액정들에 의해 짧은 시간동안 화상에 얼룩이나 깜박거림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스플레이 상태를 가지는 액정분자들은 전이전압(Vtr) 이상의 전압에서 밴드(Bend) 상태로 전이한다. 스플레이 상태의 액정분자들이 밴드 상태로 전이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전이시간(Transition time)이라고 한다.
밴드 상태의 액정분자들은 상/하부 배향막의 표면에서 틸트각이 초기 프리틸트각(pretilt angle) 값인 ±θ(이때, θ는 보통 5 ~ 15°정도임)가 되며 액정셀의 중심으로 가면서 틸트각이 증가하여 액정셀의 중심에서 90°가 된다. 이러한 밴드 상태의 액정분자들은 상하 직교 편광자 사이에서 전압의 증가에 따라 광투과율이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즉, 밴드 상태의 액정분자들은 그레이스케일을 구현하기에 적합하게 되며 화상을 구현하는데 이용된다.
이와 같이, OCB 모드의 액정은 전이전압(Vtr) 이상에서 스플레이 상태에서 안정된 밴드 상태로 전이된다. 전이전압(Vtr) 정도의 전압을 인가할 경우, 액정이 스플레이 상태에서 밴드 상태로 전이되는 데에는 수십초 내지 수백초 정도의 많은 전이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이렇게 OCB 모드 액정이 전이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되면 액정의 스플레이 상태의 특성에 의해 화상에 얼룩점이 나타나거나 깜박거림이 나타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정상구동에 불필요한 스플레이 상태의 액정을 밴드 상태로 빠른 시간 안에 전이시켜야만 한다.
이를 위해, 리셋기간 동안 액정셀의 공통전극에 공통전압(Vcom) 대신에 게이트하이전압(Vgh)을 공급하여 액정셀에 걸리는 전압을 크게 한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DC 컨버터(44)와 타이밍 제어부(34) 사이의 구동전압을 선택하는 스위치(S)를 구비한다.
DC/DC 컨버터(44)는 전원공급부(42)에서 생성된 18V, 3.3V, 그라운드전압(GND)을 공급받아 액정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공통전압(Vcom), 게이트하이전압(Vgh), 게이트로우전압(Vgl), 고전위 공통전압(Vdd), 저전위 공통전압(Vcc)으로 변환시킨다.
스위치(S)는 상기 전압들 중에서 공통전압(Vcom)과 게이트하이전압(Vgh) 중 어느 하나의 전압을 선택하여 액정셀의 공통전극에 공급한다. 다시 말하면, OCB 액정이 전이하는 리셋기간 동안 게이트하이전압(Vgh)을 공급함으로써 액정셀에 걸리는 전압은 실제 구동할 때의 액정셀에 걸리는 전압보다 크게 설정한다. 여기서, 게이트 하이전압(Vgh) 이외에 DC/DC 컨버터(44)에서 생성되는 다른 전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액정셀에 걸리는 전압이 커지게 되므로 액정의 전이시간이 빨라지게 된다.
그러나, 액정셀에 공급되는 전압이 커지면 액정셀에 충전되는 시간이 부족하게 된다. 현재 가장 높은 전위차를 가질 수 있는 게이트하이전압(Vgh)을 공급함으로써 액정을 전이시키고 있으나, 이 경우 요구되는 전류가 부족하여 DC/DC 컨버터(44)를 재설계하거나 충분한 전류를 확보하기 위하여 게이트하이전압(Vgh)보다 낮은 전압인 다른 전압들, 예를 들어 고전위 공통전압(Vdd)을 이용할 수 밖에없는 문제점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전압을 이용해서 액정을 스플레이 상태에서 밴드 상태로 전이시키는 데 걸리는 시간을 1초 이내로 하는 데에는 무리가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이 스플레이 상태에서 밴드 상태로 빠르게 전이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정패널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액정셀에 인가되는 전계에 따른 OCB 모드 액정셀의 배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종래의 다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부기판12 : 하부기판
14, 22 : 편광판16, 20 : 보상필름
18 : 액정30, 60 : 액정패널
32 : 감마전압 발생부34, 54 : 제어부
36, 56 : 데이터 드라이버38, 58 : 게이트 드라이버
40 : 디지털 비디오 카드42, 50 : 전원 공급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한 프레임의 리셋기간 동안 액정이 스플레이 상태에서 밴드 상태로 전이됨과 아울러 리셋기간 이후의 정상구동기간 동안 정상 구동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판과 하판 사이에 액정이 주입되며 상판에 형성된 공통전극과 하판에 형성된 화소전극에 공급된 전압의 차에 의하여 액정이 구동함과 아울러 액정의 구동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과, 정상구동기간 동안 공통전압이 공급되는 공통전극과, 액정패널을 구동시키는 구동전압들을 생성하는 DC/DC 컨버터와, DC/DC 컨버터에 전압을 공급하며 리셋기간 동안 공통전극에 리셋전압을 직접 공급하여 액정에 걸리는 전압이 정상구동기간보다 더 크게 하는 전원 공급부와, 전원 공급부에서 리셋기간 동안 공통전극에 리셋전압을 공급하며 정상구동기간 동안 공통전극에 공통전압을 공급하도록 선택하는 스위치소자와, 스위치소자의 스위칭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한 프레임의 리셋기간 동안 액정이 스플레이 상태에서 밴드 상태로 전이됨과 아울러 리셋기간 이후의 정상구동기간 동안 정상 구동되는 액정표시소자에 있어서, 리셋기간 동안 액정셀의 공통전극에 외부에서 공급되는 리셋전압을 선택하는 단계와, 리셋전압에 의해 액정셀에 걸리는 전압이 정상구동기간보다 더 큰 전압이 되어 액정이 스플레이 상태에서 밴드 상태로 전이되는 단계와, 정상구동기간 동안 공통전극에 정상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셋전압의 크기는 DC/DC 컨버터에서 생성되며 액정패널의 구동에 이용되는 전압들 중 가장 큰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셋기간 동안 액정셀에 걸리는 전압차는 30V ~ 40V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셋전압은 직류전압 또는 교류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리셋기간 동안 외부 전원 공급부(50)로부터 액정셀의 공통전극에 리셋전압(Vrst)을 공급하여 액정셀에 걸리는 전압을 정상 구동시의 전압보다 크게 한다. 이에 따라, OCB 액정들은 스플레이상태에서 밴드상태로 빠르게 전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전원공급부(50)와, 전원공급부(5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여러 구동전압으로 변환시키는 DC/DC 컨버터(52)와, 액정패널(60)의 데이터라인들(DL)에 비디오 데이터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드라이버(56)와, 액정패널(60)의 게이트라인들(GL)을 순차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58)와, 데이터 드라이버(56)와 게이트 드라이버(58)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부(54)와, 전원 공급부(50)로부터 공급되는 리셋전압을 액정셀의 공통전극에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S)를 구비한다.
액정패널(60)은 두 장의 유리기판 사이에 OCB 모드 액정이 주입되며, 그 하부기판 상에 게이트라인들(GL)과 데이터라인들(DL)이 상호 직교되도록 형성된다. 게이트라인들(GL)과 데이터라인들(DL)의 교차부에는 데이터라인들(DL)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액정셀(Clc)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TFT가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TFT는 게이트라인(GL)에 게이트단자가 접속되며, 데이터라인(DL)에 소스단자가 접속된다. 그리고 TFT의 드레인단자는 액정셀(Clc)의 화소전극에 접속된다.
전원 공급부(50)는 액정패널(60)의 구동전압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부(50)는 18V, 3.3V, 그라운드전압(GND)을 생성하여 DC/DC 컨버터(52)로 공급한다.
DC/DC 컨버터(52)는 전원 공급부(50)로부터의 구동전압을 공통전압(Vcom), 게이트하이전압(Vgh), 게이트로우전압(Vgl), 고전위 공통전압(Vdd), 저전위 공통전압(Vcc)으로 변환시킨다. DC/DC 컨버터(52)는 변환된 상기 전압들을 타이밍 제어부(54)에서 제어하여 데이터 드라이버(56)와 게이트 드라이버(58)에 공급한다.
타이밍 제어부(54)는 수평/수직 동기신호(H,V)를 이용하여 도트클럭(Dclk)과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를 생성하여 데이터 드라이버(56)와 게이트 드라이버(58)의 타이밍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도트클럭(Dclk)은 데이터 드라이버(56)에 공급되며,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는 게이트 드라이버(58)에 공급된다.
데이터 드라이버(56)는 타이밍 제어부(54)로부터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함께 도트클럭(Dclk)이 입력된다. 이 데이터 드라이버(56)는 도트클럭(Dclk)에 동기하여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래치한 후에, 래치된 데이터를 감마전압(Vγ)에 따라 보정하게 된다. 그리고 데이터 드라이버(56)는 감마전압(Vγ)에 의해 보정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여 1 라인분씩 액정패널(60)의 데이터라인(DL)에 공급하게 된다.
게이트 드라이버(58)는 타이밍 제어부(54)로부터 입력되는 게이트 하이전압(Vgh)을 액정패널(60)의 게이트라인(GL)에 라인순차적으로 공급한다. 게이트 하이전압(Vgh)에 응답하여 TFT가 턴-온되며 TFT의 턴-온 기간 동안 액정셀에는 데이터가 충전된다.
특히, 타이밍 제어부(54)는 리셋기간 동안 액정셀의 공통전극에 공통전압(Vcom)을 선택하지 않고, 리셋전압(Vrst)을 선택하도록 제어한다. 리셋기간 이후, 타이밍 제어부(54)는 공통전극에 정상 구동시의 공통전압(Vcom)이 공급되게끔 제어한다. 이는 스위치(S)로서 구현되며, 스위치(S)는 리셋기간동안에 리셋전압(Vrst)을 선택하고 정상구동기간에는 공통전압(Vcom)을 선택하게 된다.
타이밍 제어부(54)에 의해 스위치(S)가 제어되면 리셋기간 동안 액정셀의 공통전극에는 리셋전압(Vrst)이 공급된다. 이 리셋전압(Vrst)은 DC/DC 컨버터(52)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전원 공급부(5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이다. 다시 말하면, 종래에는 OCB 액정의 전이시간(Vtr)을 단축하기 위해서 리셋전압(Vrst)으로 액정패널을 구동하는 전압들 중에 가장 높을 전위, 예를 들어 게이트하이전압(Vgh)을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액정패널을 구동하는 전압이 아닌 외부전원으로부터 직접 생성된 전압을 사용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종래보다 높은 전압을 액정셀의 공통전극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전원 공급부(50)로부터 약 30 ~ 40V의 전압을 공통전극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OCB 모드의 액정셀에 걸리는 전압이 커지게 되어 액정이 스플레이 상태에서 밴드 상태로 전이하는 전이시간이 빨라지게 된다.
리셋기간 이후, 타이밍 제어부(54)의 제어신호에 따라 액정셀의 공통전극에는 밴드 상태로 전이된 액정분자들의 정상구동을 위하여 공통전압(Vcom)이 공급되고, 화소전극에는 실제 화상 데이터가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은 OCB액정이 적용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리셋기간 동안 액정셀의 공통전극에 외부에서 생성된 리셋전압(Vrst)을 공급하여 액정셀에 걸리는 전압차를 정상구동시보다 크게한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은 액정이 스플레이 상태에서 밴드 상태로 빠르게 전이될 수 있으므로 전이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8)

  1. 한 프레임의 리셋기간 동안 액정이 스플레이 상태에서 밴드 상태로 전이됨과 아울러 리셋기간 이후의 정상구동기간 동안 정상 구동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판과 하판 사이에 상기 액정이 주입되며 상기 상판에 형성된 공통전극과 상기 하판에 형성된 화소전극에 공급된 전압의 차에 의하여 상기 액정이 구동함과 아울러 상기 액정의 구동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과,
    상기 정상구동기간 동안 공통전압이 공급되는 공통전극과,
    상기 액정패널을 구동시키는 구동전압들을 생성하는 DC/DC 컨버터와,
    상기 DC/DC 컨버터에 전압을 공급하며 상기 리셋기간 동안 상기 공통전극에 리셋전압을 직접 공급하여 상기 액정에 걸리는 전압이 상기 정상구동기간보다 더 크게 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리셋기간 동안 상기 공통전극에 리셋전압을 공급하며 상기 정상구동기간 동안 상기 공통전극에 공통전압을 공급하도록 선택하는 스위치소자와,
    상기 스위치소자의 스위칭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전압의 크기는 상기 DC/DC 컨버터에서 생성되며 상기 액정패널의구동에 이용되는 전압들 중 가장 큰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기간 동안 상기 액정셀에 걸리는 전압은 30V ~ 40V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전압은 직류전압 또는 교류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한 프레임의 리셋기간 동안 액정이 스플레이 상태에서 밴드 상태로 전이됨과 아울러 리셋기간 이후의 정상구동기간 동안 정상 구동되는 액정표시소자에 있어서,
    상기 리셋기간 동안 액정셀의 공통전극에 외부에서 공급되는 리셋전압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리셋전압에 의해 상기 액정셀에 걸리는 전압이 상기 정상구동기간보다 더 큰 전압이 되어 상기 액정이 스플레이 상태에서 밴드 상태로 전이되는 단계와,
    상기 정상구동기간 동안 상기 공통전극에 정상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전압의 크기는 상기 액정패널의 구동에 이용되는 전압들 중 가장 큰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기간 동안 상기 액정셀에 걸리는 전압은 30V ~ 40V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전압은 직류전압 또는 교류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020044270A 2002-07-26 2002-07-26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870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270A KR100870516B1 (ko) 2002-07-26 2002-07-26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270A KR100870516B1 (ko) 2002-07-26 2002-07-26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900A true KR20040009900A (ko) 2004-01-31
KR100870516B1 KR100870516B1 (ko) 2008-11-26

Family

ID=3731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270A KR100870516B1 (ko) 2002-07-26 2002-07-26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05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726B1 (ko) * 2004-12-10 2007-06-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Ocb모드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7903065B2 (en) 2006-09-27 2011-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KR20140076252A (ko) * 2012-12-12 2014-06-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00059206A (ko) * 2012-12-12 2020-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8839B2 (ja) * 1999-10-26 2005-07-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100665944B1 (ko) * 2000-01-31 2007-01-0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오씨비 모드 액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656916B1 (ko) * 2000-11-10 2006-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초기 벤드 배향을 고속화하기 위한 액정 표시 장치 및이의 구동 장치와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726B1 (ko) * 2004-12-10 2007-06-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Ocb모드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7903065B2 (en) 2006-09-27 2011-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KR20140076252A (ko) * 2012-12-12 2014-06-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00059206A (ko) * 2012-12-12 2020-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0516B1 (ko) 200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9631B2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装置
KR101243789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7019728B2 (en) LCD for speeding initial bend state, driver and method thereof
KR10088327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07013269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12028710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2011010269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870516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78651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864972B1 (ko) 액정표시장치의 리셋구동장치와 이를 이용한 리셋방법
KR100783704B1 (ko) 액정 표시 장치와 이의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040055404A (ko) 강유전성 액정의 전계배향방법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0905668B1 (ko) 강유전성 액정의 전계배향방법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053833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864974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127820B1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방법
KR100542761B1 (ko) 오씨비 모드의 리셋회로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US8436954B2 (en) Method of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861264B1 (ko)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730176B1 (ko) Ocb 액정표시패널의 전이구동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57812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70060842A (ko) Ocb 액정표시패널의 전이구동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13962A (ko) 액정표시소자의 데이터 구동회로
KR20070059685A (ko) Ocb 액정표시패널의 전이구동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