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9734A -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통화종료 알림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통화종료 알림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9734A
KR20040009734A KR1020020043775A KR20020043775A KR20040009734A KR 20040009734 A KR20040009734 A KR 20040009734A KR 1020020043775 A KR1020020043775 A KR 1020020043775A KR 20020043775 A KR20020043775 A KR 20020043775A KR 20040009734 A KR20040009734 A KR 20040009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ll
caller
service
ter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1937B1 (ko
Inventor
김주명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20043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1937B1/ko
Publication of KR20040009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9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9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통화종료 알림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신단말(10)의 발신요청(S10)에 따라서 교환기(30)가 착신단말(20)의 통화중 상태를 확인하면(S20) 발신단말(10)로 통화중 안내방송을 송출한 후(S40), 발신자의 서비스 선택을 대기하고(S50), 발신자가 통화종료 알림 서비스를 선택하거나 회선 점유 서비스를 선택한 후 교환기(30)가 착신단말(20)의 통화종료 상태를 감지하는 즉시 이 사실을 SMSC(40)로 통보하면 SMSC(40)가 발신단말(10)로 착신단말(20)의 번호를 회신번호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송출하여 발신단말(10)과 착신단말(20)을 통화 연결시키거나(S60,S70), 발신자가 착신측 메시지 송출 서비스를 선택한 후 교환기(30)가 이 사실을 SMSC(40)로 통보하면 SMSC(40)가 발신단말(10)로 통화종료 단문메시지를 송출함과 동시에, 착신단말(20)로 발신단말(10)의 번호와 발신자가 통화를 원하고 있다는 단문메시지를 송출하도록(S80)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서, 발신자가 착신단말 측의 통화종료 상태를 정확하게 알 수 있고, 착신자의 통화 종료 후 착신자와 발신자간의 즉각적인 통화 연결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통화종료 알림방법{Method of informing a sender the end of a call in a mobile communicator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통화종료 알림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동통신단말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전화를 걸었을 때, 착신단말 측이 통화 중인 상태로 인해 착신자와 통화 연결을 할 수 없게 되면, 발신자는 반복적으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거나, 음성메시지 또는 문자메시지를 남겨서 착신자에게 회신을 요청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발신자는 착신단말 측의 통화종료 상태를 정확하게 알 수 없기 때문에 착신자와 통화 연결이 될 때까지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착신자와의 통화 연결을 시도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음성메시지나 문자메시지를 남겨 회신 요청을 하더라도 착신자가 메시지를 즉시 확인하지 않으면 착신자의 통화 종료 후 착신자와 발신자간의 즉각적인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신자의 통화 중 상태로 인해 발신자가 착신자와의 통화 연결에 실패하였을 경우 착신단말의 통화종료 상태를 감지하여 발신자에게 통보해 주는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통화종료 알림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통화종료 알림방법은, 발신단말의 발신요청에 따라서 교환기가 착신단말의 통화중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착신단말이 통화중이 아니면 교환기가 발신단말과 착신단말을 통화 연결하는 단계; 착신단말이 통화중이면 교환기가 발신단말로 통화중 안내방송을 송출한 후, 통화종료 알림 서비스와 회선 점유 서비스 및 착신측 메시지 송출 서비스 선택안내방송을 송출한 다음 발신자의 서비스 선택을 대기하는 단계; 발신자가 통화종료 알림 서비스를 선택한 후 교환기가 착신단말의 통화종료 상태를 감지하는 즉시, 이 사실을 SMSC로 통보하면 상기 SMSC가 발신단말로 착신단말의 번호를 회신번호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송출하여 발신단말과 착신단말을 통화 연결시키는 단계; 발신자가 회선 점유 서비스를 선택한 후 교환기가 착신단말의 통화종료 상태를 감지하는 즉시 상기 착신단말로 통화를 요청하여 회선을 점유하고, 이 사실을 SMSC로 통보하면 상기 SMSC가 발신단말로 착신단말의 번호를 회신번호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송출하여 발신단말과 착신단말을 통화 연결시키는 단계; 및 발신자가 착신측 메시지 송출 서비스를 선택한 후 교환기가 이 사실을 SMSC로 통보하면, 상기 SMSC가 발신단말로 착신단말의 통화종료를 알리는 단문메시지를 송출함과 동시에, 착신단말로 발신단말의 번호와 발신자가 통화를 원하고 있다는 단문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종료 알림방법을 적용하는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통화종료 알림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발신단말 20: 착신단말
30: 교환기 40: SMSC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화종료 알림방법을 적용하는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교환기(30)는 발신단말(10)과 착신단말(20) 사이의 통화를 중계한다.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 40)는 상기 발신단말(10)로 착신단말(20)의 번호를 회신번호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송출하거나, 상기 착신단말(20)로 발신단말(10)의 번호와 발신자가 통화를 원하고 있다는 단문메시지를 송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통화종료 알림방법에 의해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발신단말(10)이 발신요청을 하면(S10), 교환기(30)는 발신단말(10)이 요청한 착신단말(20)의 번호, 즉 전화번호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거나 교환기(30) 내부의 단말상태 감시 기능을 이용하여 착신단말(20)의 통화중 상태를 확인한다(S20).
만약, 상기 착신단말(20)이 통화중이 아니라고 확인되면, 상기 교환기(30)는 발신단말(10)과 착신단말(20)을 정상적으로 통화 연결한다(S30).
반면에, 상기 착신단말(20)이 통화중이라고 확인되면, 상기 교환기(30)가 발신단말(10)로 통화중 안내방송을 송출한 후(S40), 통화종료 알림 서비스와 회선 점유 서비스 및 착신측 메시지 송출 서비스 선택안내방송을 송출한 다음 발신자의 서비스 선택을 대기한다(S50).
이때, 상기 통화종료 알림 서비스는 발신자에게 착신측의 통화가 종료되면이 사실을 알려줄 것을 요청할 것인지를 묻고, 실제로 발신자가 서비스를 선택하면 착신자의 통화종료 후에 착신측의 전화번호를 발신자에게 제공하여 발신자가 착신측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필요 없이 통화 버튼만 누름으로써 간편하게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상기 회선 점유 서비스는 발신자에게 착신측의 통화가 종료되면 착신측 회선을 점유한 상태에서 이 사실을 알려줄 것을 요청할 것인지를 묻고, 실제로 발신자가 서비스를 선택하면 착신자의 통화종료 후에 착신측이 다른 발신자에 의해 또다시 통화중 상태가 되지 않도록 착신측의 회선을 미리 점유해 두고 착신측의 전화번호를 발신자에게 제공하여 발신자가 착신측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필요 없이 통화 버튼만 누름으로써 간편하게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상기 착신측 메시지 송출 서비스는 발신자에게 착신측의 통화가 종료되면 이 사실을 알려줌과 동시에 착신자에게 발신자가 통화를 원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려줄 것을 요청할 것인지를 묻고, 실제로 발신자가 서비스를 선택하면 착신자의 통화종료 후에 발신자에게 착신측의 통화종료를 알림과 동시에, 착신자에게 발신자가 통화를 원하고 있다는 사실을 통보하는 서비스이다.
상기와 같이 교환기(30)가 발신자의 서비스 선택을 대기하는 상태에서, 만약 발신자가 통화종료 알림 서비스를 선택하면, 상기 교환기(30)는 먼저 착신단말(20)과 발신단말(10)의 번호를 저장한 다음(S61), 착신단말(20)에 대하여 주기적으로(예컨대, 5초 간격으로) 통화종료 상태를 감시한다(S62).
이때, 발신단말(10)이 동일한 교환망 내의 착신단말(20)과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이면, 상기 교환기(30)는 해당 착신단말(20)에 대한 통화종료 여부를 감시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착신단말(20)의 통화종료 상태를 감시하는 동안 착신단말(20)에 대하여 해당 발신자가 아닌 다른 발신자로부터의 통화 요청이 있을 시에 상기 교환기(30)는 다른 발신자에게 통화중 안내방송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안내하고, 다른 발신자의 서비스 선택을 대기할 수 있다. 이때, 교환기(30)는 현재 몇 명의 발신자가 대기하고 있는지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교환기(30)에 의해 착신단말(20)의 통화종료 상태가 감지되면, 교환기(30)는 이 사실을 SMSC(40)로 즉시 통보하며(S63), 이에 따라서 상기 SMSC(40)는 발신단말(10)로 착신단말(20)의 번호를 회신번호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송출하여(S64) 발신자가 발신단말(10)의 통화 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상기 발신단말(10)과 착신단말(20)을 통화 연결시켜 착신자와 통화하도록 한다(S65).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교환기(30)가 발신자의 서비스 선택을 대기하는 상태에서, 발신자가 회선 점유 서비스를 선택하면, 상기 교환기(30)는 먼저 착신단말(20)과 발신단말(10)의 번호를 저장한 다음(S71), 착신단말(20)에 대하여 주기적으로(예컨대, 5초 간격으로) 통화종료 상태를 감시한다(S72).
이때, 발신단말(10)이 동일한 교환망 내의 착신단말(20)과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이면, 상기 교환기(30)는 해당 착신단말(20)에 대한 통화종료 여부를 감시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착신단말(20)의 통화종료 상태를 감시하는 동안 착신단말(20)에 대하여 해당 발신자가 아닌 다른 발신자로부터의 통화 요청이 있을 시에 상기 교환기(30)는 다른 발신자에게 통화중 안내방송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안내하고, 다른 발신자의 서비스 선택을 대기할 수 있다. 이때, 교환기(30)는 현재 몇 명의 발신자가 대기하고 있는지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교환기(30)에 의해 착신단말(20)의 통화종료 상태가 감지되면, 교환기(30)는 즉시 상기 착신단말(20)로 통화를 요청하여 회선을 점유하고(S73), 이 사실을 SMSC(40)로 통보하며(S74), 이에 따라서 상기 SMSC(40)는 발신단말(10)로 착신단말(20)의 번호를 회신번호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송출하여(S75) 발신자가 발신단말(10)의 통화 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상기 발신단말(10)과 착신단말(20)을 통화 연결시켜 착신자와 통화하도록 한다(S76).
끝으로, 상기와 같이 교환기(30)가 발신자의 서비스 선택을 대기하는 상태에서, 발신자가 착신측 메시지 송출 서비스를 선택하면, 상기 교환기(30)는 이 사실을 SMSC(40)로 통보하고(S81), 이에 따라서 상기 SMSC(40)는 발신단말(10)로 착신단말(20)의 통화종료를 알리는 단문메시지를 송출함과 동시에, 착신단말(20)로 발신단말(10)의 번호와 발신자가 통화를 원하고 있다는 단문메시지를 송출한다(S8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통화종료 알림방법은 착신자의 통화 중 상태로 인해 발신자가 착신자와의 통화 연결에 실패하였을 경우 착신단말의 통화종료 상태를 감지하여 발신자에게 통보해 주기 때문에, 발신자가 착신단말 측의 통화종료 상태를 정확하게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착신자의 통화 종료 후 착신자와 발신자간의 즉각적인 통화 연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통화종료 알림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1)

  1. 발신단말(10)의 발신요청(S10)에 따라서 교환기(30)가 착신단말(20)의 통화중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20)와;
    착신단말(20)이 통화중이 아니면 교환기(30)가 발신단말(10)과 착신단말(20)을 통화 연결하는 단계(S30);
    착신단말(20)이 통화중이면 교환기(30)가 발신단말(10)로 통화중 안내방송을 송출한 후(S40), 통화종료 알림 서비스와 회선 점유 서비스 및 착신측 메시지 송출 서비스 선택안내방송을 송출한 다음 발신자의 서비스 선택을 대기하는 단계(S50);
    발신자가 통화종료 알림 서비스를 선택한 후 교환기(30)가 착신단말(20)의 통화종료 상태를 감지하는 즉시, 이 사실을 SMSC(40)로 통보하면 상기 SMSC(40)가 발신단말(10)로 착신단말(20)의 번호를 회신번호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송출하여 발신단말(10)과 착신단말(20)을 통화 연결시키는 단계(S60);
    발신자가 회선 점유 서비스를 선택한 후 교환기(30)가 착신단말(20)의 통화종료 상태를 감지하는 즉시 상기 착신단말(20)로 통화를 요청하여 회선을 점유하고, 이 사실을 SMSC(40)로 통보하면 상기 SMSC(40)가 발신단말(10)로 착신단말(20)의 번호를 회신번호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송출하여 발신단말(10)과 착신단말(20)을 통화 연결시키는 단계(S70); 및
    발신자가 착신측 메시지 송출 서비스를 선택한 후 교환기(30)가 이 사실을 SMSC(40)로 통보하면, 상기 SMSC(40)가 발신단말(10)로 착신단말(20)의 통화종료를알리는 단문메시지를 송출함과 동시에, 착신단말(20)로 발신단말(10)의 번호와 발신자가 통화를 원하고 있다는 단문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S8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통화종료 알림방법.
KR1020020043775A 2002-07-25 2002-07-25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통화종료 알림방법 KR100541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775A KR100541937B1 (ko) 2002-07-25 2002-07-25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통화종료 알림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775A KR100541937B1 (ko) 2002-07-25 2002-07-25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통화종료 알림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734A true KR20040009734A (ko) 2004-01-31
KR100541937B1 KR100541937B1 (ko) 2006-01-10

Family

ID=37318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775A KR100541937B1 (ko) 2002-07-25 2002-07-25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통화종료 알림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19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109A (ko) * 2002-12-09 2004-06-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망에서 호 연결 가능 알림 방법
KR100751082B1 (ko) * 2005-11-28 200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화 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이동 통신교환국 그리고 그 통화 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받아처리하는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792838B1 (ko) * 2006-01-02 2008-01-14 주식회사 팬택 착신 대기 상태 알림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1288344B1 (ko) * 2006-08-08 2013-07-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3051B1 (ko) * 1993-07-31 1998-08-17 정장호 구내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통화종료 정보 제공방법
KR960007666B1 (ko) * 1993-12-28 1996-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무선 전화기의 통화불능상태 통보방법
KR100269866B1 (ko) * 1998-06-10 2000-10-16 김영환 단문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신자단문 서비스 방법
JP3367605B2 (ja) * 1999-06-22 2003-01-14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ールバック通信制御方法とそのシステム
KR100617712B1 (ko) * 1999-06-29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무선단말기의 통화중상태 알림방법
KR20010028105A (ko) * 1999-09-17 2001-04-06 서평원 이동통신망에서의 불완료호 처리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109A (ko) * 2002-12-09 2004-06-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망에서 호 연결 가능 알림 방법
KR100751082B1 (ko) * 2005-11-28 200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화 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이동 통신교환국 그리고 그 통화 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받아처리하는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792838B1 (ko) * 2006-01-02 2008-01-14 주식회사 팬택 착신 대기 상태 알림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1288344B1 (ko) * 2006-08-08 2013-07-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1937B1 (ko) 2006-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8057B1 (ko) 입중계호에 응답하기 위한 방법 및 가입자 전화 시스템의 기지 장치
KR100541937B1 (ko)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통화종료 알림방법
KR20010028105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불완료호 처리 방법
US6658255B1 (en) Enhanced wireless radio channel utilization
CN101155398A (zh) 一种通话控制方法及通讯系统
KR100640473B1 (ko) 휴대폰의 메시지 자동 전송방법
KR0135206B1 (ko) 교환기 시스템의 유무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464327B1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착신자정보를안내하는방법
EP3787271B1 (en) Method for establishing or for facilitating to establish a voice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a first user equipment and a second user equipment, system, and telecommunications network,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100703537B1 (ko) 사설교환기에서 링 그룹 착신 호에 대한 대기시간 관리장치 및 방법
KR100303310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사서함서비스에서메시지수신통보및자동호출방법
KR100208179B1 (ko) 국선 교환기의 통화중 메시지 전달방법
JP2009055210A (ja) 交換機、交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592935B1 (ko) VoIP 단말의 통화 가능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7251302B2 (ja) 緊急通報装置
KR20070044994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호 연결 자동 시도 방법
KR1005213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상태 서비스 방법
KR10058942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착신호 선택 연결 서비스 방법
JP2007036892A (ja) 電話システム、電話機、及び通話終了通知方法
KR101044505B1 (ko) 전화 회신 서비스 방법
KR100531874B1 (ko) 휴대 단말기의 양방향 호출 방법
KR100478838B1 (ko) 씨아디 비가입 에스엠에스 전화기의 에스엠에스자동수신방법
KR2005011668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불가 안내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520668B1 (ko) 무선 전화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착신되었던 무응답 호 확인방법
JPH03220960A (ja) 端末間の回線接続処理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