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8084A - 벌룬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벌룬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8084A
KR20040008084A KR1020030047806A KR20030047806A KR20040008084A KR 20040008084 A KR20040008084 A KR 20040008084A KR 1020030047806 A KR1020030047806 A KR 1020030047806A KR 20030047806 A KR20030047806 A KR 20030047806A KR 20040008084 A KR20040008084 A KR 20040008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balloon
yarn guide
brak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7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타야마사부로
아나다마사루
Original Assignee
츠다코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다코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츠다코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8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8084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22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adapted to prevent excessive ballooning of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00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in which the product is wound-up continuously
    • D01H1/14Details
    • D01H1/42Guards or protectors for yarns or threads, e.g. separator plates, anti-balloon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7/00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 D01H7/02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for imparting permanent twist
    • D01H7/04Spindles
    • D01H7/18Arrangements on spindles for suppressing yarn ballo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24Mechanisms for inserting shuttle in shed
    • D03D49/50Miscellaneous devices or arrangements concerning insertion of weft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4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2700/00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looms; Weavening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Shuttles
    • D03J2700/06Auxiliary devices for inspecting, counting or meas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벌룬 브레이크의 인출저항을 작게 하여 실을 빼서 통과시키는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실 권회체(3)와, 실 권회체(3)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얀 가이드(4)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벌룬 브레이크(1)로서, 실 권회체(3)측으로부터 얀 가이드(4)로 향하여 연장되는 나선부(13)를 구비하며, 상기 나선부(13)는 실 권회체(3)의 축선(J)을 중심으로 하여 1회전 미만의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또한 얀 가이드(4)에 근접함에 따라서 상기 축선(J)에 대한 거리가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브레이크.

Description

벌룬 브레이크{balloon breaker}
본 발명은 섬유기계(직기, 편기, 연사기 등)의 실 권회체(卷回體)와, 실 권회체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얀 가이드(yarn guide) 사이에 배치되는 벌룬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섬유기계에서는 실 권회체에 감겨진 실을 인출하면 실이 외측으로 팽창하려고 함에 따라 해서(解舒) 벌룬(ballon)이 발생하므로 벌룬 브레이크에 의하여 이 팽창을 저지하고 있다. 상술한 벌룬 브레이크에 관한 기본적인 종래 기술로 일본국 실개소60-127375호 공보에는, 위사를 삽입하는 방향으로 선단부가 가늘어지는 원추형 통 형상의 벌룬 브레이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해서된 위사가 벌룬 브레이크에 접촉하는 현상에 의한 인출저항(마찰저항)을 작게 하기 위한 개량기술로 일본국 실개소57-138992호 공보에는, 선단부가 가느다란 원추형의 코일을 이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개량기술보다도 인출저항을 더욱 작게 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상기 후자의 개량기술은 원추공간을 코일에 의해 나선형으로 덮고 있으므로, 코일의 외측으로부터 손가락을 속으로 넣어 실을 빼내어 통과시킬 때에는 어느 방향에서나 코일이 방해가 되어 실을 통과시키는 작업을 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정을 고려하여 개발된 것으로, 그 과제는, 인출저항을 작게 하여 실을 빼내어 통과시키는 작업을 하기가 쉽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벌룬 브레이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벌룬 브레이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벌룬 브레이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벌룬 브레이크
3 : 실 권회체
4 : 얀 가이드
13 : 나선부
14 : 연장부
J : 축선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실 권회체와, 상기 실 권회체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얀 가이드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벌룬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상기 벌룬 브레이크는 실 권회체 측으로부터 얀 가이드 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나선부를 구비하며, 상기 나선부는 실 권회체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1회전 미만의 나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얀 가이드에 근접함에 따라서 상기 축선에 대한 거리가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선부는, 얀 가이드에 근접함에 따라서 상기 축선에 대한 거리가 접근하기 때문에, 실 권회체로부터 해서된 실은 얀 가이드의 실 통과공에 자연스럽게 가까워져 간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나선부는 실 권회체의 외주의 외측으로부터 얀 가이드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실 권회체와 얀 가이드 사이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실의 팽창을 저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나선부는 실 권회체의 외주의 외측으로부터 실 권회체와 얀 가이드의 중간 위치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실 권회체로부터 인출된 실의 팽창을 초기단계에서 저지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나선부의 얀 가이드측의 선단에 연장부를 설치하며, 이 연장부는 얀 가이드에 근접함에 따라서 상기 축선에 대한 거리가 멀어지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연장부가 있으므로 연장부가 없는 구조에 비해 나선부에 접촉된 실의 이탈(빠짐)작용이 향상된다.
<실시 예>
본 발명의 벌룬 브레이크(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고정 드럼식 위사측장 저류장치(緯絲測長 貯留裝置, 2)에 적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분사식 직기의 위사 삽입 노즐(5)의 상류 측으로부터, 고정 드럼식 위사측장 저류장치(2)와, 벌룬 브레이크(1) 및 얀 가이드(4)를 위사를 삽입하는 방향으로 순차 배치하며, 드럼(6)에 감겨진 위사 Y를 위사 삽입 노즐(5)로부터의 유체분사에 의해서 인출하여 위사 삽입이 이루어진다. 얀 가이드(4) 및 위사 삽입 노즐(5)은 도시하지 않은 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건에서 말하는 실 권회체(3)는 실이 감겨져 있는 것을 가리키며, 고정 드럼식 위사측장 저류장치(2)에서는 실이 감겨지는 드럼(6)이 이에 상당한다.
고정 드럼식 위사측장 저류장치(2)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사(Y)를 드럼(6)에 감아서 저장하며, 드럼(6)의 둘레 면에 대한 계지(係止) 핀(7)의 왕복운동에 의해서 위사(Y)의 계지 및 해서가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저류장치 본체(8)의 선단부에 드럼(6)을 고정하고, 저류장치 본체(8) 내에 도시하지 않은 회전축을 가지며, 회전축에는 날개(flier)(9)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이 날개(9)는 드럼(6)의 주위를 따라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저류장치 본체(8)에 고정한 브래킷(10)을 거쳐서 계지 핀(7)을 드럼(6)의 외측에 지지하여,계지 핀(7)의 왕복운동에 의해서 그 선단부를 드럼(6)의 계지공(11)에 대하여 출몰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벌룬 브레이크(1)는 봉 형상의 부재를 구부린 형상을 한 것으로, 그 일단부를 상기 브래킷(10)의 선단부에 뚫린 수용공(12)에 삽입하여 나사고정 등의 방법으로 고정함으로써 그 일단부를 드럼(6)의 외주의 외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벌룬 브레이크(1)의 재료는 강체(剛體)가 바람직하나, 위사의 팽창 방지 상태를 현장에서 보면서 구부러진 상태를 조정할 수 있도록, 손으로 만곡 가능한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 재료라도 좋다. 봉 형상 부재의 단면 형상은 도면에서는 원형으로 하고 있으나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등의 각형이어도 좋으나, 바람직하게는 라운딩을 띤 형태(원형, 타원형, 코너가 둥근 각형 등)로 한다. 또한, 벌룬 브레이크(1)는 드럼(6)의 외주의 외측에서 얀 가이드(4)에 도달할 때까지(접촉할 때까지) 연장되어 있고, 나선부(13)와 연장부(14)로 이루어진다.
나선부(13)는 위사(Y)가 접촉하여 그 팽창을 저지하는 부분으로, 실 권회체(3)의 회전축의 축선(J)을 중심으로 하여 1회전 미만의 나선형상으로 하며, 또한 얀 가이드(4)에 근접함에 따라서 축선(J)에 대한 거리가 접근하는 부분이다.
나선부(13)는 드럼(6)의 외주와 얀 가이드(4)의 실 통과공(15)을 연결하는 가상의 원추체 공간의 측면에 접하는 상태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추체의 측면에는 접하고 있지 않더라도 얀 가이드(4)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축선 방향으로 거리가 접근하면 위사(Y)의 팽창을 방지할 수 있다. 나선부(13)의 나선방향은 위사의 해서방향(날개의 회전방향)과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하면, 위사(Y)가 얀 가이드(4)에 근접하는 과정에서 위사(Y)의 팽창이 나선부(13)를 따라서 직경이 축소되도록 규제되는 시기가 발생할 수 있어서 팽창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얀 가이드(4)측에서 실 권회체(3)를 본 경우, 나선부(13)의 각도 θ는 도 2에서는 축선(J)을 중심으로 하여 약 140°이나, 0°<θ<360°의 범위 내이면 좋다. 바람직하게는 120°≤θ<360°(1/3회전≤θ<1회전)이다.
연장부(14)는 나선부(13)에서 팽창을 저지한 위사(Y)를 얀 가이드(4)의 실 통과공(15)에 유도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서, 실의 빠지는 정도를 고려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얀 가이드(4)에 근접함에 따라서 축선(J)에 대한 거리가 멀어지는 부분이며, 나선부(13)의 얀 가이드측의 선단에서부터 굴절하지 않고 매끈하게 연속하여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벌룬 브레이크(1)는, 드럼(6)의 직경, 드럼(6)으로부터 얀 가이드(4)까지의 거리, 실의 해서 방향 등에 맞춰서 나선부(13)와 연장부(14)를 설정한다. 설정 파라미터로서는, 드럼(6)으로부터 얀 가이드(4)를 향하여 연장되는 길이(L)와, 드럼(6)의 직경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나선부(13)의 취부측의 직경(ra)과, 얀 가이드(4)의 실 통과공(15)의 내경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나선부(13)의 선단 측의 직경(rb)과, 나선부(13)의 각도(θ)와, 연장부(14)의 길이(d) 등이 있다. 벌룬 브레이크(1)의 취부 위치는 계지 핀(7)의 근방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계지 핀(7)으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라도 좋다.
고정 드럼식 위사측장 저류장치(2)의 동작은, 우선 계지 핀(7)이 드럼(6)의계지공(11)에 몰입된 계지상태에서 날개(9)가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날개(9)로부터 인출되는 위사(Y)가 드럼(6)에 감겨진다. 그 후, 직기의 소정 타이밍에서 계지 핀(7)이 계지공(11)으로부터 탈출하여 계지상태가 해서됨과 동시에, 위사 삽입 노즐(5)로부터의 유체분사에 의해 드럼(6)에 저장된 위사(Y)가 해서 벌룬을 발생시키면서 인출되어 위사가 삽입된다. 이어지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다시 계지 핀(7)이 계지공(11)에 몰입되어 계지상태가 되고, 위사(Y)는 드럼(6)으로부터 소정 길이 인출되어 위사 삽입이 완료한다. 위사 삽입과정에서 드럼(6)으로부터 얀 가이드(4)를 향하는 도중에 드럼(6)에 감겨지는 위사(Y)가 해서될 때에 위사(Y)에는 원심력이 작용하여 외측으로 팽창하려고 하는 현상이 발생하나, 벌룬 브레이크(1)에 의해서 그 팽창을 저지하기 때문에 위사 삽입 노즐(5)측으로의 인출저항을 억제할 수 있으며, 위사 삽입이 지장 없이 이루어진다.
이하에 본 발명의 변형 예를 설명한다. 벌룬 브레이크(1)는 봉 형상 부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면이 대략 장방형의 띠형 부재이어도 좋다. 벌룬 브레이크(1)의 제작방법은 봉 형상 부재나 띠 형상 부재를 구부리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선단이 가늘어지는 원추형 통을 나선형으로 절단하는 방법이라도 좋다. 벌룬 브레이크(1)의 축선 방향으로의 연장구간은 드럼(6)의 외주의 외측에서 얀 가이드(4)에 도달하기까지의 전체구간 중, 드럼(6)측 또는 얀 가이드(4)측으로 치우쳐서 설치하여도 좋다.
전자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벌룬 브레이크(1)로서, 벌룬 브레이크(1)는 드럼(6)보다도 외측에 그 일단이 위치되도록함과 동시에, 드럼(6)과 얀 가이드(4)의 중간위치 부근에 도달할 때까지 연장되는 나선부(13)를 구비한다.
또한, 후자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동일 도면에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벌룬 브레이크(1)로서, 벌룬 브레이크(1)는 드럼(6)과 얀 가이드(4)의 중간위치 부근이면서, 드럼(6)과 얀 가이드(4)의 실 통과공(15)을 연결하는 가상의 원추체 공간의 측면보다도 외측에 벌룬 브레이크(1)의 일단을 위치시키는 동시에, 얀 가이드(4)에 도달할 때까지 연장되는 나선부(13)를 구비한다. 드럼(6)측에 치우쳐서 설치하는 방법이 위사(Y)의 팽창을 초기단계에서 저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체구간 중 드럼(6)측의 절반 정도의 구간, 즉 드럼(6)의 외주의 외측에서 드럼(6)과 얀 가이드(4)의 중간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전자와 후자를 동시에 배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벌룬 브레이크(1)의 배치 개수는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복수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각 벌룬 브레이크(1)를 1회전 미만의 나선형으로 형성하여도 좋으나, 바람직하게는 모든 벌룬 브레이크(1)를 합쳐서 1회전 미만의 나선형으로 형성한다. 또한, 벌룬 브레이크(1)의 배치 개수는 축선(J)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벌룬 브레이크(1)는 실의 종류 ·실제 기계의 상태 등에 대응하여 설계 파라미터가 다른 것을 복수 준비하여, 그 중에서 최적의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위사측장 저류장치(2)는 도면에서는 고정 드럼식으로 하였으나, 회전 드럼식의 위사측장 저류장치에도 본 발명의 벌룬 브레이크(1)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벌룬 브레이크(1)를 적용하는 실 권회체(3)에 대해서는, 실이 감겨지고 또한 실의 인출시에 해서 벌룬이 발생하는 것이라면 어떤 실 권회체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한 위사측장 저류장치(2)의 드럼(6)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위사나 그 이외의 실이 감겨진 실 공급체, 나아가서는 직기 이외의 섬유기계의 실 권회체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나선부가 실 권회체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1회전 미만의 나선형으로 하고 있으므로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의 적어도 일부가 덮여져 있지 않으며, 전체 둘레를 덮는 종래의 것에 비하여 실을 빼서 통과시키는 작업을 하기가 쉬워지며, 더구나, 실이 접촉하는 부분이 적어짐으로써 인출저항이 작아진다. 따라서, 실의 손상을 경감할 수 있고, 위사 삽입용의 에너지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전체 둘레가 덮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실의 해서상태의 시인성(視認性)이 향상된다.

Claims (4)

  1. 실 권회체(3)와, 실 권회체(3)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얀 가이드(4)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벌룬 브레이크(balloon breaker, 1)로서,
    상기 벌룬 브레이크(1)는 실 권회체(3)측으로부터 얀 가이드(4)로 향하여 연장되는 나선부(13)를 구비하며, 상기 나선부(13)는 실 권회체(3)의 축선(J)을 중심으로 하여 1회전 미만의 나선형을 이루며, 또한 얀 가이드(4)에 근접함에 따라서 상기 축선(J)에 대한 거리가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브레이크.
  2. 제 1 항에 있어서,
    나선부(13)는 실 권회체(3)의 외주의 외측으로부터 얀 가이드(4)에 도달할 때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브레이크.
  3. 제 1 항에 있어서,
    나선부(13)는 실 권회체(3)의 외주의 외측으로부터 실 권회체(3)와 얀 가이드(4)의 중간 위치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브레이크.
  4. 제 1 항에 있어서,
    나선부(13)의 얀 가이드측의 선단에는 연장부(14)를 설치하며, 상기 연장부(14)는 얀 가이드(4)에 근접함에 따라서 상기 축선(J)에 대한 거리가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브레이크.
KR1020030047806A 2002-07-17 2003-07-14 벌룬 브레이크 KR200400080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08495A JP2004052135A (ja) 2002-07-17 2002-07-17 バルーンブレーカ
JPJP-P-2002-00208495 2002-07-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8084A true KR20040008084A (ko) 2004-01-28

Family

ID=31492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7806A KR20040008084A (ko) 2002-07-17 2003-07-14 벌룬 브레이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4052135A (ko)
KR (1) KR20040008084A (ko)
CN (1) CN1475420A (ko)
TW (1) TW20040185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308300B6 (cs) * 2018-06-01 2020-04-29 Rieter Cz S.R.O. Omezovač balonu příze na spřádacím místě prstencového dopřádacího stroje, prstencový dopřádací stroj, způsob navlékání příze do omezovače balonu příze a způsob manipulace s potáč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52135A (ja) 2004-02-19
TW200401855A (en) 2004-02-01
CN1475420A (zh) 200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7480B2 (en) Linear fibrous formation with a coating of polymeric nanofibers enveloping a supporting linear formation constituting a core, a method and a device for producing it
US2738145A (en) Package of flexible material
PT1223236E (pt) Aparelho para a produção de um fio de alma
KR20040008084A (ko) 벌룬 브레이크
EP3243941B1 (en) Air-jet type spinning device
EP0080692B1 (en) Weft yarn storage unit for jet looms
ES2349618T3 (es) Proceso de torsión de hilo y bobina de hilo.
JPH0424455B2 (ko)
JP3599829B2 (ja) 紡績機械の巻取り個所において糸運動を制御する装置
KR100445279B1 (ko) 제트룸에 있어서의 위사저류장치
IL25990A (en) Pneumatic device for simulated weaving
JP2004533981A (ja) 交差巻きボビン
US3979895A (en) Pinch ring for yarn balloons
US5725027A (en) Weft feeder
JP2006201483A (ja) 光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2001089955A (ja) 緯糸貯留装置
CN218642895U (zh) 一种强力涡流纺纺锭
JP2001139224A (ja) 糸条繰り出し装置
KR100361348B1 (ko) 중통낚시대의도사안내구
JPS6241986Y2 (ko)
JPH0345964Y2 (ko)
CN107338522A (zh) 一种转杯纺纱纱线引导装置
JPH11172553A (ja) 給糸装置、そのバルーニング制御ガイド及び制御装置
EP3296243B1 (en) Cylindrical paper bobbin for winding yarns
KR800001824Y1 (ko) 오우픈 엔드 정방기의 섬유 권입(卷入)촉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