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7531A - 재밀폐 가능한 방출구 요소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재밀폐 가능한 방출구 요소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7531A
KR20040007531A KR10-2003-7014352A KR20037014352A KR20040007531A KR 20040007531 A KR20040007531 A KR 20040007531A KR 20037014352 A KR20037014352 A KR 20037014352A KR 20040007531 A KR20040007531 A KR 20040007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ody
outlet element
closure lid
lid
reclos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4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9463B1 (ko
Inventor
루돌프로베르트
Original Assignee
에스아이지 올캡 에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아이지 올캡 에이지 filed Critical 에스아이지 올캡 에이지
Publication of KR20040007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7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4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4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4Spouts
    • B65D5/746Spou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 B65D5/747Spou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with means for piercing or cutting the container wall or a membrane connected to said wall
    • B65D5/748Spou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with means for piercing or cutting the container wall or a membrane connected to said wall a major part of the container wall or membran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17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moulding interconnected elements which are movable with respect to one another, e.g. chains or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2045/1601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the injected materials not being adhered or bonded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6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 B29L2031/565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arton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밀폐 가능한 방출구 요소의 제조 방법과 이에 따라 제조된 방출구 요소에 대해 개시한다. 상기 방출구 요소는 기부 본체(1)와 밀폐 뚜껑(2)을 구비하며, 상기 밀폐 뚜껑(2)은 두 개의 지지 피봇(4)들에 의해 상기 기부 본체에 관절이음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방법을 전체적으로 향상시키고,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출구 요소에 있어서 기부 본체(1)와 밀폐 뚜껑(2) 사이에 신뢰성 있는 밀폐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래의 공정 단계들이 제안되어 있다.
- 제 1 플라스틱으로부터 밀폐 뚜껑(2)을 사출 성형하는 단계와;
- 주형을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상기 밀폐 뚜껑(2)의 주형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시키는 단계와;
- 공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밀폐 뚜껑(2)으로부터 형성된, 상기 기부 본체(1)용의 제 2 주형을 밀폐하는 단계와;
- 제 2 플라스틱으로부터 상기 기부 본체(1)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와;
- 상기 제 2 주형을 개방하고 완성된 방출구 요소를 제거하는 단계.

Description

재밀폐 가능한 방출구 요소 및 그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A RECLOSABLE SPOUT ELEMENT AND A CORRESPONDINGLY PRODUCED SPOUT ELEMENT}
평행육면체의 평평한 박공형의 복합형 포장 용기용의 재밀폐 가능한 방출구 요소는 여러 가지 실시형태가 있다. 이들은 주로 냉동, 냉동 살균, 가열 및 살균 충전재와 관련한 액체 포장용으로 사용된다. 상술한 형태의 평평한 박공형 포장재와 관련한, 방출구 요소를 포장 용기의 박공형 부분에 설치하되, 그 방출구 요소는 기부 본체와 그에 대응하는 밀폐 뚜껑을 구비하고, 그 방출구 요소를 가지고 포장재를 최초 사용 전에 동시에 개방하는 구조가 이미 알려져 있다(독일특허공개공보 198 05 030 A1). 이 경우에 있어서는, 박공형 부분의 재료를 약화시키기 위한 소정의 약화된 절취선을 외부 PE 층과 판지 층 영역에 마련하고 그에 따라 박공 재료를약화시킴으로써, 조인트에 의해 상기 기부 본체에 연결된 밀폐 뚜껑을 포장재 안쪽으로 선회시켜서 상기 소정의 약화된 절취선의 모양에 대응시킴으로써 포장 용기를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포장 용기를 재밀폐시키기 위해서는, 레버 형태로 설계된 밀폐 뚜껑을 선회시켜 다시 초기 위치로 되돌린다.
이러한 종래의 재밀폐 가능한 방출구 요소가 갖는 단점은 복잡한 제조 공정과 관련된다. 기부 본체와 밀폐 뚜껑은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조되며, 상기 밀폐 뚜껑은 측방향 지지 피봇 수단에 의해 아래 부분으로부터 기부 본체 안으로 체결된다. 이것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그 제조법에서는, 밀폐 뚜껑이 기부 본체 안으로 밀어 넣어질 때의, 지지 피봇을 수용하기 위한 절개부가 피봇의 통과 운동에 의해서 변형되어 그 기능적 성능, 특히 일단 뜯어내어 개방시킨 포장 용기를 재밀폐시킬 때의 밀봉의 기밀성과 관련한 성능이 열화된다는 제약이 따른다.
본 발명은 액체 포장 용기용의, 특히 평평한 박공형(삼각지붕형)의 복합형 포장 용기용(flat gable composite packaging)의 2 구성품(two-part)의 재밀폐 가능한 방출구 요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출구 요소는 기부 본체와 밀폐 뚜껑을 특징 구조로 하며, 상기 밀폐 뚜껑는 두 개의 지지 피봇에 의해 상기 기부 본체 상에서 관절이음 방식으로 연결되어 선회되고, 이렇게 해서 방출구 요소가 제조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재밀폐 가능한 방출구 요소의 사시도.
도 2는 개방된 위치에 있는 도 1의 방출구 요소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방출구 요소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출구 요소의 기부 본체의 평면도.
도 5는 도 1의 방출구 요소의 정면도.
도 6은 도 1의 선 VI-VI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방출구 요소의 단면도.
도 7은 기부 본체에 적용된, 고유 디자인의 밀폐 요소의 제 1 실시예를 밀폐 뚜껑이 제거된 상태에서 도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상기 밀폐 뚜껑의 동작 전과 후에서 상기 기부 본체와 밀폐 뚜껑을 절단하여 도시한, 도 7의 고유 디자인의 밀폐 요소의 단면도.
도 10은 고유 디자인의 밀폐 요소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밀폐 가능한 방출구 요소의 제조와 관련하여 전술한 종래의 방법을 전체적으로 향상시키고, 특히 상기 기부 본체와 밀폐 뚜껑 사이의 신뢰성 있는 확실한 밀폐성의 밀봉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 제 1 플라스틱으로부터 밀폐 뚜껑을 사출 성형하는 단계와;
- 주형을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상기 밀폐 뚜껑의 주형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시키는 단계와;
- 공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밀폐 뚜껑으로부터 형성된, 상기 기부 본체(1)용의 제 2 주형을 밀폐하는 단계와;
- 제 2 플라스틱으로부터 상기 기부 본체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와;
- 상기 제 2 주형을 개방하고 완성된 방출구 요소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방출구 요소는, 제조 조건으로서 기인하는 매우 우수한 확실한 밀봉 밀폐성의 특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포장은 설령 이미 한 번 개방된 경우라도 방출구 요소를 재차 밀폐시키게 되면 내용물을 혼합하기 위해 포장을 흔들더라도 그 과정에서 내용물이 쏟아져 나오는 일은 없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밀폐 뚜껑은 두 개의 횡방향 공동을 구비할 수 있고, 기부 본체의 사출 성형 동안에 그 현장에서 지지 피봇이 형성되거나, 또는 또 다른 예로서, 상기 밀폐 뚜껑이 두 개의 횡방향 지지 피봇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지지 피봇은 기부 본체의 사출 성형 동안에 기부 본체에 의해 둘러싸인다.
적합한 플라스틱 재료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지지 피봇은 그 자유단 쪽으로 원뿔형의 형태로 연장된다. 그러나, 상기 지지 피봇이 배부 절개부(back cut)에 대응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서, 이들 두 구조 요소들 양자의 확실한 끼워맞춤(positive-fit)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밀폐 뚜껑은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구멍은 사출 성형 공정 중의 확실한 끼워맞춤 연결과 관련되며, 이것은 최초 개방시에 상기 밀폐 뚜껑에 의해 영구적으로 변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멍에 대한 고유의 디자인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그러한 재밀폐 가능한 방출구 요소를 구비한 평평한 박공형 포장을 가지고 포장이 전에 한번 이미 개방됐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근래에 들어 유감스럽게도 독극물 오염 식료품을 더욱 자주 접하게 되는 것을 고려할 때, 안전성뿐만 아니라 위생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부 본체와 밀폐 뚜껑은 예기치 않은 개방을 피하기 위해 후크 등의 형태로 구성된 맞물림 요소에 의해서 밀폐 위치로 맞물려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식될 수 있고 들을 수 있는 맞물림은 사용자에게 사용시 증가된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맞물림 요소는 또한 밀폐 요소의 고유의 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최초 개방시에 밀폐 요소의 초기 디자인의 단지 일부만이 파괴되며, 나머지 소정의 맞물림 부분에는 비적극적인 끼워맞춤 연결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부 본체는 그 방출구 구멍 위의 영역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웨브 요소를 구비한다. 그러한 웨브 요소는 상기 방출구 요소를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포장을 개방할 때에 밀폐 뚜껑의 선회 움직임을 약 90°까지로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정지부로서도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는, 이러한 방출구 요소를 사용해 본 적 없는 사용자도 상기 정지부에 도달할 때 느껴지는 저항으로부터 상기 개방 과정이 완결되었음을 명확히 알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단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출구 요소가 평면도 형태의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방출구 요소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는 평평한 박공형 포장용기에 적용되는 기부 본체(1)와, 상기 포장 용기의 소정의 약화된 영역에서 그 포장 용기의 벽을 뚫으며 후속해서는 상기 방출구 요소를 재밀폐하기도 하는 밀폐 뚜껑(2)을 구비한다.
도 2에서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밀폐 뚜껑(2)은 상기 방출구 요소의 기부 본체(1) 내에서 선 VI-VI로 표시된 축을 중심으로 선회함으로써 방출구 구멍(3)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방출구 요소의 기부 본체(1) 내에 상기 밀폐 뚜껑(2)을 장착함에 있어서의 특징은, 횡방향 피봇(4)이 기부 본체(1)의 제작 초기부터 상기 밀폐 뚜껑(2) 내의 대응하는 절개부와 맞물림으로써 피봇 연결을 형성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피봇 운동은 도 2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방출구 요소가 밀폐 뚜껑(2)이 개방된 상태에서 종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고유 디자인의 밀폐 요소(5)는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기부 본체(1)는 방출구 구멍(3)을 둘러 형성된 플랜지(6)를 구비하며, 상기 플랜지는 평평한 박공형의 복합형 포장 용기(미도시)의 소정의 약화된 영역의 표면에 연결된다. 맞물림 요소(7)(도 3 참조)는, 재밀폐 완결시의 상기 밀폐 뚜껑(2)과 상기 기부 본체(1) 간에 인지할 수 있게 (그리고 가능하다면 들을 수 있게) 하는 맞물림을 제공한다. 상기 방출구 구멍(3) 위에는, 상기 기부 본체(1)의 양 측면을 연결하는 웨브 요소(8)가 있음을 알 수 있는데, 그 웨 요소는 도 2에 도시된 것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방된 위치에서 상기 밀폐 뚜껑(2)에 대한 정지부로서 기능한다. 동시에, 상기 웨브(8)는 개방 과정을 돕는 데 사용되는 손가락이 방출구 구멍(3)을 통과하여 내용물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고유 디자인의 상기 밀폐 요소(5)는 상기 방출구 구멍(3)의 반대편에 있는 기부 본체(1)의 단부 상에 배치된다. 이 영역에서, 상기 밀폐 뚜껑(2)은 구멍(9)을 구비하며, 그 구멍은 사출 성형 중의 확실한 끼워맞춤 연결에 적합하며 상기 포장이 최초로 개방될 때 상기 밀폐 뚜껑(2)에 의해 영구적으로 변형된다.
도 3에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상기 방출구 요소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은 고유 디자인의 상기 밀폐 요소(5)와 맞물림 요소(7)의 실현 가능한 실시예를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방출구 요소의 기부 본체(1)를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지지 피봇(4)들이 명확히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들 피봇은 보다 정확한 이해를 위해 도시를 생략한 상기 밀폐 뚜껑의 대응하는 공동 안으로 삽입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방출구 요소를 정면도와, 도 1의 선 VI-VI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된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특별한 제조 방법으로 인하여 상기 기부 본체(1)와 개방 요소인 밀폐 뚜껑(2) 사이에는 기밀성의 견고한 끼워맞춤 밀폐가 이루어짐을 명백히 알 수 있다. 상기 기부 본체(1)는 응고 과정에서 최소한의 수축을 하기 때문에, 상기 두 개의 부재들 사이에는 최적의 기밀성 밀폐가 달성된다.
도 7은 기부 본체의 도시를 생략한 상태에서 고유 디자인의 밀폐 장치(5)의 실시예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 기능은 도 8과 도 9로부터 유추할 수 있는데,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세 개로 구성된 스프링(10)들이 서로 간에 원뿔형의 형태를 이루며 이와 동일한 밀폐 뚜껑(2)의 원뿔형의 구멍(9) 안으로 삽입 연장되고, 최초 재밀폐시에 상기 스프링(10)들은 서로 벌어진 상태로 구부러져 영구적으로 변형된다.
마지막으로, 도 10은 고유 디자인의 밀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전술한 스프링(10)들의 내부에는 버섯 모양의 코어(11)가 구비되며, 그 코어는 대응하는 형상으로 설계된 구멍의 주변 영역과의 견고한 끼워맞춤 연결을 제공함으로써, 고유 디자인의 밀폐 요소(5')의 기능에 더하여 맞물림 요소(7')의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Claims (10)

  1. 평평한 박공형의 포장 용기용의, 특히 평평한 박공형의 복합형 포장 용기용의 2 구성품의 재밀폐 가능한 방출구 요소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방출구 요소는 기부 본체(1)와 밀폐 뚜껑(2)을 구비하며, 상기 밀폐 뚜껑(2)은 두 개의 지지 피봇(4)들에 의해 상기 기부 본체에 관절이음방식으로 부착되는, 재밀폐 가능한 방출구 요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 1 플라스틱으로부터 밀폐 뚜껑(2)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와;
    주형을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상기 밀폐 뚜껑(2)의 주형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시키는 단계와;
    공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밀폐 뚜껑(2)으로부터 형성된, 상기 기부 본체(1)용의 제 2 주형을 밀폐하는 단계와;
    제 2 플라스틱으로부터 상기 기부 본체(1)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주형을 개방하고 완성된 방출구 요소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폐 가능한 방출구 요소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뚜껑(2)은 두 개의 횡방향 공동들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 피봇(4)은 기부 본체(1)의 사출 성형 중에 그 현장에서 상기 밀폐 뚜껑(2)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폐 가능한 방출구 요소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뚜껑(2)은 두 개의 횡방향 지지 피봇(4)들을 구비하며, 상기 피봇들은 상기 기부 본체(1)의 사출 성형 중에 기부 본체에 의해 둘러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폐 가능한 방출구 요소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피봇(4)들은 그 자유 단부 쪽으로 원뿔형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폐 가능한 방출구 요소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뚜껑(2)은, 사출 성형 중에 견고한 끼워맞춤 연결을 제공하는 구멍(9)을 제공하며, 상기 구멍은 최초 개방되는 때에 상기 밀폐 뚜껑(2)에 의해 영구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폐 가능한 방출구 요소의 제조 방법.
  6. 기부 본체(1)와 밀폐 뚜껑(2)을 구비하며, 상기 밀폐 뚜껑은 두 개의 지지 피봇들에 의해 상기 기부 본체에 관절이음방식으로 연결되는, 재밀폐 가능한 방출구 요소에 있어서,
    2 구성품 방출구 요소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에 따른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하나의 단일 공정과 두 개의 즉각적인 연속 공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폐 가능한 방출구 요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구 요소는 상기 기부 본체(1)와 밀폐 뚜껑(2)를 맞물리기 위한 맞물림 요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폐 가능한 방출구 요소.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구 요소는 고유 디자인의 밀폐 요소(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폐 가능한 방출구 요소.
  9. 제 8 항에 있어서,
    고유 대자인의 밀폐 요소(5')가 맞물림 요소(7')로서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폐 가능한 방출구 요소.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본체(1)는 적어도 하나의 웨브(8)를 구비하며, 그 방출구 구멍(3)의 영역 위에서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웨브(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폐 가능한 방출구 요소.
KR1020037014352A 2001-05-02 2002-05-02 재밀폐 가능한 방출구 요소 및 그 제조 방법 KR100629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21420A DE10121420A1 (de) 2001-05-02 2001-05-02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iederverschließbaren Ausgießelementes und danach hergestelltes Ausgießelement
DE10121420.0 2001-05-02
PCT/EP2002/004817 WO2002087982A1 (de) 2001-05-02 2002-05-02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iederverschliessbaren ausgiesselementes und danach hergestelltes ausgiess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531A true KR20040007531A (ko) 2004-01-24
KR100629463B1 KR100629463B1 (ko) 2006-09-28

Family

ID=7683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4352A KR100629463B1 (ko) 2001-05-02 2002-05-02 재밀폐 가능한 방출구 요소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7628296B2 (ko)
EP (1) EP1383684B1 (ko)
JP (1) JP4189222B2 (ko)
KR (1) KR100629463B1 (ko)
AT (1) ATE282558T1 (ko)
AU (1) AU2002338508B2 (ko)
BR (1) BR0209364B1 (ko)
CA (1) CA2445867C (ko)
CZ (1) CZ297688B6 (ko)
DE (2) DE10121420A1 (ko)
ES (1) ES2233862T3 (ko)
IL (2) IL158665A0 (ko)
MX (1) MXPA03010038A (ko)
PL (1) PL195449B1 (ko)
RU (1) RU2262471C2 (ko)
TW (1) TW534892B (ko)
WO (1) WO20020879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61285A4 (en) * 2001-12-06 2005-05-25 Gabriel Cabelli PORTABLE FLUID DISTRIBUTION CONTAINERS
DE102005031815A1 (de) * 2005-07-06 2007-01-11 Sig Technology Ag Wiederverschließbares Ausgießelement mit einem Deckel für Getränkepackungen
DE102007028048A1 (de) 2006-06-17 2008-06-19 Horst Heigl Behälterverschlussvorrichtung
FR2910883A1 (fr) * 2006-12-29 2008-07-04 Biomind Corp Dispositif de fermeture pour recipient du type canette
WO2011043749A1 (en) * 2009-10-08 2011-04-14 Yakici, Mesut Liquid package cover with air duct
GB201205243D0 (en) 2012-03-26 2012-05-09 Kraft Foods R & D Inc Packaging and method of opening
GB2511559B (en) 2013-03-07 2018-11-14 Mondelez Uk R&D Ltd Improved Packaging and Method of Forming Packaging
GB2511560B (en) 2013-03-07 2018-11-14 Mondelez Uk R&D Ltd Improved Packaging and Method of Forming Packaging
GB201314207D0 (en) * 2013-08-08 2013-09-25 Obrist Closures Switzerland A Dispensing Cap
MX2016012735A (es) * 2014-03-28 2017-04-27 Danone Alqueria S A S Sobretapa con medios que facilitan la apertura de un envase y el posterior consumo directo de su contenido.
DE102022123526B3 (de) * 2022-09-14 2023-07-20 Ardagh Metal Packaging Europ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schlusselements für einen Behälter und eine Verschluss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0049A (en) 1958-08-04 1961-09-19 American Plastics Corp Plastic hing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IT1036469B (it) 1974-07-09 1979-10-30 Anvar Procedimento per la fabericazione di articoli compositi di materie termoplastiche mediante stampaggio ad iniezione
US4462504A (en) 1983-05-23 1984-07-31 Continental Packaging Company, Inc. Tamper-indicating closure
US5417350A (en) * 1984-09-19 1995-05-23 Kerr Group, Inc. Flip top closure
DE59206366D1 (de) 1991-12-12 1996-06-27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Verschlusseinheit eines Gebindes für fliessfähiges Gut
JP3607002B2 (ja) * 1996-04-30 2005-01-05 テトラ ラバル ホールデイングス エ フイナンス ソシエテ アノニム 容器の注口形成装置
DE19757387A1 (de) * 1997-12-22 1999-06-24 Krauss Maffei Ag Spritzgießvorrichtung
DE19805030C2 (de) 1998-02-09 2003-03-27 Sig Combibloc Gmbh Wiederverschließbares Ausgießelement und damit versehene Flachgiebelverbundpackung
DE19837581A1 (de) * 1998-08-19 2000-03-02 Richard Herbst Wiederverschließbares, aus Kunststoff bestehendes Ausgießelement für Flüssigkeitsbehälter
GB9828183D0 (en) * 1998-12-22 1999-02-17 Crown Cork & Seal Tech Corp Tamper evident closures
DE29904248U1 (de) * 1999-03-09 1999-05-27 Oleff & Holtmann Olho Tech Zwei drehbar miteinander verbundene Spritzgußteile
US6116477A (en) * 1999-12-13 2000-09-12 Courtesy Corporation Two piece hinge clos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3134698A (ru) 2005-03-27
DE50201576D1 (de) 2004-12-23
BR0209364B1 (pt) 2012-07-24
ES2233862T3 (es) 2005-06-16
US20040182890A1 (en) 2004-09-23
KR100629463B1 (ko) 2006-09-28
EP1383684A1 (de) 2004-01-28
IL158665A0 (en) 2004-05-12
AU2002338508B2 (en) 2006-03-02
ATE282558T1 (de) 2004-12-15
TW534892B (en) 2003-06-01
CZ20032956A3 (cs) 2005-05-18
CA2445867C (en) 2008-01-08
BR0209364A (pt) 2004-06-08
IL158665A (en) 2007-07-04
US7628296B2 (en) 2009-12-08
JP2004529008A (ja) 2004-09-24
CZ297688B6 (cs) 2007-03-07
RU2262471C2 (ru) 2005-10-20
DE10121420A1 (de) 2002-11-14
WO2002087982A1 (de) 2002-11-07
MXPA03010038A (es) 2005-03-07
PL195449B1 (pl) 2007-09-28
CA2445867A1 (en) 2002-11-07
PL367106A1 (en) 2005-02-21
EP1383684B1 (de) 2004-11-17
JP4189222B2 (ja) 200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19169B2 (en) Closure formed as a single, integral part
EP1088764B1 (en) Closable opening device for sealed packages of pourable food products
JP4002616B2 (ja) 一体モールド成形されたフリップキャップ蓋装置
US5101999A (en) Package closure and package preparation
JP6099561B2 (ja) 再閉鎖可能な容器
CA2095943C (en) Closure unit for containers of flowable goods
RU2192997C2 (ru) Сливной элемент, выполненный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повторного закрывания, и снабженная им слоистая упаковка с плоским торцом
KR20040007531A (ko) 재밀폐 가능한 방출구 요소 및 그 제조 방법
JP2001106248A (ja) 注出可能な食品製品の密封パッケージ用閉鎖可能な開口装置
US6591999B1 (en) Opening device for packages of pourable food products
US20080224350A1 (en) Fluid dispensing clos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4514612A (ja) 包装材料に開口装置を取付ける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よって得られるパッケージ
JP2009508770A (ja) 容器、閉鎖手段、及びその使用
JPH031378Y2 (ko)
EP1160172B1 (en) Opening device for a package for pourable food products, and package including the same
JPS6145007Y2 (ko)
KR100488824B1 (ko) 단일일체형부재로형성된뚜껑
JPH05201439A (ja) 容器の蓋体
MXPA99004183A (en) One-piece molded flip cap closure
MX2007001190A (en) Reclosable pouring element for cardboard/plastic composite packagings
JPH05201443A (ja) 容器の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