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71Y1 - 부분적으로 쉽게 벗길 수 있는 포장용 파우치 - Google Patents

부분적으로 쉽게 벗길 수 있는 포장용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71Y1
KR200400071Y1 KR20-2005-0024162U KR20050024162U KR200400071Y1 KR 200400071 Y1 KR200400071 Y1 KR 200400071Y1 KR 20050024162 U KR20050024162 U KR 20050024162U KR 200400071 Y1 KR200400071 Y1 KR 200400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opening
easy
pouch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1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각
Original Assignee
유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화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41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8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to flaps
    • B65D33/22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to flaps using heat-activatable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봉하고자 하는 부분까지만 잡아 당겨서 쉽게 개봉할 수 있게 하는 포장용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우치의 개봉성을 향상시켜 소비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하고, 개봉에 필요한 부위에만 이지필필름을 삽입하여 생산케 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분적으로 쉽게 벗길 수 있는 포장용 파우치{Partially easily peelable wrapping pouch}
본 고안은 개봉하고자 하는 부분까지만 잡아 당겨서 쉽게 개봉할 수 있게 하는 부분적으로 쉽게 벗길 수 있는 포장용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우치의 개봉성을 향상시켜 소비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하고, 개봉에 필요한 부위에만 쉽게 벗길 수 있는 필름(이하 “이지필필름”이라 함.)을 삽입하여 실링하여 생산케 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사용이 쉽도록 한 포장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용기인 파우치는 전,후면 필름의 3면을 실링 하여 봉투 형태가 되게 하고, 그 내부에 제품이 수용되게 한 후 상부를 실링하며, 상부의 일 측에 노칭을 하거나 또는 가위를 이용하여 절단하도록 되어있다.
노칭이 있는 파우치인 경우 필름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소비자가 절단에 의한 개봉시 드는 힘이 가중되며 개봉이 잘 안 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절단면이 불규칙하여 절단에 의한 개봉시 내용물에 걸려 개봉이 잘 안 되는 경우가 있는 한편, 수분을 함유하는 제품의 개봉시 힘을 과하게 준다거나 절단면이 불규칙한 경우 수분이 튀어 소비자에게 뭍을 수 있게 되는 불편함이 있고, 포장지가 두 개로 분리되어 소비자가 개봉 후 한번, 제품 소비 후 한번 이렇게 두 번 버려야 하는 등의 번거러움도 있었다.
또한 지퍼(Zipper)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개봉부의 절단시 지퍼가 손상을 입거나 떨어져 나가는 경우가 있으며, 지퍼를 열 때 잡는 부분이 부족해 개봉에 어려움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이지필필름(Easy Peel Film)을 사용하는 포장용 파우치가 제공되고 있는데, 이러한 파우치는 손으로 개봉이 가능할 정도의 적당한 열접착 강도를 유지하여 포장제품의 보호성과 함께 편리한 개봉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이지필(Easy Peel)의 원리는 쉽게 개봉이 가능하도록 특수한 수지를 혼합하여 열접착 강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용성 수지에 비상용성 수지를 마이크로 분산시켜 열접착 강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의 이지필필름의 박리 형태는 층간박리형(Delami Type), 응집파괴형(Cohesive Type), 계면박리형(Interfacial Type)이 있다.
상기 층간박리형은 필름의 표면층이 박리 되면서 개봉되는 것으로, 중심층과 표면층의 층간 결합력의 강약을 조절하여 열접착 강도를 제어하는 형이고, 상기 응집파괴형은 표면층의 일부분이 파괴되면서 개봉되는 것으로, 개봉시 용기에 잔사가 남아 깨끗하지 않고 이로 인해 제품에 나뿐 이미지를 줄 수 있다. 현재 레토르트(Retort) 살균처리가 필요한 제품의 경우 이지필 강도가 다소 높은 타입이 선호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층간박리형 및 응집파괴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계면박리형은 필름과 용기의 경계면에서 박리 되는 것으로, 용기에 잔사가 남지 않아 가장 깨끗하게 분리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제품 이미지를 손상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층간박리형이나 응집파괴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접착 강도가 약한 단점이 있어서 이지필 강도가 높은 것을 요구하는 제품에는 적합하지 않다.
상기의 이지필필름은 디저트 식품(젤리, 프림, 요구르트, 잼 등), 수물식품(두부류, 차류, 해초류 등), 과자류(초콜릿, 빙과, 샌드위치, 물양갱 등), 기타 식품(미반류, 유제품(버터, 마가린), 컵라면 등), 비식품류(토너, 캐리어 테이프, 의료용 수액 등)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종래 상기와 같이 이지필필름을 적용하는 포장용 파우치는 개봉시 필름 두께와 무관하게 쉽게 개봉할 수 있고, 불규칙한 절단면에 의한 수분 유출의 염려가 예방되며, 제품 소비 후 한번만 버리면 되는 장점은 있으나, 전체면에 이지필필름을 삽입하여야 함으로써, 생산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고, 열접착 강도가 약해 무게가 나가는 제품의 포장시 충격 하중에 의해 터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개봉하고자 하는 부분까지만 잡아 당겨서 쉽게 개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첫째, 파우치의 개봉성 향상으로 소비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하고, 둘째, 개봉에 필요한 부위에만 이지필필름을 삽입하여 생산케 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부분적으로 쉽게 벗길 수 있는 포장용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 후면필름의 좌우 가장자리변을 실링 하고, 양쪽 모서리 또는 중앙에 개봉손잡이가 구비되게 상하의 한변을 이지필필름으로 열 접착되게 하며 봉투형태로 하고, 이 열려진 부분으로 포장할 내용물을 충진하고 실링할 수 있는 것과, 이지필필름층이 형성된 하부에 지퍼가 더 설치되는 것과, 이지필필름은 실링층이 전,후면필름 중 어느 한 쪽 필름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이지필층이 상기 실링층이 설치된 반대편 쪽의 필름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것과, 전후 필름층이 폴리아마이드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오리엔티드폴리프로필렌 필름, 알루미늄 필름,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에틸렌비닐 알코올 필름 등을 합지 한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계열에서 선택 된 필름을 사용한 부분적으로 쉽게 벗길 수 있는 포장용 파우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후 필름층은 폴리아마이드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오리엔티드폴리프로필렌 필름, 알루미늄 필름,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에틸렌비닐 알코올 필름 등을 합지 한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계열에서 선택 된 필름을 사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 본 고안을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내지 도 3 에는 본 고안에 따른 부분적으로 쉽게 벗길 수 있는 포장용 파우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포장용 파우치 본체(100)는 긴 길이의 필름을 좌,우 보다는 상,하가 더 길게 반으로 접어서 되는 전,후면필름(110)(120)의 좌,우측변을 실링 하여 상부가 개방되는 봉투 형태가 되게 하고, 상부에 일정한 면적의 개봉부(100b)가 구비되게 하는 한편, 이 개봉부(100b)의 가장자리를 이지필필름(130)으로 열 접착되게 하여서 된다.
상기의 개봉부(100b) 양쪽 모서리에는 개봉손잡이(100a)가 형성되는데, 상기의 이지필필름(130)의 설치시 개봉부(100b) 양쪽 모서리부분에서는 원호를 이루면서 설치되게 하여 전,후면필름(110)(120)이 자연스럽게 떨어진 상태가 되게 하여서 되고, 사용자가 이 개봉손잡이(100a)의 전면손잡이(110a)와 후면손잡이(120a)를 양손으로 각각 잡고 벌려서 개봉할 수 있게 한다.
상기의 개봉손잡이(100a)는 도면상 삼각 형상을 이루게 되는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고, 상기의 이지필필름(130)의 폭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이지필필름은 시판중이며, 이러한 시판용 이지필필름을 구입하여 사용한다.
상기에 있어, 개봉부(100b)는 쉽게 개봉되는 부분이고, 이지필필름(130)은 전,후면필름(110)(120)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개봉시 쉽게 떨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전,후면필름(110)(120)의 측면실링부(140)는 이지필 기능이 없으며, 상부의 이지필필름(130)과 겹쳐지는 부분에서는 쉽게 떨어지게 되며, 제품에 따라 실링 폭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의 파우치 본체(100)는 도 4 도시와 같이 개봉부(100b)의 하부에 지퍼(15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지퍼(150)는 도 5 도시와 같이 한 쪽에는 돌기(152)가, 반대편 쪽에는 홀더(151)가 설치되어서 된다.
도 6 및 도 7 에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포장용 파우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포장용 파우치 본체(100-1)는 스탠드형(Stand-Up Type)으로, 전,후면필름(110)(120)의 하부에 밑지(100c)가 더 설치되고, 좌,우변이 측면실링부(140)에 의해 실링 되며, 개봉손잡이(100a)가 전,후면필름(110)(120)의 상부변에 형성된다.
그리고 전,후면필름(110)(120)의 상부에는 일정한 면적의 개봉부(100b)가 구비되며, 이 개봉부(100b)에는 이지필필름(130)이 설치되는데, 상기 개봉손잡이(100a)의 일부가 열 접착되지 않게 하는 범위에서 설치된다.
상기의 파우치 본체(100-1)는 도 8 도시와 같이 개봉부(100b)의 하부에 지퍼(15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9 에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포장용 파우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포장용 파우치 본체(100-2)는 M방형(M-Gusset Type)으로, 전,후면필름(110)(120)이 측면필름(1120)에 의해 연결되고, 좌,우변이 측면실링부(140)에 의해 실링 되는 한편, 하단부가 하단실링부(140a)에 의해 실링 되며, 전,후면필름(110)(120)의 상부변 중앙에는 개봉손잡이(100a)인 전면손잡이(110a)와 후면손잡이(120a)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전,후면필름(110)(120)의 상부에는 일정한 면적의 개봉부(100b)가 구비되며, 이 개봉부(100b)에는 이지필필름(130)이 설치된다.
도 10 에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포장용 파우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포장용 파우치 본체(100-2)는 T자형으로, 후면필름(120)이 중앙에서 겹쳐져서 실링 되어 배면실링부(140b)를 구비하게 되고, 전,후면필름(110)(120)의 상부변 중앙에 개봉손잡이(100a)인 전면손잡이(110a)와 후면손잡이(120a)가 각각구비되며, 상단부에 개봉부(100b)가 구비되는 한편, 이지필필름(130)에 의해 열접착 된다.
상기의 포장용 파우치는 양손으로 중앙부의 개봉손잡이(100a)를 잡고, 양쪽으로 벌려서 개봉부(100b)가 개봉되게 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은 좌,우측 및 하단이 실링 된 상태가 되고, 제품을 포장하거나 꺼낼 수 있게 하는 상부만이 이지필필름(130)이 설치되어,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하는 한편, 제품 포장시 제품의 충격 하중에 의해 터지게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본 고안은 개봉손잡이(100a)를 손으로 잡고 벌리면 이지필필름(130)의 이지필층이 박리 되면서 개봉부(100b) 만큼만 개봉되는 것으로, 쉽게 개봉할 수 있게 되어, 수분을 함유한 제품의 개봉시 수분이 튈 염려가 없게 되고, 여는 방식이기 때문에 수분 유출의 염려가 없게 된다.
또한 개봉 후에는 개봉부(100b)가 남아 있는 상태로 지퍼(150)의 사용시 잡는 부분이 충분하여 쉽게 지퍼(150)를 열고 닫을 수 있게 되는 한편, 여는 방식으로 지퍼(150)가 손상되는 염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품의 사용 후에는 한번만 버리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개봉에 필요한 부분인 개봉부에만 이지필필름을 삽입하여 생산되게 함으로써, 파우치 전체에 이지필 기능을 부여한 종래의 파우치와는 달리 적은 생산비용으로도 동일한 기능을 갖게 되고, 개봉하고자 하는 부분까지만 잡아 당겨서 쉽게 개봉할 수 있게 하는 개봉성 향상으로, 소비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주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의 주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파우치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주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파우치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따른 파우치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파우치의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파우치의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0-1,100-2,100-3 : 본체
100a : 개봉손잡이 100b : 개봉부
110 : 전면필름 120 : 후면필름
130 : 이지필필름

Claims (4)

  1. 전, 후면필름의 좌우 가장자리변을 실링하고, 양쪽 모서리 또는 중앙에 개봉손잡이가 구비되게 상하의 한 변을 이지필름으로 열 접착되게 하며 봉투형태로 하고, 이 열려진 부분으로 포장할 내용물을 충진하고 실링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적으로 쉽게 벗길 수 있는 포장용 파우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지필필름층이 형성된 하부에 지퍼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적으로 쉽게 벗길 수 있는 포장용 파우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지필필름은 실링층이 전,후면필름 중 어느 한 쪽 필름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이지필층이 상기 실링층이 설치된 반대편 쪽의 필름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적으로 쉽게 벗길 수 있는 포장용 파우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후 필름층이 폴리아마이드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오리엔티드폴리프로필렌 필름, 알루미늄 필름,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에틸렌비닐 알코올 필름 등을 합지 한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계열에서 선택 된 필름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적으로 쉽게 벗길 수 있는 포장용 파우치.
KR20-2005-0024162U 2005-08-22 2005-08-22 부분적으로 쉽게 벗길 수 있는 포장용 파우치 KR2004000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162U KR200400071Y1 (ko) 2005-08-22 2005-08-22 부분적으로 쉽게 벗길 수 있는 포장용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162U KR200400071Y1 (ko) 2005-08-22 2005-08-22 부분적으로 쉽게 벗길 수 있는 포장용 파우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913 Division 2005-08-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1Y1 true KR200400071Y1 (ko) 2005-11-01

Family

ID=43701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162U KR200400071Y1 (ko) 2005-08-22 2005-08-22 부분적으로 쉽게 벗길 수 있는 포장용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1886B1 (en) Resealable plastic packaging container with hook and loop closure
US5330269A (en) Package
JP4811558B2 (ja) ジッパー付包装袋
US20220063891A1 (en) Integrated package opening feature
MXPA01012465A (es) Empaque con utensilio integrado.
JP2008105751A (ja) 樹脂製包装袋
KR20070022577A (ko) 부분적으로 쉽게 벗길 수 있는 포장용 파우치
US10464728B2 (en) Peelable/resealable package with absorbent strip
AU2010277571B2 (en) Easy opening packaging for liquid or gel products
KR200400071Y1 (ko) 부분적으로 쉽게 벗길 수 있는 포장용 파우치
JP3966961B2 (ja) 包装体
JPH1095472A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3802159B2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00335656A (ja) 食品用袋
WO2023127906A1 (ja) チャック及びチャック付き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7176251B2 (ja) パウチ
US20230399160A1 (en) Container for Consumable Substances with Integrated Utensil
JP2010111416A (ja) 食品包装体
JP7058819B2 (ja) 深絞り包装容器
JP7176250B2 (ja) パウチ
JP2007176567A (ja) 易開封性の包装袋
JPH0248376Y2 (ko)
JP2021187454A (ja) パウチ
WO2014106281A1 (en) Multi-chamber bag
JP2021041982A (ja) 包装食品とその調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