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7029A - 마우스용 충격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우스용 충격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7029A
KR20040007029A KR1020020041663A KR20020041663A KR20040007029A KR 20040007029 A KR20040007029 A KR 20040007029A KR 1020020041663 A KR1020020041663 A KR 1020020041663A KR 20020041663 A KR20020041663 A KR 20020041663A KR 20040007029 A KR20040007029 A KR 20040007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shock absorbing
absorbing member
mixing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1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앤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앤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앤엠테크
Priority to KR1020020041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7029A/ko
Publication of KR20040007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702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해지는 외력에 따른 유동성과 충격 흡수력이 우수하고, 온도에 의한 물성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파괴 특성이 우수하여 연속 반복동작을 취하게 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최소의 충격이 전달되도록 함과 동시에 원형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손관절에 무리가 가해지는 현상을 최소화함과 더불어 제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마우스용 충격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방수성이 우수한 내피와 땀흡수가 용이하되 신축성이 우수한 외피로 제작된 이중피복을 통해 마감되어 마우스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되, 폴리올(Polyol)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 화합물을 중량비 100:55로 혼합한 겔상태의 2액형 폴리우레탄 엘레스토머릭 겔(Polyurethane Elastomeric gel)로 이루어진 마우스용 충격흡수부재가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작업장의 실내 온도를 30℃가 넘지 않도록 하고, 혼합용기를 사전에 세척하여 준비하는 작업 준비 단계와; 상기, 혼합용기 내에 주제인 폴리올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 화합물을 중량비 100:55로 혼합하는 혼합 단계와; 상기, 혼합물이 전체적인 담황색을 띄도록 교반기 또는 원심분리기로 혼합하는 교반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수작업 또는 진공 탈포기를 이용하여 탈포하는 탈포 단계를 거쳐 충격흡수부재가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우스용 충격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SHOCK ABSORPTION MEMBER FOR MOUS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마우스용 충격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해지는 외력에 따른 유동성과 충격 흡수력이 우수하고, 온도에 의한 물성변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파괴 특성이 우수하여 연속 반복동작을 취하게 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최소의 충격이 전달되도록 함과 동시에 원형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손관절에 무리가 가해지는 현상을 최소화함과 더불어 제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마우스용 충격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의한 컴퓨터 조작이 일반화됨에 따라 마우스는 컴퓨터의 필수 입력기기인 키보드보다 더 빈번하게 사용되는 입력기기로 자리잡게 됐다.
그러나 이와 같이 컴퓨터를 조작하는데 있어 빠져서는 않될 중요 구성물로 자리잡은 마우스는 컴퓨터 입력장치로서의 기능적 측면에서만 인식이 되어 왔을 뿐 그 이상의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지 않아 기능과 편의성을 염두에 둔 개발이 사실상 미진하게 진행되고 있는 물품이다.
이에 따라 모니터에 의한 시력보호 못지 않게 마우스로 인한 손관절의 직업병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컴퓨터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마우스의 생산은 전무한 상태이다.
참고로 VDT(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증후군은 비디오 영상장치 단말기 증후군 또는 컴퓨터 단말기 증후군이라고도 불리는데 TV, 비디오 게임기, 컴퓨터 등을 장기간 사용 후에 생길 수 있는 여러 증상의 복합적 증후군을 말한다.
오랜 시간 동안 컴퓨터 모니터 앞에서 반복적인 수작업을 행하는 사람들에게서 발생할 수 있으며, 부자연스러운 자세나불충분한 휴식, 적절치 못한 조명환경등이 그 원인이 된다.
즉, 고정된 자세로 근육을 사용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스트레스, 눈의 장애, 근골격계의 주된 건강 장애를 나타내는데 주로 경(頸), 견(肩), 완(腕) 및 수부의 만성적인 동통과 감각 이상을 호소하게 된다.
그리고, 손가락 끝이나 손바닥이 쑤시고 저릴 때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혈액순환 장애로 생각하기 쉬우나, 이런 증상은 통계적으로 80%이상이 말초신경이나 근골격계 질환이며, 컴퓨터 사용자나 설거지, 청소 등 반복적인 일을 하는 주부에게 자주 나타나므로서 요즈음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근골격계 질환이란 손가락, 손, 손목, 팔, 팔꿈치, 어깨, 목에 나타나는 통증, 저림 및 뻐근한 불쾌감을말하며 근막통증후군, 수근관증후군(손목굴증후군), 거북목증후군, 근육과다사용증후군(건초염, 오십견, 관절통), 요통등이 이에 속한다.
이와 같은 질환 중 수근관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과, 근육과다사용증후군(Muscle Overuse Syndrome)은 마우스가주원인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먼저 수근관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은 손목의 수근 인대 사이를 주행하는 신경(정중신경)을 인대가 압박하여 손가락이 마비되거나 따끔거림을 호소하게 되고, 노화, 골절, 관절염을 유발시킨다.
그리고, 근육과다사용증후군(Muscle Overuse Syndrome)은 장시간 동안 단조로운 반복동작을 하는 컴퓨터 사용자가 손, 팔, 어깨, 통증과 불쾌감을 호소하게 되고, 오십견, 건초염, 관절염을 유발시킨다.
이처럼 마우스는 오늘날 컴퓨터를 조작하는데 있어 빠져서는 안될 매우 중요 구성물이지만 그 관심의 소홀과 그에 따른 개발의 소홀로 인해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이면에서는 여러 가지의 문제 원인을 제공하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 이외에도 사용자의 손과 접하는 상부 케이스가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되어 있어, 일정기간사용시에는 사용자의 손에서 분비되는 땀과 이물질 접촉에 의해 얼룩과 같은 불결한 상태를 띄게 되므로 관리 여하에 따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물품임에도 불구하고 소모품으로 전락되어 사용자의 불이익은 물론이고, 폐제품 처리에 따른 심각한 공해 문제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조작시 사용자의 손에서 발생되는 땀에 의해 조작 과정에서 손이 미끄러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사용상의 불편과 오동작을 초래하는 문제점과 더불어 작업의 효율 등을 크게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 원인을 제공하였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술한 문제를 보완하고자 탄력을 취하는 실리콘을 본 고안의 기술인 마우스와 유사하게 마우스 패드에 적용시킨 제품이 제작되어 일부 시판되고는 있으나, 이는 조작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에서 발생하는 땀에 의해 미끄러지는 문제 현상을 심도 있게 고려하지 않고 제작하여 주어, 오히려 마우스를 사용하는데 있어 매우 불편한 문제현상을 초래시켰음은 물론이고, 실리콘을 사용자의 손 모양이나 특성에 따라 형태가 변형되기 보다는 단지 탄력성만을 지니고 있어 사용자의 초기에 목적한 사용상의 편의성과 안전성 증대를 꾀하지는 못하고 흥미 유발만을 불러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가해지는 외력에 따른 유동성과 충격 흡수력이 우수하고, 온도에 의한 물성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파괴 특성이 우수하여 연속 반복동작을 취하게 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최소의 충격이 전달되도록 함과 동시에 원형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손관절에 무리가 가해지는 현상을 최소화함과 더불어 제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마우스용 충격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은 방수성이 우수한 내피와 땀흡수가 용이하되 신축성이 우수한 외피로 제작된 이중피복을 통해 마감되어 마우스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되, 폴리올(Polyol)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 화합물을 중량비 100:55로 혼합한 겔상태의 2액형 폴리우레탄 엘레스토머릭 겔(Polyurethane Elastomeric gel)로 이루어진 마우스용 충격흡수부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작업장의 실내 온도를 30℃가 넘지 않도록 하고, 혼합용기를 사전에 세척하여 준비하는 작업 준비 단계와;
상기, 혼합용기 내에 주제인 폴리올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 화합물을 중량비 100:55로 혼합하는 혼합 단계와;
상기, 혼합물이 전체적인 담황색을 띄도록 교반기 또는 원심분리기로 혼합하는 교반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수작업 또는 진공 탈포기를 이용하여 탈포하는 탈포 단계를 거치는 마우스용 충격흡수부재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용 충격흡수부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마우스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용 충격흡수부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피2 : 외피
4 : 이중피복6 : 충격흡수부재
10 : 준비 단계20 : 혼합 단계
30 : 교반 단계40 : 탈포 단계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용 충격흡수부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마우스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성이 우수한 내피(1)와 땀흡수가 용이하되 신축성이 우수한 외피(2)로 제작된 이중피복(4)을 통해 마감되어 있되, 폴리올(Polyol)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 화합물을 중량비 100:55로 혼합한 겔상태의 2액형 폴리우레탄 엘레스토머릭 겔(Polyurethane Elastomeric gel)로 이루어진 마우스용 충격흡수부재(8)가 마우스(6)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는, 작업장의 실내 온도를 30℃가 넘지 않도록 하고, 혼합용기를 사전에세척하여 준비하는 작업 준비 단계(10)와; 상기, 혼합용기 내에 주제인 폴리올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 화합물을 중량비 100:55로 혼합하는 혼합 단계(20)와; 상기, 혼합물이 전체적인 담황색을 띄도록 교반기 또는 원심분리기로 혼합하는 교반 단계(30)와; 상기, 혼합물을 수작업 또는 진공 탈포기를 이용하여 탈포하는 탈포 단계(40)를 거쳐 제조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작 및 제조되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연속 반복동작을 취하게 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최소의 충격이 전달되도록 함과 동시에 원형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손관절에 무리가 가해지는 현상을 최소화함과 더불어 제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겔타입의 마우스용 충격흡수부재(8)를 방수성이 우수한 내피(1)와 땀흡수가 용이하되 신축성이 우수한 외피(2)로 제작된 이중피복(4)을 통해 마감처리하여 마우스(6)의 표면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유는 종래에는 이용자의 손과 접하는 마우스의 상부 케이스가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되어 있어, 일정기간 사용시에는 사용자의 손에서 분비되는 땀과 이물질 접촉에 의해 얼룩과 같은 불결한 상태를 띄게 되므로 관리여하에 따라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물품임에도 불구하고 소모품으로 전락되어 사용자의 불이익은 물론이고, 폐제품 처리에 따른 공해문제를 발생시키는 문제점과, 조작시 사용자의 손에서 발생되는 땀에 의해 조작과정에서 손이 미끄러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사용상의 불편과 오동작을 초래하는 문제점과 작업의 효율 등을 크게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 원인 및 연속 반복동작을 취하게 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충격을 누적시켜 손관절에 무리를 가하는 문제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겔타입의 소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구비하여야 한다.
첫째,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내열성과 저온에서 견딜수 있는 내한성을 가져야 한다.
이는 마우스에 사용되는 조건을 고려한 것이다.
장시간 사용시 열의 축적에 의하여 약 100℃에서도 변화없이 견딜 수 있어야하며, 또한 추운 겨울날의 영하 약 - 30℃에서도 변화없이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진동 흡수 능력이 우수해야 한다.
이는 충격흡수부재의 최소한의 기능으로써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자체 흡수능을 가져야 사용자에게 최소한의 충격을 전달하게 되므로 점성유체 자체의 진동흡수능력이 우수해야 하는 것이다.
셋째, 변형성이 용이해야 한다.
즉, 점성유체 자체의 성질이 부드러워 작은 하중 응력에도 쉽게 변형되어야 하고 유동성이 우수하여 형태 변형이 용이하여야 충격 흡수 성능이 좋아질 수 있다.
넷째, 고탄성율을 갖고 있어 열팽창등에 의한 응력이 최소화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점성유체를 연구하든 중 본 발명자는 폴리올(Polyol)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 화합물을 중량비100:55로 혼합한 겔상태의 2액형 폴리우레탄 엘레스토머릭 겔(Polyurethane Elastomeric gel)이 상기와 같은 특성을 만족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부드러운 유동성을 가지기 위해 일정한 점도는 즉, 폴리올(Polyol)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화합물을 350 ±50 cps : 95 ±5 cps 범위가 되도록 하여 혼합하여야 하며, 중량비는 100 : 55 그리고, 내열, 내한성의 기본조건이외에 온도변화에 따른 체적팽창계수가 1보다 적어야 한다.
그리고, 신율은 300 ±500 %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반응을 위한 기본 구조는 아래와 같다.
화학식 1
OCN - R - NCO + HO - R′ - OH
Polyisocyanate Polyol compound
(경화제) (주제)
O O
∥ ∥
- > OCN - R - N - C - O - R′- O - C - N - R NCO ~
│ │ │
H O H
C = O
HN
NCO
│ cross linking
(망상구조)
상기 식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올(Polyol)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화합물간의 반응에 의하여 가교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가교에 의한 경화는 상온경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작업성에 있어서 좋다.
여기서, 상기 폴리올(Polyol)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화합물 조성은 다음과 같다.
1) 폴리올(Polyol) 화합물 조성
폴리에테르형 폴리올(Poiyether type Polyol)---------85 ~ 90 wt%
소포제(Deformer)-----------------------------------1 ~ 3 wt%
반응촉진제(Catalyst)-------------------------------1 ~ 2 wt%
기타첨가제(Additive)-------------------------------5 ~ 10 wt%
2)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화합물 조성
Polyisocyanate 혼합물 -----------------------------100 wt%
경화 반응속도의 조절은 경화제의 가감으로 가능함.
다음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마우스용 충격흡수부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용 충격흡수부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장의 실내 온도를 30℃가 넘지 않도록 하고, 혼합용기를 사전에 세척하여 준비하는 작업 준비 단계(10)와; 상기, 혼합용기 내에 주제인 폴리올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 화합물을 중량비 100:55로 혼합하는 혼합 단계(20)와; 상기, 혼합물이 전체적인 담황색을 띄도록 교반기 또는 원심분리기로 혼합하는 교반 단계(30)와; 상기, 혼합물을 수작업 또는 진공 탈포기를 이용하여 탈포하는 탈포 단계(40)를 거치면 충격흡수부재(8)가 완성되는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수성이 우수한 내피와 땀흡수가 용이하되 신축성이 우수한 외피로 제작된 이중피복을 통해 마감되어 마우스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되, 폴리올(Polyol)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 화합물을 중량비 100:55로 혼합한 겔상태의 2액형 폴리우레탄 엘레스토머릭 겔(Polyurethane Elastomeric gel)로 이루어져 있어, 가해지는 외력에 따른 유동성과 충격 흡수력이 우수하고, 온도에 의한 물성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파괴 특성이 우수하여 연속 반복동작을 취하게 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최소의 충격이 전달되도록 함과 동시에 원형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손관절에 무리가 가해지는 현상을 최소화함과 더불어 제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방수성이 우수한 내피(1)와 땀흡수가 용이하되 신축성이 우수한 외피(2)로 제작된 이중피복(4)을 통해 마감되어 마우스(6)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되, 폴리올(Polyol)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 화합물을 중량비 100:55로 혼합한 겔상태의 2액형 폴리우레탄 엘레스토머릭 겔(Polyurethane Elastomeric gel)로 이루어진 마우스용 충격흡수부재(8)가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용 충격흡수부재.
  2. 작업장의 실내 온도를 30℃가 넘지 않도록 하고, 혼합용기를 사전에 세척하여 준비하는 작업 준비 단계(10)와;
    상기, 혼합용기 내에 주제인 폴리올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 화합물을 중량비 100:55로 혼합하는 혼합 단계(20)와;
    상기, 혼합물이 전체적인 담황색을 띄도록 교반기 또는 원심분리기로 혼합하는 교반 단계(30)와;
    상기, 혼합물을 수작업 또는 진공 탈포기를 이용하여 탈포하는 탈포 단계(40)를 거쳐 충격흡수부재(8)가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용 충격흡수부재 제조 방법.
KR1020020041663A 2002-07-16 2002-07-16 마우스용 충격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070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663A KR20040007029A (ko) 2002-07-16 2002-07-16 마우스용 충격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663A KR20040007029A (ko) 2002-07-16 2002-07-16 마우스용 충격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029A true KR20040007029A (ko) 2004-01-24

Family

ID=37316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663A KR20040007029A (ko) 2002-07-16 2002-07-16 마우스용 충격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70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54642B2 (en) 2009-03-02 2014-02-18 Nec Corporation Wireless packet transmission apparatus and packet priority control scheduling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2653A (ja) * 1998-09-30 2000-04-21 Sanwa Supply Kk ゲル封入マウス及びマウス用ゲル封入カバー
KR200223993Y1 (ko) * 2000-12-05 2001-05-15 윤민호 손목보호대 밑바닥에 볼이나 베어링이 설치된 키보드 및마우스용 손목보호대
KR20010051990A (ko) * 1999-11-29 2001-06-25 간젠, 페터 폴리우레탄 재질의 성형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35507Y1 (ko) * 2001-03-23 2001-10-08 이정훈 인체공학 마우스
KR20020027386A (ko) * 2002-01-14 2002-04-13 이종원 마우스 커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2653A (ja) * 1998-09-30 2000-04-21 Sanwa Supply Kk ゲル封入マウス及びマウス用ゲル封入カバー
KR20010051990A (ko) * 1999-11-29 2001-06-25 간젠, 페터 폴리우레탄 재질의 성형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23993Y1 (ko) * 2000-12-05 2001-05-15 윤민호 손목보호대 밑바닥에 볼이나 베어링이 설치된 키보드 및마우스용 손목보호대
KR200235507Y1 (ko) * 2001-03-23 2001-10-08 이정훈 인체공학 마우스
KR20020027386A (ko) * 2002-01-14 2002-04-13 이종원 마우스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54642B2 (en) 2009-03-02 2014-02-18 Nec Corporation Wireless packet transmission apparatus and packet priority control schedul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3416A (en) Hand, wrist and/or lower arm support pad and assemblies
US5435508A (en) Wrist rest support
Kroemer Avoiding cumulative trauma disorders in shops and offices
HK1149567A1 (ko)
Villanueva et al. Ergonomic aspects of portable personal computers with flat panel displays (PC-FPDs): evaluation of posture, muscle activities, discomfort and performance
KR20040007029A (ko) 마우스용 충격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BRPI0411420A (pt) composição de agente de revestimento
US200800243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rgonomic keyboard
CN101178626B (zh) 人体工程学鼠标
Ullman et al. A new approach to the mouse arm syndrome
KR100598998B1 (ko) 키보드
CN105528096B (zh) 一种鼠标
CN220727735U (zh) 一种移动终端支架
US20100226085A1 (en) Computer wrist rest for notebook computers
CN205405456U (zh) 一种改进的防止肌肉疲劳的鼠标
Rempel et al. Computer Input with Gesture Recognition: Comfort and Pain Ratings of Hand Postures
Pirami et al.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valence of carpal tunnel syndrome symptoms (CTS) and the dimensions of quality of life among computer users of 50 typing institutes
KR102640961B1 (ko) 손바닥 냉각 성능을 갖는 손목받침 밴드
JP2023548422A (ja) 伸展運動を促進する、人々のための手および手首の付属品デバイス
McGillis Worksite stretching programs
KR200178883Y1 (ko) 지압돌기가 형성된 컴퓨터용 마우스
US20230110062A1 (en) Thumb Stretch Wedge
CN110638510B (zh) 关节炎矫治固定装置及其运作方法
WO2006029488A1 (en) Anatomic support for hand and wrist
CN201345906Y (zh) 一种护腕鼠标手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