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5562A - 둘러싸인 영역내의 트랜시버 배열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의개선된 무선 주파수 커버리지 - Google Patents

둘러싸인 영역내의 트랜시버 배열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의개선된 무선 주파수 커버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5562A
KR20040005562A KR1020027014278A KR20027014278A KR20040005562A KR 20040005562 A KR20040005562 A KR 20040005562A KR 1020027014278 A KR1020027014278 A KR 1020027014278A KR 20027014278 A KR20027014278 A KR 20027014278A KR 20040005562 A KR20040005562 A KR 20040005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ceiver
slave
transceivers
building
lay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4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스맨하임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05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556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9Arrangements for range control, e.g. by using remot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6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91Space-time diversity
    • H04B7/0894Space-time diversity using different delays between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근거리 측과 원거리 측을 갖고 짝수 층과 홀수 층이 교대로 있는 다층 빌딩내의 이동 트랜시버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 간에 통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방법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유형의 신호를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하나의 메인 서브 그룹과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하나의 다이버시티 서브 그룹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이 방법은 짝수 층중 하나 이상의 근거리 측에서 메인 서브 그룹의 슬레이브 트랜지스터중 한 개를 배치하고 짝수 층중 하나 이상의 원거리 측에서 다이버시티 서브 그룹의 슬레이브 트랜시버중 한 개를 배치하고 또한, 홀수 층중 하나 이상의 근거리 측에서 다이버시티 서브 그룹의 슬레이브 트랜시버중 또다른 한 개를 배치하고 홀수 층중 하나 이상의 원거리 측에서 메인 서브 그룹의 슬레이브 트랜시버중 또다른 한 개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이 방법은 빌딩내에 배치된 복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중 하나 이상을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이동 트랜시버 간에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둘러싸인 영역내의 트랜시버 배열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의 개선된 무선 주파수 커버리지{IMPROVED RADIO FREQUENCY COVERAGE OF AN ENCLOSED REGION BY ARRANGEMENT OF TRANSCEIVERS WITHIN THE REGION}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전형적으로 금속 프레임화된 구조 및 지하에서는 커버리지가 어렵거나 불완전한 영역이 존재한다. 이러한 영역내의 커버리지를 개선하는 방법은 당해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발명의 내용이 본 명세서에 특허 등록 번호로서 포함되어 있는 Charas 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404,570 호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트랜시버 기지국 (BTS) 과 BTS 로부터의 전송이 차단되는 터널과 같은 밀폐 환경 간에 이용되는 리피터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 시스템은 BTS 로부터의 무선 주파수 (RF) 신호를 중간 주파 (IF) 신호로 하향변환하고, 하향변환된 이 신호는 둘러싸인 영역내의 안테나와 케이블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내의 수신기로 방사된다. 이 수신기는 IF 신호를 원래의 RF 신호로 상향변환한다. 상기한 미국 특허에 개시된 시스템에서는, 터널내에서 이동하는 차량을 포함하며 다른 상황에서는 BTS 로부터 차단되는이 차량내의 승객이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발명의 내용이 특허 등록 번호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는 Kallandar 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603,080 호는, 복수의 BTS 와 BTS 로부터의 전송이 차단된 밀폐 환경 간에 이용되는 복수의 리피터 시스템을 개시한다. 각 시스템은 자신의 각 BTS 로부터의 RF 신호를 IF 신호로 하향변환하고, 하향변환된 신호는 밀폐 환경내의 케이블에 의해 밀폐 환경내의 하나 이상의 각 수신기로 전송된다. 각 수신기는 IF 신호를 원래의 RF 신호로 상향변환한다. 상기한 미국 특허에 개시된 시스템은 터널내의 중첩 영역 간에 이동하는 차량을 포함하며, 각 영역은 자신의 리피터 시스템을 통해 BTS 중 한 개에 의해 커버된다. 따라서, 다른 상황에서는 BTS 중 하나 이상의 BTS 로부터 차단되는 이 차량내의 승객이 터널을 통해 상기 BTS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발명의 내용이 특허 등록 번호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는 Georges 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765,099 호는,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링 (twisted pair cabling) 과 같은 저 대역폭 매체를 이용하여 2개 이상의 영역 간에 RF 신호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제 1 영역에서, RF 신호를 제 1 로컬 오실레이터에서 합성하여 하향변환된 IF 신호를 생성한다. 이 IF 신호를 저 대역폭 매체를 통해 제 2 영역으로 전송하고, 제 2 로컬 오실레이터를 이용하여 이 신호를 원래의 RF 신호로 상향변환한다. 각 로컬 오실레이터는 각 영역내의 위상 동기 루프 (PLL) 에 의해 로크 (lock) 되어 동일한 주파수가 생성되며, 이 로크 동작은 로컬 오실레이터 주파수를 하나의 영역내에서 생성된 안정된 단일 저주파 기준 신호와 비교함으로써 각 루프에서 실행된다. 이 기준 신호를 저 대역폭 매체를 통해 영역 간에 전송한다.
발명의 내용이 특허 등록 번호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는 Dean 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513,176 호는, 수신이 어려운 영역내에 분산된 안테나 어레이를 개시한다. 이 안테나 어레이의 성능은 어레이내에 신호 다이버시티를 생성함으로써 향상된다. 어레이내의 각 안테나는 안테나가 수신하는 신호에 적용되는 미분 시간 딜레이 (delay) 를 갖고, 이에 따라 수신 신호 다이버시티를 생성한다. 미분 딜레이 신호는 바람직하게 중간 주파수로 하향변환되고 이후 케이블을 통해 영역 외부로 전송된다.
발명의 내용이 특허 등록 번호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는 Light 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930,293 호는, 제 1 및 제 2 공간 이격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리피터를 개시한다. 이 안테나는 전송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제 2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는 초기 신호에 더해지는 시간 딜레이를 갖는다. 이러한 2개 신호를 합하여 하나의 집합 신호 (aggregate signal) 를 형성하고, 이 집합 신호는 제 3 안테나로부터 전송된다. 집합 신호의 수신기는 제 1 및 제 2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를 재구성할 수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일부 태양중 한 목적은 둘러싸인 영역내의 신호 수신을 향상시키는 전자기 무선 신호의 트랜시버 배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다층 빌딩내에 복수의 무선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배치하며, 배치하는 위치는 일반적으로 외부 전자기 방사로부터 차단되는 곳이다. 복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2개 서브 그룹들인, 메인 그룹 및 다이버시티 그룹 2개로 분할한다.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서브 그룹들은 케이블을 통해 마스터 트랜시버와 신호를 통신한다. 마스터 트랜시버는 전형적으로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 기지국 (BTS) 과 통신한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BTS 는 빌딩 외부에 있다. 선택 사항으로서, 하나 이상의 BTS 는 빌딩 내부에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BTS 는 바람직하게 기지국 제어기와 통신한다. 다른 방법으로, 빌딩내의 하나 이상의 BTS, 마스터 트랜시버, 및 복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는 일반적으로 밀폐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빌딩 내에서 휴대 전화와 같은 이동 트랜시버가 각 서브 그룹내의 복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중 하나 이상과 신호를 통신할 수 있도록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빌딩내에 배치한다. 따라서, 이동 트랜시버는 슬레이브 트랜시버 및 마스터 트랜시버를 통해 하나 이상의 BTS 와 통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목적을 위해,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배치하도록 빌딩의 근거리 측 (near side) 과 원거리 측 (far side) 을 선택한다. "가까운" 측과 "떨어진" 측을 선택하는 것은 임의적이며, 이렇게 선택하는 목적은 트랜시버의 위치에 대하여 어떠한 제한이라도 발생할 때 근거리 측과 원거리 측이 실제로 서로 간격을 갖기 위해서이다. 모든 짝수 층 상에, 제 1 서브 그룹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빌딩의 근거리 측에 배치하고, 제 2 서브 그룹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빌딩의 원거리 측에 배치한다. 모든 홀수 층 상에, 제 1 서브 그룹의 슬레이브트랜시버를 그 층의 원거리 측에 배치하고, 제 2 서브 그룹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근거리 측에 배치한다.
따라서, 다층 빌딩 전체에 교대하는 패턴으로 트랜시버를 배치한다. 어떠한 특정 층 상에서도 제 1 및 제 2 서브 그룹의 트랜시버를 분리하며 그 이유는 각 트랜시버가 빌딩의 대향 단부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 서브 그룹의 트랜시버는 메인 트랜시버 및 다이버시티 트랜시버로서 각각 동작할 수 있다. 빌딩의 상이한 층들 간에, 상기한 교대 패턴 때문에 각 서브 그룹내의 트랜시버를 2개 층에 의해 분리하여, 서브 그룹내의 트랜시버의 가장 작은 수직 분리가 2층이 된다. 이것은 당해 기술에 공지된 빌딩내 커버리지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분리의 대략 2배이며, 이 시스템에서의 트랜시버에서는 교대 패턴이 존재하지 않는다. 각 서브 그룹내의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분리를 증가시킴으로써, 동일한 전송을 이동 트랜시버와 통신하는 서브 그룹내의 슬레이브 트랜시버에 의한 간섭 효과가 현저히 감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짝수 층과 홀수 층이 교대되며 근거리 측과 원거리 측을 갖는 다층 빌딩내의 이동 트랜시버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신하는 방법으로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유형의 신호를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하나의 메인 서브 그룹과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하나의 다이버시티 서브 그룹으로 분리하는 단계; 짝수 층중 하나 이상의 근거리 측에서 메인 서브 그룹의 슬레이브 트랜지스터중 한 개를 배치하고 짝수 층중 하나 이상의 원거리 측에서 다이버시티 서브 그룹의 슬레이브 트랜시버중 한 개를 배치하는 단계; 홀수 층중 하나 이상의 근거리 측에서 다이버시티 서브 그룹의 슬레이브 트랜시버중 또다른 한 개를 배치하고 홀수 층중 하나 이상의 원거리 측에서 메인 서브 그룹의 슬레이브 트랜시버중 또다른 한 개를 배치하는 단계; 및 빌딩내에 배치된 복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중 하나 이상을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이동 트랜시버 간에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이동 트랜시버 간에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는, 다이버시티 서브 그룹의 신호를 분할하고 합성하는 단계; 메인 서브 그룹의 신호를 분할하고 합성하는 메인 스플리터/합성기를 통해 메인 서브 그룹의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및 다이버시티 및 메인 스플리터/합성기를 빌딩의 중심 선에 가깝게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이동 트랜시버 간에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는, 네트워크내에 포함된 트랜시버 기지국과 이동 트랜시버 간에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짝수 층중 하나 이상의 근거리 측에 배치하는 단계는 짝수 층증 하나 이상에 포함된 제 1 복도의 가까운 단부에 메인 서브 그룹의 트랜시버중 제 1 트랜시버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짝수 층중 하나 이상의 원거리 측에 배치하는 단계는 제 1 복도의 떨어진 단부에 다이버시티 서브 그룹의 트랜시버중 제 1 트랜시버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홀수 층중 하나 이상의 근거리 측에 배치하는 단계는 홀수 층중 하나 이상에 포함된 제 2 복도의 가까운 단부에 다이버시티 서브 그룹의 트랜시버중 제 2 트랜시버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홀수층중 하나 이상의 원거리 측에 배치하는 단계는 제 2 복도의 떨어진 단부에 메인 서브 그룹의 트랜시버중 제 2 트랜시버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짝수층중 하나 이상의 근거리 측에 배치하는 단계는 실질적으로 모든 짝수층의 근거리 측에 메인 서브 그룹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짝수층중 하나 이상의 원거리 측에 배치하는 단계는 실질적으로 모든 짝수층의 원거리 측에 다이버시티 서브 그룹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홀수층중 하나 이상의 근거리 측에 배치하는 단계는 실질적으로 모든 홀수층의 근거리 측에 다이버시티 서브 그룹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홀수층중 하나 이상의 원거리 측에 배치하는 단계는 실질적으로 모든 짝수층의 근거리 측에 메인 서브 그룹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다이버시티 서브 그룹은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메인 서브 그룹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와 구별가능한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한다.
바람직하게, 빌딩은 빌딩 외부에 있는 소스로부터 오버-디-에어 (over-the-air) 전송되는 전자기 방사로부터 실질적으로 차단되어 있다.
더 바람직하게,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이동 트랜시버 간에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는, 이 신호를 중간 주파수 (IF) 신호로 하향변환하고 IF 신호를 상향변환함으로써 이 신호를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빌딩 외부에 있다.
바람직하게,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빌딩 내부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 측과 원거리 측을 갖고 짝수 층과 홀수 층이 교대로 있는 다층 빌딩내의 이동 트랜시버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간에 통신하는 장치로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이동 트랜시버간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복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는, 하나의 그룹이 빌딩의 근거리 측에서 짝수 층중 하나 이상 위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그룹이 빌딩의 원거리 측에서 홀수 층중 하나 이상 위에 배치되는 메인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그룹; 및 하나의 그룹이 빌딩의 원거리 측에서 짝수 층중 하나 이상 위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그룹이 빌딩의 근거리 측에서 홀수 층의 하나 이상 위에 배치되는 다이버시티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그룹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이 장치는, 빌딩의 중심 선에 가깝게 배치되며 다이버시티 그룹의 신호를 분할하고 합성하는 다이버시티 스플리터/합성기; 및 빌딩의 중심 선에 가깝게 배치되며 메인 그룹의 신호를 분할하고 합성하는 메인 스플리터/합성기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이 장치는, 신호를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메인 및 다이버시티 그룹과 중계하고 무선 네트워크의 트랜시버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연결되어 신호가 마스터 트랜시버를 통해 트랜시버 기지국과 이동 트랜시버 간에 전달되는 마스터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짝수 층중 하나 이상은 하나의 짝수 복도를 포함하고 홀수 층중 하나 이상은 하나의 홀수 복도를 포함하고, 메인 슬레이브 트랜시버 그룹중 하나는 짝수 복도의 떨어진 단부에 배치되며 메인 슬레이브 트랜시버 그룹중 다른 하나는 홀수 복도의 가까운 단부에 배치되며, 다이버시티 슬레이브 트랜시버 그룹중 하나는 짝수 복도의 가까운 단부에 배치되며 다이버시티 슬레이브 트랜시버 그룹중 다른 하나는 홀수 복도의 떨어진 단부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메인 슬레이브 트랜시버 그룹중 하나는 짝수 층 각각의 근거리 측 상에 배치되고 메인 슬레이브 트랜시버 그룹중 다른 하나는 홀수 층 각각의 원거리 측 상에 배치되고, 다이버시티 슬레이브 트랜시버 그룹중 하나는 짝수 층 각각의 원거리 측 상에 배치되고, 다이버시티 슬레이브 트랜시버 그룹중 다른 하나는 홀수 층 각각의 근거리 측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다이버시티 슬레이브 트랜시버 그룹은 메인 슬레이브 트랜시버 그룹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와 구별가능한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한다.
더 바람직하게, 빌딩은 소스 안테나로부터 빌딩으로 오버 디 에어 전송되는 전자기 방사로부터 실질적으로 차단된다.
바람직하게,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빌딩 외부에 있다.
다른 방법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빌딩 내부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층을 갖는 빌딩내의 이동 트랜시버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 간에 통신하는 방법으로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통해 전달되는 유형의 신호를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하나의 메인 서브 그룹과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하나의 다이버시티 서브 그룹으로 분리하는 단계; 빌딩 층들중 하나 이상의 층 상에서 서브 그룹중 제 1 그룹의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트랜시버, 및 서브 그룹중 제 2 그룹의 복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배치하여 이 층들중 하나 이상의 층 상에서 각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가장 가까운 이웃이 다른 서브 그룹에 속하는 단계; 및 빌딩내에 배치된 복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중 하나 이상을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이동 트랜시버 간에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층들중 하나 이상의 층 상에 배치하는 단계는 층들중 하나 이상의 층 상에서 일반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각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가장 가까운 이웃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방법으로, 층들중 하나 이상의 층 상에 배치하는 단계는 층들중 하나 이상의 층 상에서 일반적으로 비 수평 (non-horizontal) 방향으로 각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가장 가까운 이웃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층을 갖는 빌딩내의 이동 트랜시버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 간에 통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이동 트랜시버 간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이 슬레이브 트랜시버는,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메인 서브 그룹; 및 서브 그룹중 제 1 그룹의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트랜시버 및 서브 그룹중 제 2 그룹의 복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가 하나 이상의 층 상에 배치되어 층들중 하나 이상의 층 상에 각 슬레이브 트랜시버중 가장 가까운 이웃이 다른 서브 그룹에 속하는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다이버시티 서브 그룹을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각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가장 가까운 이웃은 일반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측정된다.
다른 방법으로, 각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가장 가까운 이웃은 일반적으로 비 수평 방향으로 측정된다.
다음에 따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전히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자기 신호 수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둘러싸인 영역내에서 전자기 신호의 수신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빌딩내 트랜시버 배열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다른 빌딩내 트랜시버 배열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빌딩내 트랜시버 배열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 1 에 부재 번호를 표시하였다. 다층 빌딩 (30) 은 빌딩 외부에 있는 소스로부터 오버 디 에어 전송되는 전자기 방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차단되어 있다. 빌딩 (30) 은 복수의 짝수 층 (12) 및 복수의 홀수 층 (13) 을 포함한다. 빌딩 (30) 은 남북 방향으로 배치되며 본 명세서에서 각각 근거리 측 (50) 과 원거리 측 (51) 으로 불리는 북측 (50) 과 남측 (51) 을 갖는다. 빌딩 (30) 의 남북 방향은 일예로서 가정한 것이며 빌딩 (30) 의 방향은 본 발명에서 중요하지 않다.
산업 표준 이동 전화와 같이 빌딩 (30) 내의 이동 트랜시버 (36) 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로서 동작하는 트랜시버 기지국 (BTS; 12) 에 의해 수신가능한 유형의 무선 주파수 (RF) 신호를 방출한다. 바람직하게, BTS (12) 는 빌딩 (30) 외부에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BTS (12) 가 빌딩 내부에 있다. 바람직하게, 이동 트랜시버 (36) 에 의해 방출되는 RF 신호는 본 명세서에서 이동 RF 전송 신호라고도 칭하며 산업 표준 칩 레이트에서 동작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 (CDMA) 신호이지만, 본 발명의 원리는 다른 코딩 및 전송 기술에도 적용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메인 슬레이브 트랜시버라고도 칭하는,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제 1 서브 그룹을 층 (11, 12) 내에 배치한다. 모든 짝수 층 (12) 상에서, 빌딩 (30) 의 북측 (50) 에 메인 슬레이브 트랜시버 (26) 의 서브 그룹중 하나를 배치한다. 모든 홀수 층 (11) 상에서, 빌딩 (30) 의 남측 (51) 에 메인 슬레이브 트랜시버 (26) 의 서브 그룹중 하나를 배치한다. 가장 바람직하게, 메인 슬레이브 트랜시버 (26) 는 하나 이상의 액티브 또는 패시브 스플리터/합성기 (39) 에 의해 스타 (star) 구성으로 연결된다. 다른 방법으로, 슬레이브 트랜시버 (26) 는 데이지 체인이나 하이브리드 스타-데이지 체인 구성으로 연결된다. 또다른 방법으로, 슬레이브 트랜시버 (26) 는 하이브리드 액티브-패시브 구성으로 연결된다.
본 명세서에서 다이버시티 슬레이브 트랜시버라고도 칭하는, 슬레이브 트랜시버 (28) 의 제 2 서브 그룹을 층 (11, 12) 내에 배치한다. 모든 짝수 층 (12) 상에서, 빌딩 (30) 의 남측 (51) 에 다이버시티 슬레이브 트랜시버 (28) 의 서브그룹중 하나를 배치한다. 모든 홀수 층 (11) 상에서, 빌딩 (30) 의 북측 (50) 에 다이버시티 슬레이브 트랜시버 (28) 의 서브 그룹중 하나를 배치한다. 가장 바람직하게, 다이버시티 슬레이브 트랜시버 (28) 는 하나 이상의 액티브 또는 패시브 스플리터/합성기 (43) 에 의해 스타 구성으로 연결된다. 다른 방법으로, 슬레이브 트랜시버 (28) 는 데이지 체인이나 하이브리드 스타-데이지 체인 구성으로 연결된다. 또다른 방법으로, 슬레이브 트랜시버 (28) 는 하이브리드 액비트/패시브 구성으로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배열 (10) 은, 짝수 층과 홀수 층이 교대되는 다층 빌딩내에 트랜시버의 제 1 및 제 2 서브 그룹을 배치하는 교대 배열의 일예이다. 이러한 교대 배열에 있어서, 모든 홀수 층의 대향 측에 메인 트랜시버 및 다이버시티 트랜시버가 존재하며, 모든 짝수 층의 대향 측에 다이버시티 트랜시버와 메인 트랜시버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모든 짝수 층 상의 메인 트랜시버를 모든 홀수 층 상의 다이버시티 트랜시버 위에 수직으로 배치하고 모든 짝수 층 상의 다이버시티 트랜시버를 모든 홀수 층 상의 메인 트랜시버 위에 수직으로 배치한다.
상기한 교대 배열 (10) 에 있어서, 각 층마다, 메인 슬레이브 트랜시버 (26) 이 다이버시티 슬레이브 트랜시버 (28) 로부터 공간적으로 이격되어 있지만, 이러한 슬레이브 트랜시버들은 구성 및 동작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모두 유사하다. 적절한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그 내용이 본 발명에 인용되어 포함된 1999년 10월 29일 출원한 "In-Building Radio Frequency Coverage" 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출원 명세서에기재되어 있다. 공간적 분리는 충분하기에, 트랜시버 (36) 가 전송을 수행할 때 모든 층에서 메인 슬레이브 트랜시버 (26) 에 의해 수신되는 RF 신호는 다이버시티 슬레이브 트랜시버 (28) 에 의해 수신되는 RF 신호와 구별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수신되는 신호는 진폭, 위상, 또는 도달 시간, 또는 이들의 조합, 또는 다른 신호 파라미터에 있어서 상이할 수 있다. 각 메인 슬레이브 트랜시버 (26) 는 이동 트랜시버 (36) 로부터 RF 신호를 메인 RF 신호로서 수신하고, 각 다이버시티 슬레이브 트랜시버 (28) 는 이동 트랜시버 (36) 로부터 RF 신호를 다이버시티 RF 신호로서 수신한다.
메인 슬레이브 트랜시버 (26) 는 자신의 각 RF 신호를 메인 IF 신호로 하향변환하여 스플리터/합성기 (39) 를 통해 합성기 (27) 에 전송한다. 유사하게, 다이버시티 슬레이브 트랜시버 (28) 는 자신의 각 RF 신호를 하향변환하여 스플리터/합성기 (43) 를 통해 합성기 (27) 에 전송한다. 합성기 (27) 는 메인 IF 신호와 다이버시티 IF 신호를 합성하여 합성된 IF 신호를 복구된 RF 신호로 상향변환하는 마스터 트랜시버 (22) 에 전송한다. 이후에, 복구된 RF 신호, 및/또는 이 신호내의 정보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 (47) 또는 오버 디 에어를 통해 BTS (12) 에 전송된다. 유사하게, BTS (12) 로부터의 RF 신호는, 마스터 트랜시버 (22) 에 전송되어 IF 신호로 하향변환되며 스플리터 (35), 딜레이 (45), 스플리터/합성기 (43), 및 스플리터/합성기 (39) 를 통해 슬레이브 트랜시버 (26, 28) 에 전송된다. 슬레이브 트랜시버 (26, 28) 는 자신들의 IF 신호를 RF 신호로 각각 상향변환하여 빌딩 (30) 내의 RF 신호를 전송한다. 적절한 마스터 및 메인 및 다이버시티 슬레이브 트랜시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그 내용이 본 발명에 인용되어 포함되고 본 명세서와 동일자로 출원된 "Radio Frequency Coverage of Enclosed Regions" 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출원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서, BTS (12) 가 빌딩 (30) 내부에 있을 때, BTS (12), 마스터 트랜시버 (36), 슬레이브 트랜시버 (26), 및 슬레이브 트랜시버 (28) 는 일반적으로 빌딩내에 밀폐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서 동작한다.
당해 기술에 공지되어 있듯이, 특정 서브 그룹의 슬레이브 트랜시버, 예를 들어 메인 슬레이브 트랜시버들 (26) 이 서로 너무 가깝게 위치하면, 신호 합성에 파괴가 발생하기 때문에 신호 수신을 저하시키는 간섭 효과가 발생한다. 이동 트랜시버 (36) 로부터 슬레이브 트랜시버 (26) 로 전송되는 신호에 대하여 파괴적인 간섭 효과가 발생할 수 있고 역으로 전송되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2개 경로에서의 배열 (10) 과 같은 다른 배치에서는 비 교대 (non-alternating) 배열과 비교할 때 파괴적인 간섭 효과가 감소된다. 동일한 유형의 트랜시버의 수직 분리는 효과적으로 두배로 된다. 수직 분리를 두배로 함에 더하여, 동일한 유형의 트랜시버들이 2개 층에 의해 분리되어, 한 층 상에서 하나의 트랜시버에 직접 전송되는 신호는 유사하게 배치된 동일한 유형의 트랜시버에 도달하기 위해 2개 층을 통과해야 한다. 2개 층의 물리적인 구조를 통한 경로는 비 교대 배열에서의 한 개 층을 통한 경로와 비교할 때 신호 진폭을 상당히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파괴적인 간섭 효과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서, 스플리터/합성기 (39) 및 스플리터/합성기 (43) 를 빌딩 (30) 의 중심선 (52) 에 가깝게 배치한다. 스플리터/합성기들을 중심선에 가깝게 배치하고 이에 대응하여 서로 가깝게 배치함으로써, 빌딩 (30) 의 특정한 측에서 이들 스플리터/합성기로부터 트랜시버로의 케이블은 동일한 케이블 가이드 (guide) 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서, 빌딩 (30) 의 모든 짝수 층 (12) 은 복도 (54) 를 포함하고 모든 홀수 층 (11) 은 복도 (53) 를 포함한다. 복수의 복도는 빌딩 (30) 의 근거리 측 (50) 과 원거리 측 (51) 사이에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하며 종단으로 존재한다. 하나의 메인 슬레이브 트랜시버 (26) 를 모든 짝수 층 복도 (54) 의 근거리 측에 배치하고 하나의 다이버시티 슬레이브 트랜시버 (28) 를 모든 짝수 층 복도 (54) 의 원거리 측에 배치함으로써 트랜시버를 상기한 바와 같이 교대 패턴으로 배치한다. 모든 홀수 층 복도 (53) 에 대해서는 메인 슬레이브 트랜시버와 다이버시티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배치가 역으로 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빌딩내 트랜시버 배열 (60) 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차이점과는 별도로, 배열 (60) 의 동작은 일반적으로 (도 1) 배열 (10) 의 동작과 유사하여, 배열 (10) 과 배열 (60) 에서 동일한 부재 번호로 표시되는 구성 요소는 일반적으로 구성 및 동작에 있어서 동일하다. 빌딩 (30) 의 모든 층 상에, 복수의 메인 슬레이브 트랜시버 (26) 및 복수의 다이버시티 슬레이브 트랜시버 (28) 를 배치하여, 모든 층 상의 실질적으로모든 위치에서 이동 트랜시버 (36) 로부터의 신호는 트랜시버 (26, 28)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수신가능하다. 각 메인 슬레이브 트랜시버 (26) 의 가장 가까운 이웃이 복수의 다이버시티 슬레이브 트랜시버 (28) 중 하나가 되도록 그리고 각 다이버시티 슬레이브 트랜시버 (28) 의 가장 가까운 이웃이 복수의 메인 슬레이브 트랜시버 (26) 중 하나가 되도록 슬레이브 트랜시버들을 배치하고, 이에 따라 교대로 배열된 트랜시버를 구성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장 가까운 이웃에 관한 내용은 빌딩 (30) 의 한 층내에서 일반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측정되는 가장 가까운 이웃에 적용되는 것이다. 또한, 이 내용은 빌딩 (30) 의 층들 간에 일반적으로 비 수평 (non-horizontal) 방향으로 측정되는 가장 가까운 이웃에 적용될 수 있다. 측정이라는 것은, 빌딩 내에서 물리적으로 행해지거나, 또는 시뮬레이션이나 컴퓨테이션과 같은 물리적이지 않은 방법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빌딩 (60) 의 각 층내에서 일반적으로 직각 그리드 상에 트랜시버 (26, 28) 를 배치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빌딩 (60) 의 각 층내에서 비 직각 (non-rectangular) 그리드 상에 트랜시버 (26, 28) 를 배치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빌딩 (60) 의 층들 간에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직각 그리드 상에 트랜시버 (26, 28) 를 배치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빌딩 (60) 의 층들 간에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비 직각 그리드 상에 트랜시버 (26, 28) 를 배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빌딩 (30) 은 넓은 컨벤션 홀과 같은 단층 빌딩이며 빌딩내에서 동작하는 배열 (60) 과 유사한 교대 배열을 갖는다.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단지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종래 기술에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당업자가 알 수 있는 본 발명의 수정 및 변경예 뿐만 아니라 상기한 다양한 특징의 조합 및 부조합 (subcombination) 을 포함한다.

Claims (27)

  1. 근거리 측과 원거리 측을 갖고 짝수 층과 홀수 층이 교대로 있는 다층 빌딩내의 이동 트랜시버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 간에 통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유형의 신호를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상기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하나의 메인 서브 그룹과 상기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하나의 다이버시티 서브 그룹으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짝수 층중 하나 이상의 근거리 측에 상기 메인 서브 그룹의 슬레이브 트랜지스터중 한 개를 배치하고, 상기 짝수 층중 하나 이상의 원거리 측에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그룹의 슬레이브 트랜시버중 한 개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홀수 층중 하나 이상의 근거리 측에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그룹의 슬레이브 트랜시버중 또다른 한 개를 배치하고, 상기 홀수 층중 하나 이상의 원거리 측에 상기 메인 서브 그룹의 슬레이브 트랜시버중 또다른 한 개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빌딩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중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이동 트랜시버 간에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과 상기 이동 트랜시버간에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그룹의 신호를 분할하고 합성하는 스플리터/합성기를 통해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그룹의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브 그룹의 신호를 분할하고 합성하는 메인 스플리터/합성기를 통해 상기 메인 서브 그룹의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다이버시티 및 메인 스플리터/합성기를 상기 빌딩의 중심 선에 가깝게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이동 트랜시버간에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내에 포함된 트랜시버 기지국과 상기 이동 트랜시버간에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짝수 층중 하나 이상의 근거리 측 짝수 층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짝수 층중 하나 이상에 포함된 제 1 복도의 가까운 단부에 상기 메인 서브 그룹의 트랜시버중 제 1 트랜시버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짝수 층중 하나 이상의 원거리 측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복도의 떨어진 단부에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그룹의 트랜시버중 제 1 트랜시버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홀수 층중 하나 이상의 근거리 측 홀수 층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홀수 층중 상기 하나 이상에 포함된 제 2 복도의 가까운 단부에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그룹의 트랜시버중 제 2 트랜시버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홀수 층중 하나 이상의 원거리 측 홀수 층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복도의 떨어진 단부에 상기 메인 서브 그룹의 트랜시버중 제 2 트랜시버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짝수 층중 하나 이상의 근거리 측 짝수 층에 배치하는 단계는, 실질적으로 모든 상기 짝수층의 근거리 측에 상기 메인 서브 그룹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짝수 층중 하나 이상의 원거리 측 짝수 층에 배치하는 단계는, 실질적으로 모든 상기 짝수층의 원거리 측에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그룹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홀수 층중 하나 이상의 근거리 측 홀수 층에 배치하는 단계는, 실질적으로 모든 상기 홀수층의 근거리 측에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그룹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홀수 층중 하나 이상의 원거리 측 홀수 층에 배치하는 단계는, 실질적으로 모든 상기 짝수층의 근거리 측에 상기 메인 서브 그룹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그룹은 상기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상기 메인 서브 그룹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와 구별가능한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빌딩은 소스 안테나로부터 상기 빌딩으로 오버 디 에어 전송되는 전자기 방사로부터 실질적으로 차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이동 트랜시버 간에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를 중간 주파수 (IF) 신호로 하향변환하고 상기 IF 신호를 상향변환함으로써 상기 신호를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빌딩 외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빌딩 내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근거리 측과 원거리 측을 갖고 교대하는 짝수 층과 홀수 층을 갖는 다층 빌딩내의 이동 트랜시버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간에 통신하는 장치로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이동 트랜시버간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는,
    하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가 상기 빌딩의 근거리 측에서 상기 짝수 층중 하나 이상 짝수 층위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가 상기 빌딩의 원거리 측에서 상기 홀수 층중 하나 이상 홀수 층위에 배치되는, 메인 슬레이브 트랜시버 그룹; 및
    하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가 상기 빌딩의 원거리 측에서 상기 짝수 층중 하나 이상 짝수 층위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가 상기 빌딩의 근거리 측에서 상기 홀수 층의 하나 이상 홀수 층위에 배치되는, 다이버시티 슬레이브 트랜시버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빌딩의 중심 선에 가깝게 배치되며, 상기 다이버시티 그룹의 신호를 분할하고 합성하는 다이버시티 스플리터/합성기; 및
    상기 빌딩의 중심 선에 가깝게 배치되며, 상기 메인 그룹의 신호를 분할하고 합성하는 메인 스플리터/합성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상기 메인 그룹 및 다이버시티 그룹과 중계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트랜시버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연결되는 마스터 트랜시버를 구비하며,
    상기 마스터 트랜시버를 통해 상기 트랜시버 기지국과 상기 이동 트랜시버 간에 상기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짝수 층중 하나 이상의 짝수 층은 하나의 짝수 복도를 포함하고,
    상기 홀수 층중 하나 이상의 홀수 층은 하나의 홀수 복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슬레이브 트랜시버 그룹중 하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는 상기 짝수 복도의 떨어진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슬레이브 트랜시버 그룹중 다른 하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는 상기 홀수 복도의 가까운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다이버시티 슬레이브 트랜시버 그룹중 하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는 상기 짝수 복도의 가까운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다이버시티 슬레이브 트랜시버 그룹중 다른 하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는 상기 홀수 복도의 떨어진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슬레이브 트랜시버 그룹중 하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는 상기 짝수 층 각각의 근거리 측 상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슬레이브 트랜시버 그룹중 다른 하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는 상기 홀수 층 각각의 원거리 측 상에 배치되고,
    상기 다이버시티 슬레이브 트랜시버 그룹중 하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는 상기 짝수 층 각각의 원거리 측 상에 배치되고,
    상기 다이버시티 슬레이브 트랜시버 그룹중 다른 하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는 상기 홀수 층 각각의 근거리 측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버시티 슬레이브 트랜시버 그룹은 상기 메인 슬레이브 트랜시버 그룹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와 구별가능한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빌딩은 소스 안테나로부터 상기 빌딩으로 오버 디 에어 전송되는 전자기 방사로부터 실질적으로 차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빌딩 외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빌딩 내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하나 이상의 층을 갖는 빌딩내의 이동 트랜시버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 간에 통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유형의 신호를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하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 메인 서브 그룹과 하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 다이버시티 서브 그룹으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층들중 하나 이상의 층 상에서 각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가장 가까운 이웃이 상기 다른 서브 그룹에 속하도록, 상기 빌딩의 층들중 하나 이상의 층 상에서 상기 서브 그룹중 제 1 그룹의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트랜시버, 및 상기 서브 그룹중 제 2 그룹의 복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빌딩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중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이동 트랜시버 간에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층들중 하나 이상의 층 상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층들중 하나 이상의 층 상에서 각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상기 가장 가까운 이웃을 일반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층들중 하나 이상의 층 상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층들중 하나 이상의 층 상에서 각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상기 가장 가까운 이웃을 일반적으로 비 수평 (non-horizontal) 방향으로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하나 이상의 층을 갖는 빌딩내의 이동 트랜시버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 간에통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이동 트랜시버 간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는,
    상기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메인 서브 그룹; 및
    상기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다이버시티 서브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층 상에서 각 슬레이브 트랜시버의 가장 가까운 이웃이 다른 서브 그룹에 속하도록, 상기 서브 그룹중 제 1 그룹의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트랜시버 및 상기 서브 그룹중 제 2 그룹의 복수의 슬레이브 트랜시버는 하나 이상의 층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슬레이브 트랜시버중 가장 가까운 이웃은 일반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슬레이브 트랜시버중 가장 가까운 이웃은 일반적으로 비 수평 (non horizontal) 방향으로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27014278A 2000-04-25 2001-04-18 둘러싸인 영역내의 트랜시버 배열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의개선된 무선 주파수 커버리지 KR200400055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557,723 2000-04-25
US09/557,723 US6449477B1 (en) 2000-04-25 2000-04-25 Radio frequency coverage of an enclosed region by arrangement of transceivers within the reg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562A true KR20040005562A (ko) 2004-01-16

Family

ID=24226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4278A KR20040005562A (ko) 2000-04-25 2001-04-18 둘러싸인 영역내의 트랜시버 배열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의개선된 무선 주파수 커버리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449477B1 (ko)
JP (1) JP2004507125A (ko)
KR (1) KR20040005562A (ko)
CN (1) CN1451209A (ko)
AU (1) AU2001259094A1 (ko)
CA (1) CA2406756A1 (ko)
DE (1) DE10196128T1 (ko)
GB (1) GB2379585B (ko)
WO (1) WO20010825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015A (ko) * 2000-05-24 2001-12-07 윤종용 피코 기지국의 무선신호 송수신 장치
EP1293052B1 (en) * 2000-06-16 2008-02-13 QUALCOMM Incorporated Improved diversity coverage
US7343163B1 (en) * 2000-06-19 2008-03-11 Motorola, Inc. Adaptive channel access scheme
US8515339B2 (en) 2001-05-10 2013-08-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n apparatus for installing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ctive combiner/splitters
CN1890992A (zh) * 2003-06-06 2007-01-03 网状网络公司 用于使用接收信号强度指示与信号传播时间来确定需要帮助的消防员所在的楼层号的系统与方法
US7174175B2 (en) * 2003-10-10 2007-02-0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to solve the multi-path and to implement the roaming function
US9008593B2 (en) * 2010-09-30 2015-04-14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60 GHz distributed communication
US8942645B2 (en) * 2010-09-30 2015-01-27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via subbands in a 60 GHZ distributed communication system
US8942647B2 (en) * 2010-09-30 2015-01-27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ntenna switching for 60 GHz distributed communication
US8942646B2 (en) * 2010-09-30 2015-01-27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60 GHz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multi-location antennas for pseudo-beamforming
US9002300B2 (en) * 2010-09-30 2015-04-07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ime division duplexing (TDD) in a 60 GHZ distributed communication system
US8977219B2 (en) * 2010-09-30 2015-03-10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itigating leakage of a 60 GHz transmitted signal back into an RF input of a 60 GHz device
EP2748938A4 (en) * 2011-08-26 2015-01-28 Rogers Communications Inc VERTICAL NESTED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8669916B2 (en) 2011-08-26 2014-03-11 Rogers Communications Inc. Vertically interleaved distributed antenna system
CN102264005A (zh) * 2011-08-31 2011-11-30 厦门市普星电子科技有限公司 无线对讲交换系统
GB2506127A (en) * 2012-09-20 2014-03-26 Toshiba Res Europ Ltd A hub unit processes received signals to produce fewer intermediate signals and generates a combined output for presenting to a base station
US20150044969A1 (en) * 2013-08-09 2015-02-12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1307A (en) 1986-10-17 1990-02-13 Qualcomm, Inc.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satellite or terrestrial repeaters
US5513176A (en) 1990-12-07 1996-04-30 Qualcomm Incorporated Dual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5404570A (en) 1992-11-23 1995-04-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Radio coverage in closed environments
JPH07115681A (ja) * 1993-10-19 1995-05-02 Tec Corp スペクトル拡散無線通信方法
US5890055A (en) * 1995-07-28 1999-03-30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cells and microcel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5946622A (en) 1996-11-19 1999-08-31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ellular telephone service to a macro-cell and pico-cell within a building using shared equipment
US6178334B1 (en) * 1998-11-17 2001-01-23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Cellular/PCS network with distributed-RF base station
CA2224035A1 (en) * 1996-12-19 1998-06-19 J. Leland Langston Repeater node network system and method
US5930293A (en) * 1997-03-10 1999-07-27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hieving antenna receive diversity with wireless repeaters
US6032020A (en) 1997-07-28 2000-02-29 Motorola, Inc. Multi-repeater communication system
US6125109A (en) * 1998-02-24 2000-09-26 Repeater Technologies Delay combiner system for CDMA repeaters and low noise amplifiers
US6157818A (en) * 1998-04-03 2000-12-05 Trimble Navigation Limited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utomatic addressing
US6076823A (en) * 1998-04-21 2000-06-20 Unisys Corporation Tapered-edge separator web for recording feeding
US6373832B1 (en) * 1998-07-02 2002-04-16 Lucent Technologies Inc.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with enhanced multipath diversity
DE19844099A1 (de) * 1998-09-25 2000-03-30 Siemens Ag Hausinternes Subsystem in einem Mobilfunknetz
US6405018B1 (en) * 1999-01-11 2002-06-11 Metawave Communications Corporation Indoor distributed microcell
KR20000074988A (ko) * 1999-05-27 2000-12-15 정용문 인빌딩용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U1914501A (en) * 1999-11-01 2001-05-14 Qualcomm Incorporated Split repeater
EP1293052B1 (en) * 2000-06-16 2008-02-13 QUALCOMM Incorporated Improved diversity cover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507125A (ja) 2004-03-04
AU2001259094A1 (en) 2001-11-07
DE10196128T1 (de) 2003-06-05
GB0227429D0 (en) 2002-12-31
US6449477B1 (en) 2002-09-10
WO2001082505A1 (en) 2001-11-01
GB2379585A (en) 2003-03-12
CA2406756A1 (en) 2001-11-01
CN1451209A (zh) 2003-10-22
GB2379585B (en)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05562A (ko) 둘러싸인 영역내의 트랜시버 배열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의개선된 무선 주파수 커버리지
Ramachandran et al. 60GHz data-center networking: wireless=> worryless
US20070224931A1 (en) Communication network for indoor environment
US6049315A (en) Repeater isolation through antenna polarization diversity
WO20000428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distributed indoor microcell network
KR20130132817A (ko) 풀-듀플렉스 mimo 중계기에서의 자체-간섭 억제
GB2214755A (en) Distributed antenna system
CN106663872B (zh) 一种天线系统
JPH05259956A (ja) 無線中継器
US20030222831A1 (en) Three-dimensional spatial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3D-SDMA) antenna system
FI112567B (fi) Radiolinkkijärjestelmän terminaalien synkronointi
AU2001273603B2 (en) Improved diversity coverage
KR20020093947A (ko) 밀폐된 지역의 무선 주파수 커버리지
US6463090B1 (en) Communication in high rise buildings
AU2001273603A1 (en) Improved diversity coverage
SE9203335L (sv) Radiomodul ingående i en primär radiostation jämte radiostruktur innehållande sådana moduler
JP2007243407A (ja) 無線通信装置
Allen et al. ANew Paradigm for Train to Ground Connectivity Using Angular Momentum
US20180097857A1 (en) Wireless conferencing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same
US20060293013A1 (en) Phased array antenna for indoor application
JPH06181452A (ja) 無線中継装置
EP3917278B1 (en) Bridge comprising a donor bridge node and one or more service bridge nodes
WO2007004928A1 (en) A repeater device for increasing coverage in a mimo-system
EP1105979A1 (en) Point to point radio network, and method for organising the same
US20240063536A1 (en) Reflector system, active reflector, and method of positioning active refl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