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4096A - Gate blocking apparatus for car-lift entrance - Google Patents

Gate blocking apparatus for car-lift entr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4096A
KR20040004096A KR1020030043878A KR20030043878A KR20040004096A KR 20040004096 A KR20040004096 A KR 20040004096A KR 1020030043878 A KR1020030043878 A KR 1020030043878A KR 20030043878 A KR20030043878 A KR 20030043878A KR 20040004096 A KR20040004096 A KR 20040004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locking
motor
block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38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62078B1 (en
Inventor
강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드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드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드엘리베이터
Publication of KR20040004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40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078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PURPOSE: A vehicle isolator in a hoistway of a parking system is provided to protect human life by preventing the crash or impact of vehicles. CONSTITUTION: The vehicle isolator in a hoistway of a parking system contains: a base(B) containing a fixed unit(B1) and an isolation bar(B2) composed of a movable shaft(11), a horizontal bar(13) and at least one or more vertical bars(15); a motor(M) operating the movable shaft(11) of the isolation bar(B2) of the base(B); and a control unit(C) driving the motor(M) to change the isolating location of the isolation bar(B2) into the opening location to make a vehicle advance when a feed unit of the parking system locates on the appointed layer of a hoistway according to the signals of a sensor.

Description

주차설비의 승강로 출입구 차량 차단장치{GATE BLOCKING APPARATUS FOR CAR-LIFT ENTRANCE}GATE BLOCKING APPARATUS FOR CAR-LIFT ENTRANCE}

본 발명은 차량 주차설비에서 운전자의 부주의나 조작미숙 등으로 인하여 차량이 발진하여 발생되는 차량추락과 같은 여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주차설비의 승강로 출입구 차량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차설비의 차량 운송수단이 차량이 주차하고 있는 해당층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만 차량의 바퀴를 가로막고 있는 차단대가 개방되도록 하여 주차설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way vehicle blocking device of a parking facility which can prevent various accidents such as a vehicle crash caused by a vehicle starting due to a driver's carelessness or inexperienced operation in a vehicle parking facility. It relates to a vehicle blocking device that can prevent accidents that may occur in the parking facility by allowing the vehicle blocking means to open the blocker blocking the wheel of the vehicle only when the vehicle is located on the floor where the vehicle is park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주차시설에서는 운전자, 특히 여성 및 초보 운전자의 조작 미숙으로 주차설비의 운송수단(33)이 차량(A)이 주차된 주차설비의 해당층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차를 발진시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되어 왔다. 도 1에서 참조부호 31은 승강로, 35는 출입문, 37은 주차공간을 나타낸다.As shown in FIG. 1, in a conventional parking facility, a vehicle 33 of a parking facility is not located on a floor of a parking facility in which a vehicle A is parked due to immature operation of a driver, especially a female and a novice driver. There have been accidents when the car started to crash. In FIG. 1, reference numeral 31 denotes a hoistway, 35 denotes an entrance door, and 37 denotes a parking space.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의 승강로 출입구 차량 차단장치는 상기와 같은 주차설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량의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The doorway vehicle blocking device for a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prevent a vehicle crash that may occur in the above parking facility.

본 발명은 주차설비의 운송수단이 해당층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만 '차단'위치에서 '개방'위치로 변하는 차단대를 통하여 차량의 진행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trol the progress of the vehicle through a blocking block that changes from the "blocking"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only when the transportation means of the parking facility is located on the floor.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하중이 직접 실리는 베이스 부분에 큰 하중을 잘 견딜 수 있는 구조를 도입하여 노출된 베이스의 소형·경량화를 달성하는 것과, 차단대의 '개방'-'차단' 위치의 상호 가변을 차량의 바퀴가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을 베이스에 도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hieve a small and light weight of the exposed base by introducing a structure capable of withstanding large loads on the base portion directly loaded on the vehicle, and the mutually variable position of the 'open'-'blocking position of the breaker It is aimed at introducing a means to the base so that the wheels of the vehicle do not interfere.

아울러 제어부를 통하여 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한 베이스 차단대의 '개방'-'차단' 위치의 상호 가변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과, 센서, 모터, 제어부 모터구동부의 고장 또는 오작동 시에도 주차설비의 운송수단이 해당층에 위치하고 있을 때 베이스의 차단대와 모터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을 도입하여 차량 차단장치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controls the mutual change of the 'open'-'blocking' position of the base block by the sensor's detection signal, and the transportation means of the parking facility in the event of failure or malfunction of the sensor, motor and control unit motor driver. The purpose is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vehicle blocking device by introducing a means for blocking the connection of the base block and the motor when located on the floor.

도 1은 종래의 주차설비에서 운송수단이 해당 차량과 다른 층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의 부주의나 조작미숙 등으로 인하여 차량을 발진시켜 추락하는 상황을 나타낸 개략도,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a vehicle is started and crashed due to a driver's carelessness or immaturity of a driver while a vehicle is located on a different floor from a vehicle in a conventional parking facility.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장치의 베이스와, 베이스의 회동축과 연결되는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개략도,Figure 2a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base and the components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base of th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장치 중 베이스에서 고정판을 제거하고 나타낸 측면도,Figure 2b is a side view showing the removal plate from the base of th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3a 및 도 3b는 주차설비에 주차된 차량에 대하여 차단장치의 동작상황을 나타낸 개략도,3a and 3b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blocking device for the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facility,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l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베이스의 차단대 회동축과 모터를 연결하고 있는 클러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의 클러치 작동부와 관련된 흐름도이다.5 is a flow chart related to the clutch operating portion of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lutch connecting the motor and the block bar pivot shaft of the bas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B: 베이스 B1: 고정부B: base B1: fixing part

B2: 차단대 11: 회동축B2: Block 11: Rotating Shaft

13: 가로봉 15: 세로봉13: horizontal bar 15: vertical bar

17a,17b: 고정판 19,21: 갈비살17a, 17b: fixed plate 19, 21: ribs

23a,23b,23c: 고정봉 31: 승강로23a, 23b, 23c: fixed rod 31: hoistway

33: 운송수단 35: 출입문33: Transportation 35: Do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차단장치는 고정부에 고정된 회동축과, 이 회동축과 가로봉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세로봉으로 이루어진 차단대를 포함하고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차단대의 회동축을 회동시키는 모터; 및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주차설비의 운송수단이 승강로의 해당층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만 모터를 구동시켜 차단대를 차단위치에서 개방위치로 가변시켜 차량의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ehicl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including a rotating shaft fixed to the fixed portion and one or more vertical rods connecting the rotating shaft and the horizontal rod; A motor for rotating the pivot shaft of the base block; And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motor only when the vehicle means of transportation is located on the floor of the hoistway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thereby changing the blocker from the blocking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단장치는 크게 차량의 바퀴를 가로막는 차단대(B2)가 배열된 베이스(B)와, 차단대(B2)의 회동축(11)과 연결된 모터(M), 그리고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주차설비의 운송수단이 승강로의 해당층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확인될 때에만 모터(M)를 구동시켜 차단대(B2)를 차단위치에서 개방위치로 가변시켜 차량(A)의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부(C)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A, th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B on which a block B2 largely intercepts a wheel of a vehicle, and a motor M connected to a pivot shaft 11 of the block B2. And the motor (M) is driven only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vehicle transportation means is located on the floor of the hoistway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It consists of the control part C which enables progress of A).

먼저 도 2a에서 베이스(B)는 전체적으로 과속방지턱과 유사한 형태로 되어 있는데, 도시된 베이스(B)는 차량, 특히 자동차의 바퀴 하나가 지나갈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으며, 도 3a의 주차설비 주차공간(37)에 설치되는 두 베이스는 일반적인 자동차(A)의 두 앞바퀴 사이의 간격에 맞게 배열될 것이다. 각 베이스(B)의 차단대(B2) 회동축(11)은 두 모터(M)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으나, 두 베이스의 회동축(11)을 연결하는 차축을 통하여 한 모터의 동력을 두 베이스에 동시에 전달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in FIG. 2A, the base B is generally shaped like a speed bump, and the base B is shown to have a size through which a wheel of a vehicle, in particular, a vehicle can pass, and the parking facility parking space of FIG. 3A ( The two bases installed at 37 will be arranged to fit the gap between the two front wheels of a typical automobile (A). The rotation shaft 11 of the base B2 of each base B may be driven by two motors M, but the power of one motor is driven by the two shafts connecting the rotation shafts 11 of the two bases. It is desirable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delivered to at the same time.

베이스(B)의 고정부(B1)는 두 고정판(17a)(17b) 사이에 하나 이상의진입부(In)측 갈비살(19)과 진출부(Out)측 갈비살(21)이 배열되어 있다. 갈비살(19)(21)의 형상은 고정판(17a)(17b)을 절반으로 자른 형태이고, 갈비살(19)(21)의 양단은 고정봉(23a,23b,23c)에 의하여 고정판(17a)(17b)과 연결·고정되어 있다. 중앙의 고정봉(23c)은 보다 확고한 고정을 위하여 상하로 두 개가 구비되어 있는데, 중앙 고정봉(23c)에 의하여 두 갈비살(19)(21)은 일정 부분(L, 도 2a의 (가) 참조) 겹쳐져 엇갈린 상태로 관통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갈비살들(19)(21)은 폭이 좁은 부분이 상부를 향하고 있어서 소형·경량화된 고정부(B1)를 통해서도 보다 높은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In the fixing portion B1 of the base B, one or more ribs 19 on the inlet side and ribs 21 on the outlet side are arranged between the two fixing plates 17a and 17b. The ribs 19 and 21 have a shape in which the fixing plates 17a and 17b are cut in half, and both ends of the ribs 19 and 21 are fixed to the fixing plate 17a by the fixing rods 23a, 23b and 23c. It is connected and fixed to 17b). Central fixing rod 23c is provided with two up and down for a more secure fixing, two ribs 19, 21 by the central fixing rod 23c is a certain portion (L, see (a) of Figure 2a). ) It is fixed through and staggered. Since the ribs 19 and 21 have a narrow portion facing upward, the ribs 19 and 21 can support a higher load even through the small and light-weighted fixing portion B1.

한편 차단대(B2)는 고정부(B1)의 고정판(17a)(17b), 특히 중앙 고정봉(23c) 부근에 고정된 회동축(11)과, 이 회동축(11)과 가로봉(13)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세로봉(15)으로 이루어져 있다. 필요에 따라 고정판(17a)(17b) 및 진입부측 갈비살(19)과 회동축(11) 접촉부분에는 회동축의 부드러운 회전을 위하여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lock B2 includes a rotation shaft 11 fixed near the fixing plates 17a and 17b of the fixing portion B1, particularly near the center fixing rod 23c, and the rotation shaft 11 and the horizontal rod 13. Consists of one or more longitudinal rods 15 to connect the. If necessary, bearings may be provided on the fixing plates 17a and 17b and the contact portion side ribs 19 and the pivot shaft 11 for smooth rotation of the pivot shaft.

차단대(B2)의 차단 및 개방 상태의 위치 제한은 모터(M)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으나, 특히 차단위치에 있는 차단대(B2)가 급발진하는 차량의 힘까지 지탱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고려하였을 때에는 모터(M)만으로 차단대(B2)의 위치를 제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The restriction of the position of the blocking and opening state of the blocking block B2 may also be achieved by the motor M, but especially considering that the blocking block B2 in the blocking position should be able to support the force of the vehicle which is suddenly started. It is not preferable to limit the position of the block B2 only by (M).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대로 차단대(B2)의 위치제한을 진출부(Out)측 갈비살을 통하여 구성하였다. 즉 고정부(B1)의 진출부측 갈비살(21) 양단 중 차단대측 선단(21a)은 차단위치에 있는 차단대(B2)의 세로봉(15)과 밀착되어 있어서차단대(B2)가 진출부측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지지하고 있는 것이다(도 2a 및 도 2b (나) 참조). 이를 위하여 회동축(11)에 고정된 세로봉(15)은 진출부측 갈비살(21)의 길이방향과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며, 그 두께는 서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position limit of the blocking block (B2) was configured through the rib portion (Out) side. That is, the front end 21a of the blocking stand side of the front rib side ribs 21 of the fixing part B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vertical rod 15 of the blocking stand B2 in the blocking position, so that the blocking stand B2 is moved toward the exit part side. It is supported so as not to fall (refer to FIG. 2A and FIG. 2B (b)). To this end, the longitudinal rods 15 fixed to the pivot shaft 11 are positioned on the same straight line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bs 21 on the exit side, and the thicknesses thereof preferably coincide with each other.

아울러 도 2b는 베이스(B)에서 고정판(17a)을 제거한 상태로 나타낸 측면도로서, 차단대(B2)가 개방위치에 있는 (가) 및 차단위치에 있는 (나)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B1)의 진입부측 갈비살(19)에는 개방위치에 있는 차단대(B2)의 가로봉(13)이 수납될 수 있는 수용홈(19a)이 형성되어 있어, 진입부측 갈비살(19) 위로 개방위치에 있는 차단대(B2)가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개방상태의 베이스(B)를 넘어가는 차량이 덜컹대지 않고 지나가도록 한다.In addition, Figure 2b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late (17a) is removed from the base (B), as can be seen in (a) and (b) in the blocking position (B2) in the open position, The rib part 19 of the entrance part side of the fixing part B1 is provided with the receiving groove 19a which can accommodate the horizontal bar 13 of the block B2 in an open position, and it opens over the rib part 19 of the entrance part side. Block B2 in the position is prevented from protruding. Therefore, the vehicle passing the open base (B) is allowed to pass without any rattling.

또 도 2b의 (다)에 도시된 베이스에서 진입부측 갈비살(19)에는 차량 바퀴(A1)의 일정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요입홈(19b)이 형성되어 있어서, 차량의 정차위치를 제한하여 차단 및 개방 위치로 상호 회동 가변되는 차단대(B2)가 차량 바퀴(A1)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base shown in (c) of FIG. 2B, the entry rib side ribs 19 are formed with a recessed groove 19b for accommodating a portion of the vehicle wheel A1, thereby limiting and stopping the vehicle. And the block B2 which is mutually variable in the open position so as not to be disturbed by the vehicle wheel A1.

또 차단대(B2)의 회동시 차량 바퀴에 차단대가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은 도 2b (가)에서 진입부(In)를 진출부로 활용하는 방식으로도 가능하다. 즉 차량 바퀴가 주차시 갈비살 21에 위치하고 있고 차단대(B2)가 세워져 차단위치로 가변되고, 차량이 주차시설을 빠져나갈 때는 차단대(B2)가 갈비살 19 쪽으로 누워 개방위치로 바뀌는 경우에 차단대(B2)의 회동은 차량 바퀴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급발진하는 차량을 차단대가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하는수단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entrance part In as the exit part in FIG. That is, when the vehicle wheel is located at the ribs 21 when parked and the blocking block (B2) is erected to change to the blocking position, and when the vehicle exits the parking facility, the blocking block (B2) lies toward the ribs 19 and changes to the open position. The rotation of B2 can be made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vehicle wheels.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means for the block to sufficiently support the suddenly starting vehicle.

다음으로 모터(M)의 정역회전, 전원의 온/오프 뿐 아니라 운송수단(33, 도 3a 참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C)는 도 4에 블록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운송수단(33) 작동부, 운송수단(33)이 어느 층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센서의 신호에 따라 감지하는 운송수단 위치감지부, 광센서나 압력센서 등의 센서에 의하여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차량위치 감지부, 모터(M) 구동부, 각 센서에 의한 감지신호와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적절한 명령을 내리는 메모리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Next, the controller C for controlling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M, the on / off of the power source, as well as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33 (see FIG. 3A), is illustrated in the block diagram of FIG. A vehicle posi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by a sensor such as an operation unit, a vehicle posi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ich floor the vehicle 33 is located according to a signal of a sensor, an optical sensor or a pressure sensor, The motor (M) drive unit, and a memory unit for giving an appropriate command by comparing the sensed signal by each sensor and the stored reference value.

도 2a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B) 차단대(B2)의 회동축(11)과 모터(M) 사이에는 비상시에 사용되는 클러치(CL)가 개재되어 있어, 제어부(C) 또는 모터(M)의 고장시 클러치(CL)를 작동시켜 모터(M)와 회동축(11)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클러치(CL)의 동작은 수동레버의 조작으로 모터(M)와 회동축(11) 연결을 끊을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자동 연결 해제수단을 착안하였다.As shown schematically in FIG. 2A, a clutch CL used in an emergency is interposed between the rotation shaft 11 of the base B block B2 and the motor M, thereby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C. Alternatively, when the motor M fails, the clutch CL is operated to release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tor M and the rotational shaft 11. The operation of the clutch CL may disconnect the motor M and the rotational shaft 11 by the operation of the manual lever,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disconnection means has been conceived.

즉 도 2a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모터(M)와 차단대(B2)의 회동축(11)을 연결하고 있는 클러치(CL)는(S1), 센서에 의하여 상기 모터(M) 또는 제어부(C) 모터구동부의 고장신호가 감지되고(S2), 운송수단(33)이 해당층에 위치하고(S3) 베이스(B)의 진입부측에 차량(A)이 위치하고 있는 것(S4)이 감지되면, 상기 클러치(CL)는 제어부(C)의 클러치 작동부(도 4 참조)의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해제(S5)되도록 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2A and 5, the clutch CL, which normally connects the motor M and the rotation shaft 11 of the block B2 (S1), is the motor M by a sensor. Alternatively, the failure signal of the control unit (C) motor drive unit is detected (S2), the vehicle 33 is located on the floor (S3) and the vehicle (A) is located on the entry side of the base (B) (S4) When the clutch CL is detected, the clutch CL is automatically released (S5)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lutch operating part (see FIG. 4) of the controller C.

또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단장치는 차량(A)의 주차상황을 안내하도록 제어부(C)의 디스플레이부(도 4 참조)에 의하여 제어되는 표시판(D)을 더 구비하고 있어서, 표시판(D)을 통하여 운송수단(33)의 현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확대된 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대(B2)가 주차된 차량(A)의 바퀴(A1)와 밀착된 형태인 경우에는 운송수단(33)이 주차된 차량(A)과 같은 층에 위치하는 것과 차량(A)이 베이스(B)에 위치하는 것이 감지되면 표시판(D)을 통하여 운전자에게 "후진하시오"(도 3a)라는 안내문구를 표시하고, 차량(A)이 후진하여 차량이 베이스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를 확인하면 차단대가 개방위치로 바뀌고 출입문(35)이 열리게 되며, 이어서 "출발하시오"라는 안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서 역시 참조부호 31은 승강로, 37은 주차공간을 나타낸다.3A and 3B, th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isplay panel D controlled by the display unit (see FIG. 4) of the controller C to guide the parking situation of the vehicle A. FIG. In additi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33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panel (D). As shown in the enlarged circle, when the block B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heel A1 of the parked vehicle A, the vehicle 33 is located on the same floor as the parked vehicle A. If it is detected that the vehicle A is located at the base B, the display board D displays a prompt "Reverse" (FIG. 3A) to the driver, and the vehicle A moves backward so that the vehicle is driven to the base. Checking the status that is not located in the barrier block is changed to the open position, the door 35 is opened, and can then display the "Please start" guidance. 3A and 3B, reference numeral 31 denotes a hoistway, and 37 denotes a parking space.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차단장치는 차량(A)이 주차시설의 해당층에 주차되면, 우선 운송수단(33)이 차량이 주차된 층에서 벗어남에 따라 차단장치의 제어부(C)에서 센서의 신호를 감지하고, 모터(M)를 구동시켜 베이스(B) 차단대(B2)의 회동축(11)을 회동시켜서 차단대(B2)를 개방위치에서 차단위치로 가변시킨다. 다음으로 센서가 차단대(B2)의 '차단'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C)의 정지회로가 작동되어 모터(M)를 정지시킨다.When the vehicle A is parked on the floor of the parking facility, the vehicl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ransmits a signal of the sensor from the control unit C of the blocking device as the vehicle 33 leaves the floor where the vehicle is parked. After detecting and driving the motor M, the rotation shaft 11 of the base B block B2 is rotated to change the block B2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ut position. Next, the sensor senses the 'blocking' position of the block B2 and the stop circuit of the controller C is operated to stop the motor M.

상기 순서로 동작되어 차단대(B2)가 '차단'위치에 있다가, 차량(A)이 주차시설을 빠져나가게 될 때에는 먼저 운송수단(33)이 해당층으로 이동하고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C)의 제어에 따라 차단대(B2)가 '차단'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또 앞서 설명한 클러치(CL)에 의해서도 차단대가 '차단'에서 '개방'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차단대(B2)의 높이는 12cm 내지 15cm 정도이면 차량, 특히 자동차의 진행을 방해하는 장애물로서의 효과가 탁월하다.When the block B2 is in the 'blocking' position by being operated in the above order, and the vehicle A exits the parking facility, the vehicle 33 first moves to the corresponding floor, and the sensor detects this and the controller Under the control of (C), the block B2 moves from the "blocking"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In addition, the clutch can be moved from the "blocking" to the "open" position by the clutch CL described above. If the height of the block B2 is about 12 cm to 15 cm, the effect as an obstacle that obstructs the progress of the vehicle, in particular the vehicle is excellen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의 승강로 출입구 차량 차단장치는 모터에 의하여 회동되는 차단대, 자동제어를 위한 각종 센서를 비롯한 제어부, 클러치를 통하여 각종 주차 시설, 특히 주차설비를 구비한 주차설비에 설치되어 작동 신뢰성과 내구성을 갖는 차단장치를 통하여 인명보호(차량의 추락 또는 충돌을 방지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인명피해를 사전에 예방)효과를 얻을 수 있고, 경제적으로는 차량 추락시 발생할 수 있는 주차설비 장치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고 긴급구난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손실을 억제할 수 있으며 차량 파손 방지와 인명보호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oorway vehicle blocking device of the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rking lot rotated by a motor, a controller including various sensors for automatic control, and parking using various parking facilities, particularly parking facilities, through a clutch.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life protection (prevention of personal injury that can occur by preventing the fall or crash of the vehicle) through the blocking device installed in the facility and having the reliable operation and durability. The damage of the parking equipment can be suppressed, and the loss caused by the emergency rescue can be suppressed, and the benefits can be obtained from preventing vehicle damage and protecting peopl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컨버터 쉘의 제조방법은 통상의 공지된 기술, 특히 제어부에 의한 운송수단 및 차량 위치 감지, 모터의 동작제어, 클러치의 작동 등과 관련된 통상의 기술은 생략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이를 당연히 추측·추론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verter shell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omitted from the conventional known techniques, 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techniques related to the vehicle and vehicle position detection by the control unit,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motor, the operation of the clutch, etc. Can infer and infer.

Claims (9)

고정부(B1)에 고정된 회동축(11)과, 이 회동축(11)과 가로봉(13)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세로봉(15)으로 이루어진 차단대(B2)를 포함하고 있는 베이스(B);Base B comprising a rotating shaft 11 fixed to the fixing portion B1, and a block B2 consisting of at least one vertical rod 15 connecting the rotating shaft 11 and the horizontal rod 13 to each other. ); 상기 베이스(B) 차단대(B2)의 회동축(11)을 회동시키는 모터(M); 및A motor (M) for rotating the rotation shaft (11) of the base (B) blocking table (B2); And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주차설비의 운송수단(33)이 승강로(31)의 해당층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확인될 때에만 모터(M)를 구동시켜 차단대(B2)를 차단위치에서 개방위치로 가변시켜 차량(A)의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주차설비의 승강로 출입구 차량 차단장치.Only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vehicle 33 of the parking facility is located on the floor of the hoistway 31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the motor B is driven to change the block B2 from the blocking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Lifting door entrance vehicle blocking device of the parking facility comprising a control unit (C) to enable the progress of the vehicle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베이스(B) 차단대(B2)의 회동축(11)과 모터(M) 사이에는 클러치(CL)가 개재되어 있어, 제어부(C) 또는 모터(M)의 고장시 클러치(CL)를 작동시켜 모터(M)와 회동축(11)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의 승강로 출입구 차량 차단장치.The clutch CL is interposed between the rotation shaft 11 of the base B block B2 and the motor M to operate the clutch CL when the control unit C or the motor M fails. Lifting door entrance vehicle blocking device of the park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o release the connection of the motor (M) and the rotating shaft (11).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센서에 의하여 상기 제어부(C) 또는 모터(M)의 고장신호가 감지되고, 운송수단(33)이 해당층에 위치하고 베이스(B)의 진입부측에 차량(A)이 위치하고 있는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C)의 클러치 작동부의 신호에 따라 모터(M)와 회동축(11)의연결은 해제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의 승강로 출입구 차량 차단장치.If a failure signal of the controller C or the motor M is detected by a sensor, and if the vehicle 33 is located on the floor and the vehicle A is located on the entry side of the base B, the controller The doorway vehicle blocking device of the park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of the motor (M) and the rotating shaft (11)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lutch operating portion of (C) is released.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베이스(B)의 고정부(B1)는 두 고정판(17a)(17b) 사이에 하나 이상의 진입부측 갈비살(19)과 하나 이상의 진출부측 갈비살(21) 양단이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봉(23a,23b,23c)에 의하여 배열·고정되어 있는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의 승강로 출입구 차량 차단장치.The fixing portion (B1) of the base (B) is a fixed rod (23a, both ends of one or more entry side ribs 19 and one or more entrance side ribs 21 between the two holding plate (17a) (17b)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 elevator doorway vehicle shut-off device for a park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and fixed by 23b and 23c.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갈비살들(19)(21)은 폭이 좁은 부분이 상부를 향하고 있어서 보다 높은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의 승강로 출입구 차량 차단장치.The ribs (19) (21) is a narrow door facing the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entrance vehicle blocking device of the park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o support a higher load.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고정부(B1)의 진출부측 갈비살(21) 양단 중 차단대측 선단(21a)은 차단위치에 있는 차단대(B2)의 세로봉(15)과 밀착되어 있어서 차단대(B2)가 진출부측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의 승강로 출입구 차량 차단장치.The front end 21a of the blocking stand side of the front rib side ribs 21 of the fixing part B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vertical rod 15 of the blocking stand B2 in the blocking position, so that the blocking stand B2 is moved toward the exit part side. Elevator doorway vehicle blocking device for parking facilitie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does not fall.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고정부(B1)의 진입부측 갈비살(19)에는 개방위치에 있는 차단대(B2)의 가로봉(13)이 수납될 수 있는 수용홈(19a)이 형성되어 있어, 진입부측 갈비살(19) 위로 개방위치에 있는 차단대(B2)가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의 승강로 출입구 차량 차단장치.In the entry portion side ribs 19 of the fixing portion (B1)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19a) that can accommodate the horizontal bar 13 of the block B2 in the open position, above the entry portion side ribs (19) The doorway vehicle blocking device of the park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ck (B2) in the open position does not protrud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고정부(B1)의 진입부측 갈비살(19)에는 차량(A) 바퀴(A1)의 일정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요입홈(19b)이 형성되어 있어, 차량(A)의 주차위치를 제한하여 차단 및 개방 위치로 회동되는 차단대(B2)가 차량 바퀴(A1)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의 승강로 출입구 차량 차단장치.In the rib portion 19 of the entrance portion side of the fixing portion (B1) is formed a recessed groove (19b) for accommodating a portion of the wheel (A) of the vehicle (A), thereby limiting the parking position of the vehicle (A) Lifting door entrance vehicle blocking device of the park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ck (B2) rotated to the blocking and opening position is not disturbed by the vehicle wheel (A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장치는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blocking device is 차량(A)의 주차상황을 안내하도록 제어부(C)의 디스플레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표시판(D)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의 승강로 출입구 차량 차단장치.And a display panel (D) controlled by the display unit of the controller (C) to guide the parking situation of the vehicle (A).
KR1020030043878A 2002-07-05 2003-06-30 Gate blocking apparatus for car-lift entrance KR10056207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9071 2002-07-05
KR1020020039071 2002-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096A true KR20040004096A (en) 2004-01-13
KR100562078B1 KR100562078B1 (en) 2006-03-22

Family

ID=37314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3878A KR100562078B1 (en) 2002-07-05 2003-06-30 Gate blocking apparatus for car-lift entr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07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619B1 (en) * 2016-07-08 2017-01-06 동양메닉스 주식회사 Safety apparatus of machanical parking facility
CN108178053A (en) * 2018-02-06 2018-06-19 杭州西奥电梯有限公司 A kind of hall door anti-collision system of car elevator
KR101976326B1 (en) * 2018-07-09 2019-05-07 이권이 Blocking device and safty device of parking system using this
KR102293830B1 (en) * 2020-12-08 2021-08-25 한국교통안전공단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 of vehicle of mechanical parking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619B1 (en) * 2016-07-08 2017-01-06 동양메닉스 주식회사 Safety apparatus of machanical parking facility
CN108178053A (en) * 2018-02-06 2018-06-19 杭州西奥电梯有限公司 A kind of hall door anti-collision system of car elevator
KR101976326B1 (en) * 2018-07-09 2019-05-07 이권이 Blocking device and safty device of parking system using this
KR102293830B1 (en) * 2020-12-08 2021-08-25 한국교통안전공단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 of vehicle of mechanical parking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2078B1 (en) 200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1008B2 (en) Elevator device and hoistway monitoring device retrofit method
EP3322660B1 (en) Elevator control system
CN107337063A (en) Self-propelled elevator and elevator brake system
JP4633479B2 (en) Passenger conveyor
JP2017095281A (en) Method of controlling movement of elevator car, and elevator system
US8167093B2 (en) Power ramp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562078B1 (en) Gate blocking apparatus for car-lift entrance
JP5046530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2004197354A (en)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in parking device
JP7105566B2 (en) parking device
KR100718466B1 (en) Door locking apparatus for electric trai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H03183887A (en) Door for input and output
JP5641328B2 (en) Elevating type multilevel parking system
JP5198755B2 (en)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KR200312073Y1 (en) Gate blocking apparatus for car-lift entrance
JP2001002340A (en) Brake releasing device for elevator
KR100528957B1 (en) Control circuit for elevator
JP3739938B2 (en) Elevator car stop device for automobile
JP2544260B2 (en) Automatic step safety device for automobiles
JP3336247B2 (en) Passenger conveyor control device
JP3779143B2 (en) Mobile bleachers
KR100259501B1 (en) Pallet sensing apparatus for parking system
JPH0313499Y2 (en)
JPS645001Y2 (en)
JPH0327178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