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0863A -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지는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지 - Google Patents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지는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0863A
KR20040000863A KR1020020035858A KR20020035858A KR20040000863A KR 20040000863 A KR20040000863 A KR 20040000863A KR 1020020035858 A KR1020020035858 A KR 1020020035858A KR 20020035858 A KR20020035858 A KR 20020035858A KR 20040000863 A KR20040000863 A KR 20040000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paper
woven
shielding
electromagnetic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홍
Original Assignee
김기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홍 filed Critical 김기홍
Priority to KR1020020035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0863A/ko
Publication of KR20040000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0863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5Met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93Stiff materials, e.g. cane or sla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9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electro-conductive fibres, e.g. metal fibres, carbon fibres, metallised textile fibres, electro-conductive mesh, woven, non-woven mat, fleece, cross-link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사로 제직되어 전자파 차폐성이 뛰어나면서도 직물지의 견뢰도와 터치성 및 염색성을 포함한 후가공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는 전자파 차폐 직물지를 제공하여,
각종 산업현장의 작업복으로 사용하거나 의료용 의류, 카페트, 전기장판, 커텐, 휴대용전화기등과 같이 전자파의 우려가 있는 곳에 적용하여 유해전자파가 인체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지는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지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전자제품으로 부터 나오는 유해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는 전자파 차폐직물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일반직인 원사를 경사(30)와 위사(31)로 공급하여 직물지(32)를 제직하는 과정에;
상기 경사(30)와 위사(31)의 적정간격에 스테인레스사(35)를 배치하여 제직된 직물지(32)에 스테인레스사(35)에 의하여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차폐격자(36)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차폐네트워크(37)를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지는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지{Manufacturing method of cloth having electron wave interception function}
본 발명은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지는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인레스사를 제직되는 직물의 경사와 위사로 교차되도록 함으로서 전자파의 차폐성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전자파란 텔레비젼이나 전자렌지와 같은 가전제품이나 컴퓨터, 통신기기, 레이더, 로보트 등과 같은 각종 산업용 장비 및 개인이 상시 휴대하고 다니는 휴대폰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종류의 전기 및 전자제품에서 나오는 불필요한 전파를 통칭한다.
이러한 전자파는 유해성이 강하다는 논란과 더불어 인체에 상당한 유해성을 준다는 보고와 논문등의 지적으로 인하여 이를 차단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의류로 사용되는 직물지에도 이를 적용하여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지는 직물지로 제직된 의류를 착용함으로서 유해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상당한 발전를 가져온 실정이다.
종래에도 이러한 유해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직물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를 도 5를 통하여 살펴보면;
통상적인 직물지 제직에 사용되는 위사(1)와 경사(2)에 일정간격으로 도전성 이 우수한 구리나 알미늄재질로 이루어진 박판(3)을 배치하여 제직된 직물지(4)에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정사각형상의 격자(5)를 가지도록 함으로서 상기 격자(5)에 의하여 전자파가 차단(차폐)될 수 있도록 하고있다.
이외에는 위사 및 경사에 금속입자를 증착내지 피복시켜 제직하는 등 여러방법으로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지는 직물지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제직된 직물지를 전자파에 노출시켜 실험한 결과 도 6에서와 같이 전자파가 차폐되지 않음을 그래프를 통하여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는, 신호발생기에 일정주파수의 전자파를 발생시키고, 이 전자파를 시편(제직된 직물지의 일정크기)을 통과시켜 시편을 투과하여 나오는 전자파의 강도를 측정하여 얻게된다.
이것을 초기입사강도와 투과강도의 비율로 시편의 차폐성을 평가하는 것으로서 입사강도에 대한 투과강도의 비율로 로그를 취하고 10을 곱한 값으로 계산하여 차폐율(Decibel=db)로 표현하여 나타내는 통상적인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에서는 직물지 제직을 위한 원사나 제직된 직물지에 직접 도전성 금속입자를 용액상 처리 또는 증착시켜 완성하는 경우에는, 가공기술력에 의하여 전자파의 차폐효과가 달라지게 되므로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단점을 가진다.
특히, 정교한 기술력을 가지지 못한 경우에는 금속입자들을 원사나 직물지의고분자 내부의 무정형 영역에 침투하지 못하고 원사와 직물지의 표면에 집합체 형태로 존재하게 되므로 전자파 차폐효과가 거의 없게되는 것이다.
또한 도전성 금속이 직물지 표면에 처리됨으로서 직물지의 마찰 견뢰도 및 세탁 견뢰도가 현저하게 저하되어 직물지의 품질이 저하되는 또 다른 문제점을 가지게 되고, 탈리된 금속입자에 의한 2차오염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점들을 가진다.
그리고, 금속박판을 이용할 경우에는 제직과정에서 원사와는 다른 형태를 가짐으로 인하여 전단되는 경우가 많아 제직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제직 후에는 터치성과 염색성이 좋지않아 직물지 전체의 품질이 균일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환경오염의 문제와 더불어 제직된 직물지의 마찰 견뢰도와 세탁 견뢰도의 저하 및 염색성 및 후가공성이 저하되어 사용에 상당한 제약이 따르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인체에 무해한 스테인레스사를 이용하여 일반원사를 이용한 직물지 제조시 경사 및 위사로 적용하여 제직함으로서 탁월한 전자파 차폐효과를 얻는 것은 물론, 제직된 직물의 물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함으로서 환경친화적인 전자파 차폐직물지를 제공하고 직물지의 염색성과 터치성 및 후 가공성을 향상시켜 생산성과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로 제직된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지는 직물지의 1실시예를 도시한 일부생략 상태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로 제직된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지는 직물지의 2실시예를 도시한 일부생략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로 제직된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지는 직물지의 3실시예를 도시한 일부생략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로 제직된 직물지로 측정한 전자파 차폐율을 도시한 그래프도.
도 5는 종래 기술로 제직된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지는 직물지를 도시한 일부생략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종래 기술로 제직된 직물지로 측정한 전자파 차폐율을 도시한 그래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2; 직물지
35; 스테인레스사
36; 차폐격자
37; 차폐네트워크
40; 박판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인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지는 직물지의 바람직한 제조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로 제직된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지는 직물지의 1실시예를 도시한 일부생략 상태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로 제직된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지는 직물지의 2실시예를 도시한 일부생략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로 제직된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지는 직물지의 3실시예를 도시한 일부생략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로 제직된 직물지로 측정한 전자파 차폐율을 도시한 그래프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우수한 도전성을 가지면서도 인체에 무해한 특성을 가지며 제직 후 탁월한 터치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과 염색을 포함한 후처리의 용이성을 가지면서 생산원가 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스테인레스사를 이용하여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지는 직물지를 제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일반직인 원사를 경사(30)와 위사(31)로 공급하여 직물지(32)를 제직하게 되는데, 상기 경사(30)와 위사(31)의 적정 간격에 스테인레스사(35)를 배치하여 직물지(32)를 제직하여 스테인레스사(35)에 의하여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차폐격자(36)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차폐네트워크(37)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차폐격자(36)의 크기는 통상적인 실험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1㎠∼10㎠이내의 것이 바람직 하며, 차폐격자(36)를 1㎠보다 작게 형성할 경우에는 전자파의 차폐효율은 높아질 수 있으나 직물지(32)의 중량문제로 인한 사용성이 저하되고, 차폐격자(36)를 10㎠보다 크게 할 경우에는 실질적인 전자파의 차폐효율이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는, 차폐격자(36)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테인레스사(35)는 경사로 사용하고 위사는 구리나 알미늄재질의 박판(40)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는 차폐격자(36)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테인레스사(35)는 위사로 사용하고 경사는 구리나 알미늄재질의 박판(40)을 사용하여 스테인레스사(35)와 박판(40)을 혼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직된 직물지(32)의 시편을 채취하여,
신호발생기에 일정주파수의 전자파를 발생시키고, 이 전자파를 시편(제직된 직물지의 일정크기)을 통과시켜 시편을 투과하여 나오는 전자파의 강도를 측정하여 얻어, 이것을 초기입사강도와 투과강도의 비율로 시편의 차폐성을 평가하는 것으로서 입사강도에 대한 투과강도의 비율로 로그를 취하고 10을 곱한 값으로 계산하여 차폐율(Decibel=db)로 표현하여 나타내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테스트한 결과 도 4에서와 같은 결과의 그래프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직된 직물지(32)는 전 파장 영역에 대하여 균일하게 30∼40db정도의 우수한 차폐효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어 종래기술과 같이 박판으로 만 제직된 직물지 보다 한층 뛰어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스테인레스사로 제직된 본 발명의 전자파 차폐 직물지는 전자파 차폐성이 뛰어나면서도 직물지의 견뢰도와 터치성 및 염색성을 포함한 후가공성이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직물지는 각종 산업현장의 작업복으로 사용하거나 의료용 의류, 카페트, 전기장판, 커텐, 벽지, 휴대용전화기 등과 같이 전자파의 우려가 있는 곳에 적용하여 유해전자파가 인체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각종 전자제품으로 부터 나오는 유해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는 전자파 차폐직물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일반직인 원사를 경사(30)와 위사(31)로 공급하여 직물지(32)를 제직하는 과정에;
    상기 경사(30)와 위사(31)의 적정간격에 스테인레스사(35)를 배치하여 제직된 직물지(32)에 스테인레스사(35)에 의하여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차폐격자(36)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차폐네트워크(37)를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지는 직물지의 제조방법.
  2. 일반직인 원사를 경사(30)와 위사(31)로 공급하여 직물지(32)를 제직하는 과정에 경사(30)와 위사(31)의 적정간격으로 스테인레스사(35)를 배치하여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차폐격자(36)가 연속적으로 배열된 차폐네트워크(37)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지는 직물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격자(36)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테인레스사(35)는 경사로 사용하고, 위사는 구리나 알미늄재질의 박판(40)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지는 직물지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격자(36)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테인레스사(35)는 위사로 사용하고, 경사는 구리나 알미늄재질의 박판(40)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지는 직물지의 제조방법.
KR1020020035858A 2002-06-26 2002-06-26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지는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지 KR200400008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858A KR20040000863A (ko) 2002-06-26 2002-06-26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지는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858A KR20040000863A (ko) 2002-06-26 2002-06-26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지는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863A true KR20040000863A (ko) 2004-01-07

Family

ID=37312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858A KR20040000863A (ko) 2002-06-26 2002-06-26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지는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08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332B1 (ko) * 2011-03-24 2011-05-20 수원시 제수밸브용 가변디스크 및 그의 설치공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73U (ko) * 1974-06-25 1976-01-05
JPS5319077U (ko) * 1976-07-13 1978-02-18
JPS5396900U (ko) * 1977-01-08 1978-08-07
JPH04316634A (ja) * 1991-04-09 1992-11-09 Kyoto Seni Kiki Kk ジャカード織物
KR930025663U (ko) * 1992-05-28 1993-12-20 최헌 직조물
JPH09250049A (ja) * 1996-03-11 1997-09-22 Wakita Nenshi Kk 織 布
KR100310335B1 (ko) * 1998-10-15 2001-12-17 박재익 전자파차폐용직물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73U (ko) * 1974-06-25 1976-01-05
JPS5319077U (ko) * 1976-07-13 1978-02-18
JPS5396900U (ko) * 1977-01-08 1978-08-07
JPH04316634A (ja) * 1991-04-09 1992-11-09 Kyoto Seni Kiki Kk ジャカード織物
KR930025663U (ko) * 1992-05-28 1993-12-20 최헌 직조물
JPH09250049A (ja) * 1996-03-11 1997-09-22 Wakita Nenshi Kk 織 布
KR100310335B1 (ko) * 1998-10-15 2001-12-17 박재익 전자파차폐용직물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332B1 (ko) * 2011-03-24 2011-05-20 수원시 제수밸브용 가변디스크 및 그의 설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s et al. Effect of various parameters on electromagnetic shielding effectiveness of textile fabrics
Ceken et al. Electromagnetic shielding properties of plain knitted fabrics containing conductive yarns
Ortlek et al. Electromagnetic shielding characteristics of woven fabrics made of hybrid yarns containing metal wire
Cheng et al. Electromagnetic shielding effectiveness of stainless steel/polyester woven fabrics
Šafářová et al. Multifunctional metal composite textile shields against electromagnetic radiation—effect of various parameters on electromagnetic shielding effectiveness
Rubežienė et al. Development and investigation of electromagnetic shielding fabrics with different electrically conductive additives
Sancak et al. The effects of fabric and conductive wire properties on electromagnetic shielding effectiveness and surface resistivity of interlock knitted fabrics
Tunakova et al. Laser surface modification of electrically conductive fabrics: Material performance improvement and design effects
KR20040000863A (ko)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지는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지
Palanisamy et al. Study on textile comfort properties of polypropylene blended stainless steel woven fabric for the application of electromagnetic shielding effectiveness
Huang et al. Morphology and properties of nanoscale copper films deposited on polyester substrates
El-Zeer et al.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filamentary and glow modes of DBD plasma in the treatment of wool fibers
Liu et al. Surface processing of polyester canvas using atmospheric pressure air glow discharge plasma
Yesildag et al. A research on the use of copper core yarns in electromagnetic shielding application
Šaravanja et al. Impact of Dry and Wet Cleaning on Structural, Mechanical and Protective Properties of Fabrics Designed for Electromagnetic Shield Application
El-Naggar et al. Surface improvement of cotton/polyester blend textile using DC air glow discharge plasma
Flor et al. Surface modification of polyester fabrics using low pressure air radio frequency plasma
Ozen et al. Investigation of electromagnetic shielding effectiveness of needle punched nonwoven fabrics with staple polypropylene and carbon fibres
Telipan et al. Electromagnetic shielding characterization of several conductive textiles
KR20000037093A (ko) 직물 표면의 도금형성방법
Šaravanja et al. Textile Materials As Barriers Against Electromagnetic Radiation
Jiyong et al. Influence of woven fabric specification and yarn constitutions on the dielectric properties at ultrahigh frequency
Baltag et al. Experimental research on textile and non-textile materials with applications to ensure electromagnetic and bio-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Šaravanja et al. The impact of dry and wet cleaning on fabric electromagnetic field shield effect
Sabri Özen Investigation of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Effectiveness of Carded and Needle Bonded Nonwoven Fabrics Produced at Different Ratios with Conductive Steel Fib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