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0039A - 전력선을 이용한 화상 감시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선을 이용한 화상 감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0039A
KR20040000039A KR1020020034413A KR20020034413A KR20040000039A KR 20040000039 A KR20040000039 A KR 20040000039A KR 1020020034413 A KR1020020034413 A KR 1020020034413A KR 20020034413 A KR20020034413 A KR 20020034413A KR 20040000039 A KR20040000039 A KR 20040000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amera
unit
power
pow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준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4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0039A/ko
Publication of KR20040000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003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 B60N2/4221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due to impact coming from the fro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72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characterised by the triggering system
    • B60N2/42781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characterised by the triggering system mechanical triggering

Abstract

전력선을 이용한 화상 감시시스템이 개시된다. 감시카메라는 전력선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정류하여 각 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며, 전력선을 통해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카메라 제어신호를 추출하여 촬상부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장치는 전력선을 통해 수신된 영상신호를 표시처리하고, 촬상부를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제어신호를 감시카메라 구동용 전원신호에 합성하여 전력선을 통해 감시카메라로 전송한다. 이에 의해, 별도의 신호선이 필요 없이 하나의 전력선을 통해 감시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 감시카메라 구동시 필요한 전원 및 감시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감시카메라와 제어장치간의 인터페이스가 단순하며 설치가 편리하다.

Description

전력선을 이용한 화상 감시시스템{Image observation system using power line}
본 발명은 전력선을 이용한 화상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시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신호를 모니터를 통해 감시하고, 감시카메라의 촬상방향 및 줌(zoom)등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화상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상 감시시스템은 감시카메라를 감시할 장소에 설치하고 감시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신호를 유/무선을 통해 모니터장치로 전송한다. 감시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전송되는 감시구역내의 영상신호는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된다.
종래의 화상 감시시스템의 경우 감시구역 전체를 감시하기 위해서는 감시구역 내에 복수의 감시카메라를 설치하여 각 감시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확인하여 해당 감시구역의 이상유무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복수의 감시카메라를 설치하는 경우 설치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하나의 감시카메라를 설치하여 카메라의 위치, 줌, 화각 등을 조정하여 감시구역 전체를 감시할 수 있는 화상 감시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이 경우 감시카메라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리모콘 등의 원격 제어장치를 통해 감시카메라를 조정하거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직접 조정해야한다.
그런데, 종래의 화상 감시시스템은 감시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모니터에 공급시 영상신호 전송선이 필요하다. 또한, 모니터로부터 감시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해 전송하는 제어신호 전송선 및 감시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선이 필요하다.
종래의 화상 감시시스템의 경우 영상신호 전송선, 제어신호 전송선 및 전원공급선 등이 개별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화상 감시시스템 설치시 자재비나 인건비 등이 증가하고, 유지보수 및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감시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 감시카메라 구동시 필요한 전원 및 감시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 등을 하나의 전송케이블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화상 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을 이용한 화상 감시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그리고,
도 2는 도 1의 펄스발생부에 대한 일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어장치110 : 리모콘
120 : 입력부130 : 제어부
140 : 펄스발생부150 : 제1인터페이스부
160 : 표시부200 : 감시카메라
210 : 제2인터페이스부220 : 전력추출부
230 : 제어데이터 추출부240 : 카메라 제어부
250 : 촬상부300 : 전력선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감시시스템은, 전력선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정류하여 각 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전력선을 통해 수신된 상기 신호에 포함된 카메라 제어신호를 추출하여 촬상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감시카메라 및 상기 전력선을 통해 수신된 영상신호를 표시처리하고, 상기 촬상부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카메라 제어신호를 상기 감시카메라 구동용 전원신호에 합성하여 상기 전력선을 통해 상기 감시카메라로 전송하는 제어장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카메라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 상기 카메라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펄스상의 전원신호를 생성하는 펄스발생부 및 상기 펄스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펄스상의 전원신호를 상기 전력선을 통해 상기 감시카메라로 전송하는 제1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감시카메라는 상기 전력선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2인터페이스부, 상기 제2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정류하여 각 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추출하는 전력추출부, 상기 제2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카메라 제어신호를 추출하는 제어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제어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된 상기 카메라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촬상부를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2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되어 생성된 영상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감시시스템.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감시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화상 감시시스템은 제어장치(100) 및 감시카메라(200)를 갖는다. 도면에서 제어장치(100)는 전력선(300)을 통해 수신된 영상신호를 표시처리하고, 촬상부(250)를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제어신호를 감시카메라 구동용 전원신호에 합성하여 전력선(300)을 통해 감시카메라(200)로 전송한다.
감시카메라(200)는 전력선(300)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정류하여 각 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감시카메라(200)는 전력선(300)을 통해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카메라 제어신호를 추출하여 촬상부(250)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장치(100)는 리모콘(110), 입력부(120), 제어부(130), 펄스발생부(140), 제1인터페이스부(150) 및 표시부(160)를 갖는다.
리모콘(100)은 무선방식으로 제어장치(100)의 동작을 사용자가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키(미도시)를 구비한다. 리모콘(10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입력신호를 적외선 신호의 형태로 변환하여 입력부(120)로 출력한다.
입력부(120)는 무선방식의 리모콘(110)으로부터 입력신호에 따른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30)에 출력한다.
한편, 입력부(120)는 유선방식에 의해 제어장치(100)의 본체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제어장치(100)의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한 다수의 조작키(미도시)를 구비하여, 다수의 조작키(미도시)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선택신호를 입력받는다.
제어부(130)는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펄스발생부(140), 제1인터페이스부(150) 및 표시부(16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입력부(120)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촬상부(250)를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제어신호(C1)를 발생시킨다. 또한, 제어부(130)는 카메라 제어신호(C1)에 대응되는 펄스상의 전원신호를 생성하도록 펄스발생부(140)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제1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 전력선(300)을 통해 수신된 영상신호를 입력받으면, 영상신호를 표시부(160)에 표시 가능한 형태로 신호 처리하여 표시부(160)로 출력한다.
펄스발생부(140)는 감시카메라(200) 공급용 전원을 제어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카메라 제어신호(C1)에 따라 펄스신호(P1) 형태로 발생시켜 출력한다. 이러한 펄스발생부(140)의 일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펄스발생부(140)는 제어부(130)로부터 촬상부(250)를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제어신호(C1)를 수신하여 카메라 제어신호(C1)에 대응하는 펄스신호(P1)를 생성한다. 여기서, 펄스신호(P1)의 진폭은 감시카메라(200)의 전원용으로 사용하도록 설정된 레벨에 대응된다.
즉, 촬상부(250)를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제어신호(C1)가 5Vpp의 신호라면, 펄스발생부(140)로부터 카메라 제어신호(C1)에 대응되어 발생되는 펄스신호(P1)의 진폭은 감시카메라(20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신호(Vcc)의 레벨 예컨대, 12Vpp로 증폭되어 출력된다.
제1인터페이스부(150)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구성을 갖는다.
제1인터페이스부(150)는 제어부(130)의 카메라 제어신호(C1)에 따라 펄스발생부(140)로부터 생성된 펄스형태의 전원신호를 전력선(300)을 통해 감시카메라(200)로 전송한다.
한편, 제1인터페이스부(150)는 제2인터페이스부(210)로부터 촬상부(250)에 의해 촬상되어 생성된 영상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표시부(160)는 제어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표시부(160)의 예로는 음극선관(CRT) 및 액정디스플레이(LCD)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감시카메라(200)는 제2인터페이스부(210), 전력추출부(220), 제어데이터 추출부(230), 카메라 제어부(240) 및 촬상부(250)를 갖는다.
제2인터페이스부(210)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구성을 갖는다.
제2인터페이스부(210)는 전력선(300)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제2인터페이스부(210)는 카메라 제어부(240)로부터 촬상부(250)에 의해 생성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전력선(300)을 통해 제1인터페이스부(150)로 전송한다.
전력추출부(220)는 전력선(300)을 통해 제2인터페이스부(210)에 수신된 신호를 정류하여 각 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추출한다.
전력추출부(220)는 제2인터페이스부(210)에 수신된 신호를 정류하여 제2인터페이스부(210), 제어데이터 추출부(230), 카메라 제어부(240) 및 촬상부(25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참고적으로, 전력추출부(220)에서 추출된 전력이 각 요소에 전송되는 경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 이중실선으로 표시하였다.
제어데이터 추출부(230)는 제2인터페이스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촬상부(250)를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제어신호를 추출한다. 예를 들면, 제어데이터 추출부(230)는 비교기를 이용하여 제2인터페이스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촬상부(250)를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제어신호를 추출해낼 수 있다.
카메라 제어부(240)는 제2인터페이스부(210)에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여 전력추출부(220), 제어데이터 추출부(230) 및 촬상부(2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카메라 제어부(240)는 제어데이터 추출부(230)에서 추출된 카메라 제어신호에 따라 촬상부(250)를 제어한다. 카메라 제어부(240)는 제어데이터 추출부(230)에서 추출된 제어신호를 디코딩 하여 촬상부(250)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촬상부(250)로 출력되는 카메라 제어신호는 촬상부(250)의 상하좌우회전, 피사체의 확대 및 축소, 거리의 원근조절 등에 대응하는 신호이다.
카메라 제어부(240)는 촬상부(2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신호를 제2인터페이스부(210)로 출력하여 전력선(300)을 통해 제1인터페이스부(150)로 전송하도록 제2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한다.
촬상부(250)는 카메라 제어부(240)로 출력되는 카메라 제어신호에 따라 피사체를 촬상하고, 촬상한 영상에 대한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카메라 제어부(240)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을 이용한 화상 감시시스템에 의하면, 감시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 감시카메라 구동시 필요한 전원 및 감시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 등을 별도의 신호선을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전력선을 통해 전송할 수 있어 감시카메라와 제어장치간의 인터페이스가 단순하며 설치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전송선을 사용함으로써 화상 감시시스템 설치시 자재비나 인건비 등을 감소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전력선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정류하여 각 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전력선을 통해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카메라 제어신호를 추출하여 촬상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감시카메라; 및
    상기 전력선을 통해 수신된 영상신호를 표시처리하고, 상기 촬상부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카메라 제어신호를 상기 감시카메라 구동용 전원신호에 합성하여 상기 전력선을 통해 상기 감시카메라로 전송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감시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카메라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
    상기 카메라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펄스상의 전원신호를 생성하는 펄스발생부 ; 및
    상기 펄스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펄스상의 전원신호를 상기 전력선을 통해 상기 감시카메라로 전송하는 제1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감시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카메라는,
    상기 전력선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2인터페이스부;
    상기 제2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정류하여 각 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추출하는 전력추출부;
    상기 제2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카메라 제어신호를 추출하는 제어데이터추출부; 및
    상기 제어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된 상기 카메라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촬상부를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감시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2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되어 생성된 영상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감시시스템.
KR1020020034413A 2002-06-19 2002-06-19 전력선을 이용한 화상 감시시스템 KR200400000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413A KR20040000039A (ko) 2002-06-19 2002-06-19 전력선을 이용한 화상 감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413A KR20040000039A (ko) 2002-06-19 2002-06-19 전력선을 이용한 화상 감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039A true KR20040000039A (ko) 2004-01-03

Family

ID=37312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413A KR20040000039A (ko) 2002-06-19 2002-06-19 전력선을 이용한 화상 감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00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368B1 (ko) * 2007-09-20 2009-10-07 주식회사 아이센텍이엔씨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통합 감시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1657A (ja) * 1998-11-17 2000-05-30 Nec Shizuoka Ltd 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装置
KR20010111722A (ko) * 2000-06-13 2001-12-20 이현종 전력선 통신(피엘씨) 모뎀을 구비한 카메라
KR20020011929A (ko) * 2000-08-04 2002-02-09 이성안 전력선을 이용한 통신시스템 및 통신방법
KR20020022946A (ko) * 2000-09-21 2002-03-28 오병성 웹 카메라와 전력선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KR20030068223A (ko) * 2002-02-14 2003-08-21 주식회사 플레넷 전력선 통신 방법을 이용한 방범/방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1657A (ja) * 1998-11-17 2000-05-30 Nec Shizuoka Ltd 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装置
KR20010111722A (ko) * 2000-06-13 2001-12-20 이현종 전력선 통신(피엘씨) 모뎀을 구비한 카메라
KR20020011929A (ko) * 2000-08-04 2002-02-09 이성안 전력선을 이용한 통신시스템 및 통신방법
KR20020022946A (ko) * 2000-09-21 2002-03-28 오병성 웹 카메라와 전력선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KR20030068223A (ko) * 2002-02-14 2003-08-21 주식회사 플레넷 전력선 통신 방법을 이용한 방범/방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368B1 (ko) * 2007-09-20 2009-10-07 주식회사 아이센텍이엔씨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통합 감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3809B2 (en) Camera system for providing instant switching between wide angle and full resolution views of a subject
EP2719318B1 (en) Auto zoom for video camera
KR20110044101A (ko)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실시간 감시장치
KR100735878B1 (ko) 일체화된 영상장치 테스트 장비
KR101783359B1 (ko) 화면분할 영상 제어 시스템
KR20090001699A (ko) 다기능 멀티 종합상황실 운용시스템
KR20040000039A (ko) 전력선을 이용한 화상 감시시스템
KR20050017222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64339B1 (ko) 광역 및 협역을 동시에 감시하는 감시카메라
KR101218404B1 (ko) 산업용 감시카메라 초점 자동 조절장치
KR100872403B1 (ko) 고정형 카메라를 이용하여 ptz 카메라를 제어하는 감시시스템
KR101147327B1 (ko) 카메라모듈 및 이를 구비한 감시장치
JP2008141281A (ja) 監視システム
JPH09163360A (ja) ビデオカメラ装置
KR19990086124A (ko) 영상 표시기를 구비한 콘트롤러
US20060098091A1 (en) Surveillance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camera through monitor and method thereof
KR0129792B1 (ko) 줌(zoom) 녹화 방식의 감시용 카메라
JPH1188728A (ja) テレビカメラの情報表示装置
KR20030083318A (ko) 영상 단말기
KR200310510Y1 (ko) 고해상도 구현을 위한 실물화상 출력장치
JP4493426B2 (ja) 電子内視鏡システム
KR100654439B1 (ko) 카메라의 통신 정보 표시 방법 및 시스템
JP2024061041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68772B1 (ko) 모니터링 시스템, 영상 촬영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
KR20060083236A (ko) 셀프 카메라 기능을 갖는 모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