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404B1 - 산업용 감시카메라 초점 자동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산업용 감시카메라 초점 자동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404B1
KR101218404B1 KR1020100115842A KR20100115842A KR101218404B1 KR 101218404 B1 KR101218404 B1 KR 101218404B1 KR 1020100115842 A KR1020100115842 A KR 1020100115842A KR 20100115842 A KR20100115842 A KR 20100115842A KR 101218404 B1 KR101218404 B1 KR 101218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amera lens
focus
apertur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4456A (ko
Inventor
이주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드텍
Priority to KR1020100115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404B1/ko
Publication of KR20120054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36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image sharpness techniques, e.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generating autofocus sig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용 감시카메라 초점 자동 조절장치 및 그 조절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영상을 촬영하여 그에 상응하는 영상신호를 발하며, 신호를 받아서 그 조리개와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카메라렌즈와, 상기 카메라렌즈로부터 발송되는 영상신호를 받아서 이를 다시 전송하는 카메라본체와, 상기 카메라렌즈와 상기 카메라본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렌즈의 신호를 상기 카메라본체로 전달하는 마운트와, 상기 마운트와 상기 카메라렌즈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렌즈의 조리개와 초점을 변화시키는 신호를 발하여 상기 카메라렌즈의 조리개와 초점을 변화시키는 제어부재와, 상기 카메라본체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부재로 상기 카메라렌즈의 조리개와 초점을 변화시키는 명령 신호를 발하는 컴퓨터로 구성되는 서버부재를 포함하며, 그 조절방법은 (a) 현재 시점의 카메라렌즈의 초점과 조리개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수신된 상기 카메라렌즈의 초점과 조리개 위치에 관한 정보를 서버부재로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서버부재로부터 제어에 관한 신호가 있는가를 판별하는 단계와, (d) 상기 (c)단계에서 제어에 관한 신호가 없으면 상기 (a)단계로 돌아가고, 제어에 관한 신호가 있으면 상기 제어에 관한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와, (e) 상기 (d)단계에서 분석된 제어에 관한 신호를 상기 카메라렌즈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와, (f) 상기 (e)단계에서 변환된 제어데이터를 상기 카메라렌즈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산업 현장에서 조업을 하거나 장비가 작동되는 도중에 자동으로 그 조업 현장이나 장비가 작동되는 곳에서 떨어진 원격지에서 감시용 카메라의 초점이나 조리개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어서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산업용 감시카메라 초점 자동 조절장치{Self-adjustment device of monitor camera using for industry}
본 발명은 산업용 감시카메라 초점 자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시용 카메라의 초점과 조리개를 원격지에서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산업용 감시카메라 초점 자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에서는 여러 가지의 목적으로 감시용 카메라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감시용 카메라의 일례를 도 1에 도시하였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산업용 감시카메라장치(5)는 카메라본체(3)와, 렌즈(1)와, 상기 카메라본체(3)와 렌즈(1)를 상호 연결하는 마운트 변환기구(2)로 구성된다.
그리고, 산업 현장의 계측용 카메라의 연결부분은 엠(M)타입의 마운트를 사용하고 렌즈(1)는 엠(M)마운트, 에프(F)마운트, 에프이(FE)마운트 등 여러 종류의 렌즈가 있다. 그리고 이 두 장비들을 연결하는 기구로 마운트 변환기구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산업용 감시카메라장치(5)는 렌즈(1)의 초점 조정 또는 조리개 조정은 수동으로만 그 조정이 가능한 구조이다.
그런데, 장착된 렌즈(1)의 초점이나 조리개에 원하지 않는 변화가 생기거나 거리가 달라진 대상물을 계측할 때에는 산업 현장에서 조업을 하거나 장비가 작동되는 도중에 그 렌즈(1)의 초점이나 조리개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주)포항제철의 경우는 항상 온도가 높은 환경 내에서 상기 산업용 감시카메라장치(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카메라의 초점이나 조리개의 조정을 위해서 인체가 상기 산업용 감시카메라장치(5) 주변에 접근할 수가 없는 것이다. 즉, 작업자의 안전에 심각한 위험이 초래되므로 조업을 하거나 장비가 작동되는 도중에는 그 산업용 감시카메라장치(5)에 접근을 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산업용 감시카메라장치를 사용하는 산업 현장에서는 초점 및 조리개의 조정이 필요할 때에는 정비기간까지 기다리거나 생산 장비들을 정지시키고, 작업자의 위험이 제거된 후에 현장에서 그 초점이나 조리개의 조정을 하여야 하므로, 그 조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또한 그 조정을 위해서 생산 장비를 정지시켜야 되므로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 중에 카메라의 초점이나 조리개의 조정을 위해 작업자가 투여되는 것은 많은 위험에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산업 현장에서 조업을 하거나 장비가 작동되는 도중에 자동으로 그 조업 현장이나 장비가 작동되는 곳에서 떨어진 원격지에서 감시용 카메라의 초점이나 조리개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어서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산업용 감시카메라 초점 자동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감시카메라 초점 자동 조절장치는, 영상을 촬영하여 그에 상응하는 영상신호를 발하며, 신호를 받아서 그 조리개와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카메라렌즈와, 상기 카메라렌즈로부터 발송되는 영상신호를 받아서 이를 다시 전송하는 카메라본체와, 상기 카메라렌즈와 상기 카메라본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렌즈의 신호를 상기 카메라본체로 전달하는 마운트와, 상기 마운트와 상기 카메라렌즈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렌즈의 조리개와 초점을 변화시키는 신호를 발하여 상기 카메라렌즈의 조리개와 초점을 변화시키는 제어부재와, 상기 카메라본체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부재로 상기 카메라렌즈의 조리개와 초점을 변화시키는 명령 신호를 발하는 컴퓨터로 구성되는 서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감시카메라 초점 자동 조절장치에 의하면, 산업 현장에서 조업을 하거나 장비가 작동되는 도중에 자동으로 그 조업 현장이나 장비가 작동되는 곳에서 떨어진 원격지에서 감시용 카메라의 초점이나 조리개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어서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산업용 감시카메라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감시카메라 초점 자동 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산업용 감시카메라 초점 자동 조절장치의 제어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감시카메라 초점 자동 조절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감시카메라 초점 자동 조절장치 및 그 조절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감시카메라 초점 자동 조절장치 및 그 조절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감시카메라 초점 자동 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산업용 감시카메라 초점 자동 조절장치의 제어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감시카메라 초점 자동 조절방법을 도시한 순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감시카메라 초점 자동 조절장치(100)는 카메라렌즈(10)와, 카메라본체(20)와, 마운트(30)와, 제어부재(40)와, 서버부재(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카메라렌즈(10)는 영상을 촬영하여 그에 상응하는 영상신호를 발하며, 신호를 받아서 그 조리개와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카메라렌즈(10)는 현재 시점의 초점 위치와 조리개 위치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카메라본체(20)는 상기 카메라렌즈(10)로부터 발송되는 영상신호를 받아서 이를 다시 후술하는 제어부재(40)로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 마운트(30)는 상기 카메라렌즈(10)와 상기 카메라본체(2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렌즈(10)의 신호를 상기 카메라본체(20)로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재(40)는 상기 마운트(30)와 상기 카메라렌즈(1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렌즈(10)의 조리개와 초점을 변화시키는 신호를 발하여 상기 카메라렌즈(10)의 조리개와 초점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상기 서버부재(50)는 상기 카메라본체(2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부재(40)로 상기 카메라렌즈(10)의 조리개와 초점을 변화시키는 명령 신호를 발하는 컴퓨터로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재(40)는 제어용 통신 데이터 변환부(42)와, 카메라 통신 데이터 변환부(44)와. 마이크로 프로세서(4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어용 통신 데이터 변환부(42)는 상기 서버부재(5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변환하여 이를 다시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 카메라 통신 데이터 변환부(44)는 현재 시점에 관한 상기 카메라렌즈(10)의 초점 위치와 조리개 위치에 관한 정보를 송신해 줄 것을 상기 카메라렌즈(10)에 요청하고 상기 카메라렌즈(1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다시 송신하는 것이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6)는 상기 제어용 통신 데이터 변환부(42)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용 신호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고, 현재 시점의 상기 카메라렌즈(10)의 초점 위치와 조리개 위치에 관한 정보를 송신해줄 것을 상기 카메라 통신 데이터 변환부(44)에 전달하며, 상기 카메라 통신 데이터 변환부(44)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시점의 상기 카메라렌즈(10)의 초점 위치와 조리개 위치에 관한 정보와 상기 제어용 통신 데이터 변환부(42)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카메라렌즈(10)의 초점 위치와 조리개 위치에 관한 정보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있을 시에는 상기 제어용 통신 데이터 변환부(42)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정보에 부합하도록 상기 카메라렌즈(10)의 초점과 조리개를 변화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감시카메라 초점 자동 조절장치(100)의 조절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현재 시점의 상기 카메라렌즈(10)의 초점과 조리개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6)가 상기 카메라 통신 데이터 변환부(44)로부터 수신한다.
이어서, 수신된 상기 카메라렌즈(10)의 초점과 조리개 위치에 관한 정보를 서버부재(50)로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서버부재(50)로부터 제어에 관한 신호가 있는가를 판별한다.
이어서, 상기 서버부재(50)로부터 제어에 관한 신호가 없으면, 현재 시점의 상기 카메라렌즈(10)의 초점과 조리개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6)가 상기 카메라 통신 데이터 변환부(44)로부터 수신하는 처음의 상태로 돌아가고, 제어에 관한 신호가 있으면 상기 제어에 관한 신호를 분석한다.
이어서, 분석된 제어에 관한 신호를 상기 카메라렌즈(1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데이터로 변환한다.
이어서, 변환된 제어데이터를 상기 카메라렌즈(10)로 전송하여, 상기 서버부재(50)에서 지시한 제어 신호에 부합하도록 상기 카메라렌즈(10)의 초점과 조리개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다.
10. 카메라렌즈 20. 카메라본체
30. 마운트 40. 제어부재
50. 서버부재 42. 제어용 통신 데이터 변환부
44. 카메라 통신 데이터 변환부
46. 마이크로 프로세서

Claims (3)

  1. 삭제
  2. 영상을 촬영하여 그에 상응하는 영상신호를 발하며, 신호를 받아서 그 조리개와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카메라렌즈(10);
    상기 카메라렌즈(10)로부터 발송되는 영상신호를 받아서 이를 다시 전송하는 카메라본체(20);
    상기 카메라렌즈(10)와 상기 카메라본체(2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렌즈(10)의 신호를 상기 카메라본체(20)로 전달하는 마운트(30);
    상기 마운트(30)와 상기 카메라렌즈(1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렌즈(10)의 조리개와 초점을 변화시키는 신호를 발하여 상기 카메라렌즈(10)의 조리개와 초점을 변화시키는 제어부재(40);
    상기 카메라본체(2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부재(40)로 상기 카메라렌즈(10)의 조리개와 초점을 변화시키는 명령 신호를 발하는 컴퓨터로 구성되는 서버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감시카메라 자동 초점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렌즈(10)는 현재 시점의 초점 위치와 조리개 위치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재(40)는,
    상기 서버부재(5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변환하여 이를 다시 전송하는 제어용 통신 데이터 변환부(42)와,
    현재 시점에 관한 상기 카메라렌즈(10)의 초점 위치와 조리개 위치에 관한 정보를 송신해 줄 것을 상기 카메라렌즈(10)에 요청하고 상기 카메라렌즈(1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다시 송신하는 카메라 통신 데이터 변환부(44)와,
    상기 제어용 통신 데이터 변환부(42)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용 신호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고, 현재 시점의 상기 카메라렌즈(10)의 초점 위치와 조리개 위치에 관한 정보를 송신해줄 것을 상기 카메라 통신 데이터 변환부(44)에 전달하며, 상기 카메라 통신 데이터 변환부(44)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시점의 상기 카메라렌즈(10)의 초점 위치와 조리개 위치에 관한 정보와 상기 제어용 통신 데이터 변환부(42)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카메라렌즈(10)의 초점 위치와 조리개 위치에 관한 정보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있을 시에는 상기 제어용 통신 데이터 변환부(42)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정보에 부합하도록 상기 카메라렌즈(10)의 초점과 조리개를 변화시키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감시카메라 자동 초점 조절장치.
  3. 삭제
KR1020100115842A 2010-11-19 2010-11-19 산업용 감시카메라 초점 자동 조절장치 KR101218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842A KR101218404B1 (ko) 2010-11-19 2010-11-19 산업용 감시카메라 초점 자동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842A KR101218404B1 (ko) 2010-11-19 2010-11-19 산업용 감시카메라 초점 자동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456A KR20120054456A (ko) 2012-05-30
KR101218404B1 true KR101218404B1 (ko) 2013-01-04

Family

ID=46270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842A KR101218404B1 (ko) 2010-11-19 2010-11-19 산업용 감시카메라 초점 자동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4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865B1 (ko) * 2012-12-27 2014-09-17 주식회사 포스코 다수 카메라의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107126B1 (ko) * 2013-09-24 2020-05-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카메라 초점조절방법 및 초점조절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8889A (ja) * 2002-04-03 2003-10-17 Fuji Photo Optical Co Ltd レンズ装置の診断システム、診断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4170695A (ja) * 2002-11-20 2004-06-17 Yamaha Corp 天体望遠鏡制御システム
JP2007312217A (ja) * 2006-05-19 2007-11-29 Fujinon Corp レン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8889A (ja) * 2002-04-03 2003-10-17 Fuji Photo Optical Co Ltd レンズ装置の診断システム、診断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4170695A (ja) * 2002-11-20 2004-06-17 Yamaha Corp 天体望遠鏡制御システム
JP2007312217A (ja) * 2006-05-19 2007-11-29 Fujinon Corp レンズ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456A (ko)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79809A1 (en) Surveillance camera and surveillance camera system with laser positioning function
US20090034951A1 (en) Remote photographing system
JP2010148119A (ja) リモートワイヤレス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JP2008162725A (ja) エレベータリモート点検システム
WO2012163129A1 (zh) 一种智能视频监控系统及方法
US20200382705A1 (en) Camera parameter setting system and camera parameter setting method
WO2019023846A1 (zh) 数据转换与拍摄控制方法、系统、云台组件及无人机系统
KR101218404B1 (ko) 산업용 감시카메라 초점 자동 조절장치
US7511903B2 (en) Lens apparatus
US8644695B2 (en) Lens system and image pickup system including the same
JP5309499B2 (ja) エレベーターの防犯カメラ装置
US20060012700A1 (en) Lens apparatus and image synthesis system
JP2016167719A (ja) 光学装置
US9986160B2 (en) Network camera system and illumination device thereof
US10291836B2 (en) Imaging apparatus for preset touring for tour-route setting
WO2013122139A1 (ja) 作業画像監視システム
WO2017038159A1 (ja) 測距装置、測距用制御方法、及び測距用制御プログラム
KR20120038876A (ko)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06552B1 (ko) 도난 방지용 네트워크 카메라
KR20080096462A (ko) 원격 영상 제어와 로컬 영상 제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영상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감시 수행 방법
US9648219B2 (en) Web camera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0730386B1 (ko) 이동 매니퓰레이터 작업 자동감지 비젼 로봇
CN203645757U (zh) 监控相机无线控制系统
KR20150002226A (ko) 무선 카메라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TW202029005A (zh) 雲端影像推送通知監測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