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638Y1 - 침관 - Google Patents

침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638Y1
KR200399638Y1 KR20-2005-0022292U KR20050022292U KR200399638Y1 KR 200399638 Y1 KR200399638 Y1 KR 200399638Y1 KR 20050022292 U KR20050022292 U KR 20050022292U KR 200399638 Y1 KR200399638 Y1 KR 2003996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diameter portion
acupuncture
tube
hour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2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헌만
Original Assignee
서헌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헌만 filed Critical 서헌만
Priority to KR20-2005-00222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6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6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6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3Needle tub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몸체의 상부 측에 그 내경이 5∼8mm인 대경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경부로부터 몸체의 하단부까지 그 내경이 1.5∼2mm인 소경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외주면 일측에 수직으로 폭 1∼2mm인 침 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침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시력이 좋지 않은 사람도 침을 침관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으며, 특히 시침자가 침자루를 잡고 침을 침관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으므로 위생적으로 시침할 수 있다.
실제로, 시침 전후 침자루를 잡고 침을 침관에 끼워넣거나 침관을 들어올리지 않고 침 출구를 통해 시침된 침으로부터 침관을 분리하므로, 종래에 시침 전후 침날을 잡고 침을 침관에 끼워넣거나 침관을 들어올리는 도중에 침과 침관이 오염되어 시침 부위에 염증이 유발되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침관{Acupuncture needle pipe}
본 고안은 침관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침을 끼워 자침 하는데 사용하는 한방 침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방에서 사용하는 침은 그 질병에 따라 참침, 원침, 제침, 봉침, 피침, 원리침, 호침, 장침, 대침과 같이 9종으로 분류된다.
특히, 상기 호침은 경락을 조절하고 통비를 치료하는 데 적합한 침으로서, 한의사가 아닌 일반인들이 가정용 혹은 휴대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침이며, 금사나 은사가 감겨있는 침자루와 상기 침자루에 연결되고 모기나 등에의 주둥이같이 날카로운 침끝을 가진 침날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호침을 사용하는 일반인들은 수기가 비교적 능하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처음 침을 놓거나 침을 놓을 때 통증을 덜 느끼게 위하여 주로 침관을 사용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침관(10)은 대롱 형상이며, 시침자가 침관(10)에 호침(20)을 끼우고 시침 부위 위에 침관(10)을 올려놓은 다음, 상기 호침(20)의 침자루 끝을 집게손가락의 손톱으로 가볍게 튕기면 침날의 일부가 시침 부위에 일정한 깊이로 들어가고, 이후 시침자는 도 2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침관(10)을 들어올림으로써 시침을 완료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침관(10)은 그 내경이 대략 1.5∼2mm 정도 작기 때문에, 시력이 좋지 않은 사람이 상기 호침(20)의 침끝을 침관(10)에 끼우기 곤란한 단점이 있으며, 특히 다수의 시침자가 호침(20)의 침날을 맨손으로 잡고 침날을 상기 침관(10)에 끼우기 때문에 비위생적이다.
실제로, 시침 전후 침날을 맨손으로 잡으면 호침(20)이 오염되고, 상기 호침(20)과 침관(10)을 분리하기 위하여 침관(10)을 들어올리는 도중에 호침(20)이 침관(10)에 부딪히게 되면, 호침(20)과 침관(10)이 모두 오염되므로, 시침 부위에 염증이 유발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나 암과 같은 중증환자 또는 건강한 사람도 관절강 내에나 혈관내에는 염증유발 문제때문에 사용하기에는 문제점이 많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몸체의 상부 측에 대경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경부로부터 몸체의 하단부까지 소경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외주면 일측에 수직으로 침 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침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침관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몸체의 상부 측에 그 내경이 5∼8mm인 대경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경부로부터 몸체의 하단부까지 그 내경이 1.5∼2mm인 소경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외주면 일측에 수직으로 폭 1∼2mm인 침 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침관(30)은 몸체의 상부 측에 그 내경이 5∼8mm인 대경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대경부(31)의 내주면은 나팔 모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관(30)은 상기 대경부(31)로부터 몸체의 하단부까지 그 내경이 1.5∼2mm인 일자형 소경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침관(30)은 상기 몸체의 외주면 일측에 수직으로 폭 1∼2mm인 침 출구(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침관(30)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침관(30)의 대경부(31)는 도 1에 나타낸 호침(20)과 같은 종래의 침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가지므로, 시침자가 침의 침자루를 잡고 상기 대경부(31)에 침을 끼워 시침 부위 위에 상기 침관(30)을 올려놓은 다음, 상기 침의 침자루 끝을 집게손가락의 손톱으로 가볍게 튕기면 침날의 일부가 시침 부위에 일정한 깊이로 들어간다.
이때, 상기 호침(20)과 같은 일반 침은 그 길이가 다양(대략 5∼8Cm 정도)하므로, 상기 침관(30)의 길이는 일반 침 길이의 2/3 ~ 4/5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대경부(31)의 하단부에서 소경부(32)의 끝 부분까지는 대략 3∼5Cm 정도가 되며, 상기 호침(20)은 시침 부위에 대략 0.4∼0.5mm 깊이로 들어간다.
이후, 시침자는 도 1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침관(30)을 들어올려 침으로부터 침관(30)을 분리할 수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르면 시침 후 상기 침관(30)을 들어올리는 대신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침 출구(33)를 통해 시침된 침으로부터 침관(30)을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서, 종래에 시침 후 침관(10)을 들어올리는 도중에 침관(10)이 호침(20)에 부딪히면 시침 부위에 통증이 유발되는 단점이 해소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호침(20)과 같이 침자루가 일자형인 일반 침 대신, 주사용 침(20a)을 시침할 때, 본 고안에 따른 침관(30)을 사용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주사용 침(20a)은 침자루 부분의 내주면이 상기 침관(30)의 대경부(31)와 유사한 나팔 모양으로 되어 있고 그 외경부에는 상기 대경부(31)의 상단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시침자가 주사용 침(20a)의 침자루 부분을 잡고 상기 대경부(31)에 침을 끼워 시침 부위 위에 상기 침관(30)을 올려놓은 다음, 상기 침자루 부분을 엄지와 집게손가락으로 잡고 누르거나 집게손가락의 손톱으로 가볍게 튕기면 상기 침날의 일부가 시침 부위에 일정한 깊이로 들어간다.
이때, 상기 주사용 침(20a)의 침자루 외경부의 걸림턱이 상기 침관(30)의 대경부(31) 상면에 걸린다.
이후, 시침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침 출구(33)를 통해 시침된 주사용 침(20a)의 침날로부터 침관(30)을 분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침관은 몸체의 상부 측에 그 내경이 5∼8mm인 대경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경부로부터 몸체의 하단부까지 그 내경이 1.5∼2mm인 소경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외주면 일측에 수직으로 폭 1∼2mm인 침 출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력이 좋지 않은 사람도 침을 침관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으며, 특히 시침자가 침자루를 잡고 침을 침관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으므로 위생적으로 시침할 수 있다.
실제로, 시침 전후 침자루를 잡고 침을 침관에 끼워넣거나 침관을 들어올리지 않고 침 출구를 통해 시침된 침으로부터 침관을 분리하므로, 종래에 시침 전후 침날을 잡고 침을 침관에 끼워넣거나 침관을 들어올리는 도중에 침과 침관이 오염되어 시침 부위에 염증이 유발되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침관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침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침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침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침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침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침관 20: 호침
20a: 주사용 침 30: 침관
31: 대경부 32: 소경부
33: 침 출구

Claims (5)

  1. 몸체의 상부 측에 대경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경부(31)로부터 몸체의 하단부까지 소경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외주면 일측에 수직으로 침 출구(3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31)의 내주면은 나팔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31)는 그 내경이 5∼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경부(32)는 그 내경이 1.5∼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 출구(33)는 그 폭이 1∼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관.
KR20-2005-0022292U 2005-08-01 2005-08-01 침관 KR2003996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292U KR200399638Y1 (ko) 2005-08-01 2005-08-01 침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292U KR200399638Y1 (ko) 2005-08-01 2005-08-01 침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226A Division KR100642795B1 (ko) 2005-08-01 2005-08-01 침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638Y1 true KR200399638Y1 (ko) 2005-10-26

Family

ID=43700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292U KR200399638Y1 (ko) 2005-08-01 2005-08-01 침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6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62890A (zh) * 2019-01-22 2019-04-23 张璐 针灸和火罐综合性理疗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62890A (zh) * 2019-01-22 2019-04-23 张璐 针灸和火罐综合性理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2795B1 (ko) 침관
HUP0300217A2 (en) Blood lancet with hygienic tip protection
CA2586013A1 (en) Blood expression device
CN104093371B (zh) 手术用套管针
DE60212821D1 (de) Medizinisches instrument mit atraumatischer spitze
WO2016192416A1 (zh) 一种浮针疗法用针灸针
KR200399638Y1 (ko) 침관
JP2021146168A (ja) 組み合わせ型鍼管
KR100602556B1 (ko) 한방용 침 세트
KR200440711Y1 (ko) 자석이 장착된 한방용 플라스틱 침관
KR200413341Y1 (ko) 침관
KR101477778B1 (ko) 원터치 매선도구
KR200391458Y1 (ko) 한방용 침 세트
JP2011045705A (ja) 施術器具
KR970001185Y1 (ko) 의료용 침구(鍼具)
CN207400917U (zh) 一次性针灸埋线针装置
CN213157771U (zh) 一种刺骨针灸装置
KR200397700Y1 (ko) 한방용 침 결합기구
WO2006116901A1 (fr) Aiguille pour inclure un catgut dans un corps a un point
CN201500284U (zh) 带消毒卫生套的针灸针
CN202859233U (zh) 一种柄部带有环圈结构的松解针
KR200399639Y1 (ko) 다목적 침
CN215426119U (zh) 一种防脱落针灸针
CN218889930U (zh) 一种针灸夹针器
CN215424804U (zh) 一种抗体检测采集棉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