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374Y1 - 발목 자동 타격장치 - Google Patents

발목 자동 타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374Y1
KR200399374Y1 KR20-2005-0021821U KR20050021821U KR200399374Y1 KR 200399374 Y1 KR200399374 Y1 KR 200399374Y1 KR 20050021821 U KR20050021821 U KR 20050021821U KR 200399374 Y1 KR200399374 Y1 KR 2003993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kle
striking
hitting
guide bar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8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조천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05-00218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3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3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3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6Percussion or tapping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18C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81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 A61H2201/149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rotation-linear or vice vers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목 자동 타격장치에 관한 것으로, 발목 특히, 아킬레스건의 자극 압력을 높이기 위해 캠방식을 이용하여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자동 타격이 가능하도록 하며, 모터의 회전속도 조절 및 타이머 설정을 통해 발목의 타격빈도를 조절하고 일정 지속시간동안 타격이 이루어지고, 발목의 자동 타격시 장소가 좁은 곳에서도 효과적으로 타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와식 및 좌식에서 자유롭게 타격이 가능한 구조의 발목 자동 타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가죽이나 우레탄 폼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횡방향으로 더 긴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상면에 다수개의 굴곡부 및 타격부를 갖는 타격부 케이스와; 상기 타격부 케이스의 일측면과 하면을 통해 결합되면서 그 타격부 케이스에 일정한 텐션력을 제공하고, 좌식 사용시 발목 자동 타격장치를 발목에 고정시키기 위한 가이드바와; 상기 타격부 케이스의 내부에 구성되어, 그 타격부 케이스 상면의 타격부로 인출입되면서 타격력을 발생시키는 타격수단과; 상기 타격수단의 타격빈도를 조절하며, 타격 지속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리모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좌식 및 와식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발목을 타격할 수 있으므로 사용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발목을 타격하여 혈액순환 효과를 높힐 수 있으며, 타격속도 및 타격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발목 타격을 실행할 수 있고, 가이드바의 절곡 형태를 통해 효과적인 방진을 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 편의성이 높다.

Description

발목 자동 타격장치{AUTO HITTING APPARATUS AN ANKLE}
본 고안은 발목 자동 타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발목 특히, 아킬레스건의 자극 압력을 높이기 위해 캠방식을 이용하여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자동 타격이 가능하도록 하며, 모터의 회전속도 조절 및 타이머 설정을 통해 발목의 타격빈도를 조절하고 일정 지속시간동안 타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도록 한 발목 자동 타격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발목을 자극하여 운동을 하는 운동기구는 특별히 고안된 것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발목 운동을 하는 방법도 개발된 바 없었다.
다만, 최근 일본인이 개발한 발목 펌프건강법을 국어로 번역하여 인터넷에 올린 예가 있으나 그 운동방법은 일정한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통나무나 쇠파이프, 맥주병, 야구 방망이, 애프킬러통등과 같은 둥근 원통형태를 이용하여 그것을 일정위치에 놓고 그 위에서 발목을 자유 낙하시켜 발목의 아킬레스건 주변이 그 둥근통 형태 둘레에 떨어지면서 타격이 가해지도록하기를 수차례 반복하면서 운동을 하면 상기 각종 기구들의 타격에 의해 혈액이 펌핑되어 혈행을 원활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게되어 인체의 각종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고 건강증진 효과를 얻게 한다는 것이었다.
발목 자극효과는 당뇨병에 탁월하다. 일본의 당뇨병 환자인 70세 할머니의 혈당치가 공복시에 406㎎/㎗ 이나 되었으나(중증의 당뇨병), 발목 자극을 지속적으로 실행한 결과, 혈당치가 264㎎/㎗로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일본의 나미타게미에고씨는 52세이고, 혈압이 90∼150㎎Hg 인 상태여서 매일 조석간으로 식후 강압제를 2정씩 복용하며 생활하였으나, 2주정도 발목 자극을 실행한 결과, 혈압이 80∼140㎎Hg으로 대폭 감소되었다. 한편, 이러한 발목 자극효과는 통풍이나, 심장발작, 변비/다이어트, 전립선비대증, 간경변증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음이 이미 일본에서는 임상실험을 통해 입증된 상태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운동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운동기구가 없기 때문에 규칙적이고 효율적으로 운동을 하기가 어려운데다가 오늘날처럼 거의 대부분의 가정이 아파트나 연립주택과 같은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주거환경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운동을 하게 되면 아파트 아래층까지 운동기구의 타격 음이 울리게 되어 아래층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불편하게 하므로 자유로운 운동을 할 수가 없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방법의 경우에는 지면에 배치된 발목 자극기구의 상면에 사용자가 누운 상태로 발목을 올려두어 발목에 일정한 압력의 자극을 가하게 되기는 하나, 그 자극 압력이 매우 미약하므로 발목 자극의 효과가 작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시 사용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만 발목 자극이 가능하므로 상당히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즉, 사무실 등의 장소에서는 그러한 발목 자극 기구를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발목 특히, 아킬레스건의 자극 압력을 높이기 위해 캠방식을 이용하여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자동 타격이 가능하도록 하며, 모터의 회전속도 조절 및 타이머 설정을 통해 발목의 타격빈도를 조절하고 일정 지속시간동안 타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도록 한 발목 자동 타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발목의 자동 타격시 장소가 좁은 곳에서도 효과적으로 타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와식 및 좌식에서 자유롭게 타격이 가능한 구조의 발목 자동 타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죽이나 우레탄 폼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횡방향으로 더 긴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상면에 다수개의 굴곡부 및 타격부를 갖는 타격부 케이스와; 상기 타격부 케이스의 일측면과 하면을 통해 결합되면서 그 타격부 케이스에 일정한 텐션력을 제공하고, 좌식 사용시 발목 자동 타격장치를 발목에 고정시키기 위한 가이드바와; 상기 타격부 케이스의 내부에 구성되어, 그 타격부 케이스 상면의 타격부로 인출입되면서 타격력을 발생시키는 타격수단과; 상기 타격수단의 타격빈도를 조절하며, 타격 지속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리모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자동 타격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타격부 케이스의 상면의 중앙에는 각각 일정거리 이격되는 소정 위치에 발목을 타격하기 위한 복수개의 타격부가 마련되어져 있으며, 그 타격부의 사이 및 양측에는 각각 발목이 타격부 케이스를 벗어나지 않도록 지지하는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걸림턱의 높이는 타격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자동 타격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바는 상부 가이드바와, 하부 가이드바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 가이드바는 하부 가이드바의 내부에 일부 삽입되어 그 내부 및 상부측으로의 인출입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 가이드바의 인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길이조절레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자동 타격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가이드바는 "∩"의 형태로 절곡되어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하부 가이드바는 그 상부 가이드바의 양측 하단에 각각 그 상단이 결합되면서, 상기 타격부 케이스의 후면측벽을 따라 하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타격부 케이스의 하면근처에서 지면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져 있고, 상기 타격부 케이스의 전면근처에서 비스듬한 대각선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타격부 케이스의 하면과 접촉되고, 그 타격부 케이스를 따라 하면에 밀착되도록 절곡되어져 있으며, 다시 타격부 케이스의 전면 근처까지 연장된 상태에서 각각 마주보게 절곡되어 용접되게 되어 "≤"의 형태로 절곡되어져 타격부 케이스에 일정한 텐션력을 제공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자동 타격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가이드바의 하면에는 상기 타격부 케이스와 평행되게 구성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바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2차적으로 흡수하는 경질 고무의 재질로 이루어진 진동방지판이 부착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자동 타격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가이드바는 그 상부 소정부에 발 지지판이 더 부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자동 타격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타격수단은 상기 타격부 케이스의 내부 중앙 위치에 내설된 스텝모터와; 스텝모터의 축에 축결합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체결된 각각 양측의 제 1 종동기어와; 그 제 1 종동기어에 체결되며, 더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제 2 종동기어와; 제 2 종동기어에 축결합되어 각각 회전운동하는 캠과; 상기 캠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캠 대응헤드와; 그 캠 대응헤드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타격부측으로 상하 이동하는 유동봉과; 상기 유동봉의 타측에 결합된 발목 타격을 위한 압압체와; 상기 유동봉의 외부에서 그 유동봉을 내삽시킨 상태에서 유동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파이프와; 상기 가이드 파이프와 유동봉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시 상기 유동봉을 캠측으로 복원시키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자동 타격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자동 타격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자동 타격장치는 발목 특히, 아킬레스건의 자극 압력을 높이기 위해 캠방식을 이용하여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자동 타격이 가능하도록 하며, 모터의 회전속도 조절 및 타이머 설정을 통해 발목의 타격빈도를 조절하고 일정 지속시간동안 타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도록 한 장치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자동 타격장치(2)는 가죽이나 우레탄 폼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횡방향으로 더 긴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상면에 다수개의 굴곡부를 갖는 타격부 케이스(4)가 제공된다. 타격부 케이스(4)의 상면의 중앙에는 각각 일정거리 이격되는 소정 위치에 발목을 타격하기 위한 복수개의 타격부(8)가 마련되어져 있으며, 그 타격부(8)의 사이 및 양측에는 각각 발목이 타격부 케이스(4)를 벗어나지 않도록 지지하는 걸림턱(도 2 참조, 24a,24b,24c)이 각각 형성되어져 있다. 그 걸림턱(24a, 24b, 24c)의 높이는 타격부(8)의 높이보다 높으므로 타격부(8)의 타격이 이루어지는 동안 발목이 그 걸림턱(24a,24b,24c)을 타고 넘어 상기 타격부(8)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타격부 케이스(4)의 일측면과 하면을 통해 결합되면서 그 타격부 케이스(4)에 일정한 텐션력을 제공하기 위한 가이드바(6)가 제공되는 바, 그 가이드바(6)는 상부 가이드바(10)와, 하부 가이드바(12)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부 가이드바(12)의 상부에 상부 가이드바(10)가 내삽되어 결합되는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상부 가이드바(10)는 하부 가이드바(12)의 내부에 일부 삽입되어 그 내부 및 상부측으로의 인출입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발바닥의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상부 가이드바(10)의 인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가이드바(10)와 하부 가이드바(12)는 그 일측에 길이조절레버(18)가 형성되어져 있다. 즉, 상기 상부 가이드바(10)를 일정길이 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길이조절레버(18)를 통해 그 상부 가아드바(10)를 하부 가이드바(12)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가이드바(10)는 "∩"의 형태로 절곡되어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하부 가이드바(12)는 그 상부 가이드바(10)의 양측 하단에 각각 그 상단이 결합되면서, 상기 타격부 케이스(4)의 후면측벽을 따라 하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타격부 케이스(4)의 하면근처에서 지면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져 있고, 상기 타격부 케이스(4)의 전면근처에서 비스듬한 대각선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타격부 케이스(4)의 하면과 접촉되고, 그 타격부 케이스(4)를 따라 하면에 밀착되도록 절곡되어져 있으며, 다시 타격부 케이스(4)의 전면 근처까지 연장된 상태에서 각각 마주보게 절곡되어 용접되게 된다.
이러한 하부 가이드바(12)는 상기 타격부 케이스(4)의 하면에서 "≤"의 형태로 절곡되어진 상태로 결합되어져 있으므로 타격부 케이스(4)에 일정한 텐션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가이드바(12)의 하면에는 상기 타격부 케이스(4)와 평행되게 구성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바(12)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2차적으로 흡수하는 경질 고무의 재질로 이루어진 진동방지판(16)이 부착되어져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바(10)는 그 상부 소정부에 상기 발목 자동 타격장치(2)를 좌식으로 사용할 경우, 발목에 상기 타격부(8)를 밀착시키도록 사용자의 발가락이나 발바닥을 통해 타격부(8)가 발목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사용자의 발가락이나 발바닥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의 전방으로 밀어내는 발 지지판(14)이 부착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발목 자동 타격장치(2)는 내부 타격수단의 타격빈도를 조절하며, 타격 지속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리모콘(20)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교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플러그(22)가 구비되어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의자에 앉은 채로 상기 발목 자동 타격장치(2)를 의자앞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 가이드바(10)의 발 지지판(14)을 발가락이나 발바닥으로 밀어내게 되면, 상기 타격부(8)가 발목 부위에 밀착되어 발목을 타격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자동 타격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내부 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자동 타격장치의 내부 동작상태를 도시한 일부 확대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발목 자동 타격장치(2)는 그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발목을 타격하는 타격수단이 내설되어져 있는 바, 그 타격수단은 상기 발목 자동타격장치(2)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하여 밀착된 발목을 타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발목 자동 타격장치(2)의 상기 타격부 케이스(4)의 내부에는 중앙 위치에 스텝모터(26)가 내설되어져 있으며, 그 스텝모터(26)의 축에는 구동기어(28)가 축결합되어져 있다. 상기 구동기어(28)에는 각각 양측의 제 1 종동기어(30)가 체결되어져 있으며, 그 제 1 종동기어(30)에는 더 큰 직경의 제 2 종동기어(32)가 체결되어져 있다. 제 2 종동기어(32)에는 각각 회전운동하는 캠(34)이 축결합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캠(34)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캠 대응헤드(36)가 내부 양측에 각각 제공되며, 그 캠 대응헤드(36)는 상기 타격부(8)측으로 상하 이동하는 유동봉(38)의 일측에 결합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유동봉(38)의 타측에는 발목 타격을 위한 압압체(40)가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유동봉(38)의 외부에는 그 유동봉(38)을 내삽시킨 상태에서 유동봉(38)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파이프(44)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 상기 가이드 파이프(44)와 유동봉(38)의 사이에는 상시 상기 유동봉(38)을 캠(34)측으로 복원시키는 스프링(42)이 제공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동봉(38)은 스프링(42)에 의해 캠(34)측으로 상시 이동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캠 대응헤드(36)는 캠(34)의 외주면에 상시 밀착되어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스텝모터(26)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력을 구동기어(28) 및 제 1, 2 종동기어(30,32)가 전달받아 캠(34)으로 전달하게 되므로 캠(34)이 회전하게 된다.
캠(34)이 회전하게 되면, 그 캠(34)의 외주면에 밀착된 캠 대응헤드(36)는 캠(34)의 외주면의 굴곡을 궤적으로 위치변경 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34)의 볼록한 면과 캠 대응헤드(36)가 밀착된 경우에는 유동봉(38)이 전체적으로 타격부(8)측으로 이동되게 되어 발목 타격이 이루어지며, 캠(34)의 오목한 면과 상기 캠 대응헤드(36)가 밀착된 경우에는 유동봉(38)이 타격부(8)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발목 타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스텝모터(26)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시간당 타격 빈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타이머(미도시)의 설정에 의해 일정한 타격 지속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도 4a,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자동 타격장치를 와식과 좌식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자동 타격장치(2)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식(臥式)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바, 발목 자동 타격장치(2)를 와식(臥式)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발목을 상기 발목 자동 타격장치(2)의 타격부(8)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리모콘(20)을 이용하여 스텝모터(26)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스텝모터(26)의 구동에 의해 캠(34)이 회전되고, 그 캠(34)의 외주면 굴곡을 따라 유동봉(38)의 이동에 의해 타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타격부(8)의 진동은 1차적으로 타격부 케이스(4) 하면에 결합된 하부 가이드바(12)의 절곡에 의한 텐션으로 방진되며, 2차적으로는 그 하부 가이드바(12)의 하면에 결합된 진동방지판(16)에 의해 방진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자동 타격장치(2)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식(坐式)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바, 발목 자동 타격장치(2)를 좌식(坐式)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의자(50)에 앉은 상태에서 발목을 상기 발목 자동 타격장치(2)의 타격부(8)에 밀착시키고, 발가락이나 발바닥을 상기 발 지지판(14)에 밀착시켜 발목 자동 타격장치(2)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리모콘(20)을 이용하여 스텝모터(26)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스텝모터(26)의 구동에 의해 캠(34)이 회전되고, 그 캠(34)의 외주면 굴곡을 따라 유동봉(38)의 이동에 의해 타격이 이루어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발 지지판(14)의 경우 경질 고무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상부 가이드바(10)와 하부 가이드바(12)의 일측 일부에 경질 고무판을 더 부착하는 것이 방진에 효과적일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자동 타격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자동 타격장치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자동 타격장치(2)를 와식이나 좌식으로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발목을 상기 발목 자동 타격장치(2)의 타격부(8)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리모콘(20)을 이용하여 스텝모터(26)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스텝모터(26)의 구동에 의해 캠(34)이 회전되고, 그 캠(34)의 외주면 굴곡을 따라 유동봉(38)의 이동에 의해 타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발목 자동 타격장치(2)의 구동전에 리모콘(20)을 통해 타격 지속시간과 타격속도(시간단위별 타격 빈도)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타격 지속시간과 타격속도를 설정하고, 타격 키를 입력하게 되면, 해당 타격속도 설정치에 의해 상기 스텝모터(26)가 구동되게 되고, 그 구동에 의해 캠(34)이 회전되고, 그 캠(34)의 외주면 굴곡을 따라 유동봉(38)의 이동에 의해 타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발목 자동 타격장치(2)는 내부 타이머를 통해 설정시간이 도래되었는 지를 판단하여 설정시간이 도래된 경우에는 상기 스텝모터(26)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목 자동 타격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목 자동 타격장치는 좌식 및 와식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발목을 타격할 수 있으므로 사용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발목을 타격하여 혈액순환 효과를 높힐 수 있으며, 타격속도 및 타격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발목 타격을 실행할 수 있고, 가이드바의 절곡 형태를 통해 효과적인 방진을 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 편의성이 높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자동 타격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자동 타격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내부 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자동 타격장치의 내부 동작상태를 도시한 일부 확대상태도,
도 4a,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자동 타격장치를 와식과 좌식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자동 타격장치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타격부케이스, 6:가이드바,
8:타격부, 10:상부가이드바,
12:하부가이드바, 14:발지지판,
16:진동방지판, 18:길이조절레버,
20:리모콘, 26:스텝모터,
28:구동기어, 30:제1종동기어,
32:제2종동기어, 34:캠,
36:캠대응헤드, 38:유동봉,
40:압압체, 42:스프링.

Claims (7)

  1. 가죽이나 우레탄 폼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횡방향으로 더 긴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상면에 다수개의 굴곡부 및 타격부를 갖는 타격부 케이스와;
    상기 타격부 케이스의 일측면과 하면을 통해 결합되면서 그 타격부 케이스에 일정한 텐션력을 제공하고, 좌식 사용시 발목 자동 타격장치를 발목에 고정시키기 위한 가이드바와;
    상기 타격부 케이스의 내부에 구성되어, 그 타격부 케이스 상면의 타격부로 인출입되면서 타격력을 발생시키는 타격수단과;
    상기 타격수단의 타격빈도를 조절하며, 타격 지속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리모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자동 타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 케이스의 상면의 중앙에는 각각 일정거리 이격되는 소정 위치에 발목을 타격하기 위한 복수개의 타격부가 마련되어져 있으며, 그 타격부의 사이 및 양측에는 각각 발목이 타격부 케이스를 벗어나지 않도록 지지하는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걸림턱의 높이는 타격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자동 타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는 상부 가이드바와, 하부 가이드바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 가이드바는 하부 가이드바의 내부에 일부 삽입되어 그 내부 및 상부측으로의 인출입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 가이드바의 인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길이조절레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자동 타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바는 "∩"의 형태로 절곡되어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하부 가이드바는 그 상부 가이드바의 양측 하단에 각각 그 상단이 결합되면서, 상기 타격부 케이스의 후면측벽을 따라 하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타격부 케이스의 하면근처에서 지면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져 있고, 상기 타격부 케이스의 전면근처에서 비스듬한 대각선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타격부 케이스의 하면과 접촉되고, 그 타격부 케이스를 따라 하면에 밀착되도록 절곡되어져 있으며, 다시 타격부 케이스의 전면 근처까지 연장된 상태에서 각각 마주보게 절곡되어 용접되게 되어 "≤"의 형태로 절곡되어져 타격부 케이스에 일정한 텐션력을 제공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자동 타격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바의 하면에는 상기 타격부 케이스와 평행되게 구성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바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2차적으로 흡수하는 경질 고무의 재질로 이루어진 진동방지판이 부착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자동 타격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바는 그 상부 소정부에 발 지지판이 더 부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자동 타격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수단은 상기 타격부 케이스의 내부 중앙 위치에 내설된 스텝모터와; 스텝모터의 축에 축결합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체결된 각각 양측의 제 1 종동기어와; 그 제 1 종동기어에 체결되며, 더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제 2 종동기어와; 제 2 종동기어에 축결합되어 각각 회전운동하는 캠과; 상기 캠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캠 대응헤드와; 그 캠 대응헤드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타격부측으로 상하 이동하는 유동봉과; 상기 유동봉의 타측에 결합된 발목 타격을 위한 압압체와; 상기 유동봉의 외부에서 그 유동봉을 내삽시킨 상태에서 유동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파이프와; 상기 가이드 파이프와 유동봉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시 상기 유동봉을 캠측으로 복원시키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자동 타격장치.
KR20-2005-0021821U 2005-07-27 2005-07-27 발목 자동 타격장치 KR2003993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821U KR200399374Y1 (ko) 2005-07-27 2005-07-27 발목 자동 타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821U KR200399374Y1 (ko) 2005-07-27 2005-07-27 발목 자동 타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8330A Division KR100617267B1 (ko) 2005-07-27 2005-07-27 발목 자동 타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374Y1 true KR200399374Y1 (ko) 2005-10-25

Family

ID=43700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821U KR200399374Y1 (ko) 2005-07-27 2005-07-27 발목 자동 타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37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4660A (en) Physiotherapy and health improvement instrument
US20110312479A1 (en) Foot pivot sports training aid
TWI461189B (zh) Automatic tapping mechanism
KR100617267B1 (ko) 발목 자동 타격장치
KR20040070148A (ko) 꺼꾸리 지압장치
US20050049531A1 (en) Chair massager
US20050049530A1 (en) Reclining massager system
KR200399374Y1 (ko) 발목 자동 타격장치
TW492861B (en) Massage machine
JP2003190235A (ja) 足首回し健康器
JP6804071B1 (ja) 踵刺激装置
KR200404007Y1 (ko) 발목 자극 운동기구
CN1984629B (zh) 按摩装置组
WO2000074626A1 (en) Health bathtub
KR100408628B1 (ko) 진동 안마장치
KR200313766Y1 (ko) 조립식 발마사지기
KR200444771Y1 (ko) 족부 자동 지압장치
KR20070037558A (ko) 발목 자극 운동기구
US20070203392A1 (en) Massage device
KR20070079402A (ko) 발목 타격장치
CN216168799U (zh) 一种养生用具有脚底敲击功能的按摩泡脚桶
CN219290106U (zh) 一种抖动筋膜按摩手
KR100550897B1 (ko) 발목 자극운동기구
KR200252203Y1 (ko) 진동 안마장치
KR0147003B1 (ko) 물리치료 및 헬스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