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269Y1 - 휴대용 직물 클리너 - Google Patents

휴대용 직물 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269Y1
KR200399269Y1 KR20-2005-0022048U KR20050022048U KR200399269Y1 KR 200399269 Y1 KR200399269 Y1 KR 200399269Y1 KR 20050022048 U KR20050022048 U KR 20050022048U KR 200399269 Y1 KR200399269 Y1 KR 2003992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ases
case
roller support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0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경
Original Assignee
(주)라이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이펍 filed Critical (주)라이펍
Priority to KR20-2005-00220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2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2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2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 B65D85/67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 B65D85/6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on 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직물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맞물려서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서로 힌지 결합되는 제1 및 제2 케이스; 상기 제2 케이스에 결합되되,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의 힌지 결합부의 반대측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롤러 지지부; 및 상기 롤러 지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롤러 지지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의 내부 수납 공간에 수납되거나, 외측으로 돌출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직물 클리너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용 직물 클리너의 케이스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제품을 사용하게 되므로, 두 개의 케이스가 서로 지지하게 되어 사용중에 제품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파지하기에도 용이하다.

Description

휴대용 직물 클리너{Portable cloth cleaner}
본 고안은 휴대용 직물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옷이나 카페트 등과 같은 직물에 붙게 되는 먼지나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을 언제 어디서든지 제거할 수 있는 휴대용 직물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의류나 카페트와 같은 직물의 경우, 사용 중에 정전기의 발생, 오염물질과의 접촉 등으로 인해 표면에는 다량의 오염 물질이 붙게 된다. 이렇게 오염된 직물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세탁이 필수적이지만, 먼지나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의 경우에는 떼어내기만 하면 깔끔하게 제거가 가능하므로 반드시 세탁을 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이들을 일일이 육안으로 확인하여 손으로 제거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상당한 시간을 요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종래부터 직물에 붙은 먼지나 머리카락 등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도구들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도구 중 대표적인 것으로서, 접착식 롤러를 들 수 있다. 즉, 롤러의 표면에 접착 테이프를 부착하여 두고, 롤러에 장착된 손잡이를 잡고 롤러를 직물의 표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이동시키면, 직물의 표면에 부착된 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롤러의 표면에 부착되면서 제거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롤러식 클리너는 한꺼번에 넓은 면적에 대해서 손쉽게 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한 접착식 테이프를 제거하고 교체하는 작업이 불편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롤러의 표면을 접착성이 있는 실리콘 계열의 수지나 우레탄 수지 등으로 제작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도 개발된 바 있으며, 부피를 소형화하기 위해서 휴대할 수 있도록 개발된 제품도 선보이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휴대용 직물 클리너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예는 원통형의 몸체(1)가 힌지(3)에 의해 뚜껑(2)으로 개폐가능토록 형성되어 있고, 몸체(1) 내부에는 회전축(4)에 의해 접착롤(5)이 체결되어 공회전가능토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접착롤(5)은 접착테이프가 일정량 두루마리식으로 권취되어 있는 형태이거나, 상술한 실리콘 수지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접착롤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부착되어 접착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보관 및 휴대시에는 뚜껑(2)을 닫은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고, 사용시에는 뚜껑(2)을 개방하면 접착롤(5)의 절반이 개방된 형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이 접착롤(5)을 의복 등에 문질러 먼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직물 클리너는 보관 및 휴대는 용이할 수 있으나, 사용하기 위하여 뚜껑(2)을 개방하게 되면 접착롤(5)의 절반만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기대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접착롤(5)을 의류 등의 청소대상물에 밀착시켜 굴리게 되면, 접착롤(5)을 지지하는 몸체(1) 부분이 먼저 대상물에 닫게 됨으로써 먼지의 제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개방된 뚜껑(2)은 사용시에 손잡이의 기능을 가지게 되는 것이나, 원통의 절반으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손으로 잡기가 용이치 못한 등 사용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기의 구조상 무리한 힘을 가하는 경우에 파손이나 변형의 우려가 높은 문제점도 존재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관과 휴대가 용이하면서도, 사용자가 손쉽게 파지할 수 있고 구조적인 안정성도 높은 휴대용 직물 클리너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서로 맞물려서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케이스; 상기 제2 케이스에 결합되되,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의 결합부의 반대측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롤러 지지부; 및 상기 롤러 지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롤러 지지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의 내부 수납 공간에 수납되거나, 외측으로 돌출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직물 클리너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롤러 지지부를 회전시켜 롤러를 외부로 돌출시킨 후에도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를 닫을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를 손으로 파지하고 롤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케이스에 변형이 야기될 우려가 감소하게 될 뿐만 아니라, 롤러의 전체가 개방되므로 사용이 용이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 지지부는, 상기 제2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에 직교하게 형성된 한 쌍의 롤러 고정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은, 회전 중심축과 동심으로 형성되는 반원 형태의 제1 플랜지부;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회전 중심축과 편심되게 위치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 사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의 단부와 접하게 되는 평면부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직물 클리너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케이스(100)와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케이스(110)는 전체적으로 안경용 보관 케이스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는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후술할 롤러(120)를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서는 제1 케이스가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제1 케이스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케이스(100)의 전면측 단부(102)는 폭이 좁은 띠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부(102)의 좌우측 단부 부근에는 후술할 힌지 결합부와 접하게 되는 절개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부(102)의 중앙부에는 고정용 클립(106)이 형성되어 있는 데, 상기 고정용 클립(106)은 원호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표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 케이스(110)는 전체적으로 상기 제1 케이스(100)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도 2에서 상기 제2 케이스(110)의 전면부는 타 구성 요소에 가려서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케이스(110) 역시 제1 케이스(100)의 전면측 단부(102)에 해당하는 단부를 가진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상기 제2 케이스(110)의 전면부의 좌우측 단부에는 힌지 결합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 결합부(114)는 상기 제2 케이스(110)에서 반원형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중앙에는 홀이 형성된다.
상기 롤러(120)는 실리콘 수지나 우레탄 수지와 같은 접착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 공간 안에 수납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는 원통형이다. 물론, 상기 롤러(120)의 외주부에 종래의 접착식 테이프를 권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롤러(120)의 양단부에는 롤러의 측면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롤러(120)가 보다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롤러 고정용 디스크(122)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 고정용 디스크(122)에는 전체적으로 'U'자 형태를 갖는 롤러 지지부의 롤러 고정아암(130)이 장착된다.
상기 롤러 고정아암(130)의 단부는 상기 롤러 고정용 디스크(122)가 회전할 수 있도록 디스크(122)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 결합부(114)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축(138)은 상기 제2 케이스(110)의 전면측 단부와 평행하게 위치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138)의 중앙부에는 상술한 고정용 클립(106)이 끼워져서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110)가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롤러 지지부는 상기 롤러 고정아암(130)과 회전축(138)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138)에서 상기 고정용 클립(106)이 끼워지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제1 플랜지(134) 및 제2 플랜지(1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플랜지(134)는 상기 회전축(138)과 동심으로 위치하며, 회전축(138) 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또한, 제1 플랜지(134)는 반원 형태를 갖는다. 상기 제1 플랜지(134)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2 플랜지(132)는 제1 플랜지(134)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회전축(138)과는 편심되게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플랜지(134)의 단부와 제2 플랜지(132)의 단부 사이에는 평면부(136)가 위치하는데, 상기 평면부(136)는 상기 제1 플랜지(134)의 양쪽에 각각 하나씩 존재하게 된다. 도 2에서 하나의 평면부(136)는 외부로 드러나 있으나, 다른 하나의 평면부는 상기 제2 케이스(110)의 전면측 단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의 사이에는 수축 방지용 슬릿(139)이 형성되어 사출 후 냉각 과정에서 회전축(138)의 형태가 변하거나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의 형태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롤러(120)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케이스가 닫힌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는 서로 힌지(105)에 의해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그 표면에는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홈(103)이 형성되는데, 상기 홈(103)은 케이스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보이게 할 뿐만 아니라, 사용 시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는 반드시 힌지에 의해 결합될 필요는 없으며, 일 예로 두 개의 케이스를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같은 재질을 이용하여 일체로 구성하고, 서로 연결되는 부분의 두께를 얇게 하여 접철부를 형성하는 형태도 고려해 볼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상기 롤러 지지부의 두 개의 평면부(도 3에서는 보이지 않는다)는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의 전면측 단부의 외측과 접하게 되며, 제2 플랜지(132)만이 외부로 노출된다. 즉, 상기 회전축(138)을 중심으로 제1 및 제2 케이스의 전면측 단부와 양쪽에서 상기 롤러 지지대가 접하게 되므로, 롤러 지지대가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케이스를 손으로 잡고 직물의 표면을 클리닝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롤러(120)가 제1 및 제2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 플랜지(134) 만이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의 전면측 단부 사이로 노출되며, 상기 한 쌍의 평면부(136)는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의 전면측 단부의 내측과 접하고 있으므로, 케이스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게 지지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용 클립(106)이 회전축의 외주부에 끼워져서 제1 및 제2 케이스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도 7에는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100, 110)만이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케이스(110)의 힌지 결합부(114) 내에는 홀(115)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축(138)이 고정되게 되며, 제2 케이스(110)의 전면측 단부(112)는 제1 케이스(100)의 전면측 단부(102)와 평행, 보다 정확하게는 일직선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스(100)의 전면측 단부(102)와 제2 케이스(110)의 전면측 단부(112) 사이에는 상기 제1 플랜지(134)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갖는 슬릿(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용 직물 클리너의 케이스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제품을 사용하게 되므로, 두 개의 케이스가 서로 지지하게 되어 사용중에 제품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파지하기에도 용이하다.
아울러, 롤러의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게 되므로, 케이스와 직물이 간섭되지 않아 사용이 용이하며,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도 종래에 비해 간편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직물 클리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직물 클리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롤러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롤러가 케이스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케이스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1 케이스,
106 : 고정용 클립,
110 : 제2 케이스,
114 : 힌지 결합부,
120 : 롤러,
122 : 롤러 고정용 디스크,
130 : 롤러 고정아암,
132 : 제2 플랜지,
134 : 제1 플랜지,
138 : 회전축.

Claims (3)

  1. 서로 맞물려서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케이스;
    상기 제2 케이스에 결합되되,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의 결합부의 반대측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롤러 지지부; 및
    상기 롤러 지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롤러 지지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의 내부 수납 공간에 수납되거나, 외측으로 돌출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직물 클리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지지부는,
    상기 제2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에 직교하게 형성된 한 쌍의 롤러 고정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직물 클리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회전 중심축과 동심으로 형성되는 반원 형태의 제1 플랜지부;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회전 중심축과 편심되게 위치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 사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의 단부와 접하게 되는 평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직물 클리너.
KR20-2005-0022048U 2005-07-29 2005-07-29 휴대용 직물 클리너 KR2003992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048U KR200399269Y1 (ko) 2005-07-29 2005-07-29 휴대용 직물 클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048U KR200399269Y1 (ko) 2005-07-29 2005-07-29 휴대용 직물 클리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269Y1 true KR200399269Y1 (ko) 2005-10-20

Family

ID=43700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048U KR200399269Y1 (ko) 2005-07-29 2005-07-29 휴대용 직물 클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26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357B1 (ko) 2007-02-20 2008-04-04 이명지 양면형 폼 크린 장치
KR100910051B1 (ko) 2009-04-29 2009-07-30 이장호 먼지 제거용 핸드롤러 보관케이스
KR200464330Y1 (ko) 2010-07-29 2013-01-02 김윤중 정화장치가 부착된 의류용 얼룩 제거기
KR20200145450A (ko) 2019-06-21 2020-12-30 이미현 라인 클리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357B1 (ko) 2007-02-20 2008-04-04 이명지 양면형 폼 크린 장치
KR100910051B1 (ko) 2009-04-29 2009-07-30 이장호 먼지 제거용 핸드롤러 보관케이스
KR200464330Y1 (ko) 2010-07-29 2013-01-02 김윤중 정화장치가 부착된 의류용 얼룩 제거기
KR20200145450A (ko) 2019-06-21 2020-12-30 이미현 라인 클리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4817B (zh) 膠帶式清潔器
US6883989B2 (en) Portable cleaning device
US7370754B2 (en) Lens cleaning kit
US5000204A (en) Eyeglass cleaning kit and method of cleaning eyeglasses
KR200399269Y1 (ko) 휴대용 직물 클리너
US20160120392A1 (en) Tape cleaner
KR100485718B1 (ko)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록킹장치
KR101776564B1 (ko) 무한궤도클리너
JP2022081384A (ja) 掃除用クロスの交換が容易な掃除道具
KR200482525Y1 (ko) 점착롤러가 구비된 청소용구
KR100353400B1 (ko) 휴대용 먼지청소 로울러
KR200310237Y1 (ko) 간이식 청소기
JP4027473B2 (ja) 画面用クリーナー
KR100667857B1 (ko) 진공청소기 파워코드 정리장치
KR940007144Y1 (ko) 휴대형 먼지 소제구
KR20010073649A (ko) 휴대용 먼지청소 로울러
KR102535282B1 (ko) 휴대용 안경닦이
JP3355335B2 (ja) 携帯用ミニローラークリーナー
KR200355710Y1 (ko) 옷의 보풀소제구
KR100819357B1 (ko) 양면형 폼 크린 장치
KR101487601B1 (ko) 안경용 클리너
JP2022033523A (ja) 擦過清掃具
KR200171646Y1 (ko) 인장 세척기
JP2023077778A (ja) 写真用クリーナー
KR950004726Y1 (ko) 접착테이프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