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875Y1 - 자석과 스크루를 이용한 커튼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석과 스크루를 이용한 커튼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875Y1
KR200398875Y1 KR20-2005-0021899U KR20050021899U KR200398875Y1 KR 200398875 Y1 KR200398875 Y1 KR 200398875Y1 KR 20050021899 U KR20050021899 U KR 20050021899U KR 200398875 Y1 KR200398875 Y1 KR 2003988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opening
magnet
screw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8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서
Original Assignee
(주)빛과창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빛과창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빛과창 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20-2005-00218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8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8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8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5/00Devices for drawing draperies, curtains, or the like
    • A47H5/02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curtains
    • A47H5/032Devices with guiding means and draw cords
    • A47H5/0325Devices with guiding means and draw cords 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al drive, detecting or cont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5/00Devices for drawing draperies, curtains, or the like
    • A47H5/02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curtains
    • A47H5/06Devices with screw-threads on rods or spi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5/00Devices for drawing draperies, curtains, or the like
    • A47H5/02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curtains
    • A47H2005/025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curtains controlled by electronic sensor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튼을 이동시킬 때 자석과 스크루를 이용하여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된 커튼 개폐장치로서, 본 고안에 따르면, 건물의 천장이나 벽에 고정되어 커튼을 개폐하도록 하는 커튼개폐장치에 있어서, 커튼이 복수의 롤러헹거를 통해 고리결합되는 레일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과 가요성축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레일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전후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나사결합되는 자석부재 및 일측으로 상기 롤러헹거와 결합되고 타측으로 상기 자석부재와 자력으로 결합되어 해당 자석부재의 전후 이동과 연동되어 이동해 해당 커튼을 개폐시키는 이동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과 스크루를 이용한 커튼개폐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석과 스크루를 이용한 커튼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CURTAINS USING PERMANENT MAGNET AND SCREW}
본 고안은 블라인드나 커튼을 지탱하면서 치거나 걷기 위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튼을 이동시킬 때 자석과 스크루를 이용하여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된 커튼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업무용 빌딩 등의 창에는 햇빛을 가리거나 바깥에서 실내를 들여다 볼 수 없도록 하는 블라인드 또는 커튼이 설치된다.
이와같은 블라인드나 커튼 등을 지탱하고 개폐하는 구조에 있어서는 수동 조작형이 대부분이었다.
상기 수동조작형은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하나 커튼을 개폐하려면 일일이 커튼의 위치로 다가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주변환경에 따라 커튼이 높이 설치되어 있거나 주변에 장애물이 놓여 있는 등 손에 잘 닿지 않음으로써 수조작으로 커튼을 개폐하기 힘든 경우가 종종 있었다.
종래의 기술로서, 동력을 이용한 커튼개폐장치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1-17778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종래 기술의 커튼개폐장치에 의하면, 압축공기를 발생하도록 작동되는 에어펌프와, 레일의 전장에 상응하는 길이로 연속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있고 그 내부 공간으로 상기 에어펌프와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주입받고 배기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포트와, 상기 2개의 포트를 통해 주입 및 배기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차이에 의해 이동할 수 있는 영구자석 램을 가지고 있는 에어실린더를 구비하여야 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고, 그에 따라 시공이 어렵게 되고, 레일의 전장에 상응하는 길이로 에어실린더가 삽입될 공간을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 기술의 커튼개폐장치는 내부공간이 에어펌프와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주입받고 배기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내부공간이 공기가 세어나지 않도록 완전밀폐되어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사용자가 소정의 힘 이상의 힘을 이용하여 커튼을 개폐하고자 할 경우 커튼 상단부가 찢어지거나 커튼의 고리부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건물의 천장이나 벽에 고정되어 커튼을 개폐하도록 하는 커튼개폐장치에 있어서, 커튼이 복수의 롤러헹거를 통해 고리결합되는 레일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과 가요성축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레일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전후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나사결합되는 자석부재 및 일측으로 상기 롤러헹거와 결합되고 타측으로 상기 자석부재와 자력으로 결합되어 해당 자석부재의 전후 이동과 연동되어 이동해 해당 커튼을 개폐시키는 이동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과 스크루를 이용한 커튼개폐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튼개폐장치의 전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튼개폐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석과 스크루를 이용한 커튼개폐장치의 주요부분을 설명하면, 상기 커튼개폐장치는 벽이나 천장에 고정설치되는 비자성체 재질의 레일프레임(10), 상기 레일프레임을 건물의 천장이나 벽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클립(20,20'), 상기 레일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스크루(45), 상기 스크루에 형성된 자석(40), 상기 자석에 흡착되어 함께 이동되는 이동자(50), 상기 이동자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롤러헹거(60), 상기 이동자가 이동됨에 따라 이동하는 커튼(70), 상기 언급된 구성요소와 일정거리 떨어져 있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로 구성된 구동부(30), 상기 구동부와 상기 스크루의 사이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가요성축(35)을 포함한다.
레일프레임(10)은 상면 전후측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걸림홈(11a,11b), 복수의 롤러헹거(60)를 일렬로 수용하여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16)이 형성되어 있는 레일홈을 가지고 있다.
클립(20,20')은 건물의 창측 천장이나 벽에 시공되는 고정구조물에 상기 레일프레임(10)을 고정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그 고정구조물에 별도의 나사못이나 볼트로 체결고정되며, 상기 레일프레임(10)의 걸림홈(11a,11b)에 훅킹(hooking) 형식으로 끼워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립(20,20')은 통상과 같이 레일프레임(10)의 길이에 따라 2개 이상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일프레임(10)의 걸림홈(11a,11b)을 탈착시킬 수 있고 또 결합된 상태에서는 저절로 이탈되지 않게 구속할 수 있는 자체 탄력을 보유하는 것이다.
스크루 즉, 회전부재(45)는 상기 레일프레임(10)과 동일한 방향과 길이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가요성축에 의하여 소정의 동력을 구동부로부터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자석(40)은 상기 스크루가 회전될 때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일 프레임(10)의 내부에서 상기 스크루 즉 회전부재(45)가 회전함에 따라 좌, 우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스크루(45)에 의해 관통되어 있다.
상기 자석(40)은 상기 구동부가 구동될 경우, 그 작동방향에 따라 상기 스크루의 홈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상기 자석(40)의 양측부에 광센서를 부착하여 힘을 주는 방향에 따라 커튼이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방법은 도 3에서 설명하겠다.
이동자(50)는 상기 자석(40)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자기적으로 흡착하여 함께 이동될 수 있는 자화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이동자(50)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롤러행거(60) 중 개폐방향의 첫 번째 위치에 있는 롤러행거와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롤러행거(60)는 상기 레일프레임의 레일에 걸친 채 그 위를 구름마찰로 이동하는 롤러(61), 상기 롤러사이에서 축(62)으로 연결되어 있는 행거(63), 상기 행거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고리부(65)를 포함한다.
한편, 첫번째 롤러헹거(60)는 상기 헹거(63)의 상단에 일체로 돌기되어서 상술한 이동자(5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롤러헹거(60)의 고리부(65)는 접촉센서를 형성하여 힘을 주는 방향에 따라 커튼이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방법은 도 4에서 설명하겠다.
커튼부재(70)는 상기 롤러헹거의 고리부(65)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30)는 실외에 위치시켜 입력받은 동력신호에 따라 가요성축을 통해 스크루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3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터로 구성될 수도 있고, 무소음모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가요성축(35)은 외부에 설치된 상기 구동부(30)와 상기 레일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스크루(45)를 연결하며,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한 동력을 상기 스크루(45)의 양측에 형성된 베어링을 이용하여 회전을 시켜 자석(40)을 움직인다.
즉, 상기 가요성축(35)은 실내와 떨어진 외부에 형성된 구동부(30)와 스크루(45)를 연결하여 구동부가 구동될 때 모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원격제어기(135)는 커튼개폐용 원격제어신호를 개폐하는 적어도 2개의 조작버튼(136, 137)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구동부에 장착된 제어부(131)는 그 원격제어기(135)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서 구동부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통상적인 전자제어회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원격제어기(135) 열기용 조작버튼(136)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31)는 상기 구동부(130)에 동력을 발생시켜 가요성축(35)을 통해 상기 스크루(45)를 회전시킨다.
이에따라, 상기 스크루에 연결된 자석(40)은 타측으로 이동되고, 그와 다른 극성을 띠고 있는 이동자(50)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이동자(50)에 연결되어 있는 롤러행거(60)가 함께 이송되어짐에 따라 커튼(70)이 개방되는 것이다.
반대로, 사용자로부터 원격제어기(135)의 닫기용 조작버튼(137)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31)에 의해 상기 구동부(30)가 동작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스크루(45)가 이동을 하게 되고, 자석(40)이 상기와 반대로 움직이면서, 이동자(50) 및 롤러행거(60)도 함께 이송되어지며, 따라서 커튼(70)이 폐쇄되게 된다.
상기 커튼부재의 개폐는 상기한 원격제어기의 조작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지속되므로 그 개폐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커튼 부재의 개폐정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있다.
상기에 언급한 커튼개폐장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실외에 설치하여 구동부의 모터가 구동될 때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고, 상기 스크루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스크루에 삽입된 자석이 이동되어 이동자와 커튼을 이동시키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튼개폐장치의 센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커튼에 무리한 힘을 가하거나 커튼개폐시 힘의 방향을 잘못 선택하여 당길 경우, 고리부가 끊어지거나 또는 커튼이 찢어지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사용자의 강제적인 커튼개폐동작을 광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사용자가 커튼에 대하여 힘을 주는 방향에 따라 해당 커튼이 자동적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커튼 구동부품 손상을 방지한다.
즉, 커튼개폐장치는 상기 자석(40)의 양측에 투광부와 수광부가 공존하며 반사경을 통해 물체를 감지하는 광센서(46a, 46b)를 부착하여 상기 이동자(50)의 미세한 이동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석(40) 및 이동자(50)은 평상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해당 커튼의 사용자가 무리한 힘으로 해당 커튼을 열거나 닫고자 하는 경우 쉽게 해당 커튼의 구동 부품에 파손이 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강제적인 커튼 개폐동작을 인식하여 해당 사용자의 물리적인 개폐동작을 즉시 인식해 해당 커튼을 자동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구성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석(40)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이동자(50)를 향해 적외선을 발광하는 광센서(46a, 46b)를 구비하여 이러한 사용자의 강제적인 커튼 개폐동작을 즉각적으로 인식하고 해당 커튼을 자동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석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이동자(50)를 향해 적외선을 발광하는 광센서(46a, 46b)들은 정상상태에서 해당 이동자(50)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나, 사용자가 커튼을 직접 개폐시키기 위해 강제적인 힘을 해당 커튼에 가하게 되면 해당 커튼(70)과 연동되는 이동자(50)는 미세하게 그 강제적인 힘에 상응하는 움직임을 보이게 되며 상기 광센서(46a, 46b)들은 이러한 이동자(50)의 부적절한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31)로 해당 감지신호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즉, 해당 자석의 좌측에 구비되는 제 1 광센서(46a)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해당 커튼을 닫고자 강제적으로 해당 커튼을 도면의 좌측으로 당기는 경우 해당 커튼과 연동된 상기 이동자(50)의 미세한 움직임 즉, 이동자(50)의 좌측이동을 적외선을 통해 감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해당 자석의 우측에 구비되는 제 2 광센서(46b)는 도면에 사용자가 해당 커튼을 열고자 강제적으로 해당 커튼을 도면의 우측으로 당기는 경우 해당 커튼과 연동된 상기 이동자(50)의 미세한 움직임 즉, 상기 이동자(50)의 우측이동을 적외선을 통해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광센서(46a, 46b)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신호를 통해 해당 커튼에 대한 사용자의 강제적인 개폐동작을 인식해 해당 사용자의 동작에 상응하는 자동 개폐동작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해당 고정 커튼의 강제적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튼개폐장치의 센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자(50)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롤러헹거(60)의 양측면에 접촉센서(47a, 47b)가 부착되어 사용자의 강제적인 커튼 개폐동작을 즉각적으로 인식하고 해당 커튼을 자동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자(50)와 연결되어 있는 롤러헹거(60)의 고리부(65)의 양측면에 접촉센서(47a, 47b)가 부착되어 정상상태에서는 접촉되지 않아 감지하지 못하게 되나, 사용자가 커튼을 직접 개폐시키기 위해 강제적인 힘을 해당 커튼에 가하게 되면 해당 커튼(70)과 연동되는 고리부(65)는 미세하게 그 강제적인 힘에 상응하는 움직임을 보이게 되며 이러한 고리부(65)의 부적절한 움직임을 상기 제어부(131)로 해당 감지신호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즉, 해당 고리부의 좌측에 구비되는 제 1 접촉부(47a)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해당 커튼을 닫고자 강제적으로 해당 커튼을 도면의 좌측으로 당기는 경우 해당 커튼과 연동된 상기 고리부(65)의 미세한 움직임을 감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해당 고리부(65)의 우측에 구비되는 제 2 접촉부(47b)는 도면에 사용자가 해당 커튼을 열고자 강제적으로 해당 커튼(70)을 도면의 우측으로 당기는 경우 해당 커튼과 연동된 상기 고리부(65)의 미세한 움직임을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31)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부(47a, 47b)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신호를 통해 해당 커튼(70)에 대한 사용자의 강제적인 개폐동작을 인식해 해당 사용자의 동작에 상응하는 자동 개폐동작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해당 고정 커튼의 강제적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커튼개폐장치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커튼을 잡아당길 경우 상기에 언급한 센서부가 감지하여 부적절한 움직임을 제어부로 해당 감지신호를 전송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감지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동작에 상응하는 자동 개폐동작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해당 커튼의 강제적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본 고안은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계식 동력전달구조로서, 자석과 스크루를 이용하여 구조가 간단함은 물론 기계적 마찰 부분이 적으므로 마찰에 기인하는 문제점이 해결되며, 레일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스크루와 실외에 설치된 구동부가 가요성축으로 연결되어 소음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커튼개폐시에 취급상의 편리와 함께 소음발생과 고장율을 낮추어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고 시공이 용이하여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개폐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튼개폐장치의 레일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튼개폐장치의 센서부를 나타내는 도면.

Claims (4)

  1. 건물의 천장이나 벽에 고정되어 커튼을 개폐하도록 하는 커튼개폐장치에 있어서,
    커튼이 복수의 롤러헹거를 통해 고리결합되는 레일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과 가요성축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레일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전후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나사결합되는 자석부재; 및
    일측으로 상기 롤러헹거와 결합되고 타측으로 상기 자석부재와 자력으로 결합되어 해당 자석부재의 전후 이동과 연동되어 이동해 해당 커튼을 개폐시키는 이동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과 스크루를 이용한 커튼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재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이동자를 향해 적외선을 발광하는 광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센서가 사용자의 강제적 힘에 의한 상기 이동자의 미세위치이동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가 해당 미세위치이동 감지신호에 따라 해당 커튼을 자동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과 스크루를 이용한 커튼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헹거의 고리부 양측면에 접촉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접촉센서가 사용자의 강제적 힘에 의한 상기 고리부의 미세위치이동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가 해당 미세위치이동 감지신호에 따라 해당 커튼을 자동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과 스크루를 이용한 커튼개폐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해당 구동부의 커튼 개폐를 위한 회전부재 제어를 외부에서도 원격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과 스크루를 이용한 커튼개폐장치.
KR20-2005-0021899U 2005-07-28 2005-07-28 자석과 스크루를 이용한 커튼개폐장치 KR2003988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899U KR200398875Y1 (ko) 2005-07-28 2005-07-28 자석과 스크루를 이용한 커튼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899U KR200398875Y1 (ko) 2005-07-28 2005-07-28 자석과 스크루를 이용한 커튼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875Y1 true KR200398875Y1 (ko) 2005-10-17

Family

ID=43699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899U KR200398875Y1 (ko) 2005-07-28 2005-07-28 자석과 스크루를 이용한 커튼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87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665B1 (ko) 2010-05-14 2011-07-08 박대원 과부하 검출 기능을 갖는 권양 장치
CN107280436A (zh) * 2017-08-04 2017-10-24 合肥宁致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家居用智能窗帘
CN109259568A (zh) * 2018-09-12 2019-01-25 利辛县富亚纱网有限公司 一种快速响应的门帘启闭装置及具有其的自动门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665B1 (ko) 2010-05-14 2011-07-08 박대원 과부하 검출 기능을 갖는 권양 장치
CN107280436A (zh) * 2017-08-04 2017-10-24 合肥宁致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家居用智能窗帘
CN109259568A (zh) * 2018-09-12 2019-01-25 利辛县富亚纱网有限公司 一种快速响应的门帘启闭装置及具有其的自动门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0700B2 (en) Battery-powered motorized window treatment having a service position
EP2167776B1 (en) Winding shaft with tubular drive and electronic motion sensor
JP6012051B2 (ja) 自動引き戸用駆動システム
KR100706328B1 (ko) 슬라이드 도어의 전동 개폐장치
KR101997724B1 (ko) 자동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CN114901108B (zh) 机动驱动装置、掩蔽或日光保护装置及家庭自动化设备
KR200398875Y1 (ko) 자석과 스크루를 이용한 커튼개폐장치
WO2014169173A1 (en) Low-power architectural covering
JP2006314389A (ja) 電動カーテン
US20240044204A1 (en) Battery-powered motorized window treatment
KR101397187B1 (ko) 창문 자동 닫힘장치
KR101028141B1 (ko) 공동주택용 복도 창문의 자동개폐장치
US10544617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motorised drive device of a sliding window for a building
KR20210069216A (ko) 와이어 텐션이 유지되는 자동 슬라이딩 도어시스템
AU2020209692B2 (en) Opening-closing control system and opening-closing control method
KR20100022561A (ko) 자동 창호 시스템
JP4837621B2 (ja) 扉保持装置
KR20080004754A (ko)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발코니 도어
KR101060483B1 (ko) 창문개폐장치
KR102097427B1 (ko) 구동부 조향축 조절이 용이한 미닫이형 창호의 자동 환기 장치
AU2002366010A1 (en) Method for matching the command issued of the direction of an electric motor in a closure installation or the like such as a roller shutter
KR200410638Y1 (ko)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
EP2551440B1 (en) Motorised awning unit
KR200194374Y1 (ko) 미닫이식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JPH033611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