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788Y1 - 토션스프링을 갖는 도어 완충기 - Google Patents

토션스프링을 갖는 도어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788Y1
KR200398788Y1 KR20-2005-0020739U KR20050020739U KR200398788Y1 KR 200398788 Y1 KR200398788 Y1 KR 200398788Y1 KR 20050020739 U KR20050020739 U KR 20050020739U KR 200398788 Y1 KR200398788 Y1 KR 2003987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ide member
hole
oil storage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7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성
Original Assignee
이동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성 filed Critical 이동성
Priority to KR20-2005-00207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7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7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7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84Torsion spring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션 스프링을 갖는 도어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어와 도어틀에 제공되는 힌지브래킷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시 완충력을 제공하게 되는 도어 완충기에 있어서, 중공형의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하단부에 몸체가 결합 고정되며, 이 몸체의 상면 중앙에 오일저장홀과 이 오일저장홀의 상측에 스플라인부를 형성하는 파이프형의 안내부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오일저장홀의 바닥면을 통해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연통하는 오일유로 및 그 저면에 상기 오일유로의 오일이동량을 조절하는 유압조절나사를 가져서 된 유압조절체와; 상기 안내부재의 오일저장홀에서 상측부가 상기 스플라인부와 치합되어 상하로만 이동하게 되며, 중앙에 축방향을 따라 상향 개방된 나사홀이 형성되고, 하측 바닥면에 체크밸브가 구비되는 피스톤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를 커버하며 중앙 안내홀을 갖는 커버체와; 하단부에 상기 피스톤의 나사홀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부가 형성되고, 중간부에 상기 커버체의 안내홀을 통과하여 그 저면에 걸림되어 공지의 슬라이드 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안내부재의 상단부가 밀착되는 확개부가 형성되며, 상측에 나사부 및 그 하측에 다각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샤프트와; 상기 안내부재를 감싸며 상측 일단이 상기 샤프트의 확개부 저면에 고정되고, 하측 타단이 상기 유압조절체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도어 개폐시 도어 완충기에 제공되는 토션스프링이 토션력을 가지며 도어의 개폐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의 개폐력을 향상시키도록 함과 더불어 도어 완충기의 구조를 간단하게 설계 제작하여 그 경제적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토션스프링을 갖는 도어 완충기{A DOOR DAMPER WITH A TORSION SPRING}
본 고안은 도어 완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개폐시 도어 완충기에 제공되는 스프링이 토션력을 가지며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의 개폐력을 향상시키도록 함과 더불어 도어 완충기의 구조를 간단하게 설계 제작하여 경제적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토션스프링을 갖는 도어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완충기는, 도어와 도어틀 사이에 설치되어 내부에 제공되는 스프링 및 유압력을 통해 도어의 개폐시 유압 완충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도어 완충기는, 다수 제안되어 실시되고 있으며, 그 한 예로 국내 특허 등록 제2003-403366호 "도어 개폐 완충 장치"가 출시된 바 있다.
이를 요약해 보면,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판과, 도어에 회전되도록 고정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하부에 고정되고 유체가 완충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고정판과 연결 고정되도록 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하 유동되며 유로를 통해 유압력을 제공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초기상태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을 밀폐되도록 하며 유압조절을 위한 유압조절나사를 갖는 캡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도어 개폐 완충 장치는, 도어의 회전시 샤프트를 통한 피스톤의 승강 동작을 통해 압축스프링이 압축력을 가지게 되고 도어의 닫힘 동작시 압축스프링의 복원력과 유로를 통한 유압 완충력을 통해 자동 닫힘기능을 가지게 된다.
즉, 도어의 개폐동작시 유로를 통한 유압력과 압축스프링 복원력을 통해 도어에 유압 완충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으로, 압축스프링의 압축력이 크게 작용할 경우 이를 유압력으로 제어하여 도어의 안정된 닫힘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도어 개폐 완충 장치의 경우 도어의 닫힘력이 압축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도어의 닫힘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압축스프링의 길이를 길게 하여야 되고 이러한 경우 하우징의 길이를 길게 하여야 됨에 따라 도어에 비해 하우징의 길이가 커져 외관상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의 도어는 도어의 닫힘순간 상해 등을 방지하기 위해 닫힘속도가 다단으로 제어된 상태에서 서서히 닫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도어의 닫힘순간에도 스프링의 복원력이 크게 작동해야 하는 하는데 압축스프링을 적용하는 경우 도어의 닫힘순간 속도 제어시 복원력이 크게 감소되어 결국 도어의 닫힘력 약화로 도어가 온전하게 닫히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를 해결하고자 압축스프링의 크기를 길게 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전술한 바와같이 하우징의 크기가 커져 이를 도어에 적용하는 경우 그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를 완충력있게 개폐하는 도어 완충기가 토션스프링에 의해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의 안정된 닫힘력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도어 완충기의 내부 구조 중 유압의 이동경로가 최소 구간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개선하여 비용절감과 더불어 그 크기를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와 도어틀에 제공되는 힌지브래킷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시 완충력을 제공하게 되는 도어 완충기에 있어서,
중공형의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하단부에 몸체가 결합 고정되며, 이 몸체의 상면 중앙에 오일저장홀과 이 오일저장홀의 상측에 스플라인부를 형성하는 파이프형의 안내부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오일저장홀의 바닥면을 통해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연통하는 오일유로 및 그 저면에 상기 오일유로의 오일이동량을 조절하는 유압조절나사를 가져서 된 유압조절체와; 상기 안내부재의 오일저장홀에서 상측부가 상기 스플라인부와 치합되어 상하로만 이동하게 되며, 중앙에 축방향을 따라 상향 개방된 나사홀이 형성되고, 하측 바닥면에 체크밸브가 구비되는 피스톤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를 커버하며 중앙 안내홀을 갖는 커버체와; 하단부에 상기 피스톤의 나사홀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부가 형성되고, 중간부에 상기 커버체의 안내홀을 통과하여 그 저면에 걸림되어 공지의 슬라이드 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안내부재의 상단부가 밀착되는 확개부가 형성되며, 상측에 나사부 및 그 하측에 다각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샤프트와; 상기 안내부재를 감싸며 상측 일단이 상기 샤프트의 확개부 저면에 고정되고, 하측 타단이 상기 유압조절체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 수단은, 공지의 부싱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갖는 도어 완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며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공지된 부분에 대해서는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에 의하여, 본 고안은, 도어와 도어틀에 설치되는 힌지브래킷의 힌지홀에 적용되며 도어의 개폐시 완충력을 제공하게 되는 도어 완충기(10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어 완충기(1000)는, 도어측 힌지브래킷에 결합되는 하우징(100)과, 이 하우징(100)에 삽입 결합되는 유압조절체(200)와, 이 유압조절체(200)의 내측에서 승강되는 피스톤(300)과, 커버체(400)와, 상기 피스톤(400)을 승강시키는 샤프트(500)와, 도어 회전시 토션력을 발생하는 토션스프링(60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중공형의 파이프 부재로 이루어지며, 그 내측의 상하부에 나사부(110)(120)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110)(120)에는 상기 커버체(400)와 유압조절체(200)가 각각 결합 고정된다.
상기 유압조절체(200)는, 몸체(210)와, 이 몸체(210)의 상면 중앙에 세워져 고정되는 안내부재(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210)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 나사부(120)에 결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재(220)는 상기 몸체(210)의 상면 중앙에 세워져 고정되며, 상기 안내부재(220)는 파이프 형상으로 그 내측에 상향으로 개방된 오일저장홀(222)이 형성되고, 상기 오일저장홀(222)은 상측 내벽에 스플라인부(224)가 일정구간 상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오일저장홀(222)의 바닥면에는 상기 바닥면을 통해 상기 몸체(210)의 외측으로 연통하는 오일유로(212)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210)의 중앙에는 상기 오일유로(212)의 오일이동량을 조절하는 유압조절나사(23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유압조절나사(230)의 나사조절부(232)는 공지 기술과 같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재(220)의 상측에는 오일이 안내될 수 있도록 오일유로(226)가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300)은, 상기 안내부재(220)의 오일저장홀(222)에 위치되며, 하측부가 상기 안내부재(220)의 오일저장홀(222)에서 상하 슬라이드되고, 상측부 외경이 상기 안내부재(220)의 스플라인부(224)와 치합되어 상하로만 이동되도록 스플라인부(3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중앙에는 축방향을 따라 상향 개방된 나사홀(310)이 형성되고, 하측 바닥면에 오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일방향 체크밸브(320)가 구비된다. 상기 피스톤(300)의 하측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오링이 제공되어 상기 피스톤(300)의 승하강시 기밀유지를 하게 된다.
상기 커버체(400)는, 링형부재로 그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 나사부(110)에 나사 결합되며, 그 중앙에는 안내홀(4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홀(410)의 내주벽면에는 오링이 제공되어 후술될 상기 샤프트(500)의 슬라이드 결합시 기밀유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샤프트(500)는, 하단부에 상기 피스톤(300)의 나사홀(310)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부(510)가 형성되고, 그 중간부에는 상기 커버체(400)의 안내홀(410)을 통과하여 그 저면에 걸림되어 공지의 슬라이드 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안내부재(220)의 상단부가 밀착되는 확개부(5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체(400)의 안내홀(410)을 통과한 상측에는 상하로 나사부(530) 및 그 하측에 다각부(540)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브래킷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500)의 확개부(520)와 이에 밀착되는 상기 커버체(400)에는 부싱이 제공되어 상기 커버체(400)와 상기 샤프트(500)가 슬라이드 접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체(400)의 안내홀(410) 내주면에는 오링이 제공되어 상기 샤프트(500)의 외면과 접촉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토션스프링(600)은, 상기 안내부재(220)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되며, 그 상측 일단이 상기 샤프트(500)의 확개부(520) 저면에 형성된 고정홈(521)에 고정되고, 하측 타단이 상기 유압조절체(200)의 몸체(210) 상면에 형성된 고정홈(214)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500)와 상기 하우징(600)의 상대운동시 토션력을 발생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완충기의 조립 및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립시에는,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우징(100)의 하단부에 유압조절체(200)를 결합 고정시킨다. 그런다음 유압조절체(200)의 안내부재(220)에 피스톤(300)을 삽입시켜 상기 피스톤(300)과 상기 안내부재(22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플라인 결합되도록 한다. 이후 토션스프링(600)을 상기 안내부재(220)를 감싸도록 한 다음 그 하단이 상기 유압조절체(200)의 몸체(210) 상면에 형성된 고정홈(214)에 고정되도록 하고 연속해서 상기 피스톤(300)의 나사홀(310)에 샤프트(500)의 나사부(510)를 나사 결합시킨 후 동시에 샤프트(500)의 확개부(520) 저면에 형성된 고정홈(521)에 상기 토션스프링(600)의 상단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후 하우징(100)의 상단에 커버체(400)를 결합 고정시키면 도어 완충기(1000)의 조립이 완료되고 이 도어 완충기(1000)를 도어와 도어틀에 제공된 힌지브래킷에 연결 고정시키면 된다.
이때, 하우징(100)의 상단부를 상기 도어측 힌지브래킷의 저면에 고정 결합시키고 동시에 샤프트(500)의 상단부를 도어틀측 힌지브래킷에 고정 결합시키면 도어 완충기(10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작동시에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 동작을 하게 되면, 먼저 하우징(100)이 회전되어 토션스프링(600)에 탄성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동시에 피스톤(300)이 샤프트(500)의 나사부(510)와 조임방향 결합으로 승강되며 이때 피스톤(300) 내측의 오일이 체크밸브(320)를 통해 안내부재(220)의 오일저장홀(222)로 빠르게 이동되어 유압력이 크게 작용하지 않아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어가 쉽게 열릴 수 있게 된다.
이후, 도어의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토션스프링(600)에 복원력이 발생되어 도어의 닫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한 동작으로 샤프트(500)와 나사 결합된 피스톤(300)이 풀림방향으로 하향 이동되는데, 이때 오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체크밸브(320)의 막힘으로 오일유로(212)를 통해 안내부재(220)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안내부재(220)의 상단에 제공된 오일유로(226)를 통해 상기 피스톤(300)의 내측으로 안내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오일유로(212)의 오일량은 유압조절나사(230)를 통해 조절하면 되고 이때 유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갖는 도어 완충기는, 도어의 개폐시 닫힘력을 제공하는 도어 완충기의 스프링이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도어의 닫힘 동작시 토션력과 함께 유압력이 작동되도록 하여 도어가 안정되게 닫힐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 완충기의 내부 구조 중 유압의 이동경로가 최소 구간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개선하여 비용절감과 더불어 그 크기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부품의 단순화로 극대화된 비용 절감 효과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품의 단순화로 그 크기를 축소화 시킬 수 있어 외관의 미려함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갖는 도어 완충기로서 도어 닫힘상태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갖는 도어 완충기로서 도어 개방상태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요부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0: 도어 완충기
100: 하우징
200: 유압조절체
210: 몸체 220: 안내부재
222: 오일저장홀 224,324: 스플라인부
230: 유압조절나사
300: 피스톤
310: 나사홀 320: 체크밸브
400: 커버체
500: 샤프트
510: 나사부 520: 확개부
600: 토션스프링

Claims (2)

  1. 도어와 도어틀에 제공되는 힌지브래킷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시 완충력을 제공하게 되는 도어 완충기에 있어서,
    중공형의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하단부에 몸체가 결합 고정되며, 이 몸체의 상면 중앙에 오일저장홀과 이 오일저장홀의 상측에 스플라인부를 형성하는 파이프형의 안내부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오일저장홀의 바닥면을 통해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연통하는 오일유로 및 그 저면에 상기 오일유로의 오일이동량을 조절하는 유압조절나사를 가져서 된 유압조절체와;
    상기 안내부재의 오일저장홀에서 상측부가 상기 스플라인부와 치합되어 상하로만 이동하게 되며, 중앙에 축방향을 따라 상향 개방된 나사홀이 형성되고, 하측 바닥면에 체크밸브가 구비되는 피스톤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를 커버하며 중앙 안내홀을 갖는 커버체와;
    하단부에 상기 피스톤의 나사홀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부가 형성되고, 중간부에 상기 커버체의 안내홀을 통과하여 그 저면에 걸림되어 공지의 슬라이드 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안내부재의 상단부가 밀착되는 확개부가 형성되며, 상측에 나사부 및 그 하측에 다각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샤프트와;
    상기 안내부재를 감싸며 상측 일단이 상기 샤프트의 확개부 저면에 고정되고, 하측 타단이 상기 유압조절체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스프링을 갖는 도어 완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수단은, 부싱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스프링을 갖는 도어 완충기.
KR20-2005-0020739U 2005-07-16 2005-07-16 토션스프링을 갖는 도어 완충기 KR2003987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739U KR200398788Y1 (ko) 2005-07-16 2005-07-16 토션스프링을 갖는 도어 완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739U KR200398788Y1 (ko) 2005-07-16 2005-07-16 토션스프링을 갖는 도어 완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533A Division KR20070009911A (ko) 2005-07-16 2005-07-16 토션스프링을 갖는 도어 완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788Y1 true KR200398788Y1 (ko) 2005-10-18

Family

ID=43699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739U KR200398788Y1 (ko) 2005-07-16 2005-07-16 토션스프링을 갖는 도어 완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7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8312B2 (en) Combined door hinge with variable hydraulic damping and stopper device performance
JP3990384B2 (ja) 自動復帰機能を有する多用途ヒンジ装置
US5152029A (en) Hydraulic hinge
US11008794B2 (en) Damper device and hing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US20100287729A1 (en) Hydraulic Door Closer
US20180238092A1 (en) Combined Door Hinge with Variable Hydraulic Damping and Stopper Device Performance
US7243394B2 (en) Door closing hinge device
KR101539347B1 (ko) 캠을 이용한 도어용 경첩
US4100646A (en) Self-closing hinge
JP2023511607A (ja) 自閉式液圧緩衝ヒンジ
KR20070009911A (ko) 토션스프링을 갖는 도어 완충기
KR200398788Y1 (ko) 토션스프링을 갖는 도어 완충기
CN106170600A (zh) 活塞‑缸单元和具有活塞‑缸单元的门铰链
US6904642B2 (en) Closing device for gates and doors
KR101079673B1 (ko) 도어의 힌지 장치
CN102561871A (zh) 张力与速度调节分离的自动闭门铰链
KR200388916Y1 (ko) 도어 개폐 완충 장치
EP3371406B1 (en) Hinge for the rotatable movement of a door, a shutter or the like
KR200243185Y1 (ko) 내장형 도어 개폐 완충기
KR100534373B1 (ko) 유압식 완충경첩
KR100754295B1 (ko) 도어용 유압 경첩
KR200213553Y1 (ko) 유압식/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구비한 도어
KR100511563B1 (ko) 도어 경첩의 저속 개폐장치
KR100211903B1 (ko) 유압식 자동완충경첩
JP2003343151A (ja) フロアヒ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