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395Y1 - 목걸이 - Google Patents

목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395Y1
KR200398395Y1 KR20-2005-0016088U KR20050016088U KR200398395Y1 KR 200398395 Y1 KR200398395 Y1 KR 200398395Y1 KR 20050016088 U KR20050016088 U KR 20050016088U KR 200398395 Y1 KR200398395 Y1 KR 2003983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lace
tourmaline
coating
weight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0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원동
Original Assignee
양원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원동 filed Critical 양원동
Priority to KR20-2005-00160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3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3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3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44C27/002Metall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44C27/005Coating layers for jewell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원 고안은 사람이 본원 고안은 사람들이 목에 거는 목걸이(10)에 관한 것으로서 목걸이(10)의 소재는 금속 플라스틱, 합성수지, 광물질, 보석, 실리콘, 고무 등 그 종류와 용량도 다양하게 출시되어있다.
본원 고안은 상기 목걸이(10)의 소재중에 금속, 플라스틱, 합성수지, 광물질, 보석, 실리콘, 고무 폴리 계열 중 어느 하나의 소재나 이를 혼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진 목걸이(10)의 몸체에 토르 말린(TOUR MAINE)(20) 분말 0.1 내지 50중량%와 과일 향이나 아로마 향, 허브 향, 꽃 향 등의 천연 식물성 향 기제(30) 원료의 액체나 분말을 중량비 0.1 내지 10중량 %를 혼합(160)하거나 코팅(240)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출하는 기능성 목걸이(10)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목걸이 {necklace}
본원 고안은 상기하였듯이 사람이 멋을 내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목에 거는 목걸이(10)에 관한 것으로서 목걸이(10) 제조시 토르 말린 (20)을 혼합(160)이나 코팅(240)하여 살균력과 원적외선과 음 이온을 방출하는 작용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기능성 목걸이(10)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목걸이(10)의 유래와 배경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목걸이(10) (necklace)는 목이나 앞가슴을 장식하는 줄 모양 또는 고리 모양으로 된 장신구로서 목걸이(10)는 미적 효과를 꾀하는 외에, 신앙 상의 주술에 의한 것, 목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것, 성별(性別)이나 신분을 표시하기 위한 것 등 여러 가지의 종류가 있다.
목걸이(10)의 발생은 인간의 역사와 더불어 오래되었다.
애초 인류는 물체에 초자연적(超自然的)인 힘이 붙는다는 주물숭배(呪物崇拜)에서, 또 한편으로는 장신(裝身)의 뜻으로, 인체의 중요 부분인 목 부분에 대하여 정성을 들여 가꾸었으리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이것은 석기시대의 유물을 보거나, 현존 미개인의 풍속을 보더라도 알 수 있는데, 유물에서 볼 수 있는 나무열매, 조개껍데기, 동물의 뼈, 뿔, 이 또는 돌, 흙으로 빚어서 구운 물건의 조각 등이 그 증거이다.
목걸이(10)는 이와 같이 동서양을 불문하고 인류에 있어서 가장 보편적인 장신구의 하나로, 어느 것이나 연결된 구슬 모양의 것을 기본으로 하여 의복에 앞서서 사용된 경우도 있었다고 추측된다. 기술이 진보됨에 따라 이런 것들은 유리, 도기, 호박 기타 보석류로 대치되었고, 나아가서 금속시대(金屬時代)의 도래로 금속류와의 병존과 혼용이 이루어졌다.
일례를 들면, BC 4000∼BC 3000년경의 메소포타미아 상류층 여성의 유물 중에는 유리석 ,루비, 금 등으로 된 초 커(choker)가 있었고, 고대 이집트의 유물에서는 영롱한 색채의 구슬들을 연결한 독특한 비우(bib: 턱받이라는 뜻)나 채플릿(chaplet)이 많이 발견되었고 특히 고대 이집트 왕조의 제왕(諸王)은 목걸이(10)를 일종의 재산으로 생각하여 터키석, 마노, 공작석 등 아름다운 돌로 만든 여러 줄의 목걸이(10)를 걸고 재력과 권력을 과시했다.
중국에서도 신석기시대에 동물의 어금니, 벼, 뿔, 조개껍데기 ,연옥(軟玉)에 구멍을 뚫어 썼으며, 허난성[河南省]의 은허(殷墟)에서는 연옥이나 상아에 괴수를 조각한 것이 발견되었다.
선사시대의 북유럽에서는 전혀 양식을 달리하는 중후한 컬러가 애용되었다. 토르 크(torque)라고 하는 청동을 비틀어 꼬아서 고리 모양으로 만든 것, U자형의 철판으로 된 컬러가 그것이다.
또한, 이집트와 더불어 고대 목걸이(10)의 보고(寶庫)는 남유럽이며, 재료와 기술의 발달과 함께 형식적인 기초는 이 시대에 거의 완성단계에 이르렀다.
특히,에트뤼스크(Etruscque)의 사슬을 엮어서 만든 것과 알갱이로 된 금으로 만든 것은 유명하며, 그리스의 다이아몬드, 사파이어, 석류석, 오발 등 각종 보석을 끼운 사슬 목걸이(10)와 카메오(cameo), 로마의 진주 사용 등이 주목된다.
중세에 들어서면서부터 이들 기술은 비잔틴에 계승되어 유럽 각지에 퍼졌다. 정교한 기하학적 형태의 연결로 된 금이나 보석 외에 유리, 칠 보 등 다채로운 인공보석의 기술은 비잔틴에서 고도로 발달하여, 중세 초기 유럽의 목걸이(10) 세공에 큰 영향을 끼쳤다. 중세 말기에는 정교한 카커넷(carcanet)을 비롯하여, 특히 독일을 중심으로 유행한 여러 겹으로 된 사슬 목걸이(10)가 주목된다. 그러나 이때까지의 목걸이(10)는 특정 상류층 사람의 신분을 상징하는 데 그쳤다.
그 후 르네상스에 이르러 그 경향은 어느 정도 누그러져서 귀족으로부터
부호(富豪)로, 다시 서민에게로 퍼졌고 특히, 일찍부터 동방과의 교류가 있었던 이탈리아에서는 금은 세공을 비롯하여 카메오, 진주, 유리 등의 정교한 세공기술이 발달하여, 근세를 통하여 유럽의 보석 기술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 중에서도 카메오와 진주는 근세 목걸이(10)의 대표적이다.
18세기 초에 복장의 간소화와 더불어 일시 침체한 목걸이(10)가 말기에는 단순한 리본을 매는 정도로 바뀌었고, 19세기에 이르러서도 이전의 화려함을 되찾는 일은 없었다. 19세기 말기에 수세공(手細工)에 대한 평가가 높아지면서 다시 각광을 받았으며, 인조보석 등 과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목걸이(10)는 제2차 세계대전 후에 눈에 띄게 대중화되었다.
본원고안은 금속, 광물질, 합성수지, 플라스틱, 폴리계열로 이루어진 목걸이(10)의 제조시 토르 말린(20)을 혼합(160)하여 원적외선과 음 이온이 발생하는 토르 말린 (20) 물질이 함유된 기능성 목걸이(10)에 관한 것으로서 이상에서 살펴 본 것과 같이 본원 고안의 목걸이(10)는 기계의 물리적이나 전기적인 작용이 아니라 목걸이(10) 몸체의 제조 시에 간편하게 투입되므로 경제적이고도 음 이온과 원 적외선 방 사력이 타의 추정을 불허한 강력한 토르 말린(20)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언제 어디서나 전기적인 동력이나 시간의 낭비를 허비함이 없이 지속적으로 아래와 같은 탁월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은 인체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는 성분이 함유된 토르 말린(TOUR MAINE) 이 함유되어 있는 목걸이에 관한 것으로 상기 목걸이의 몸체인 금속, 광물질, 플라스틱, 합성수지, 폴리계열의 재료소재에 상기 토르 말린 분말을 재료소재 100중량%를 기준으로 0.1 내지 50중량%를 투입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과 탈취작용을 하는 기능성 목걸이를 제조하는데 본원고안의 목적이 있다.
본원 고안의 출원 전 선행기술로는 등록 실용 20-0385389, 공고실용신안 20-0208774 고안의 명칭: 장신용 티탄 볼 밴드란 명칭의 고안이 출원되었는데 상기기술은 실리콘이나 고무로 통공된 목걸이나 목걸이의 내부에 상기 티탄 또는 토리말린의 원석을 분쇄하여 사용한바 장기적인 사용과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으로 목걸이의; 외부 막이 파열되면 주입된 티탄 또는 토르 말린의 원석들이 모두 외부로 유출되어 사용을 할 수 없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본원 고안은 상기의 중공된 목걸이의 단점을 보완하여 토르 말린 원석을 미세한 입자로 하여 상기 목걸이의 소재인 플라스틱,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에 혼합 또는 코팅 막을 형성하여 파열의 문제가 발생하지않고 토르 말린과 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음이온과 원적외선의 방출효과를 높일 수 있는 기능성 토르 말린 목걸이에 관하여서이다.
상기 토르 말린에서 발산하는 원적외선은 인체 혈액의 흐름을 촉진, 발한작용(노폐물 방출) 촉진, 신경통, 관절염, 요통 등의 완화, 피부의 진정효과(안면), 탈취, 살균, 탈습, 연 수화작용(물), 공기청정등의 작용을 함으로 유럽과 일본에서는 보석, 속옷, 이불, 화장품, 공기정화기, 정수기 등에 널리 사용하고 있다.
천연 토르 말린(tourmaline)은 육방정계의 결정구조로서 2.90∼3.10g/㎠ 의 비중과 Max 3 Al 6 B3 S 16 (OH.O) 3 O(OH.F) 의 화학적 조성을 가지는 화성암으로 다이아몬드와 같이 투명한 것에서부터 핑크, 담녹색, 청색, 자색 및 적색 등의 색채가 풍부한 광석으로 특히 결정의 양단에 플러스와 마이너스극이 자연으로 발생하여 100만 볼트의 전위차가 발생하고 약 0.06mm 암페어의 미약 전류가 영구히 흐르고 있는 성질이 있어 일칭 전기석으로 불리기도 한다.
토르 말린의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미약 전류가 인체에 대해 경혈을 자극하여 말초순환계를 개선하여 혈류를 촉진해주는 등 고혈압과 소추(消推) 질병에 주효하며 수분과 접촉하면 마이너스 공기이온이 생성되어 산성화된 체액을 약 알칼리성 체질로 개선시켜 인체에 안정감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 한국건자재 시험연구원에서의 325메쉬의 토르 말린 분말에 대한 시험결과 다음의 표 1과 같이 원적외선 방사의 특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바 이러한 원적외선 및 방사 에너지에 의하여 혈액순환이 좋아지고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피부 노폐물의 배출을 촉진시켜 피부를 활성화하며 당뇨, 변비 통, 관절염 등의 치료에도 뛰어난 효과를 갖는 등 인체에 매우 유익한 효과가 있다.
1. 원적외선 방사 효과 (4~14마이크로미터 성장광선)
원적외선은 몸의 심층부까지 침투하여 세포를 뜨겁게 해주고, 혈액 이동을 좋게 해주며, 생체조직활성화, 면역력 증대, 신진대사를 원활히 유지시킨다고 알려져 있고. 토르 말린의 원적외선 방사율은 100%에 가깝고, 다른 어떤 광물보다도 높은 치수를 보인다.
특히 원적외선은 피하 40~50mm까지 침투하여 몸 내부로부터 방사되어 온천욕 느낌은 물론 피로회복, 혈액순환의 촉진, 면역력 증대, 생체조직 활성화, 피부탄력 유지, 냉증, 신경통, 근육통, 어깨 결림, 요통 등에 도움이 된다.
2. 음이온의 발생
음이온은 공기 비타민 이라고도 불리어, 우리들 신체에 이온 균형을 조정하는 작용이 인정되고 있고 음이온은 심신이 함께 이완되어, 세포를 활성화시켜 자연 치유력을 높임으로써, 몸의 산화나 노화를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대 환경은 양이온을 발생시키는 요소가 많고, 이 때문에 신체가 긴장 상태가 되는데 상기 토르 말린은 다량의 음이온을 방출시킨다.
3, 탈취효과
대부분의 냄새의 원인 물질은 공기 중을 떠다니고 있고 다시 말해 냄새 원인물질은 양이온에 대전하고 떠 있게 된다.
실내의 음이온이 많아지면 일부에서는 둥둥 떠다니는 냄새 원인 물질의 양이온과 음이온이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중화되어 냄새가 없어지는 무취화(無臭 化) 현상이 일어나고 이 때문에 공기 중의 냄새 성분이 작아져서 냄새가 약해지는 것이다. 토르 말린은 실내에 떠다니는 냄새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몸에서 발산되는 냄새에 대해서도 효과가 있으며 토르 말린에 의해 발생하는 음이온에는 냄새를 분해하거나 중화하는 작용이 있다.
4. 온열작용
토르 말린이 원적외선을 방목하는 양은 열을 가하는 만큼 증가하고 토르 말린 광석이나 분말로 한 것을 가공한 상품을 몸에 지니면, 인간의 신체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이 열에너지를 토르 말린이 다시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신체로 되돌려 준다. 자기 몸이 에너지원이 되어, 토르 말린이 몸을 데워주고 열에너지가 다시 토르 말린에서 원적외선을 방사시키므로 토르 말린 물질을 몸에 오래 지니면 지닐수록, 점점 그 효과가 높아진다.
5. 기타 효과
숙면효과, 혈액순환촉진, 피부탄력증가 및 트러블제거, 악취제거, 통증완화, 생장촉진, 수명연장, 면역력상승, 기력상승, 음식물맛 변화, 음식물의 신선도 유지, 유해전자파의 흡수 및 분산, 방충효과, 체질변화에 효과가 있다.
본원 고안은 상기하였듯이 여성이 통상적으로 멋을 부리기위해 사용하는
목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목걸이(10)의 몸체에 토르 말린(20)을 혼합(160)이나 코팅(240)하여 목걸이(10)의 몸체에서 음 이온과 원적외선 방사 작용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목걸이(10)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것과 같이 본원 고안의 목걸이(10)는 기계의 물리적이나 전기적인 작용이 아니라 목걸이(10) 몸체의 제조 시에 간편하게 투입되므로 경제적이고 원적외선과 음이온 발생이 타의 추정을 불허한 강력한 토르 말린(20)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아래와 같은 탁월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토르 말린(20)이 함유된 목걸이(10)는 몸에 좋은 음 이온과 원적외선이 발생하여 사용시 인체의 혈액순환과 내분비 활동을 왕성하게 하여 머리를 맑게 하여 주고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환경 호르몬인 포럼 알 데이트를 차단하여주고 반복적인 세척에도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 효과가 지속하는 많은 장점이 있다.
둘째: 토르 말림(20)은 물질과의 코팅(240)이나 혼합(160), 투 입 등이 매우 쉽고 본원 고안의 목걸이(10)의 재질인 금속, 플라스틱, 합성수지, 광물질, 보석, 실리콘, 고무 폴리 계열로 이루어진 목걸이(10) 몸체의 소재와 혼합(160)이나 코팅(240)이 잘 이루어진다.
셋째: 탈취 효과와 향 발산 효과가 있다. 본원 고안의 목걸이(10)는 사용자가 수시로 세척을 한다 해도 인체의 인체에서 분비되는 오염물질로 인하여 목걸이(10)의 표면에 세균막이 형성되고 특히 더운 여름에는 인체의 땀에 의하여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데,
본원 고안의 토르 말린(20)과 향이 함유된 목걸이(10)는 제조공정 중이나 최종 공정 중 바람직한 어느 한 과정에서 과일 향이나 아로마 향, 허브 향, 꽃 향 등의 식물성 향 기제 원료의 액체나 분말을 중량비 0.1 내지 10중량 %로 투입하여 항상 은은한 향기가 발산하게 되어있어 본원고안의 목걸이(10) 사용자와 타인의 후각을 즐겁게 하여주는 효과를 유지하는 장점이 있어 국민 건강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하였듯이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토르 말린(20)을 이용하여 목걸이(10) 몸체의 재질인 금속, 합성수지, 플라스틱, 광물질, 보석, 실리콘, 고무 폴리 계열로 이루어진 목걸이(10) 몸체의 소재에 혼합(160) 또는 코팅(240)하여 원적외선과 음 이온이발생하는 작용을 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토르 말린 (20) 광석의 소재를 미립자 형태의 분말 또는 나노(Nano)분말화하여 상기 목걸이(10) 몸체의 재질인 금속, 플라스틱, 합성수지, 광물질, 보석, 실리콘, 고무 폴리 계열로 이루어진 목걸이(10) 몸체의 전체 중량에 토르 말린(20)을 0.1 내지 50중량%로 과일 향이나 아로마 향, 허브 향, 꽃 향 등의 식물성 향 기제 원료의 액체나 분말을 중량비 0.1 내지 10중량 %로 투입하여 혼합(160) 또는 코팅(240)하고 상기 토르 말린 (20) 미립자의 입 경은 0.01 내지 500㎚의 입 경을 갖고 코팅(240)시 코팅(240) 두께는 0.0l㎛∼5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목걸이(10) 몸체에 토르 말린(20) 코팅 막(24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원적외선과 음 이온 방출이 효과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원 고안은 금속, 플라스틱, 합성수지, 광물질, 보석, 실리콘, 고무 폴리 계열 중 어느 하나의 소재나 이를 혼합(160)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진 목걸이 몸체의 전체 소재를 100중량% 기준범위로 하여 토르 말린(20)을 0.1 내지 50중량%로 과일 향이나 아로마 향, 허브 향, 꽃 향 등의 식물성 향 기제 원료의 액체나 분말을 중량비 0.1 내지 10중량 %로 투입하여 상기 목걸이(10) 몸체의 소재에 투입하여 혼합 (160) 또는 코팅(240)된 것이 특징인 목걸이(10)에 관한 것이다.
본원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원 고안의 구성물질인 은과 토르 말린(20)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토르 말린의 이름은 '혼합한 보석'이라는 뜻의 신할리스어(스리랑카어) ' tourmaline '라고 부르며 1500년대 중반 포르투 칼 탐험대는 브라질에서 그린 색 광물을 발견했는데 그들은 에메랄드라고 불렀지만 사실 그린 토르 말린 이었고 토르 말린은 1703년 셀론섬에서 최초로 투명한 색 토르 말린이 발견되었고, 이것이 유럽에 처음 소개된 후 보석으로서 유명하게 되었다.
1800년대 후반 티파니 사의 보석감정사 조지 군츠의 노력으로 미국 시장에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그는 미국 메인주와 캘리포니아주에서 발견되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보석으로 손색이 없음을 홍보하였고 20세기 초 브라질의 토르 말린 광산이 발견되자 시장 공급의 확대가 이루어졌다.
토르 말린은 여러 가지 색이 있기 때문에 매우 흥미로운 보석 중에 하나이며 스스로 에너지를 갖는 물질(우라늄광, 자철광, 토르 말린)중의 하나이다.
토르 말린의 최대 수입국은 중국이었으나 1900년대 초 공산화로 인해 시장이 봉쇄되었지만 다시 양질의 토르 말린이 유통되게 되었고 작은 조각품과 코담배 파이프 같은 실용적인 상품으로 제작되었고, 기타 여러 나라도 많이 선호하지만 가장 큰 시장은 여전히 중국이다.
유럽에서는 보석으로서 알려지기 전부터 토르 말린에 관한 이상한 현상들이 발견되었다고 기록에는 전하는데 한여름에 아이들이 토르 말린 광산(鑛山)에서 놀고 있을 때, 뜨거운 햇빛의 열로 따뜻하게 가열된 토르 말린 원석 결정체(結晶體)가 타고남은 재와 가벼운 물질을 끌어당기는 현상과 튕기는 현상에 주목하였고, 때로는 남자들이 이런 현상을 이용하여 담배 파이프에 막힌 재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토르 말린 결정체를 사용했다고 전해진다.
이 당시의 토르 말린 광산은 마을에서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광야(廣野)와 산악지대(山岳地帶)였고, 당연히 주변 생활환경 역시 좋지 않아 병에 걸리는 사람이 많았다고 한다. 특히 직접 땅 속 깊은 곳에 들어가 굴착작업(掘鑿作業)을 하는 광부 중에는 비좁고 딱한 공기와 흙먼지와 분진(粉塵)으로 인해 기관지(氣管支) 등 호흡기관련 질병에 걸리는 사람이 적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호흡기 질환자들 중 유독 토르 말린 광산의 광부들이 환자가 가장 작았다고 한다.
또한, 별칭 전기석(電氣 石)이라고 불리고 있는 광물은 지구상에 있는 광물 중에서 유일하게 자연상태에서 스스로 영구적으로 전자를 계속해서 흐르는 성질이 있는 일종으로 광물 중 다공성(多孔性)이 가장 많다.
일본에서는 약 200년 전에 북해도(北海道) 지방, 동북(東北) 지방,
중부(中部)지방, 구주(九州) 등 태평양 연안 근처에서 미량(微量)이 산출되었고, 토르 말린이 가지고 있는 성질 중 결정에 열(熱)을 가한다거나 마찰(摩擦)을 하면 작은 종이조각을 끌어당긴다는 것을 알게 되었지만, 왜 이런 현상이 발생에 대해서는 전혀 이해하지 못하였다.
라듐을 발견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큐리 부처(夫妻)인 피에르가 광물학자(鑛物學者)로 인던 형 자쿠의 도움을 받아 1880년 어느 날 토르 말린(TOUR MAINE) 결정이 외부에서 압력(壓力)을 받으면 결정체 표면에 전하(電荷: 전기)가 생기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것은 삐 에죠 전기(焦電氣: 열을 가하면 발생하는 전기)라고 부르게 되었다.
일본에서는 1986년 「물리학자」 久保哲治郎氏의 연구에 의해서 토르 말린을 아무리 분쇄하여도 자체적으로 자신이 결정의 양끝(兩極)에 양극(+)과 음극(-)이 존재, 영구히 그 성질이 사라지지 않는다고 발견하였다. 그래서 토르 말린 결정에 양극(+)과 음극(-)을 전선으로 연결하면 0.06mA의 미약 전류(微弱電流)가 정말로 흐르는 것이 증명 사실로 확인 및 증명된 후부터 토르 말린을 일명「전기석(電氣 石)」이라고 호명하게 되었고, 그리고 현재 일본(日本), 한국(韓國), 중국(中國)에서도 「電氣 石이라 부르고 토르 말린은 10월의 탄생석으로서 알려진 보석이다.
지구에서 존재하는 물질 중에서 자체적인 에너지가 있는 소재가 3가지가 있다. 방사선을 발생하는 「우라늄 광석」, 「자철광(磁鐵鑛)」, 「토르 말린 광석」 3가지이다. 하지만, 「우라늄 광석」에서는 아주 강한 방사선이 방출되어 원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으나 「자철광」이 갖고 있는 자석(磁石)의 성질인 자력(磁力)을 영구적으로 갖는 것과 같이 토르 말린 광석은 영구적으로 전기를 띠는 성질을 갖는다. 토르 말린이 방출하는 0.06mA라는 전기는 식물과 동물세포가 성장하기 위해 영양을 공급할 때 발생하는 미약 전류이다. 100와트의 전구가 1A(암페어), 헤어드라이기가 10A와 비교한다면 극히 미세한 전류이다. 그러나 토르 말린은 아무리 방전을 해도 전기를 발생시킨다.
토르 말린은 수억년 동안 태양으로부터 오는 유익한 에너지를 대량으로 흡수하고 있어 에너지를 반영구적으로 방출함으로 인체에 활력을 넣어주는 건강보석이며
토르 말린(電氣 石, tourmaline) 은 육방정계(六方晶系)에 속하는 광물로서 굳기(경도) 7.0∼7.5, 비중 2.98∼3.20. 투어말린이라고도 불리며, '투어 말린 광석'에서는 전기대전 기전에 의해 마이너스이온이 나온다 하여 건강 음료 등에 많이 이용되고 화학성분은 철, 마그네슘, 알칼리금속 등과 알루미늄의 복잡한 붕 규산염이다. 대개는 6각 또는 9각 때로는 3각 주상(柱狀)을 이루며, 주(柱)의 상하에서 결정형을 달리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상하가 편평한 능면체나 침상(針狀) ,모양(毛狀)을 나타내며, 때로 입상(粒狀) ,괴상(塊狀)을 이루기도 하고 쪼개짐은 분명하지 않고, 단구(斷口)는 평탄하지 않거나 패각상(貝殼狀)이며 굳기 7.0∼7.5, 비중 2.98∼3.20이고 유리광택 또는 수지광택이 있다.
상기 토르 말린 (電氣 石, tourmaline) 마찰에 의해서 전기가 생기며, 가열하면 양끝이 양, 음으로 대전(帶電)하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여졌고 철이 많은 것을 철 전기석이라 하며, 흑색을 띠며 육안으로는 불투명한 것이 많다.
토르 말린은 석영, 백 운모, 장석 등과 함께 화강암질 페그마타이트 속에서 산출되는데 마그네슘이 많은 것은 고토(苦土) 전기석 또는 마그네슘 전기석이라 하는데, 갈색을 띠며 반투명하고 접촉변성암, 광역변성암에서 산출된다.
알칼리금속이 많은 것을 귀 전기석(貴電氣石) 또는 알칼리 전기석이라 하며, 무색, 홍색, 청색, 황색 등 여러 가지 색을 띠며 투명한 것이 많고 그 중에서 특히 홍색인 것을 홍전기석(루벨라이트), 남청색(藍靑色)인 것을 남 전기석(인디고라이트), 녹색인 것을 녹전기석(벨데라이트 또는 브라질 에메랄드)이라 하여, 아름다운 것은 보석으로 사용된다.
특히 결정주(柱)의 양끝이나, 안쪽과 바깥쪽에서 색을 달리하는 경우가 있고 브라질 ,미국(캘리포니아주)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지에서 아름다운 것이 산출되고 화강암질 페그마타이트나 기성작용(期成作用)에 의한 광맥 등에서 산출된다.
상기 토르 말린은 지구상에 유일하게 존재하는 광물 중 유일하게 전기적 특성이 있기에 이 광석에서 생성되는 음이온과 미약 전류, 원적외선은 건강과 환경을 위해 세계적인 대학과 연구소에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획기적인 신물질이며 특히 원적외선의 효과와 마이너스이온의 효과가 있다.
원적외선은 혈액의 순환을 좋게 해서 몸을 따뜻하게 하고 신진대사를 활발히 하는 기능이 있고, 마이너스이온은 스트레스 등으로 깨지기 쉬운 자율신경의 긴장을 풀어주며, 몸과 마음의 컨디션을 조정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토르 말린(電氣 石, tourmaline) 은 전기분해에 따라 음이온이 발생하고
0.06mA의 미약 전류(微弱電流)를 방출하고 미네랄 (Na, Mg, Fe, B) 보유하고
PH 7.2~7.5이며 원적외선 방출량은 4 ~14미크론 적외선 방사율(%) 92.72%이다.
또한, 집전효과(集電效果 온도변화에 따라 표면에 전하(電荷)를 띔)
와 압전효과(壓電效果 가압하면 표면에서 전압이 발생)가 발생한다.
또한, 토르말린은 열을 가하면(약 100도) 먼지를 끌어들이는
초선기성(Pyroelectricity)기능이 있어 네델란드에서는 토멀린을
에선트랙커즈(aschentrekers)라고 불렀으며, 이런 성질을 이용하여 파이프 담배에서 담배 재를 꺼내는데 이용했었다.
뜨거운 조명 아래 진열해 놓으면 공기 중의 먼지를 끌어당기는 것은 이러한 성질 때문으로 쿼츠 보다 낮지만 압력을 가하면 생기는 압전기성(Piezoelectricity)도 띤다.
본원고안은 상기하였듯이 상기의 금속, 플라스틱, 합성수지, 광물질, 보석, 실리콘, 고무 폴리 계열 중 어느 하나의 소재나 이를 혼합(160)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진 목걸이(10) 몸체의 소재에 토르 말린(20) 물질을 코팅 (240) 또는 혼합(160)하여 목걸이에 음 이온과 원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토르 말린(20)을 함유한 기능성 목걸이(10)에 관한 것이며;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동일한 참조부호와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와 발 찌의 사시 도로서,
체결부(40)로 구성된 목걸이 또는 발 찌는 금속, 플라스틱, 합성수지, 광물질, 보석, 실리콘, 고무 폴리 계열 중 어느 하나의 소재나 이를 혼합(160)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진 목걸이(10) 몸체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금속제 목걸이와 발 찌의 토르 말린의 혼합 공정도로서 목걸이(10) 몸체의 소재를 용통(50)에 투입하고 가열(100)하여 용융(60) 또는 용해(80)하여 연화(120)시킨 다음 교반(140)하는데 이때 토르 말린(20)을 목걸이(10)의 전체중량 100중량%를 기준으로 0.1 내지 50중량%로 과일 향이나 아로마 향, 허브 향, 꽃 향 등의 식물성 향 기제 원료의 액체나 분말을 중량비 0.1 내지 10중량 %로 투입하고 토르 말린(20)의 입경은 0.01 내지 500㎚의 입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투입하여 교 반 한 후 금형이나 성형(200) 모듈에 투입(180)하여 성형(200)하는데 이때 완성(380)된 목걸이(10) 몸체의 음 이온과 원적외선 강화를 위하여 토르 말린(20)을 다시 한 번 코팅(240)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플라스틱, 합성수지, 폴리, 실리콘, 목걸이와 발 찌의 토르 말린의 혼합 공정도로서 상기 재료의 수지 또는 분말 소재를 용통(50)에 투입 후 가열(100)하여 연화(120)하고 이때 토르 말린(20)을 목걸이(10)의 전체중량 100중량%를 기준으로 0.1 내지 50중량%로 과일 향이나 아로마 향, 허브 향, 꽃 향 등의 식물성 향 기제 원료의 액체나 분말을 중량비 0.1 내지 10중량 %로 투입하고 목걸이(10)의 색상을 내기 위하여
(미도 시) 안료가 0.1 내지 5중량 %로 투입하여 도료와 가교제 와 경화 제 또는 응집제를 0.1% 내지 5중량 %와 기타 첨가제를 투입하고 상기 재료에 총 중량에 토르 말린(20) 물질을 0.1 내지 50중량%로 과일 향이나 아로마 향, 허브 향, 꽃 향 등의 식물성 향 기제 원료의 액체나 분말을 중량비 0.1 내지 10중량 %로 투입하고 상기 토르 말린(20)의 입 도는 0.01 내지 500㎚의 입 도를 갖게 하여 휘저음 한 후에 미리 성형(200) 된 성형모듈(180)이나 금형 모듈에 투입(180)하여 사출(220) 또는 성형(200)하거나 압출기를 통하여 압출(230)한 후 이를 서냉하여 건조(280) 후 완성(380)하게 되는데 이때 투입된 토르 말린(20)의 입경은 0.01 내지 500㎚의 입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완성(380)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완성(380)된 목걸이(10) 몸체의 음이온과 원적외선 방사 살균력 강화와 내 부식과 표면 강화를 강화하기 위하여 토르 말린(20)을 다시 한 번 코팅(240)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도 3의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 플라스틱, 광물질, 실리콘, 고무 폴리 계열의 소재로 이루어진 목걸이의 혼합 제조방법인 사출 성형(200)의 종류와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
상기 목걸이의 성형(200)재료를 가열(100) 용융(60)해 미리 닫힌 금형의 캐비티에 사출 충전한 후 고화 또는 경화시켜 성형품으로 하는 성형 법으로 복잡한 형상의 제품을 대량 생산하는데 적합하여 압출 성형법과 함께 성형가공의 대 분야를 이루고 있다.
사출 성형(200)에 이용되는 성형재료는 열 가소성 수지가 주이나 열 경화성 수지, 고무, 발포 성형 재료 등 거의 모든 성형 재료에 미치고 있으며 성형재료의 종류 성형품 형상 생산량 등을 고려한 각종 가공기나 금형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성형은 ①형체, ②사출, ③보압(캐비티에 충전된 재료의 역류를 방지하고 냉각에 의해 추출하는 이 일련의 공정이 1 사이클로서 반복됨)인 라인 스크류식 사출 성형기는 표준적인 종류로 스크루가 성형 재료의 가소화에 의해 후퇴하여 사출할 때는 스크루가 전진하여 성형 재료를 압출하고 열 경화성 수지의 성형에도 이 형식의 성형기가 이용된다.
열 가소성 수지의 경우에 비해 금형을 가열(100)하여 수지를 경화시키면 가열실린더의 온도를 낮게 하여 수지가 고화하지 않도록 하는 등의 점이 다르고 그 때문에 실린더의 가열방식이나 스크루의 형상 등이 다소 차이가 있다.
다음으로, 사출 성형 조건을 결정하는 방법으로는;
1, 압출 성형(extrusion)
종이, 포, 셀로판, 플라스틱, 비닐, 필름, 금속 막 등의 각종의 박층 기재의 표면에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에 토르 말린(20)을 투입하고 압출기 사용하여 가열 용융(60)하여 유동 상태로 한 뒤 T대 에서 엷은 필름상으로 압출하는 동시에 연속으로 압착하는 가공법이다. 기재의 특성과 압출하여 압착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특징(방수성, 방습성, 내 화학 약 품성, 유연성 강인성, 통기성, 열 봉 합성, 그외) 조합으로 여러 가지 용도에 적응하는 포장 용적 층 재료를 만들며 그러나 현재 실용하고 있는 것의 주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염화 비닐렌 수지 등이다.
2, 압축 성형 (compression- molding)
열 경화성 수지의 가장 보통의 성형 법으로 토르 말린(20)을 투입한 성형재료를 가열한 금형의 움푹 팬 곳(캐비티 라고 한다)에 넣어 압축 성형기(프레스)에 의해 가압 성형한다.
영수기 성형재료는 캐비티 속에서 가열되어서 일단 유동상태로 되어 캐비티 위 구석구석까지 퍼짐과 동시 화학반응을 일으켜서 경화하므로 적당한 시간(경화시간이라고 한다) 후 금형을 열고 성형품을 꺼내 플래시 제거 등의 뒤 마무리 가공을 하여 제품을 얻는다. 성형가공공정을 크게 나누면 성형공정과 마무리 가공이 된다.
성형공정을 ① 성형재료 가공 칭량(秤量)(터브렛 기계를 사용해서 터브랫 가공으로 할 경우도 있다) ② 캐비티 에 재료의 장 입(이전에 예열할 경우도 있다)
③ 가압 조작(저압 가압, 고압 가압) ④ 경화공정 ⑤ 성형품 꺼냄 금형의 청소 등으로 된다.
마무리 가공 공정에는 ① 플래시 뗌 ② 광택 냄 등이 있으며 그리고 대형 품이나 살 두꺼운 것 성형에는 능률과 품질 향상을 위해서 보통 고주파 예열을 하고 경화시간은 성형온도나 성형품의 살 두께에 따라 최적 경화 도가 얻어지도록 적당히 정해야 한다. 열가소성 수지에도 살 두꺼운 제품의 성형이나 소 규막 생산의 경우 압축 성형이 해진다. 이 경우 요령은 성형재료를 가열 가압 부형(賦形)한 후 금형을 냉각해서 성형품을 꺼내는 것이다. 일반으로 압축 성형에서는 사출성형이나 트랜스퍼 성형에 비해 유전 재나 분자의 배양이 적어 내부 응력이 적은 성형품을 얻기 쉬운 것이 특징이다.
3, 압출 블로우 성형 (extrusion-blow molding)
토르 말린(20) 이 투입된 플라스틱 재료나 폴리,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을 가열 용융(60)하여 압출기에서 튜브 상으로 연속적으로 압출한 파리 손 1개 또는 2개 이상의 금형에 끼워 넣고 닫고 그 상하를 봉한 뒤 맨드렐에서 파리 손안에 공기를 불어넣어서 팽창시켜, 파리 손은 그 금형 내벽에 밀착시켜서, 제품을 만드는 방법이며 현재 가장 보급되고 있는 블로우 성형 방법이다.
4, 중공 성형(Blow molding)
분할 금형 내에 가열로서 연화(120)하여 열가소성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 고무, 폴리, 광물질, 실리콘 재와 토르 말린(20) 이 투입된 파리 손 또는 시트를 공기 압 등을 사용하여 부풀게 하고, 금형에 밀착시키면 동시에 냉각하여 공중 체를 얻는 방법이다. 중공성형 또는 취입 성형이라 한다. 통상 가열 용융한 열가소성 플라스틱 성형재료를 압출하여 또는 사출 방식에 따라 튜브 상으로 예비 성형한 파리 손 또는 2장 맞춘 시트를 불로 성형용 금형 내에 삽입하여 가열 연화(120)한 뒤 그런 내부에 공기를 취입하여 중공제품을 성형한다. 블로 성형에는 파리 손의 상태성형방식 등에 따라 여러 가지 형식이 있고 그 대표적인 것에 인젝션 블로 성형 압출 블로 성형, 시트 블로법(시트 파리 손 법), 직접적 불로 성형 등이 있다.
5, 진공 성형(Vacuum forming)
토르 말린(20) 이 투입된 열가소성 플라스틱 소재를 가열 연화(120)한 뒤 금형모듈(180) 위에 올려놓고, 곧바로 혀와 시트의 간극을 진공 하여 형의 표면에 밀착시키는 동시에 냉각하여 성형품의 현상을 고정한 뒤, 반대로 공기를 흡입하여 성형품을 꺼내는데 자형을 사용하는 경우는 스트레이트 포밍 이라 하고, 웅형을 사용하는 경우는 드레이프 포밍 이라 한다.
6. 진공 증착,
진공 증착의 간단한 개요는 토르 말린(20) 이 투입된 금속 또는 비금속의 작은 조각을 진공 속에서 가열하여 그 증기를 물체 표면에 부착시키는 일을 일컫는다.
즉, 고 진공 상태 속에 피복될 물체(증착을 원하는 물체)와 그 표면에 부착하려는 금속( Al )이나 크롬( Cr) 조각을 끼운 텅스텐 코일에 전류를 흘러 고 진공 상태 속에서 가열(100)하여 부착시키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진공 증착의 작업 공정은 여기서 BASE와 TOP에서 사용되는 도료는 우레탄 아크릴네이트, 모 노마 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페인트의 유광, 무 광 여부에 따라 여러 형태의 제품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탑 플랜트 (TOP PAINT) 분사 시 염료를 추가하여 원하는 어떤 색상이든 표현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라스틱, 합성 수지재, 폴리, 실리콘, 목걸이와 발 찌의 토르 말린의 코팅 공정도로서 상기도 3의 성형(200)공정과 사출(220)공정과 압출기를 통하여 압출(230)한 후 완성(380)된 목걸이(10)의 몸체를 표면에 이물질을 제거 후에 용통(50)에 투입하고 (미도 시) 응집제나 코팅제를 목걸이(10) 전체중량 100중량%를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 % 투입하고 상기 목걸이(10) 몸체에 총 중량에 토르 말린(20) 물질을 0.1 내지 50중량%로 과일 향이나 아로마 향, 허브 향, 꽃 향 등의 식물성 향 기제 원료의 액체나 분말을 중량비 0.1 내지 10중량 %로 투입하고,
상기 토르 말린(20)의 입 도는 0.01 내지 500㎚의 입 도를 갖게 하여 목걸이의 표면에 분사 또는 침적(260)하여 토르 말린(20)을 완전하게 코팅(240)한 후에 서냉하여 건조(280)공정을 거치고 검사 후 포장하고 완성(380)하는 단계를 블록 도로 나타낸 것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금속제 목걸이와 발 찌의 토르 말린의 코팅 공정도로서 이를 설명하면,
완성(380)된 목걸이의 내 외부를 코팅(240)하기 위해서는 토르 말린(20)을 전기 코팅(240)하는 습식 코팅(240) 방법 또는 플라스마를 이용한 건식 코팅(240) 방법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의 습식 코팅(240)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코팅(240)은 크게 전기코팅과 무 전해 코팅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은 코팅(240)하려면 음 이온이 포함된 용액이 필요하고 금 코팅(240)하려면 금 이온이 포함된 용액이 필요하게 되는데 본원 고안의 목걸이를 토르 말린(20) 코팅(240)하려면 + 극 쪽에 목걸이를 집어주고, -극 쪽에는 토르 말린 덩이를 집어주게 되어 목걸이와 토르 말린 이온이 포함된 용액에 넣고 +,-극에 전기를 흘려주면 되고 서서히 코팅(240)이 되게 된다.
무전 해 코팅(240)은 치환 코팅, 환원 코팅이 있으며 치환 코팅은 예를 들어 철 분말에다 구리염을 넣으면 철이 더 이온화 경향이 크므로 구리 이온에 전자를 주고 자기는 용해되고 구리는 환원 대서 철 분말 위에 붙게 대며 이게 치환 코팅이다.
먼저, 코팅(240)한다는 것은 부식(또는 산화)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하게 되고 은은 철보다 반응성이 작기 때문에 산화되는 속도가 느리고 코팅(240)된 부분에 흠집이 생기면 그 사이로 수증기나 산소가 들어가서 산하 된다.
먼저, 전지의 -극에는 코팅(240)할 물체(목걸이)를 달고, +극에는 코팅(240)하고자 하는 금속을 은 금속에 있는 은의 양이온과 음이온이 떨어지게 되는데 여기서 전자는 -극인 철이 있는 쪽으로 가고 물론 수용액에는 음 이온이 들어 있으며 물론 토르 말린 코팅(240)을 하려면 수용액을 토르 말린 이온이 들어있는 것으로 쓰면 된다.
-극에 전자가 오게 되면 목걸이(10) 주변에 수용액에 있던 토르 말린 이온이 달라붙게 되는데 이렇게 해서 습식 코팅(240)이 되게 되고 반응 후에 수용액 속에 들어있는 토르 말린 이온의 양은 변함이 없지만은 토르 말린 금속의 질량은 줄어들게 된다.
다음으론 본원 고안의 토르 말린(20) 이 함유된 목걸이의 플라스마(plasma) 또는 스터퍼링 코팅(240)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플라스마 (plasma)와 스터퍼링은 고온에서 음전하를 가진 전자와 양전하를 띤 이온으로 분리된 기체상태로서 전하 분리 도가 상당히 높으면서도 전체적으로는 음과 양의 전하 수가 같아서 중성을 띠는 기체로서, 원거리작용을 하는 쿨롬 힘이 전하 사이에 작용하므로 근거리의 국부상태(局部狀態)보다는 먼 곳의 상태의 영향을 받아서 전체가 함께 움직이는 집단행동을 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1928년 미국의 I.랭 뮤어가 전기방전시 생긴 이온화된 기체에 플라스마라는 개념을 쓴 것이 최초이다.
그리스어(語)의πλσμα, -ατos,τ 로 부 터 유래한 말로서 그 원래 뜻은 틀에 넣어서 만든 것, 조립된 것이란 뜻이고 집단 행동의 특성이 말해주듯이 실제로 플라스마를 다루는 데는 외부에서 쉽게 조절된다고 하기보다는 플라스마 자체가 멋대로 행동하는 것이 보통이어서 원래 붙여진 이름이 잘못된 것이라는 견해도 있어 고체, 액체 ,기체(물질의 세 상태)에 이어 플라스마를 제4의 물질상태라 한다.
온도를 차차 높여 가면 거의 모든 물체가 고체로부터 액체 그리고 기체 상태로 변화한다. 수만 ℃에 서 기체는 전자와 원자핵으로 분리되어 플라스마 상태가 된다. 일상 생활에서는 플라스마가 흔하지 않으나 우주 전체를 보면 흔하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우주 전체의 99%가 플라스마 상태라고 추정되기 때문이다.
그 예로 형광등 속의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도용 기체, 로켓이나 번개 칠 때 기체 속에 섞여 있는 이온화된 기체, 북극 지방의 오로라, 대기 속의 전리층 등이 있으며 대기 밖으로 나가면 지구 자기장 속에 이온들이 잡혀서 이루어진 밴앨런대(帶), 태양으로부터 간헐적으로 쏟아져 나오는 태양풍(太陽風) 속에 플라스마가 존재하고 별 내부나 그를 둘러싸고 있는 주변 기체, 별 사이의 공간을 메우고 있는 수소 기체는 플라스마 상태이다.
플라스마를 이루는 각 개체가 전기(電氣)를 띠고 있어서 중성 기체와는 성격이 판이하고 전기 전도도가 크고 금속 전도체와 같이 전류가 표면에만 국한되어 흐르며, 내부에는 거의 흐르지 않으며 밖에서 전기 장과 자기장을 가하면 전하로서 힘을 직접 받아서 쉽게 영향을 받지만 전하 밀도가 커짐에 따라 개개의 운동과는 다른 집단운동을 하며 핵융합(核融合)에서 필요로 하는 자기폐쇄(磁氣 閉)란 전하가 자기력 선을 따라가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자기력선을 적당히 변형시켜서 공간의 한 장소에 국한시켜 놓음으로써 플라스마를 그곳에 가두어 두려는 것이고 종래는 지구 주위와 천체의 플라스마와 관련되어 지구물리학과 천체물리학에서 플라스마 연구가 시행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플라스마의 전기적 성질을 이용한 전자기 유체역학(MHD)적 발전, 우주 장거리 여행용 로켓의 이온엔진 및 핵융합 연구 등을 위해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처럼 플라스마의 고온과 활발한 화학적 성질은 종래의 방법으로 얻기 어려운 극한 환경을 제공하여 신물질의 합성, 금속이나 고분자의 표면의 성질을 바꾸어 본체와는 다른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주는데 이용이 될 수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 다이아몬드는 그것이 갖는 높은 경도, 열전도도, 굴절률, 격차 등의 뛰어난 물성 때문에 보석으로뿐 아니라 공업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재료이며 다이아몬드의 인공적인 합성은 1950년대에 미국의 GE에서 개발한 고온, 고압 법이 주로 쓰여 왔으나 80년대 초에 구 소련에서 메탄가스 플라스마로부터 저압에서 다이아몬드를 박막 형태로 얻어질 수 있다는 게 밝혀져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공구코팅, 광학부품 코팅, 음향 기기는 새로운 응용 분야가 활발히 개척되고 있다.
또한, 공구의 내 마모 코팅, 장식용 코팅, 반도체 소자의 제조 시 접점에서 확산장벽으로 이용되는 Tin은 Tim의 반응성 이온 플레이 팅이나 스퍼터링, Pecvd 방법 등을 통해 건식법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고분자의 표면을 질소나 산소 플라스마 등으로 처리하면 고분자의 표면에 친수성이나 소수성을 줄 수 있거나 제 전성, 양 색성, 심색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금속재료를 질소나 메탄가스 플라스마와 접촉을 시키며 바이어스를 가하면 표면에 질 화나 목걸이(10) 탄 층이 형성되어 금속의 경도, 내 마모성, 내 부식성 등을 개선할 수 있다.
플라스마를 이용한 표면 코팅(240) 및 개질 기술로서 얻을 수 있는 효과 중 일부는 종래의 습식 방법으로도 얻을 수 있으나 환경 문제를 고려하면 플라스마를 이용한 건식 방법이 많은 장점을 갖게 되며 열 플라스마의 적용 분야 플라스마 용접, 절단과 플라스마(Plasma)의 고온을 이용한 재료의 가공과 플라스마(Plasma)를 용사 할 수 있으며 고 융점 분말을 플라스마(Plasma)로 녹여 고체 표면 위에 coating시켜 내열, 내 식, 내 마모성 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초미립자 제조가 가능하고 열 플라스마의 고온, 고활성을 이용하여 기상반응으로 합성된 입자를 급랭시켜 초미립자로 합성하여 플라스마 화학 또는 물리 증착: 플라스마를 이용한 기능성 막을 생성하고 열 플라스마의 고온, 고 활성을 이용하여 폐기물을 분해 및 유리 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상기의 많은 장점을 가진 본원 고안의 목걸이의 플라스마 코팅(240) 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플라스마 코팅(240)은 진공 챔 버(300) 내에 알곤 및 기타 가스를 주입한 후 전기적인 방전을 일으키면 챔 버(300) 내 투입된 기체들이 이온화되며 이때 이온화된 기체가 투입된 토르 말린 타깃(토르 말린 판)과 충돌하여 토르 말린 원자들이 기체상태로 튀어나와 피 코팅 체(목걸이)에 코팅(240)되는 공정으로 코팅(240) 시간에 따라 획기적으로 나노 단위로 두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플라스마 코팅 (240) 공정에 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완성(380)된 목걸이의 표면에 이물질을 세척하기 위하여 세척 통에 목걸이를 투입하고 세척액을 주입하여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금속 재인 목걸이의 내부 또는 외부의 제조 공정에서 붙어 있는 불순물을 세척하는 세척공정(320)을 거치고 헹굼 과정을 거치고 건조(280)기에서 건조(280)하여 수분을 증발시킨 후 목걸이를 고정대에 부착한 상태로 챔 버(300)로 투입되어 진공 하에서 산소 플라스마로 목걸이(10) 내부 또는 외부를 멸균 처리공정을 거친 후 1차 토르 말린 표면 코팅 (340) 작업을 시행하고 토르 말린(20)으로 코팅(240)한 목걸이의 표면 접착력 향상과 목걸이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플라스마 2차 표면가공 코팅(360) 및 강화 처리를 시행한다.
다음으로, 진공 마크네트론 스퍼터링 플라스마 코팅 법에 의해 최종적으로 토르 말린(20)을 플라스마 코팅(240)하는데 있어서 플라스마 코팅 두께 0.0l(마이크로미터)㎛ 내지 50㎛ (마이크로미터)의 바람직한 두께로 플라스마로 코팅(240)하여 완성(380)하거나 금속으로 이루어진 목걸이의 전체 소재에 토르 말린(20)을 0.1 내지 50중량%로 과일 향이나 아로마 향, 허브 향, 꽃 향 등의 식물성 향 기제 원료의 액체나 분말을 중량비 0.1 내지 10중량 %로 투입하여,
상기 목걸이(10) 몸체를 용통(50)에 침적(260)하거나 또는 분사기에 주입하고 상기의 목걸이(10) 몸체의 표면에 분사하여 코팅 (240) 작업을 수행하고 건조(280) 후 완성(380)하는데 이때 코팅(240)두께는 0.0l(마이크로미터)㎛ 내지 50㎛ (마이크로미터)와 상기 토르 말린(20) 미립자의 입경은 0.1 내지 500nm의 입경으로 한다.
다음은 본원 고안의 토르 말린(20)의 원석과 분말과 시험성적서를 촬영한 사진을 본원 고안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그림으로 나타내었다.
도 6은 본 고안의 토르 말린의 원적외선 방사시험 성적서의 사진.
도 7은 본 고안의 토르 말린의 또 다른 원적외선 방사시험 성적서의 사진.
도 8은 본 고안의 토르 말린 원석을 촬영한 사진.
도 9는 본 고안의 토르 말린 또 다른 원석을 촬영한 사진.
도 10은 본 고안의 토르 말린 원석 덩이의 촬영한 사진.
도 11은 본 고안의 토르 말린 조각을 촬영한 사진.
도 12는 본 고안의 토르 말린 분말을 포장한 것을 촬영한 사진.
도 13은 본 고안의 토르 말린 미세 분말을 촬영한 사진.
도 14는 본 고안의 토르 말린 원석이 파쇄된 것을 촬영한 사진.
도 15는 본 고안의 토르 말린 분말을 압축하여 블록화한 것을 촬영한 사진.
도 16은 본 고안의 토르 말린을 연마한 것을 촬영한 사진.
이로써 본원고안의 토르 말린(20)이 향이 함유된 코팅(240)의 블록 도와 토르 말린(20)의 사진과 항균력 자료를 살펴보았으며 본원고안의 목걸이의 제조방법은 통상의 목걸이(10) 몸체의 제조방법과 공정을 따르게 된다.
[실시 예]
출원인 은 이를 실험하기 위하여 목걸이(10) 몸체의 개략적인 공정은 알 수 있었고 주)대한 광업의 토르 말린 미세 분말 2KG을 구입하여 증류수 전체중량 100중량%에 토르 말린 이온수 50중량 %가 희석되게 3L 배합하여 이를 가열하여 끓인 후, 이를 서냉하고 주)삼화향료에서 구매한 천연 아로마 향을 10중량%가 되도록 혼합(160)하고 20대 여대생의 2년간 착용한 금속소재의 다리 발 찌의 몸체와 28세 직장여성이 착용하는 플라스틱 소재의 목걸이와 발 찌를 구입하여 상기 제조된 나노 은 용액이 담긴 탱크에 상기 목걸이와 발 찌를 각각 60분씩 침적(260) 해 토르 말린 이온을 완전히 침적(260)한 후 건조(280)기에서 60분간 건조(280)한 후에 출원인이 기대하는 좋은 결과치와 은은한 천연향의 발산으로 산업상으로 충분히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원 고안을 완성(380)하기에 이르렀다.
본원 고안은 금속, 플라스틱, 합성수지, 광물질, 보석, 실리콘, 고무 폴리 계열 중 어느 하나의 소재나 이를 혼합(160)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진 다양한 목걸이에 토르 말린 (20)을 첨가 또는 코팅(240)하여 항균기능과 음 이온과 원적외선 방사가 되는 목걸이를 가지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많은 장점을 지닌 토르 말린(20) 분말을 목걸이(10) 몸체의 소재인 금속, 합성수지, 플라스틱, 광물질, 보석, 실리콘, 고무 폴리 계열 소재로 이루어진 목걸이(10) 몸체에 토르 말린(20)을 0.1 내지 50중량%로, 과일 향이나 아로마 향, 허브 향, 꽃 향 등의 식물성 향 기제 원료의 액체나 분말을 중량비 0.1 내지 10중량 %로 상기 토르 말린(20)의 입경은 0.01 내지 500㎚의 입경을 갖고 상기 토르 말린(20)의 코팅(240)두께는 0.0l(마이크로미터)㎛ 내지 5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코팅(240)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세균과 병원균과 미생물의 생성과 번식이 목걸이(10) 몸체를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 예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용이하게 설명하였고
본 고안이 속하는 당업자는 아래의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특허의 영역에서 멀어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이나 수정시킬 수 있음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의 사시 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금속제 목걸이의 토르 말린의 혼합 공정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플라스틱, 합성수지, 폴리, 실리콘, 목걸이의 토르 말린의 혼합 공정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라스틱, 합성 수지재, 폴리, 실리콘, 목걸이의 토르 말린의 코팅 공정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금속제 목걸이의 토르 말린의 코팅 공정도.
도 6은 본 고안의 토르 말린의 원적외선 방사시험 성적서의 사진.
도 7은 본 고안의 토르 말린의 또 다른 원적외선 방사시험 성적서의 사진.
도 8은 본 고안의 토르 말린 원석을 촬영한 사진.
도 9는 본 고안의 토르 말린의 또 다른 원석을 촬영한 사진.
도 10은 본 고안의 토르 말린 원석 덩이를 촬영한 사진.
도 11은 본 고안의 토르 말린 조각을 촬영한 사진.
도 12는 본 고안의 토르 말린 분말을 포장한 것을 촬영한 사진.
도 13은 본 고안의 토르 말린 미세 분말을 촬영한 사진.
도 14는 본 고안의 토르 말린 원석이 파쇄된 것을 촬영한 사진.
도 15는 본 고안의 토르 말린 분말을 압축하여 블록화한 것을 촬영한 사진.
도 16은 본 고안의 토르 말린을 연마한 것을 촬영한 사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대한 설명*
10:목걸이 몸체 20: 토르 말린
30:향기 제 40: 체결부
50:용통 60:용융
80:융해 100:가열
120:연화 140;교반
160:혼합 180:모듈 투입
200:성형 220: 사출
230:압출 240:코팅
260:침적 280:건조
300:챔버 320:세척공정
340:1차 표면 코팅 360:2차 표면 코팅
380:완성

Claims (10)

  1. 금속, 플라스틱, 합성수지, 광물질, 보석, 실리콘, 고무 폴리 계열 중 어느 하나의 소재나 이를 혼합(160)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진 목에 착용하는 목걸이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10) 몸체 전체 100중량 %를 기준으로 토르 말린(20) 물질 0.1 내지 50중량%와 향 기제가 0.1 내지 10중량 %로 목걸이(10) 몸체에 혼합(160)되어 구성된 것이 특징인 목걸이.
  2. 상기 목걸이 소재 전체 100중량 %를 기준으로 토르 말린(20) 물질이 0.1 내지 50중량%로 목걸이(10) 몸체가 코팅(240)된 것을 더 포함하여 완성된 것이 특징인 목걸이.
  3. 청구항 제 1항 또는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에 투입된 토르 말린(20)은 0.01 내지 500㎚의 입 경을 갖는 것을 특징인 목걸이.
  4. 청구항 2항에 있어서,
    토르 말린(20) 물질이 성형공정 또는 최종 공정 중에 투입하여 코팅(240)하고 코팅(240)두께는 0.0l㎛ 내지 5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목걸이(10) 몸체에 코팅 막(240)이 구성된 것이 특징인 목걸이.
  5.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목걸이를 코팅(240)하기 위하여 성형(200) 공정이나 사출(220)공정, 압출기를 통하여 압출(230)된 목걸이의 몸체를 전기 분해에 의한 습식 코팅(240)이나 스터퍼링, 플라스마에 의한 건식 코팅(240)중 어느 하나의 코팅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6. 청구항 제 2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합성수지, 광물질, 보석, 실리콘, 고무 폴리 계열 중 어느 하나의 소재나 이를 혼합(160)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진 목걸이를 완성(380)공정에서 가교 제와 점착제와 토르 말린(20) 물질을 혼합(160)하여 목걸이 몸체에 분사 또는 침적(260)하여 토르 말린(20) 코팅 막(240)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7. 청구항 6항에 있어서,
    목걸이(10) 표면에 바탕색을 도장한 후 이를 건조(280)하는 건조(280)단계와 거친 목걸이(10) 표면으로부터 표면 저항을 낮추는 표면 저항 코팅(240)구성된 것이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8. 청구항 1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에 이 물질을 제거 후에 용통(50)에 투입하여 용융(60)하여 연화(120)시키고 도료와 가교 제와 경화 제를 0.1 내지 5중량 %로 투입하고 목걸이의 색상을 내기 위하여 안료가 0.1 내지 5중량 %로 투입하여 교반(140)하고 성형(200) 된 금형 모듈에 투입(180)하여 사출(220)하거나 압출기를 통하여 압출(230)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9. 청구항 2항에 있어서.
    목걸이의 습식 코팅(240) 방법은 + 극 쪽에 금속의 목걸이를 부착하고 -극 쪽에는 타깃인 토르 말린 덩이를 부착하여 토르말인 덩이를 상기 토르말인 이온이 포함된 용액에 넣고 +,-극에 전기를 흘려주어 습식 코팅(240)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10. 청구항 2항에 있어서.
    건식코팅인, 스터퍼링 또는 플라스마 코팅(240)을 위하여 세척공정(320)과 헹굼 공정을 거치고 건조(280) 후 목걸이(10) 고정대에 부착한 후 챔버(300) 로 투입되어 목걸이(10) 몸체가 코팅(240)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KR20-2005-0016088U 2005-06-04 2005-06-04 목걸이 KR2003983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088U KR200398395Y1 (ko) 2005-06-04 2005-06-04 목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088U KR200398395Y1 (ko) 2005-06-04 2005-06-04 목걸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132A Division KR20060126327A (ko) 2005-06-04 2005-06-04 목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395Y1 true KR200398395Y1 (ko) 2005-10-12

Family

ID=43699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088U KR200398395Y1 (ko) 2005-06-04 2005-06-04 목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3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13850A1 (en) * 2019-10-18 2021-04-22 Hsiu-Hui Shen Terahertz healthy rosary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13850A1 (en) * 2019-10-18 2021-04-22 Hsiu-Hui Shen Terahertz healthy rosary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8395Y1 (ko) 목걸이
KR20060129586A (ko) 휴대폰 수납 케이스
KR200404441Y1 (ko) 머리 장신구와 밴드
KR20060125132A (ko) 팔찌
KR200398396Y1 (ko) 팔찌
KR20060126327A (ko) 목걸이
KR200394464Y1 (ko) 휴대폰 수납 케이스
KR200398560Y1 (ko) 연수기 탱크
KR200394677Y1 (ko) 휴대폰 몸체
KR100663092B1 (ko) 휴대폰 몸체
KR20060126330A (ko) 팔찌
KR20060126326A (ko) 머리 장신구
KR200394326Y1 (ko) 토르 말린이 함유된 침
KR200402425Y1 (ko) 기능성 가운
KR20060126332A (ko) 연수기 탱크
KR20060126329A (ko) 시계
KR200401096Y1 (ko) 기능성 가발
KR20070021645A (ko) 기능성 안대
KR200408417Y1 (ko) 기능성 교정기구
KR20060131307A (ko) 기능성 가발
KR200398393Y1 (ko) 팔찌
KR200404233Y1 (ko) 기능성 코펠
KR200398527Y1 (ko) 의약품 용기
KR200394365Y1 (ko) 항균 삽입 우유 막
KR200409597Y1 (ko) 기능성 안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