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130Y1 - 컴퓨터와 연결되는 다기능 휴대폰 홀더 - Google Patents

컴퓨터와 연결되는 다기능 휴대폰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130Y1
KR200397130Y1 KR20-2005-0019403U KR20050019403U KR200397130Y1 KR 200397130 Y1 KR200397130 Y1 KR 200397130Y1 KR 20050019403 U KR20050019403 U KR 20050019403U KR 200397130 Y1 KR200397130 Y1 KR 2003971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omputer
sound
pow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4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쓰리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쓰리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쓰리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05-00194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1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1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1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휴대폰 홀더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컴퓨터와 연결되어 휴대폰의 사용시 요구되는 충전기능, 핸즈프리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고, 더불어 컴퓨터의 사운드를 출력하고 입력하는 스피커/마이크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에코와 노이즈를 없애주어 성능을 극대화 시켜준다. 또한 컴퓨터와 휴대폰과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컴퓨터와 연결되는 다기능 휴대폰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컴퓨터와 데이터 송수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로구성부가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본체의 전면에 휴대폰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홈이 형성되어 회로구성부와 휴대폰이 데이터 송수신 가능하게 연결설치되는 휴대폰 홀더에 있어서, 상기 회로구성부는: 컴퓨터의 연결포트 및 휴대폰과의 연결을 위해 본체의 일측과 장착홈 내에 각각 설치된 컨넥터와; 상기 컴퓨터와 연결된 컨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휴대폰에서 요구되는 충전전압으로 전원을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컴퓨터와 휴대폰 간의 전원 공급/충전 및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여 전원의 ON/OFF, 각 구성의 모드를 검출하고 컨트롤하는 제어부와; 상기 전원부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휴대폰과 연결된 컨넥터를 통해 통화음을 입력하고, 컴퓨터와 연결된 컨넥터를 통해 컴퓨터에서 지원되는 통화음, 음악 등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음향입출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컴퓨터와 연결되는 다기능 휴대폰 홀더{Portable telephone holder having multi function of connecting PC}
본 고안은 다기능 휴대폰 홀더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컴퓨터와 연결되어 휴대폰의 사용시 요구되는 충전기능, 핸즈프리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고, 더불어 컴퓨터와 휴대폰의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마이크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컴퓨터와 휴대폰과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컴퓨터와 연결되는 다기능 휴대폰 홀더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무선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휴대폰은 다양한 기능을 갖추게 되었으며, 이러한 기능으로 목적하는 음악을 다운로드하여 출력하거나, 휴대폰에 부설된 카메라 장치에 의해 촬영을 하고 이를 저장/출력하는 것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특히, 상기된 각 기능은 컴퓨터와 연결하여 그 기능이 확장될 수 있는데, 인터넷을 사이트에 접속하여 목적하는 음악을 받거나, 휴대폰으로 촬영한 사진 등을 모니터 또는 인화지 상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컴퓨터와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고, 이 케이블은 컴퓨터의 USB포트와 휴대폰의 데이터 단자를 단순히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휴대폰의 기능을 보다 확장시킨 장치로, 휴대폰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출시되는 핸즈프리장치는 주로 자동차에 설치되어 휴대폰 자체를 들고 통화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도록 하며, 충전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핸즈프리장치는 휴대폰이 홀딩되기 위해 장착홈이 형성된 본체의 내부에 휴대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폰의 충전과 전원의 공급 및 통화를 수행하는 회로구성부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휴대폰의 기능을 확장하고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USB케이블은 단순히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케이블의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통신의 기능이외의 기능증대를 기대할 수 없는 단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USB케이블과 핸즈프리장치를 병합하면 일반 컴퓨터와 휴대폰간의 데이터 송수신과 더불어 핸즈프리장치 기능의 동시수행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한 기술구성의 구현이 기술적과제로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된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써, 일반 컴퓨터에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 휴대폰의 충전 및 핸즈프리기능수행, 휴대폰을 통해 출력되는 음악의 출력과 음성의 입력 등이 컴퓨터의 지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휴대폰 홀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본 고안은, 컴퓨터와 데이터 송수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로구성부가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본체의 전면에 휴대폰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홈이 형성되어 회로구성부와 휴대폰이 데이터 송수신 가능하게 연결설치되는 휴대폰 홀더에 있어서,
상기 회로구성부는:
컴퓨터의 연결포트 및 휴대폰과의 연결을 위해 본체의 일측과 장착홈 내에 각각 설치된 컨넥터와; 상기 컴퓨터와 연결된 컨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휴대폰에서 요구되는 충전전류로 전원을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컴퓨터와 휴대폰 간의 전원 공급/충전 및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여 전원의 ON/OFF, 각 구성의 모드를 검출하고 컨트롤하는 제어부와; 상기 전원부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휴대폰과 연결된 컨넥터를 통해 통화음을 입력하고, 컴퓨터와 연결된 컨넥터를 통해 컴퓨터에서 지원되는 통화음, 음악 등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음향입출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구성이 적용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홀더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홀더의 회로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홀더가 컴퓨터와 연결된 상태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홀더는 본체(10), 회로구성부(20), 케이블(C)로 이루어진 기본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본체(10)는 전(前)면에 장착홈(11)이 형성되어 휴대폰(2)이 장착될 구성을 마련하고, 그 내부에 컴퓨터(1)와 휴대폰(2) 간의 데이터 송수신 및 휴대폰 충전, 통화단속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회로구성부(20)가 설치된다.
상기 회로구성부(20)는 컨넥터(31, 32), 전원부(40), 제어부(50), 음향입출력부(60)로 구성된다.
상기 컨넥터(31, 32)는 컴퓨터(1)의 연결포트 및 휴대폰(2)과의 연결을 위해 본체(10)의 일측과 장착홈(11) 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컴퓨터(1)의 연결포트와는 데이터 송수신용 케이블(C)에 의해 연결되고, 휴대폰(2)과의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휴대폰(2)의 컨넥터 단자와 대응되는 접속핀 형태의 구성으로 설치된다.
또한, 추가로 휴대폰(2)으로 다운로드된 음악 등을 출력하기 위한 구성으로, 휴대폰(2)의 대략 상측(도면상 상측이며, 휴대폰의 기종별로 상이함)에 형성된 이어폰 단자(3)와 회로구성부(20)의 음향입출력부(60)와 연결되도록 본체(10)에 설치된 단자(4)가 전기적 연결됨에 의해 구현된다.
상기 전원부(40)는 컴퓨터(1)와 연결된 컨넥터(31)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휴대폰(2)에서 요구되는 충전전류로 전원을 변환하여 공급하기 위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원부(40)는 컴퓨터(1)의 전용포트(5)("Travel Adaptor"를 수반하는)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TA충전전류조절부(41)와, USB포트(6)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USB충전전류조절부(42) 및 파워서플라이 형태의 전원입력부(4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50)는 컴퓨터(1)와 휴대폰(2) 간의 전원 공급/충전 및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여 전원의 ON/OFF, 각 구성의 모드를 검출하고 컨트롤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50)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현하여 구성되고, 이 제어부(50)는 휴대폰의 충전, 회로구성부(20) 자체의 전원 ON/OFF시 점멸되어 장치의 구동상태를 표시하는 LED(51)(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회로구성부(20)의 설정변경 또는 에러발생시 입력신호를 리셋하기 위한 스위칭회로부(52)와, 특정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진부(53)가 갖추어지며, 휴대폰(2)의 통화, 장치의 모드변경 등을 수행하기 위해 본체(1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모드스위치(54), 통화스위치(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음향입출력부(60)는 전원부(40)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휴대폰(2)과 연결된 컨넥터(32)를 통해 통화음을 입력하고, 컴퓨터(1)와 연결된 컨넥터(31)를 통해 컴퓨터(31)에서 지원되는 통화음, 음악 등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향입출력부(60)는 음향처리부(61), 마이크(62), 스피커 앰프(63), 스피커(64)로 구성된다.
상기 음향처리부(61)는 컴퓨터(1)와 휴대폰(2)을 통해 입력된 음향신호를 이미 설정된 음향데이터로 가공처리하는 DSP(디지털 신호 처리장치; digital signal processor)가 적용된다.
여기서, 상기 음향처리부(61)는 컴퓨터(1)의 USB포트(6)를 통해 데이터 입력이 수행될 때 호환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USB드라이버(66)를 갖추게 되며, 목적하는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발진부(6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62)는 통화음을 입력하기 위해 1 이상의 개수로 구비되고, 이 통화음은 휴대폰(2)에 의한 통화음 이외에도 컴퓨터 통신에 의한 음성대화를 수행할 때의 대화음을 포함한다.
상기 스피커 앰프(63)는 음향처리부(61)에서 가공처리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증폭하기 위해 D형 증폭기(ClassD)가 적용되며, 상기 스피커(64)는 스피커 앰프(63)에 의해 증폭된 음향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전용의 것으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피커 앰프(63)는 스피커(64)의 출력값을 조절하여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조절부(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폰 홀더는 컴퓨터(1)와 연결되어 가장 기본적인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함에 의해 휴대폰(2)의 데이터 처리기능을 확장시키게 되며, 휴대폰(2)을 직접 들지 않고도 통화가 되지 않은 핸즈프리의 기능이 구현되어 컴퓨터(1) 작업 중 통화가 보다 편리하게 수행된다.
또한, 상기된 휴대폰 홀더의 스피커(64)는 컴퓨터(1)와 휴대폰(2) 자체에 내장된 음악, 음향의 출력이 우수하여 통화음질의 향상 및 MP3 등의 음악, 음향의 우수한 청취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휴대폰 홀더는 컴퓨터의 음악 청취 기능에서 더 향상된 기능을 갖추게 되는데, 이는 휴대폰 홀더를 통해 음성대화를 수행할 때 헤드셋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존의 컴퓨터 전용의 스피커를 통한 음성대화는 상호 대화시 스피커의 출력과 마이크 입력의 구분이 정확하게 수행되지 않아 자신이 마이크를 통해 입력한 음성을 스피커의 출력을 통해 다시 듣게 되는 에코(echo)(이 경우 노이즈(잡음)로 인식됨)현상이 극심하게 발생되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헤드셋을 착용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 홀더는 핸즈프리의 고유기능인 입출력 구분 수행의 기능에 의해 별도의 헤드셋을 착용하지 않고도 에코의 발생이 배제된 상태로 음성대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컴퓨터와 휴대폰의 연결구성에서 그 기능증대를 실현하기 위한 구성을 구현함에 따라 휴대폰의 사용이 보다 편리하게 되므로써 사용자의 제품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홀더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홀더의 회로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홀더가 컴퓨터와 연결된 상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20: 회로구성부
31, 32: 컨넥터 40: 전원부
41: TA충전전류조절부 42: USB충전전류조절부
50: 제어부 60: 음향입출력부

Claims (3)

  1. 컴퓨터(1)와 데이터 송수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로구성부(20)가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며, 본체(10)의 전면에 휴대폰(2)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홈(11)이 형성되어 회로구성부(20)와 휴대폰(2)이 데이터 송수신 가능하게 연결설치되는 휴대폰 홀더에 있어서,
    상기 회로구성부(20)는:
    컴퓨터(1)의 연결포트(5, 6) 및 휴대폰(2)과의 연결을 위해 본체(10)의 일측과 장착홈(11) 내에 각각 설치된 컨넥터(31, 32)와;
    상기 컴퓨터(1)와 연결된 컨넥터(31)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휴대폰(2)에서 요구되는 충전전류로 전원을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부(40)와;
    상기 컴퓨터(1)와 휴대폰(2) 간의 전원 공급/충전 및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여 전원의 ON/OFF, 각 구성의 모드를 검출하고 컨트롤하는 제어부(50)와;
    상기 전원부(40)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휴대폰(2)과 연결된 컨넥터(31, 32)를 통해 통화음을 입력하고, 컴퓨터(1)와 연결된 컨넥터(31)를 통해 컴퓨터(1)에서 지원되는 통화음, 음악 등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음향입출력부(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연결되는 다기능 휴대폰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입출력부(60)는
    컴퓨터(1)와 휴대폰(2)을 통해 입력된 음향신호를 이미 설정된 음향데이터로 가공처리하는 음향처리부(61)와;
    상기 음향처리부(61)로 통화음을 입력하기 위한 1이상의 마이크(62)와;
    상기 음향처리부(61)에서 가공처리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스피커 앰프(63)와;
    상기 스피커 앰프(63)에 의해 증폭된 음향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6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연결되는 다기능 휴대폰 홀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31)는,
    컴퓨터(1)의 USB포트(6) 또는 전용포트(5)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연결되는 다기능 휴대폰 홀더.
KR20-2005-0019403U 2005-07-04 2005-07-04 컴퓨터와 연결되는 다기능 휴대폰 홀더 KR2003971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403U KR200397130Y1 (ko) 2005-07-04 2005-07-04 컴퓨터와 연결되는 다기능 휴대폰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403U KR200397130Y1 (ko) 2005-07-04 2005-07-04 컴퓨터와 연결되는 다기능 휴대폰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130Y1 true KR200397130Y1 (ko) 2005-09-28

Family

ID=43698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403U KR200397130Y1 (ko) 2005-07-04 2005-07-04 컴퓨터와 연결되는 다기능 휴대폰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1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7115B2 (en) Convertible head wearable audio devices
EP2109989B1 (en) Microphone techniques
US20100142740A1 (en) Hearing aid wireless communication adaptor
US7574239B2 (en) Handsfree car mounting kit
US6076000A (en) Mobile telephone battery charger
KR200397130Y1 (ko) 컴퓨터와 연결되는 다기능 휴대폰 홀더
KR100355080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무선 핸즈프리 거치대
KR100324393B1 (ko) 컴퓨터용 멀티 커넥터
KR200305251Y1 (ko) 스피커와 이어폰의 수신선택수단을 구비한 음향수신장치
KR200356181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와 음악 기기를 겸용으로 사용하기위한 다기능 이어폰 장치
KR101228597B1 (ko) 블루투스헤드셋의 차량용 인터페이스유니트
KR200364500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위한 다기능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KR200309139Y1 (ko) 휴대 전화 핸즈프리기능이 내장되고 컴퓨터와 USB Port로연결되는 헤드폰세트
KR200235521Y1 (ko) 외부 음성 및 제어 단자를 구비한 이동전화기 및핸즈프리 어셈블리
KR200305260Y1 (ko) 이어폰형 핸즈프리나 음향기기용 이어셋/헤드셋과 함께사용 가능한 발광모듈
KR200204514Y1 (ko) 이어폰형과 차량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통화보조용 핸즈프리 장치
KR200283903Y1 (ko) 유무선 마이크의 동시사용이 가능한 핸즈프리
KR200366861Y1 (ko) 핸드 프리용 이어폰
KR200387221Y1 (ko) 핸드폰용 핸즈프리
GB2420930A (en) Auxiliary handset accessory kit and method for a radio telephoe in a vehicle
KR200218635Y1 (ko) 마이크 입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KR200300096Y1 (ko) 이동형 음향기기 및 휴대전화 공용 이어폰 세트
KR200317845Y1 (ko) 휴대폰용 무선마이크
KR200366860Y1 (ko) 핸드 프리용 이어폰
KR20010026852A (ko) 컴팩트 핸즈프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