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806Y1 - 보냉백 - Google Patents

보냉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806Y1
KR200396806Y1 KR20-2005-0018518U KR20050018518U KR200396806Y1 KR 200396806 Y1 KR200396806 Y1 KR 200396806Y1 KR 20050018518 U KR20050018518 U KR 20050018518U KR 200396806 Y1 KR200396806 Y1 KR 200396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old
bag
condensation
water drop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5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혜성
Original Assignee
황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혜성 filed Critical 황혜성
Priority to KR20-2005-00185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8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8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8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wrappers or flexible containers, e.g. pouches, bags
    • B65D81/389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wrappers or flexible containers, e.g. pouches, bags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e.g. laminated or foam filling betwee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겔상태의 고흡수성 폴리머와 같은 보냉재료가 충진되어 이를 미리 냉동시켜 냉장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도록 이루어진 보냉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에는 부직포필름과 같은 외측시트의 내측에 폴리에틸렌필름과 같은 내측시트를 합지시킨 소재를 이용하여 가장자리부위를 서로 접합하여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보냉재료를 충진하여 이를 냉동시킨 후에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사용시에 보냉재료가 녹으면서 외부와의 온도차에 따라 결로와 같은 응축현상으로 표면에 물방울이 맺혀지게 되고, 이러한 물방울은 보냉 또는 냉장하고자 하는 물품에 나쁜 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고안은 보냉백을 이루게 되는 내측시트와 외측시트를 서로 분리가 된 상태로 가장자리만을 서로 접합 구성하여 사용 중에 냉동상태에 있던 내부 보냉재료에 의하여 내측시트의 외측에 결로에 의한 물방울이 맺히게 되더라도 이 물방울이 외측시트 밖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냉장물품에 악영향을 끼치지 아니하고 필요시 일측에는 내,외측시트 사이에 단열시트를 설치하여 지향성을 가지고 보냉효과를 배가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여 냉장효과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보냉백{A Bag for Cold Storage}
본 고안은 고흡수성 폴리머와 같은 보냉재료가 겔 상태로 충진되거나 사용시에 내부에 물을 충진하여 겔 상태로 변화시킨 후 사용하되, 이를 냉동고에 넣어 일정 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보냉재료가 냉동된 것을 활용하여 냉장 목적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보냉백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보냉백(10)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1에 예시한 바와 같이, 부직포필름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외측시트(1)의 내측에 폴리에틸렌 필름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내측시트(2)를 서로 합지시킨 소재를 이용하여 필요한 원하는 크기로 가장자리부위를 서로 접합하여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3)에 보냉재료(4)를 충진한 형태로 그 구성이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보냉백(10)은 이를 냉동실에서 냉동시킨 다음에 냉장목적으로 사용되는 아이스박스나, 농,수산물을 냉장상태로 일정시간 보관하기 위한 각종 포장용기, 냉풍기, 냉열조끼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보냉백(10)은 사용 중에 시간이 경과하면서 냉동 상태에 있던 보냉재료는 서서히 녹으면서 외부와의 온도차에 따라 결로와 같은 응축현상으로 합지상태로 구성되어 있던 외측시트(1)의 표면에 물방울이 맺혀지게 되고, 이러한 물방울은 보냉 또는 냉장하고자 하는 물품에 나쁜 영향을 끼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케이크의 하부에 보냉백을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통상 종이로 제작되는 케이크받침에 물방울이 스며들게 되어 원형을 훼손시키거나 심지어 케이크 자체에도 나쁜 영향을 끼치게 되기도 하고, 생선 등의 수산물을 포장하는데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방물이 이들 수산물과 직접 접촉하게 되면 보관상태나 선도유지에 아주 나쁜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냉열조끼의 경우에는 조끼를 적시게 되어 사용상 극히 바람직 하지 아니한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보냉백은 내,외측시트(1,2)가 합지된 형태이면서 내부공간(3)을 중심으로 상,하 양측이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보냉재료(4)에 의하여 발산되게 되는 냉기는 상,하 방향으로 동일하게 영향을 끼치게 되어 사용 중에 냉열손실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며 결국 사용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이 이루어진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의 주목적은 보냉백의 사용 중에 결로에 의한 물방울이 생성되더라도 외측시트의 외측표면으로는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냉장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에는 나쁜 영향을 주지 않고, 보다 높은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냉백을 이루는 양측의 내,외측 시트가 가지고 있는 구성을 달리하도록 구성하여 냉기의 발산을 어느 일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도록 구성하여 보냉효과가 지속되는 시간을 연장시키고 냉장효율을 종래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냉재료를 내부공간에 충진시킨 상태에서 보냉재료를 냉동시켰다가가 냉장목적으로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게 백 형태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통상의 보냉백에 있어서, 상기 보냉백을 이루게 되는 내측시트와 외측시트를 서로 합지시키지 않고 내측시트와 외측시트가 서로 분리가 된 상태로 구성하고, 가장자리만을 서로 접합한 상태로 구성하여 사용 중에 냉동상태에 있던 내부 보냉재료에 의하여 내측시트의 외측에 결로에 의한 물방울이 맺히게 되더라도 이 물방울이 외측시트 밖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그 구성이 이루어지는 보냉백을 제공한다.
또한, 필요시 일측에는 내,외측시트 사이에 별도의 단열시트를 내장 설치하여 보냉효과가 단열시트를 내장하지 아니한 방향으로 지향성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보냉백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부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2 및 도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보냉재료(4)를 내부공간(3)에 충진시키킨 상태에서 보냉재료(4)를 냉동시켰다가가 냉장목적으로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게 백 형태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통상의 보냉백에 있어서, 상기 보냉백을 이루게 되는 내측시트(2)와 외측시트(1)를 서로 합지시키지 않고 내측시트(2)와 외측시트(1)가 서로 분리가 된 상태로 구성하고, 이들 가장자리만을 서로 접합한 상태로 구성하여 사용 중에 냉동상태에 있던 내부 보냉재료(4)에 의하여 내측시트(2)의 외측에 결로에 의한 물방울이 맺히게 되더라도 이 물방울이 외측시트(1) 밖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그 구성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내측시트(2)의 경우에는 폴리에틸렌 수지시트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외측시트(1)의 경우에는 부직포시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내,외측시트(2,1)은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3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필요시 일측에는 내,외측시트(2,1) 사이에 별도의 단열시트(5)를 내장 설치하여 보냉효과가 상기 단열시트(5)를 내장하지 아니한 방향으로 지향성을 가지도록 그 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내,외측시트(2,1)의 사이에 단열시트(5)를 내장한 형태로 구성하게 되면, 단열시트(5)가 내장된 측에는 보냉재료(4)에 의한 냉열 발산효과가 외측시트(1)의 외부 방향으로는 미치기 어려우므로, 보냉재료(4)가 가지고 있던 냉열발산에 의한 잠재기능은 단열시트(5)가 내장되어 있지 아니한 방향으로만이 그 기능과 효과가 미치게 되므로 보냉 내지 냉장을 위한 냉기발산효과는 일측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냉열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쪽으로는 단열시트(5)가 내장되지 아니한 쪽이 위치하도록 배치시키고 사용하면 물품 방향으로만 냉기가 발산되어 활용목적에 부합되고, 효과가 극대화되면서 냉열손실도 크게 줄일수 있어 사용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그 구성이 내,외측시트(2,1) 가 서로 접합되지 아니하고 분리된 상태을 유지하며, 필요시에 이들 내,외측시트(2,1) 사이로서 일측에만 단열시트(5)를 내장 설치하여, 보냉백의 사용 중에 결로에 의한 물방울이 생성되더라도 내측시트(2)의 외측으로는 물방울이 생성되더라도 외측시트(1)의 외측표면으로는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냉장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에는 나쁜 영향을 주지 않고, 냉장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에는 보다 높은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보냉백을 이루는 양측의 내,외측시트(2,1) 사이에 단열시트(5)를 설치하게 되면, 단열시트(5)가 설치되지 아니한 방향으로 냉기의 발산을 지향성을 갖도록 하여 보냉효과가 지속되는 시간을 연장시키고 냉장효율을 종래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1은 종래의 보냉백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인 보냉백에 대한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인 보냉백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외측시트, 2: 내측시트,
3: 공간, 4: 보냉재료,
5: 단열시트

Claims (2)

  1. 보냉재료(4)를 내부공간(3)에 충진시키킨 상태에서 보냉재료(4)를 냉동시켰다가가 냉장목적으로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게 백 형태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통상의 보냉백에 있어서,
    상기 보냉백을 이루게 되는 내측시트(2)와 외측시트(1)를 서로 합지시키지 않고 내측시트(2)와 외측시트(1)가 서로 분리가 된 상태로 구성하고, 이들 가장자리만을 서로 접합한 상태로 구성하여 사용 중에 냉동상태에 있던 내부 보냉재료(4)에 의하여 내측시트의 외측에 결로에 의한 물방울이 맺히게 되더라도 이 물방울이 외측시트(1) 밖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그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백.
  2. 제1항에 있어서,
    일측에는 상기 내,외측시트(2,1) 사이에 별도의 단열시트(5)를 내장 설치하여 보냉효과가 상기 단열시트(5)를 내장하지 아니한 방향으로 지향성을 가지도록 그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백.
KR20-2005-0018518U 2005-06-27 2005-06-27 보냉백 KR2003968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518U KR200396806Y1 (ko) 2005-06-27 2005-06-27 보냉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518U KR200396806Y1 (ko) 2005-06-27 2005-06-27 보냉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806Y1 true KR200396806Y1 (ko) 2005-09-27

Family

ID=43697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518U KR200396806Y1 (ko) 2005-06-27 2005-06-27 보냉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80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234B1 (ko) * 2010-07-26 2011-08-01 한정식 이중 팩
KR101325831B1 (ko) * 2008-07-09 2013-11-05 리타오 판 젤 매트의 생산방법
KR20170015767A (ko) * 2015-07-31 2017-02-09 주식회사 아셀 산화 억제수단을 구비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485945Y1 (ko) 2017-09-06 2018-03-15 안기성 삼중차단 보냉팩
KR20180002765U (ko) 2017-03-17 2018-10-01 안기성 쿨링백 적층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831B1 (ko) * 2008-07-09 2013-11-05 리타오 판 젤 매트의 생산방법
KR101053234B1 (ko) * 2010-07-26 2011-08-01 한정식 이중 팩
KR20170015767A (ko) * 2015-07-31 2017-02-09 주식회사 아셀 산화 억제수단을 구비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709949B1 (ko) * 2015-07-31 2017-02-27 주식회사 아셀 산화 억제수단을 구비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2765U (ko) 2017-03-17 2018-10-01 안기성 쿨링백 적층구조
KR200485945Y1 (ko) 2017-09-06 2018-03-15 안기성 삼중차단 보냉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6806Y1 (ko) 보냉백
WO2007049380A1 (ja) 定温保冷ボックスと定温保冷方法
KR100629531B1 (ko) 액면접촉에 의한 식품의 급속냉동방법 및 장치
KR101389531B1 (ko) 열전소자가 적용된 농식품 수배송 장치
JP6553922B2 (ja) 冷蔵庫
JP2007191195A (ja) 保冷箱及び保冷箱本体の製造方法
US5313809A (en) Insulating wrap
JP2007276817A (ja) 断熱容器
WO2013175971A1 (ja) 蓄熱部材並びにそれを用いた蓄熱容器及び建材
JP6653603B2 (ja) 蓄冷熱材の使用方法、包装体、及び蓄冷熱材
JP2017156072A (ja) 解凍機
WO2018003768A2 (ja) 保冷容器、保冷皿および赤ワイン用サーバー
KR101411601B1 (ko) 식료품용 아이스 팩
JP2008070042A (ja) 冷蔵庫
KR20170131097A (ko) 아이스크림 제조장치
JP3710922B2 (ja) 氷水冷却器
KR20100036059A (ko) 유연성을 갖는 보냉 포장재
JP2002107080A (ja) 蓄熱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冷蔵庫
KR200410706Y1 (ko) 보냉백
JP5387931B1 (ja) 省エネを考慮した保冷具
KR101946606B1 (ko) 에너지 효율을 개선한 냉장고
JP2008281251A (ja) 蓄冷剤容器
KR200339938Y1 (ko) 축냉식 쿨패드를 이용한 휴대용 아이스박스
CN206797211U (zh) 主动制冷的预埋式冰蓄冷车载冰箱
AU2013100712A4 (en) Temperature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