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180Y1 - 토류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토류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180Y1
KR200396180Y1 KR20-2005-0017750U KR20050017750U KR200396180Y1 KR 200396180 Y1 KR200396180 Y1 KR 200396180Y1 KR 20050017750 U KR20050017750 U KR 20050017750U KR 200396180 Y1 KR200396180 Y1 KR 2003961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 plate
earth
fixing device
present
ma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7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평우
Original Assignee
이평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평우 filed Critical 이평우
Priority to KR20-2005-00177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1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1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1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류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터파기나 절개지 방호벽 등의 토류판 설치공사에서 H빔의 플랜지 외측에 토류판을 설치하여 인력굴착과 여굴없는 굴착으로, 뒤채움과 다짐을 없애고 토압에 대한 저항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토류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절개지 표면에 방호벽을 설치하는 공사에 있어서, 과다굴착이나 인력굴착에 의한 공사의 어려움을 제거할 수 있고, 토류판을 H빔의 간격에 따라 크기를 조정하지 않아도 설치할 수 있어서 다음 공사에서 재사용할 수 있어서 인건비와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토류판 고정장치{REVET INSTALLATION DEVICE}
본 고안은 토류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터파기나 절개지 방호벽 등의 토류판 설치공사에서 H빔의 플랜지 외측에 토류판을 설치하여 인력굴착과 여굴없는 굴착으로, 뒤채움과 다짐을 없애고 토압에 대한 저항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토류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지하 지반공사시 지반의 굴삭부분의 가장자리나, 토목공사에 있어서의 절개지 등에는 토사의 붕괴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흙막이 공사를 하게 되는데, 이때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토류판(10)을 설치하여 시공하고 있다.
상기 토류판(10)의 적층설치를 위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H빔(20)을 매입하고, 상기 H빔 사이에 목재 등으로 형성된 긴 판제형상의 토류판(10)을 끼워서 적층하여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판제형상의 토류판(10)은 상기 H빔(20)의 홈에 끼워질 수 있는 폭과 두께를 갖는 판제형상의 것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판제의 모든 부분의 단면계수가 동일하며, 이에 비하여 판제에 가해지는 토류의 외압은 판제의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집중되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응력의 집중현상이 발생하여 토류판(10)의 내구성에 한계가 있으며, 종종 토류판(10)이 파손되어 대형사고로 이어지기도 한다.
또한 토류판(10)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부에서부터 H빔(20)을 굴착하여야 하는데, 토류판(10) 설치면이 H빔(20)의 안쪽에 있어서 절토면을 일정하게 인력과 장비로 여굴없이 굴착할 수가 없으며, 필요 이상의 굴착으로 인하여 토류판(10) 설치후 배면에 토사를 메워 다짐하는 이중작업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토류판(10)은 두개의 H빔(20)의 홈 사이에 끼워 넣어야 하므로 H빔(20)의 넓이나 간격에 따라 토류판(10)의 크기가 제한되며, 불규칙한 간격으로 매립된 H빔(20) 사이에 적측할 때에는 토류판(10)의 일부를 H빔(20) 사이의 간격에 맞게 절단하여야 하므로 다른 공사에서 재활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걸림쇠를 이용하여 H빔의 외측면에 토류판을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여굴없는 굴착으로 주변지반의 변형이 적고 토압에 대한 저항이 커서 안정적인 방호벽의 설치가 가능한 토류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H빔의 간격이나 크기에 관계없이 토류판을 설치할 수 있어서 절단이나 이중작업이 필요없으며, 사용된 토류판을 향후 재시공이나 다른 공사에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토류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암벽의 절개지나 절단면의 토사의 붕괴를 막기위한 토류판 고정장치로서, 일단이 ㄱ자형으로 굴곡된 절곡부를 가지고 타단에 숫나사부가 형성되며, 지면에 매립된 H빔의 플랜지에 상기 절곡부가 설치되는 한 쌍의 걸림쇠와; 장방형의 판상으로서, 양측단에 상기 걸림쇠의 숫나사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고정쇠와; 상기 고정쇠와 상기 토류판의 사이에 삽입되는 토류판 지지대와; 상기 관통공으로 노출되는 숫나사부에 체결되는 나비너트;를 포함한다.
상기 토류판 지지대는 상기 토류판의 외측에서 상기 H빔과 평행하게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며,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토류판에 걸쳐져서 상기 토류판을 상기 H빔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류판 지지대는 단면이 사각형, 삼각형, 타원형, 원형, H자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쇠는 철제 또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류판 지지대는 목재, 강화 플라스틱, 철제 중의 어느 하나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토류판 고정장치를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토류판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3a와 도3b는 각각 토류판 설치상태의 정면과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4는 고정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토류판 고정장치(100)를 설명하면, 토류판(104)은 암벽이나 절개지의 절개면 또는 굴착면(200)에 매립설치되는 H빔(102)의 전면에 고정설치된다.
먼저 매립된 H빔(102) 사이를 H빔(102) 간격크기의 면고르기판으로 일정하게 면고르기를 한다. 이것은 토류판(104)을 H빔(102)의 플랜지 내부에 끼워서 시공하는 어려움을 없애고, 과다굴착을 방지하며, 인력굴착과 되메우기 후 다짐하는 이중작업을 없애기 위한 것이다.
평탄하게 마무리된 H빔(102)의 전면부에 ㄱ자형으로 꺾여진 한 쌍의 걸림쇠(106)를 설치하는데, H빔(102)의 전면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를 설치한다. 걸림쇠(106)는 일측단에 ㄱ자형으로 절곡된 절곡부(106a, 106b)를 가진다. 그리고 걸림쇠(106)의 타단에는 숫나사가 형성되어 나비너트(110)에 의하여 체결, 고정되도록 한다. 걸림쇠(106)는 강한 압력이나 인장력에도 파손되지 않도록 철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쇠(106)의 절곡부(106a, 106b)는 H빔(102)의 플랜지 내부에 걸리게 고정된다.
걸림쇠(106)의 타단에는 장방형의 금속편으로 제작되는 고정쇠(108)가 체결된다. 고정쇠(108)는 토류판(104)을 지지하는 토류판 지지대(112)를 토류판(104) 표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쇠(108)의 양측단부에는 걸림쇠(106)의 타단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공을 통하여 노출된 숫나사부에 나비너트(110)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걸림쇠(106)와 고정쇠(108)에 의하여 고정되는 토류판 지지대(112)가 H빔(102) 표면에 토류판(104)을 압착,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토류판 지지대(112)는 다수의 걸림쇠(106)와 고정쇠(108)에 의하여 고정되면서 H빔(102) 표면에 가로방향으로 적층된 다수의 토류판(104)의 소정의 위치에서 세로방향으로 토류판(104)을 고정하게 된다.
토류판 지지대(112)는 토류판(104)의 외측에서 H빔(102)과 평행하게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며,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토류판(104)의 외측면에 걸쳐져서, 토류판(104)을 H빔(102)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토류판 지지대(112)는 그 단면이 사각형, 삼각형, 타원형, 원형, H자 중의 어느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토류판(104)은 공사현장이나 상태에 따라 충분히 토압을 견딜 수 있는 크기와 재질로 제작되며, 절개지의 높이나 폭에 따라 적당한 크기로 제작된다.
또한 토류판 지지대(112)는 목재, 강화 플라스틱, 철제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토류판 고정장치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범위에도 권리가 미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절개지 표면에 방호벽을 설치하는 공사에 있어서, 과다굴착이나 인력굴착에 의한 공사의 어려움을 제거할 수 있고, 토류판을 H빔의 간격에 따라 크기를 조정하지 않아도 설치할 수 있어서 다음 공사에서 재사용할 수 있어서 인건비와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토류판을 H빔의 플랜지 내부에 삽입하여 적층하기 위한 공사가 필요하지 않게 되어 공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설치후 되메우기나 보강작업 등이 필요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토류판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토류판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a는 토류판 설치상태의 정면을 나타낸 평면도.
도3b는 토류판 설치상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고정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방호벽 102 : H빔 104 : 토류판
106 : 걸림쇠 108 : 고정판 110 : 나비너트
112 : 지지대 200 : 굴착면

Claims (5)

  1. 암벽의 절개지나 절단면의 토사의 붕괴를 막기위한 토류판 고정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ㄱ자형으로 굴곡된 절곡부를 가지고 타단에 숫나사부가 형성되며, 지면에 매립된 H빔의 플랜지에 상기 절곡부가 설치되는 한 쌍의 걸림쇠와;
    장방형의 판상으로서, 양측단에 상기 걸림쇠의 숫나사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고정쇠와;
    상기 고정쇠와 상기 토류판의 사이에 삽입되는 토류판 지지대와;
    상기 관통공으로 노출되는 숫나사부에 체결되는 나비너트;를 포함하는 토류판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류판 지지대는
    상기 토류판의 외측에서 상기 H빔과 평행하게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며,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토류판에 걸쳐져서 상기 토류판을 상기 H빔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판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류판 지지대는
    단면이 사각형, 삼각형, 타원형, 원형, H자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판 고정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는
    철제 또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판 고정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류판 지지대는
    목재, 강화 플라스틱, 철제 중의 어느 하나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판 고정장치.
KR20-2005-0017750U 2005-06-20 2005-06-20 토류판 고정장치 KR2003961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750U KR200396180Y1 (ko) 2005-06-20 2005-06-20 토류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750U KR200396180Y1 (ko) 2005-06-20 2005-06-20 토류판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180Y1 true KR200396180Y1 (ko) 2005-09-20

Family

ID=43697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750U KR200396180Y1 (ko) 2005-06-20 2005-06-20 토류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18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598B1 (ko) 2009-09-02 2011-06-03 한창헌 토류벽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18567B1 (ko) * 2018-12-26 2019-11-14 류현미 자립식 옹벽구조
KR102164342B1 (ko) 2019-12-13 2020-10-13 임호환 토류판 고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598B1 (ko) 2009-09-02 2011-06-03 한창헌 토류벽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18567B1 (ko) * 2018-12-26 2019-11-14 류현미 자립식 옹벽구조
KR102164342B1 (ko) 2019-12-13 2020-10-13 임호환 토류판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48056A1 (ko) 가시설용 차수식 흙막이 구조체와 그 시공방법
KR101595702B1 (ko) 보강브릿지가 구비된 강판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98878B1 (ko) 강관 버팀보의 와이형 연결구조
KR101844743B1 (ko) 배부름 현상에 대응하는 흙막이 장치 및 흙막이 공법
US7661908B1 (en) Trench shield with adjustable vertical panels
US20060179730A1 (en) Wall structural memb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wall structure
KR102228553B1 (ko) 흙막이벽체 조성용 지반 천공 가이드부재
KR200396180Y1 (ko) 토류판 고정장치
JP2016528406A (ja) 土留め仮施設工事の切梁連結構造
KR101862208B1 (ko) 흙막이 가시설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공법
KR100770250B1 (ko) 옹벽 시공방법 및 그에 따른 옹벽 구조물
JP5476953B2 (ja) 山留めの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JP5432766B2 (ja) 建造物の基礎構造
KR101127475B1 (ko) 띠장 연결장치
KR20190142547A (ko) 개량된 흙막이 띠장 프리스트레스 공법
KR200387344Y1 (ko) 흙막이 구조물의 버팀대 설치구조
KR102185246B1 (ko)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70052197A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코너 버팀보의 연결장치
KR101569899B1 (ko) 이중 강관구조의 흙막이 공사용 토류판
KR101899859B1 (ko) 복합적 터파기 영역의 가설 흙막이 구조물
KR101906198B1 (ko) 가설 흙막이 구조물
KR100724781B1 (ko) 흙막이 판
KR101925363B1 (ko) 복합적 터파기 영역에 설치하기 위한 가설 흙막이 구조물
JP7301203B1 (ja) 浅堀掘削溝用土留め装置
KR101242206B1 (ko) 터널 붕락 방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