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176Y1 - 전기 전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전기 전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176Y1
KR200396176Y1 KR20-2005-0017739U KR20050017739U KR200396176Y1 KR 200396176 Y1 KR200396176 Y1 KR 200396176Y1 KR 20050017739 U KR20050017739 U KR 20050017739U KR 200396176 Y1 KR200396176 Y1 KR 2003961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layer
secondary battery
thickness
external connec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7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담
최수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77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1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1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1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6P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고안은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및 전해질을 포함하고, 외부로 도출되는 양극 및 음극 단자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셀과, 이차전지 셀에 연결되어 충방전 단자를 제공하는 외부 커넥터와, 양극 및 음극 단자과 외부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는, 전기 전도성이 뛰어난 제 1금속층과, 제 1 금속층의 일면에 접합성 및 내부식성이 뛰어난 제2금속층과 선택적으로 제1금속층의 타면에 내부식성이 뛰어난 제 3금속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기 전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 improved in electric conductivity}
본 고안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전지의 각 구성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전기 전도성, 접합성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휴대용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구조가 경량화 또는 고기능화 될 뿐만 아니라, 전기 자동차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이러한 전자 제품 또는 전기 자동차 등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전지들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에 관심이 모이고 있으며, 용량 밀도 및 비에너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극과 전지의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차전지중 1990년대 초에 개발된 리튬 이온 전지는, 수용액 전해액을 사용하는 Ni-MH 전지, Ni-Cd 전지, 황산-납 전지 등의 재래식 전지에 비해 작동전압이 높고 에너지 밀도가 월등히 높다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현재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통상, 그 내부에 양극, 음극을 갖는 전지 셀과, 전지 내부의 구성품으로 유출입되는 과전류 또는 과전압으로부터 전지를 보호하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 PCM(Protection Circuit Module) 등의 보호소자와, 외부 입출력 단자가 형성된 외부커넥터 및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금속 리드로 구성된다.
상기 금속 리드는, 전지 셀과 보호 소자, 외부 커넥터 등의 이차 전치 구성 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특히 전해액이나 습기 등과 같은 물질에 대한 전기 화학적 내부식성이 요구되며, 이러한 재료로서 종래 니켈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금속 리드에 내부식성이 좋은 니켈과 같은 재료를 사용할 경우, 전기 전도성이 좋지 못하여 전체 전지의 내부 저항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한편, 금속 리드에 전기 전도성이 좋은 재료를 사용할 경우, 구성 부품등과의 접합성이나 내부식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접합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하면서도 전기 전도성이 향상된 연결 부재를 가지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이차전지의 구성 부품들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전기 전도성이 좋은 금속과, 내부식성 및 접합성이 우수한 금속을 적층시킨 구조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그 내부에 양극, 음극, 분리막 및 전해질을 포함하고, 외부로 도출되는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구비하는 셀과: 상기 셀의 단자와 연결되어 충방전 단자를 제공하는 외부 커넥터; 및 상기 셀의 단자와 상기 외부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제 1금속층과, 상기 제 1금속층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되고 상기 제 1금속층보다 비저항이 높고 산화환원준위가 낮은 제 2금속층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금속층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금속층은 니켈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돠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a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크게 이차전지 셀(100)과, 보호 소자(200)와, 외부 커넥터(400) 및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300)를 포함한다.
이차전지 셀(100)은 양극, 음극 및 이들을 분리하는 분리막이 적어도 한 층씩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두 개의 전극 단자(110, 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두 개의 전극 단자는 각각 셀 내부에 내장된 양극와 음극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극 단자 중 하나(110)는 연결부재(300)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120)는 보호소자인 PTC 소자(220)와 연결된다.
여기서, 이차전지 셀(100)은 양극, 음극 및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셀 또는 이들의 적층체를 전해질과 함께 밀봉하는 수납 팩을 지칭하고, 보호 소자(200) 및 연결부재(300)는 수납 팩의 외부에 부착되어 외곽 케이스에 내장되는 구조이나, 본 고안이 반드시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 즉, 예컨대, 도 1a에 도시된 이차전지 셀(100)은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의 적층체 자체를 지칭하고, 이차전지 셀(100)과 보호소자(200)가 전해질과 함께 수납 팩에 수납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 소자(200)로서, PTC 소자(220)와 PCM(210)을 사용하는데, 상기 PTC 소자(220)는 고분자 수지와 전도성 물질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기저항이 증가하는 PTC 물질층(221); 및 PTC 물질층의 양면에 각각 형성된 전극과 연결되는 제 1및 제 2 PTC 리드(222a, 222b);를 구비한다.
여기서, PTC 물질층(221)은, 전도성 입자들이 내부에 분산되어 전기적으로 PTC 성질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다. 고분자 수지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전도성 입자로는 카본 블랙 또는 기타 금속재의 입자들이 사용될 수 있다.
PTC 소자(220)의 상하부에 위치하는 제 1 및 제 2리드(222a, 222b)는, 알루미늄, 니켈, 구리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은 금속이나 금속화합물로 이루어지고, 이차전지 셀(100)의 양극 또는 음극 단자(120)나 PCM 소자(210), 또는 외부 커넥터(400)와 PTC 소자(2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상술한 PTC 소자(220)는 얇고 긴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제 1 및 제 2리드(222a, 222b)가 서로 반대되는 장변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PTC 소자(220)의 형상과 리드의 돌출 방향은 PTC 소자(220)가 부착될 위치와 형상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PCM(210)은 과전류나 과전압에 따른 전지의 폭발이나 발화를 방지하기 위한 회로소자로서, 그 구체적인 구성은 널리 알려져 있고 본 고안의 주요한 특징이 아니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소자로서 PTC 소자(220)와 PCM(210)을 둘 다 사용하지만, 이들은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그에 따른 연결구조 및 배치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외부 커넥터(400)는, 충방전 단자를 제공하며 외곽 케이스의 일부로서 또는 외곽 케이스와 별체로 제공된다.
연결부재(300)는 이차전지 셀(100)의 일방 전극 단자(110)와 PCM(210)의 일방 단자에 접속되어 외부 커넥터(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PCM(210)을 구비하지 않는 구성에서는, 연결부재(300)는 외부 커넥터(400)에 직접 연결된다.
여기서, 연결부재(30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 셀(100)에 밀착 배치되어, 상대적으로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연결부재(300)의 일면에만 제 2금속층(320)이 형성되어 연결부재(300)의 부식을 방지한다. 이때, 연결부재(300)가 이차전지 셀(100)에 밀착 배치된다 함은, 이차전지 셀(100)과 연결부재(300)가 예컨대 절연테이프(미도시)등과 같은 절연물질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절연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연결부재(300)의 타면이 가능한 한 노출되지 않도록 이차전지 셀(100)에 밀착되는 것을 말한다.
도 1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a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게 된다.
도 1b를 참조하면, 연결부재(300)는 전기 전도성이 좋은 제 1금속층(310)과 그 양면에 적층된 전기화학적으로 산화력이 강하고 접합성이 좋은 제 2금속층(320) 및 제 3금속층(33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연결부재(300)의 양면을 부식으로부터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연결부재(300)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 셀(100)과 반드시 밀착 배치되지 않아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300)는 이차전지의 전체저항을 낮출 수 있도록 전기 전도성이 좋아야 하며, 동시에 내부에 마련된 부품등의 금속면과 접합성이 좋아야 하며, 전해액과 같은 화학물질에 대한 내부식성이 우수해야 한다.
그러면, 이러한 특성이 요구되는 연결부재(300)에 대하여,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연결부재(300)는 전기 전도성이 좋은 금속을 사용하는 제 1금속층(310)과, 전기화학적으로 산화력이 강하고 접합성이 좋은 재료인 제 2금속층(320)으로 이루어진다.
제 1금속층(310)은 전기적으로 전도성이 우수하도록, 상온에서의 비저항이 3μΩ㎝ 이하의 구리, 금, 은 등의 금속 또는 그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금속층(320)은 제 1금속층(310)의 일면에 적층되는 금속층으로서, 전기 전도성이 좋은 금속의 미흡한 특성, 즉 접합성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 2금속층(320)은 전해도금 또는 무전해도금 방식이나, 스퍼터링 또는 라미네이션 방식으로 적층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금속층(320)은 전극 단자(110 또는 120)의 금속면 및 기타 부품과 접합되는 면에 형성되므로, 접합성이 좋은 금속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300)와 각 구성부품을 접합하는 방법으로는 전형적으로 스팟웰딩(Spot Welding)을 사용하는데, 접합시, 접합면의 저항이 커야 접합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금속층(320)은 상온에서의 비저항이 2~30μΩ㎝로, 제 1금속층(310)의 비저항보다는 큰 금속 또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의 비저항이 2μΩ㎝ 이하이면, 저항에 의한 접합성이 나쁘며, 30μΩ㎝ 이상이면 연결부재(300)의 전체저항을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 2금속층(320)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00)의 노출되는 면에 형성되므로 내부식성이 좋아야 한다. 구체적으로 제 2금속층(320)은 수소의 산화환원 준위인 0V를 기준으로 할 때, 제 1금속층(310)을 구성하는 구리(0.52V), 금(1.5V), 은(0.8V)등 보다는 산화환원 준위가 낮은 -2.0~0V 범위의 금속 또는 화합물을 사용한다. 즉, 제 2금속층(320)은 산화환원 준위값이 제 1금속층(310)보다 낮은 금속을 사용하여, 외부의 산화환원반응에 의한 부식으로부터 제 1금속층(310)을 보호한다.
또한, 제 2금속층(320)의 두께는 연결부재의 저항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동시에 내부식성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0.1~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전해도금 방식으로 제 2금속층을 형성할 경우, 그 두께는 1~10㎛가 바람직하다.
도 2b를 참조하면, 연결부재(300)는 전기 전도성이 좋은 금속을 사용하는 제 1금속층(310)과, 그 일면에 적층된 전기화학적으로 산화력이 강하고 접합성이 좋은 재료인 제 2금속층(320) 및 그 타면에 적층된 전기화학적으로 산화력이 강한 제 3금속층(330)으로 이루어진다.
제 2금속층(320)은 제 1금속층(310)의 일면에 적층되어 그 면이 다른 구성부품과 접합되도록 하고, 제 1금속층(310)의 타면에는 제 3금속층(330)이 적층되어 연결부재(300)가 화학물질에 노출되었을 경우 부식을 방지한다.
제 3금속층(330)도 제 2금속층(320)과 마찬가지로, 제 1금속층(310)의 타면에 전해도금 또는 무전해도금 방식이나, 스퍼터링 또는 라미네이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300)가 이차전지 셀(100)의 수냅 팩에 접착되는 등 밀착 배치되는 경우, 상술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연결부재(300)의 일면에만 제 2금속층(320)이 적층되었으나, 상술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구성부품과 접하는 제 1금속층(310)의 일면에 접합성 및 내부식성이 좋은 제 2금속층(320)이 적층되고, 그 타면에 내부식성이 좋은 제 3금속층(330)이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3금속층(330)의 경우 내부식성 뿐 아니라 접합성도 좋은 것이 더 바람직하다.
도 2c를 참조하면, 연결부재(300)는 전기 전도성이 좋은 금속을 사용하는 제 1금속층(310)과, 그 양면에 각각 적층된 전기화학적으로 산화력이 강하고 접합성이 좋은 재료인 동일한 재질의 제 2금속층(320) 및 제 3금속층(330)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2b의 실시예에서 제 2금속층(320)과 제 3금속층(330)은 각각 접합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한 다른 금속층으로 설명되었지만,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금속층(310)의 양면에 형성되는 금속층은 접합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한 동일한 금속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연결부재(300)를,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제 1금속층(310)과, 접합성 및 내부식성이 좋은 제 2금속층(320) 및 선택적으로 내부식성이 좋은 제 3금속층(330)의 적층 구조로 함으로써, 이차전지의 연결부재에 요구되는 내부식성과 접합성을 우수하게 하면서도,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어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이차전지의 성능을 종래의 이차전지와 비교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차전지의 셀과 보호 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있어서, 제 1금속층으로서 비저항이 1.7μΩ㎝ 로 낮은 구리를 0.125mm 두께의 얇은 박 형태로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준비된 제 1금속층의 양면에 다음 각 실시예와 같이 제 2금속층을 적층하였다.
< 실시예 1 >
비저항이 1.7μΩ㎝, 두께가 0.125mm 인 얇은 구리박으로 제 1금속층을 형성한 다음, 제 1금속층의 양면에 비저항이 6.9μΩ㎝이며, 산화환원 준위가 -0.23V인 니켈을 그 두께가 1㎛ 가 되도록 도금하여 제 2금속층 및 제 3금속층을 형성하였다.
< 실시예 2 >
비저항이 1.7μΩ㎝, 두께가 0.125mm 인 얇은 구리박으로 제 1금속층을 형성한 다음, 제 1금속층의 양면에 비저항이 20.6μΩ㎝이며, 산화환원 준위가 -0.13V인 납을 그 두께가 1㎛ 가 되도록 도금하여 제 2금속층 및 제 3금속층을 형성하였다.
< 실시예 3 >
비저항이 1.7μΩ㎝, 두께가 0.125mm 인 얇은 구리박으로 제 1금속층을 형성한 다음, 제 1금속층의 양면에 비저항이 2.7μΩ㎝이며, 산화환원 준위가 -1.66V인 알루미늄을 그 두께가 1㎛ 가 되도록 도금하여 제 2금속층 및 제 3금속층을 형성하였다.
< 비교예 1 >
종래의 일반적인 금속 리드로 사용되는 니켈을 0.125mm 두께의 얇은 박 형태로 준비하였다.
< 비교예 2 >
비저항이 1.7μΩ㎝, 두께가 0.125mm 인 얇은 구리박으로 제 1금속층을 형성한 다음, 제 1금속층의 양면을 도금하지 않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준비된 5개의 시편을 사용하여, 길이 방향의 저항 특성을 측정하고, 준비된 니켈 리드와 각 시편들을 스팟 웰딩 방식으로 접합시켜 그 접합 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내부식성에 대한 평가를 위해 준비된 전해액에 시편을 담그고 500㎶/sec의 속도로 2.5~4.5V 까지 전압을 높여가며 시편의 부식정도를 비교하였다.
표 1은 5개의 시편에 대해, 저항, 금속과의 접합성 및 내부식성을 평가한 결과이다.
구분 제 1금속층 제 2금속층 및 제 3금속층 시편저항 접합성 내부식성
실시예 1 0.125mm 구리 1㎛ 니켈 양면도금 3.40 좋음
실시예 2 0.125mm 구리 1㎛ 납 양면도금 4.13 좋음
실시예 3 0.125mm 구리 1㎛ 알루미늄 양면도금 3.22 좋음
비교예 1 0.125mm 니켈 없음 14.43 좋음
비교예 2 0.125mm 구리 없음 3.18 나쁨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경우, 두께가 0.125mm인 구리로 형성된 제 1금속층의 양면에, 비저항이 6.9μΩ㎝, 20.6μΩ㎝, 2.7μΩ㎝ 로 구리의 비저항 1.7μΩ㎝보다 크고, 산화환원 준위가 각각 -0.23V, -0.13V, -1.66V 인 니켈, 납 및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전해도금 방식으로 제 2금속층을 형성했을 때, 전기전도성, 접합성 및 내부식성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에 대해, 비교예 1의 경우, 두께가 0.125mm인 니켈로 형성된 제 1금속층에 다른 금속을 도금하지 않았을 때, 접합성이나 내부식성에는 문제가 없으나, 전체저항이 너무 컸다. 또한, 비교예 2의 경우는, 두께가 0.125mm인 구리로 형성된 제 1금속층에 다른 금속을 도금하지 않았을 때, 전기 전도성은 문제가 없으나, 접합성 및 내부식성이 좋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저항이 낮은 금속을 내부에 배치시키고 이보다 저항은 높고 산화환원 준위가 낮은 금속을 외부에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제 1금속층으로서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을 사용하고, 제 2 또는 제 3금속층으로서 니켈을 사용한 경우, 전기 전도성과, 접합성 및 내부식성이 가장 우수한 연결부재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이차전지와 같은 전자부품의 구성부품들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전기 전도성이 좋은 금속층과, 그 일면 또는 양면에 내부식성 및/또는 접합성이 좋은 금속층을 적층한 구조로 함으로써, 이차전지 등의 전자부품의 전체 저항을 감소시키고, 동시에, 내부식성 및 접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금층이 형성된 연결부재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이차전지 셀 200...보호 소자
210...PTC 소자 300...연결부재
400...외부 커넥터

Claims (23)

  1. 양극, 음극, 상기 양극와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및 전해질을 포함하고, 외부로 도출되는 양극 및 음극 단자를 구비하는 셀;
    상기 양극 및 음극 단자에 연결되어 충방전 단자를 제공하는 외부 커넥터; 및
    상기 셀의 단자와 상기 외부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제 1금속층과, 상기 제 1금속층의 일면에 적층되고 상기 제 1금속층보다 비저항이 높고 산화환원준위가 낮은 제 2금속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금속층의 비저항은 3μΩ㎝ 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금속층의 산화환원준위는 -2.0 내지 0V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금속층은 구리 또는 구리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금속층은 니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금속층의 두께는 상기 제 1금속층 두께의 1/10 내지 1/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금속층의 두께는 0.1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금속층은 상기 제 1금속층의 표면에 전해도금 방식으로 형성되고, 그 두께가 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셀과 상기 외부커넥터 사이에는 과전류 또는 과전압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소자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소자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PTC 소자는 전도성 입자들이 분산된 고분자 형태의 PTC 조성물과 리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과 상기 PTC소자의 리드는 스팟 웰딩(Spot Welding)에 의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소자는, PCM(Protection Circuit Modu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 1금속층의 타면에 적층되고, 상기 제 1금속층보다 산화환원준위가 낮은 제 3금속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금속층의 산화환원준위는 -2.0 내지 0V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금속층과 상기 제3금속층의 재질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금속층의 비저항이 상기 제 1금속층의 비저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금속층은 비저항이 2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금속층은 니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금속층의 두께는 상기 제 1금속층의 두께의 1/10 내지 1/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금속층의 두께는 0.1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1.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금속층은 제 1금속층의 표면에 전해도금 방식으로 형성되고 그 두께가 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2. 양극재, 음극재, 상기 양극재와 음극재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및 전해질을 포함하고, 외부로 도출되는 양극 및 음극 단자를 구비하는 셀;
    상기 양극 및 음극 단자에 연결되어 충방전 단자를 제공하는 외부 커넥터; 및
    상기 셀의 단자와 상기 외부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비저항이 3μΩ㎝이하인 제 1금속층과, 비저항이 2 내지 20μΩ㎝이고 산화환원준위가 -2.0 내지 0V 인 제 2금속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3. 양극재, 음극재, 상기 양극재와 음극재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및 전해질을 포함하고, 외부로 도출되는 양극 및 음극 단자를 구비하는 셀;
    상기 양극 및 음극 단자에 연결되어 충방전 단자를 제공하는 외부 커넥터; 및
    상기 셀의 단자와 상기 외부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층과, 상기 구리 또는 구리 합금층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된 니켈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KR20-2005-0017739U 2005-06-20 2005-06-20 전기 전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KR2003961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739U KR200396176Y1 (ko) 2005-06-20 2005-06-20 전기 전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739U KR200396176Y1 (ko) 2005-06-20 2005-06-20 전기 전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911A Division KR100739431B1 (ko) 2005-06-20 2005-06-20 전기 전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및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연결하는 판형 도전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176Y1 true KR200396176Y1 (ko) 2005-09-20

Family

ID=43697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739U KR200396176Y1 (ko) 2005-06-20 2005-06-20 전기 전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1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2275B2 (en) Electrochemical element
CN101312244B (zh) 电极组件及使用该电极组件的二次电池
US20090136839A1 (en) Thin film battery comprising stacked battery cells and method
US20060208700A1 (en) Rechargeable battery and its fabrication
KR20040054128A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JP2013161674A (ja) 電気化学素子用のラミネートケース、電池、キャパシタおよび組電気化学素子
JP2001256933A (ja) 電池及び電池パック
KR20120031606A (ko) 부식방지용 보호층이 선택적으로 형성된 전극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80097084A (ko) 이차 전지
US20090029246A1 (en) Pouch-type secondary battery
KR20150033176A (ko) 배터리 모듈 및 이에 적용되는 버스바
EP1714347B1 (e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n improved safety
JP2002100411A (ja) 電池パック
US9099252B2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KR100865399B1 (ko) 이차전지
KR100871917B1 (ko) 납땜성과 염수 내식성이 우수한 이차 전지용 양극 탭 및 그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모듈
US8039144B2 (en) Electrochemical cell with singular coupling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1174923B1 (ko) 전지용 전극 집전체 및 이를 사용한 이차전지
JP4718812B2 (ja) 二次電池パック
JP2018073838A (ja) インターリーブ電極を有する組み合わせバッテリセル
KR100739431B1 (ko) 전기 전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및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연결하는 판형 도전체
KR200396176Y1 (ko) 전기 전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KR20070056428A (ko) 이차전지
KR20170050884A (ko) 파우치 타입 이차전지
WO2020022022A1 (ja) 蓄電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