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052Y1 - 책상 - Google Patents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052Y1
KR200396052Y1 KR20-2005-0016407U KR20050016407U KR200396052Y1 KR 200396052 Y1 KR200396052 Y1 KR 200396052Y1 KR 20050016407 U KR20050016407 U KR 20050016407U KR 200396052 Y1 KR200396052 Y1 KR 2003960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rotrusion
glass plate
desk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4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자
Original Assignee
이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자 filed Critical 이인자
Priority to KR20-2005-00164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0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0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0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3Rims for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2Transparent tops, e.g. with lighting means under the tabl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5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47B96/206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with laminates comprising planar, continuous or separate layer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책상이 기울어지거나 흔들려도 책상 상판 둘레의 일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하여 유리판이 상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쪽으로 유리판를 당기고 들어 올림으로써 간편하게 상판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모서리를 따라 소정의 폭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둘레의 일부에 형성하는 판형상의 상판과, 상기 상판의 돌출부에 의해 구획되는 안치부에 삽입되는 유리판과, 상기 상판을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책상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책상 {Desk}
본 고안은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 상판의 둘레 일부에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유리판이 안정적으로 고정이 되고, 간단한 조작으로 상판으로부터 유리판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책을 읽거나 글을 쓰는데 이용되는 가구의 일종으로, 학교나 사무실, 가정 등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보통 평평한 판재의 형태를 갖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지지부에는 필기구나 노트 등을 넣을 수 있도록 여러단의 서랍을 설치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상기에서 상판의 재료로는 환경친화적이고 질감이 좋은 원목이 선호되며,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합성수지, 금속 등도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을 깨끗하게 보호하고, 사용에 따른 흠집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판 위에 유리판을 덮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다채로운 분위기 연출을 위해, 개인의 취향에 맞게 디자인된 책상보를 깔고 그 위에 유리를 덮는 방법도 많이 애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책상의 상판(10) 위에 유리판(20)를 올려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대개의 경우 유리판(20) 밑에는 달력이나 전화번호, 사진, 메모지 등을 끼워넣어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유리판(20)이 상판(10)에 아무런 지지 없이 올려져 있으므로, 책상이 조금만 흔들려도 유리판(20)이 바닥에 떨어지는 사고가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천 재질로 된 책상보를 상판(10)과 유리판(20) 사이에 설치한 경우에는 상판(10)과 유리판(20)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더 크게 증대된다. 따라서 작은 흔들림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서도 유리판(20)이 상판(10)으로부터 이탈되어 깨지게 되는 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10)의 둘레를 따라 돌출부(12)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그 중앙부에 유리판(20)를 위치시켜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상기 유리판(20)은 상기 돌출부(12)에 의해 운동이 제한을 받게 되므로, 책상이 다소 흔들리더라도 유리판(12)이 상기 상판(20)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 돌출부(12)가 상기 상판(10)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이 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리판(20)를 상기 상판(10)에서 분리하는 것이 대단히 곤란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기 유리판(20)를 분리하기 위하여 끝이 날카로운 드라이버나 칼 등의 도구를 이용하거나 진공흡착기를 이용할 수 있는데, 전자는 책상과 유리에 손상을 주거나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고, 후자는 일반 가정에서 구비해 놓고 쓰기가 어려운 물품이라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50149호에는, 책상의 상판 위에 시트부재를 깔고 그 위에 강화유리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그 모서리부분 혹은 가장자리부분을 탄력성의 고정클립으로 고정하여 상판으로부터 유리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고정클립을 각 모서리 마다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하게 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미관에도 악영향을 미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판의 둘레를 따라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 구획되는 안치부에 유리판을 위치시켜 유리판이 상판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를 상판 둘레의 일부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유리판이 상판으로부터 간단한 조작으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책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이 제안하는 책상은 모서리를 따라 소정의 폭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둘레의 일부에 형성하는 판형상의 상판과, 상기 상판의 돌출부에 의해 구획되는 안치부에 삽입되는 유리판과, 상기 상판을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의 한쪽 또는 둘 이상의 모서리에는 상기 돌출부를 형성되지 않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는 쪽의 상판 가장자리에는 측단면 모양이 모따기가 된 형태의 경사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리판과 경사부가 만나는 부분은 유리판의 끝면이 상기 경사부와 동일한 면을 이루도록 경사부와 동일한 각도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의 일실시예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서리를 따라 소정의 폭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2)를 둘레의 일부에 형성하는 판형상의 상판(10)과, 상기 상판(10)의 돌출부(12)에 의해 구획되는 안치부(14)에 삽입되는 유리판(20)과, 상기 상판(10)을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10)의 한쪽 또는 둘 이상의 모서리는 상기 돌출부(12)가 형성되지 않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사용자가 위치하는 쪽으로 상기 돌출부(12)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위치하는 쪽으로 돌출부(12)를 형성하지 않게 되면, 돌출부(12)가 형성되는 않은 부분을 통하여 용이하게 유리판(20)을 상판(10)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날카로운 도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상판(10)이나 유리판(20)에 손상이 발생하거나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판(10)의 둘레의 일부에는 돌출부(12)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의 편리를 위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쪽에 돌출부(12)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는 쪽의 상판(10) 가장자리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단면 모양이 경사지게 모따기가 행해진 형태의 경사부(16)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판(20)과 경사부(16)가 만나는 부분은 유리판(20)의 끝면이 상기 경사부와 동일한 면을 이루도록 상기 경사부(16)와 동일한 각도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사용시에 유리판의 날카로운 끝 모서리에 사용자의 팔이나 몸 등에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양쪽 팔을 자연스럽게 책상에 걸칠수 있으므로 사용하기에 편리한 잇점이 있고, 단조로운 형상에 변화를 주게 되므로 독특한 미감을 불러 일으키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상기에서, 사용자가 상기 유리판(20) 밑에 끼워진 메모지 등을 바꾸고자 하여 상기 유리판(20)을 상기 상판(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유리판(20)을 사용자 쪽(상판(10)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부(12)가 형성되지 않은 쪽)으로 살짝 당긴 후 유리판(20)을 들어 올리면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사용자가 위치하는 쪽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공공도서관의 경우처럼 여러명이 마주보며 사용하도록 제작되는 책상에는 상기와 같은 경사부(16)를 상기 상판(10)의 양쪽 가장자리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4는 'ㄱ'자 모양으로 상판(10)을 형성하고 둘레의 일부에 돌출부(12)를 형성한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에서 사용자가 위치하는 쪽('ㄱ'자의 파인 쪽)을 제외하고 상판(10)의 둘레에 돌출부(12)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사용자 쪽 모서리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12)에 의하여 유리판(20)의 운동이 제한되므로 책상이 사용자 쪽으로 기울어져도 유리판(20)이 상판(10)에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판(10)의 모양은 직사각형 또는 'ㄱ'자 의 모양뿐만 아니라 원, 타원, 트랙, 'ㄷ'형상 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실시하는 가능하다. 예를 들어 원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12)가 원주를 따라 원주의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16)는 상기 돌출부(12)가 형성되지 않는 곳에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상기 돌출부(12)가 상기 상판(10)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유리판(20)의 두께와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12)의 높이와 상기 유리판(20)의 두께가 다르면 사용시에 팔에 상처를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움직임이 부자연스럽게 되어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케이블 등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둘이상의 케이블홀(18), (22)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판(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책상다리(32)와 프레임(34)으로 구성되는 지지부(30)를 둔다.
상기 지지부(30)는 일반적인 책상에 적용되는 방법으로 구성하여 다양하게 실시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내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책상에 의하면, 상판 가장자리 일부분에 돌출부를 형성하지 않고 유리판을 몸체부의 가장자리 끝단까지 연장하여 형성하므로 유리판를 책상으로부터 들어 올리기가 쉬워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책상이 기울어지거나 흔들려도 돌출부에 의하여 유리판의 움직임이 제한을 받게 되므로, 유리판이 상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아니라 상판의 사용자 쪽 일측에 돌출부를 형성하면 사용자 쪽으로도 유리판의 운동을 제한하므로 상판으로부터 유리판이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책상에 의하면, 유리를 쉽게 들어 올릴수 있으므로 커피 등을 엎질렀을 때나 책상보를 바꿀 때 또는 유리판 밑에 끼워놓은 종이 등을 삽입 또는 제거 할 때 사용이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는 쪽에 측단면 모양이 모따기가 된 형태의 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유리판과 경사부가 만나는 부분의 유리판 끝면을 상기 경사부와 동일한 면을 이루도록 가공을 하면, 사용자의 팔이나 몸 등에 상처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양쪽 팔을 자연스럽게 책상에 걸칠수 있으므로 사용하기에 편리한 잇점이 있다. 아울러, 단조로운 형상에 변화를 주게 되므로, 독특한 미감을 불러 일으키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유리판를 상판으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 책상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 책상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 책상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Claims (4)

  1. 모서리를 따라 소정의 폭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둘레의 일부에 형성하는 판형상의 상판과,
    상기 상판의 돌출부에 의해 구획되는 안치부에 삽입되는 유리판과,
    상기 상판을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책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한쪽 또는 둘 이상의 모서리에는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지 않는 책상.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는 쪽의 상판 가장자리에는 측단면 모양이 모따기가 된 형태의 경사부를 형성하는 책상.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과 경사부가 만나는 부분은 유리판의 끝면이 상기 경사부와 동일한 면을 이루도록 상기 경사부와 동일한 각도로 형성하는 책상.
KR20-2005-0016407U 2005-06-09 2005-06-09 책상 KR2003960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407U KR200396052Y1 (ko) 2005-06-09 2005-06-09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407U KR200396052Y1 (ko) 2005-06-09 2005-06-09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052Y1 true KR200396052Y1 (ko) 2005-09-16

Family

ID=4369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407U KR200396052Y1 (ko) 2005-06-09 2005-06-09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05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260B1 (ko) 2005-04-14 2007-03-09 노현석 책상상판에의 유리고정구조
KR100692259B1 (ko) 2005-06-13 2007-03-09 노현석 책상상판에의 유리고정구조
KR200448467Y1 (ko) 2009-08-12 2010-04-13 김석준 지지프레임의 가림수단이 구비된 테이블
US9382384B2 (en) 2013-12-27 2016-07-05 Nano Cms Co., Ltd. μ-polyoxo crosslinked phthalocyanine compound, preparing method thereof, and near infrared ray absorbing and reflecting composition using the same
KR102112607B1 (ko) * 2020-02-14 2020-05-19 영남강철 주식회사 강화유리가 씌워진 책상 상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260B1 (ko) 2005-04-14 2007-03-09 노현석 책상상판에의 유리고정구조
KR100692259B1 (ko) 2005-06-13 2007-03-09 노현석 책상상판에의 유리고정구조
KR200448467Y1 (ko) 2009-08-12 2010-04-13 김석준 지지프레임의 가림수단이 구비된 테이블
US9382384B2 (en) 2013-12-27 2016-07-05 Nano Cms Co., Ltd. μ-polyoxo crosslinked phthalocyanine compound, preparing method thereof, and near infrared ray absorbing and reflecting composition using the same
KR102112607B1 (ko) * 2020-02-14 2020-05-19 영남강철 주식회사 강화유리가 씌워진 책상 상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6052Y1 (ko) 책상
US7837161B2 (en) Furniture-foot assemblies
US5823574A (en) Writing board with padded surface
CA2425461C (en) Support device for displaying individual books or similar items
CA2480529C (en) Casket ornament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US4991330A (en) Apparatus for mounting photographs and other documents
JP2016083341A (ja) 書見台
WO2008130947A1 (en) Desktop table
US5036988A (en) Bookend for metal shelves
US5516151A (en) Clipboard
US6345456B1 (en) Calendar frame
US200300427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furniture
JP3152149U (ja) 物品の転落防止具
JP4530191B2 (ja) 組立式卓上イーゼル
JP3214554U (ja) ベッドサイドテーブル
JPH0612945Y2 (ja) 表紙カバー
JP2573956Y2 (ja) 本立て
AU2002100289A4 (en) Computer device
JP3032748U (ja) クリアマット
JPH0831134A (ja) 光学式ディスク付カード用基板
US20080121775A1 (en) Book holding device
EP2014193A1 (en) Book support comprising a fixing base
KR200368559Y1 (ko) 메모판과 선반기능을 갖춘 지능형 독서대를 구비한독서실용 책상
JP3201054U (ja) ブックエンド
JPH0748139Y2 (ja) 過去帳立て及び過去帳押さ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