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869Y1 - 완충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완충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95869Y1 KR200395869Y1 KR20-2005-0018005U KR20050018005U KR200395869Y1 KR 200395869 Y1 KR200395869 Y1 KR 200395869Y1 KR 20050018005 U KR20050018005 U KR 20050018005U KR 200395869 Y1 KR200395869 Y1 KR 20039586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pansion
- open position
- closed position
- expansion chamber
- main bodie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을 해치지 않고,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개폐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기능부품을 손상시키거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완충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완충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열림위치와 닫힘위치 사이에서 상대운동하는 제1 및 제2 본체(10,20)와, 상기 제1 및 제2 본체의 열림상태와 닫힘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대운동시 소정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열림위치 또는 닫침위치로 신속하게 이동시키는 부세수단과, 상기 제1 본체(10) 또는 제2 본체(20)중 어느 한 쪽에 구비되어 제1 및 제2 본체의 상대운동시 함께 이동하는 작동부재(30)와, 상기 작동부재의 이동방향에 구비되고, 열림위치에서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가압되도록 배치된 제1 신축실(41), 닫힘위치에서 상기 작동부재에 가압되어 신축되는 제2 신축실(42), 상기 제1 신축실과 제2 신축실을 연통하는 오리피스(43)를 구비하며, 내부에 유체(44)가 밀봉된 신축튜브(40)로 이루어지는 완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림위치와 닫힘위치 사이에서 상대운동하는 제1 및 제2 본체의 개폐동작시 열림위치와 닫침위치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켜 디스플레이부의 액정 및 내부 부품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는 완충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예들 들어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제1 본체와, 입력버튼 및 각종 기능부품이 내장된 제2 본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본체와 제2 본체는 열림위치와 닫힘위치 사이에서 상대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본체와 제2 본체를 상대운동시켜 개폐할 때, 제1 본체와 제2 본체가 열림위치 또는 닫힘위치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부세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부세수단은 열림위치와 닫힘위치 사이의 소정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열림위치 또는 닫힘위치로 신속하게 이동시키는 기능도 함께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부세수단은 통상 캠구조나 스프링의 탄성력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개폐구조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는 부세수단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서 열림위치 또는 개폐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하게 됨으로써 열림위치 또는 닫힘위치에서 충격이 발생하게 되고, 이 충격은 디스플레이부의 액정 및 내장부품에 영향을 주어 손상시키거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도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제1 본체와 제2 본체의 열림위치와 닫힘위치에서 상호 접촉되는 부분에 고무등의 완충부재를 돌출형성 것이 있으나, 이러한 완충부재는 완충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이즈를 크고 두껍게 구성하는 경우,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외관상으로도 보기에 좋지 않기 때문에 품질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으며, 너무 작고 얇게 구성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완충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을 해치지 않고,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개폐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기능부품을 손상시키거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완충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열림위치와 닫힘위치 사이에서 상대운동하는 제1 및 제2 본체와, 상기 제1 및 제2 본체의 열림상태와 닫힘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대운동시 소정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열림위치 또는 닫침위치로 신속하게 이동시키는 부세수단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 또는 제2 본체중 어느 한 쪽에 구비되어 제1 및 제2 본체의 상대운동시 함께 이동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의 이동방향에 구비되고, 열림위치에서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가압되도록 배치된 제1 신축실, 닫힘위치에서 상기 작동부재에 가압되어 신축되는 제2 신축실, 상기 제1 신축실과 제2 신축실을 연통하는 오리피스를 구비하며, 내부에 유체가 충전된 신축튜브로 이루어지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완충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본체는 일단이 힌지부로 연결되어 소정각도 회전하는 개폐구조이며,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본체의 회전이동에 연동하여 힌지부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각도 회전하고,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작동부재의 회전방향의 연장선상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완충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본체는 소정길이 직선 이동하는 개폐구조이며,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본체의 직선이동에 연동하여 직선이동하고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 작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작동부 사이의 이동방향 연장선상에 직선방향으로 배치되는 완충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본체는 소정길이 직선 이동하는 개폐구조이며,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본체의 직선이동에 연동하여 직선이동하고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하나의 작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작동부를 사이에 두고 작동부 이동방향의 연장선상에 직선방향으로 배치되는 완충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로서, 폴더타입의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낸 것으로,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는 일단이 각각의 힌지부(11,21)에 의해 연결되어 열림위치(실선상태)와 닫힘위치(가상선상태) 사이에서 개폐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11,21)의 축방향 일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본체(10,20)를 열림위치와 닫힘위치에서 유지시킴과 동시에, 상대운동시 소정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열림위치 또는 닫침위치로 신속하게 이동시키는 부세수단과, 제1 및 제2 본체(10,20)의 상대운동시 함께 이동하는 가압부재(30), 열림위치와 닫힘위치에서 상기 가압부재(30)에 가압되어 신축되는 신축튜브(40)로 이루어지는 완충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부세수단은 제2 본체(20)측의 힌지부(21)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 본체(10)의 상대운동에 따라 연동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캠부재(51,52)와, 제2 캠부재(52)와 힌지부(21)의 측벽 사이에 탄력설치된 탄성부재(53)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캠부재(51,52)는 서로 마주하여 탄성부재(53)에 의해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캠면(51a,52a)을 각각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각 캠면(51a,52a)은 서로 결합이 가능한 돌출형상과 오목형상을 회전방향으로 연이어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캠부재(51)는 제1 본체(10)의 힌지부(11)측으로 돌출부(51b)가 형성되어 제1 본체(10)의 힌지부(11)에 형성된 홈부(11a)에 끼워맞춤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완충수단의 가압부재(30)는 상기 제1 캠부재(51)의 끝단부에 연이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1 캠부재(51)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아암부(31)가 연이어 돌출됨과 동시에, 이 아암부(31)의 회전방향 양쪽으로 제1 가압부(32)와 제2 가압부(33)가 연이어 형성되어 제1 캠부재(51)와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제1 캠부재(51)와 가압부재(30)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힌지부(21)의 측벽에 회전지지되는 회전지지부(34)를 형성하여 가압부재(30)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축튜브(40)는 제1 신축실(41)과 제2 신축실(42)을 오리피스(43)로 연통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고, 내부에 액체 또는 기체로 이루어지는 유체(44)가 완전히 밀봉 또는 누출 가능하게 충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신축실(41)과 제2 신축실(42)은 주름부가 형성되어 신축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신축튜브(40)는 가압부재(30)의 제1 및 제2 가압부(32,33)가 회전하는 궤적에 연장하는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 신축실(41)은 상기 가압부재(30)의 제1 가압부(32)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열림위치에 배치되고, 제2 신축실(42)은 상기 제2 가압부(33)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닫힘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신축튜브(40)는 커버(22)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커버(22)는 힌지부(21)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내부에 신축튜브(40)를 지지하는 반원형의 가이드(22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폴더타입 휴대용 단말기는, 도 1에서와 같이 제1 본체(10)를 실선상태의 닫힘위치와 가상선상태의 열림위치 사이에서 회전시키게 되면, 도 2에서와 같이 제1 본체(10)의 힌지부(11)에 구비된 홈부(11a)와 이에 결합된 제1 캠부재(51)의 돌출부(51b)에 의해 부세수단의 제1 캠부재(51)도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닫힘위치 또는 열림위치에서는 도 2a에서와 같이 제1 캠부재(51)의 돌출 캠면(51a)이 제2 캠부재(52)의 오목 캠면(52a)에 끼워맞춤되어 열림 또는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본체(10)가 열림위치와 닫힘위치 사이의 소정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캠부재(51)의 돌출 캠면(51a)이 제2 캠부재(52)의 돌출 캠면(52a)에 접촉되어 탄성부재(53)가 압축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탄성부재(5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열림위치 또는 닫힘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부세수단에 의해 제1 본체(10)가 열림위치 또는 닫힘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하게 되면, 도 3a에서와 같이 열림위치에서는 가압부재(30)의 제1 가압부(32)가 신축튜브(40)의 제1 신축실(41)을 가압하게 되고, 이로써 제1 신축실(41)이 수축되면서 내부의 유체가 오리피스(43)를 통해 제2 신축실(42)로 이동하게 되므로, 제2 신축실(42)은 팽창하여 그 끝단이 닫힘위치에서 열림위치방향으로 약간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때, 유체는 작은 단면적의 오리피스(43)를 통과하게 되므로, 제1 신축실(41)이 서서히 수축하게 되고, 이로써 제1 가압부(32)의 가압력을 서서히 완화시켜 열림위치에서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b에서와 같이 닫힘위치에서도 열림위치에서의 작용과 마찬가지로 가압부재(30)의 제2 가압부(33)가 신축튜브(40)의 제2 신축실(42)을 가압하게 되고, 이로써 제2 신축실(42)이 수축되면서 내부의 유체가 오리피스(43)를 통해 제1 신축실(41)로 이동하므로, 제1 신축실(41)은 팽창하여 그 끝단이 열림위치에서 닫힘위치방향으로 약간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때, 유체는 작은 단면적의 오리피스(43)를 통과하게 되므로, 제2 신축실(42)이 서서히 수축하게 되고, 이로써 제2 가압부(33)의 가압력을 서서히 완화시켜 닫힘위치에서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로서, 슬라이드타입의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낸 것으로, 제1 본체(110)와 제2 본체(120)는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레일에 안내되어 닫힘위치[도 4a 상태]와 열림위치[도 4c 상태] 사이에서 직선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본체(110)와 제2 본체(120) 사이에는 이들을 열림위치와 닫힘위치에서 유지시킴과 동시에, 상대운동시 소정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열림위치 또는 닫침위치로 신속하게 이동시키는 부세수단과, 제1 및 제2 본체(110,120)의 상대운동시 함께 이동하는 가압부재(130)와, 열림위치와 닫힘위치에서 상기 가압부재(130)에 가압되어 신축되는 신축튜브(140)로 이루어지는 완충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부세수단은 제1 본체(110)와 제2 본체(120) 사이에 구비된 한 쌍의 토션스프링(151,152)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토션스프링(151,152)의 일단은 제1 본체(110)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 본체(120)측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완충수단의 가압부재(130)는 상기 제1 본체(110)에 구비되고, 신축튜브(140)는 제2 본체(120)에 구비되는 것으로, 가압부재(130)와 신축튜브(140)는 제1 본체(110)와 제2 본체(120)의 대향면에 구비된다.
상기 가압부재(130)는 제1 본체(110)의 이동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시켜 배치된 제1 및 제2 가압부(131,132)로 이루어지고, 제1 가압부(131)는 열림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 가압부(132)는 닫힘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신축튜브(140)는 제1 신축실(141)과 제2 신축실(142)을 오리피스(143)로 연통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고, 내부에 액체 또는 기체의 유체(144)가 밀봉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신축실(141)과 제2 신축실(142)은 주름부가 형성되어 신축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신축튜브(140)는 가압부재(130)의 제1 및 제2 가압부(131,132)가 이동하는 궤적에 연장하는 직선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 신축실(141)은 상기 가압부재(130)의 제1 가압부(131)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열림위치에 배치되고, 제2 신축실(142)은 상기 제2 가압부(132)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닫힘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신축튜브(140)는 커버(121)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커버(121)는 제2 본체(120)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도로 구비하여 결합시킬 수 있으며, 제1 본체(110)의 제1 가압부(131)와 제2 가압부(132) 사이에는 상기 커버(121)가 접촉되지 않도록 홈(111)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드타입 휴대용 단말기는, 도 4a 및 도 4c에서와 같이 제1 본체(110)가 닫힘위치 또는 열림위치에 있을 때에는, 한 쌍의 토션스프링(151,152)의 탄성력에 의해 닫힘 또는 열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본체(110)가 열림위치와 닫힘위치 사이의 소정 위치에 있을 때에는, 토션스프링(151,152)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하게 되고, 이 변형에 따른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 본체(110)를 열림위치 또는 닫힘위치로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부세수단에 의해 제1 본체(110)가 열림위치 또는 닫힘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하게 되면, 도 6a에서와 같이 열림위치에서는 가압부재(130)의 제1 가압부(131)가 신축튜브(140)의 제1 신축실(141)을 가압하게 되고, 이로써 제1 신축실(141)이 수축되면서 내부의 유체(144)가 오리피스(143)를 통해 제2 신축실(142)로 이동하므로, 제2 신축실(142)은 팽창하여 그 끝단이 닫힘위치에서 열림위치방향으로 약간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때, 유체(144)는 작은 단면적의 오리피스(143)를 통과하게 되므로, 제1 신축실(141)이 서서히 수축하게 되고, 이로써 제1 가압부(131)의 가압력을 서서히 완화시켜 열림위치에서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b에서와 같이 닫힘위치에서도 열림위치에서의 작용과 마찬가지로 가압부재(130)의 제2 가압부(132)가 신축튜브(140)의 제2 신축실(142)을 가압하게 되고, 이로써 제2신축실(142)이 수축되면서 내부의 유체(144)가 오리피스(143)를 통해 제1 신축실(141)로 이동하므로, 제1 신축실(141)은 팽창하여 그 끝단이 열림위치에서 닫힘위치방향으로 약간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때, 유체(144)는 작은 단면적의 오리피스(143)를 통과하게 되므로, 제2 신축실(142)이 서서히 수축하게 되고, 이로써 제2 가압부(132)의 가압력을 서서히 완화시켜 닫힘위치에서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드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가압부재(230)를 하나의 가압부(231)로 구성하고, 신축튜브(240)의 제1 신축실(241)과 제2 신축실(242)을 가압부(231)의 이동방향 양쪽의 열림위치와 닫힘위치에 배치하여 오리피스(243)로 연결한 구성이 제2 실시예와 차이가 있고, 그 외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의 변형예에 의해서는 도 8a에서와 같이 열림위치에서는 가압부재(230)인 가압부(231)가 신축튜브(240)의 제1 신축실(241)을 가압하게 되고, 이로써 제1 신축실(241)이 수축되면서 내부의 유체(244)가 오리피스(243)를 통해 제2 신축실(242)로 이동하므로 제2 신축실(242)은 팽창하여 그 끝단이 닫힘위치에서 열림위치방향으로 약간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때, 유체(244)는 작은 단면적의 오리피스(243)를 통과하게 되므로, 제1 신축실(241)이 서서히 수축하게 되고, 이로써 가압부(231)의 가압력을 서서히 완화시켜 열림위치에서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b에서와 같이 닫힘위치에서도 열림위치에서의 작용과 마찬가지로 가압부재(230)인 가압부(231)가 신축튜브(240)의 제2 신축실(242)을 가압하게 되고, 이로써 제2 신축실(242)이 수축되면서 내부의 유체(244)가 오리피스(243)를 통해 제1 신축실(241)로 이동하므로, 제1 신축실(241)은 팽창하여 그 끝단이 열림위치에서 닫힘위치방향으로 약간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때, 유체(244)는 작은 단면적의 오리피스(243)를 통과하게 되므로, 제2 신축실(242)이 서서히 수축하게 되고, 이로써 가압부(231)의 가압력을 서서히 완화시켜 닫힘위치에서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들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충격을 흡수하는 신축튜브의 단면형상을 사각으로 형성하였으나,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형성하여도 좋고, 제1 신축실 및 제2 신축실에 주름부를 형성하였지만, 연질의 고무로 제작하는 경우 주름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제2 실시예에 있어서 가압부재를 제2 본체에 구비하고 신축튜브를 제1 본체에 구비하여도 동일한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타 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완충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의하면,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수단에 의해 제1 및 제2 본체의 개폐시 발생하는 충격이 효과적으로 흡수됨으로써 충격으로 인한 디스플레이 액정 및 내장 기능부품의 손상이 방지되고, 휴대용 단말기의 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로서 폴더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도 1의 A-A선 확대 단면도로서, 도 2a는 열림위치 또는 닫힘위치에서의 부세수단 작동상태도이고, 도 2b는 열림위치와 닫힘위치 사이의 소정위치에서의 부세수단 작동상태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도 2의 B-B선 확대 단면도로서, 도 3a는 열림위치에서의 완충수단 작동상태도이고, 도 3b는 닫힘위치에서의 완충수단 작동상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로서 슬라이드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완충수단을 나타낸 휴대용 단말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완충수단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6a는 열림위치에서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6b는 닫힘위치에서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완충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낸 휴대용 단말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8a와 도 8b는 도 7의 변형예에 의한 완충수단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8a는 열림위치에서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8b는 닫힘위치에서의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10,210 : 제1 본체 20,120,220 : 제2 본체
11,12 : 힌지부 30,130,230 : 가압부재
40,140,240 : 신축튜브 41,141,241 : 제1 신축실
42,142,242 : 제2 신축실 43,143,243 : 오리피스
44,144,244 : 유체
Claims (4)
- 열림위치와 닫힘위치 사이에서 상대운동하는 제1 및 제2 본체와, 상기 제1 및 제2 본체의 열림상태와 닫힘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대운동시 소정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열림위치 또는 닫침위치로 신속하게 이동시키는 부세수단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상기 제1 본체(10,110,210) 또는 제2 본체(20,120,220)중 어느 한 쪽에 구비되어 제1 및 제2 본체의 상대운동시 함께 이동하는 작동부재(30,130,230)와,상기 작동부재의 이동방향에 구비되고, 열림위치에서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가압되도록 배치된 제1 신축실(41,141,241), 닫힘위치에서 상기 작동부재에 가압되어 신축되는 제2 신축실(42,142,242), 상기 제1 신축실과 제2 신축실을 연통하는 오리피스(43,143,243)를 구비하며, 내부에 유체(44,144,244)가 충전된 신축튜브(40,140,240)로 이루어지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본체(10,20)는 일단이 힌지부(11,12)로 연결되어 소정각도 회전하는 개폐구조이며, 상기 작동부재(30)는 상기 제1 및 제2 본체(10,20)의 회전이동에 연동하여 힌지부(11,12)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각도 회전하고, 상기 신축부재(40)는 상기 작동부재(30)의 회전방향의 연장선상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본체(110,120)는 소정길이 직선 이동하는 개폐구조이며, 상기 작동부재(130)는 상기 제1 및 제2 본체의 직선이동에 연동하여 직선이동하고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 작동부(131,1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축부재(140)는 상기 제1 및 제2 작동부(131,132) 사이의 이동방향 연장선상에 직선방향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본체(210,220)는 소정길이 직선 이동하는 개폐구조이며, 상기 작동부재(230)는 상기 제1 및 제2 본체의 직선이동에 연동하여 직선이동하고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하나의 작동부(231)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축부재(240)는 상기 작동부(231)를 사이에 두고 작동부(231) 이동방향의 연장선상에 직선방향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8005U KR200395869Y1 (ko) | 2005-06-22 | 2005-06-22 | 완충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8005U KR200395869Y1 (ko) | 2005-06-22 | 2005-06-22 | 완충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95869Y1 true KR200395869Y1 (ko) | 2005-09-14 |
Family
ID=43697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18005U KR200395869Y1 (ko) | 2005-06-22 | 2005-06-22 | 완충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95869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023558A2 (en) * | 2008-08-28 | 2010-03-04 | Laird Technologies Korea Yh | Slide assemblies with liquid dampers for use in slidably opening and closing portable terminals |
-
2005
- 2005-06-22 KR KR20-2005-0018005U patent/KR20039586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023558A2 (en) * | 2008-08-28 | 2010-03-04 | Laird Technologies Korea Yh | Slide assemblies with liquid dampers for use in slidably opening and closing portable terminals |
WO2010023558A3 (en) * | 2008-08-28 | 2010-05-27 | Laird Technologies Korea Yh | Slide assemblies with liquid dampers for use in slidably opening and closing portable terminal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67633B2 (en) | Hinge and mobile terminal | |
KR101603462B1 (ko) | 가구용 힌지 | |
WO2020119498A1 (zh) | 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及柔性屏移动终端 | |
US8395893B2 (en) | Coupling assembly for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 |
US7697280B2 (en) | Sliding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WO2022268126A1 (zh) | 电子设备、折叠组件及折叠装置 | |
KR200395869Y1 (ko) | 완충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
KR20050065350A (ko) | 스프링 바이어스된 힌지 및 그를 위한 방법 | |
CN103835603A (zh) | 可限制家具门打开角度的铰链 | |
US20240195900A1 (en) | Display panel and mobile terminal | |
KR102317806B1 (ko) | 폴더블 힌지장치 | |
JP4911496B2 (ja) | 原稿圧着板の開閉装置 | |
KR20220001263A (ko) | 스윙 힌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 |
KR100668263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 |
TWM538307U (zh) | 具自行下落能力之轉軸扭力結構 | |
KR200382516Y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 |
CN103498611A (zh) | 装置盒体的开合结构 | |
KR101795856B1 (ko) | 가구 힌지용 버퍼 | |
JPH10227323A (ja) | ガススプリングの温度補償装置 | |
KR200374121Y1 (ko) | 이동전화 단말기용 반자동 개폐형 슬라이딩 모듈 | |
JP3176179U (ja) | 天蓋の開閉補助部材付き容器 | |
US20120049710A1 (en) | Electrical device with rotation mechanism | |
KR102543740B1 (ko) | 개선된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도어 힌지 | |
JP2021046887A (ja) | 伸縮装置 | |
KR200353238Y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조립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720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