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610Y1 - 캔마개 - Google Patents

캔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610Y1
KR200395610Y1 KR20-2005-0018423U KR20050018423U KR200395610Y1 KR 200395610 Y1 KR200395610 Y1 KR 200395610Y1 KR 20050018423 U KR20050018423 U KR 20050018423U KR 200395610 Y1 KR200395610 Y1 KR 2003956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ent portion
pressing plate
sto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4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혁
Original Assignee
이기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혁 filed Critical 이기혁
Priority to KR20-2005-0018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6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6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6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4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and push-down tea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a preformed opening
    • B65D2517/5072Details of hand grip, tear- or lift-tab
    • B65D2517/5075Hand grip with finger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캔마개는 캔용기 몸체(1)의 상면판에 설치되며, 음용구(2)를 형성하기 위한 절취자국이 그 외주면에 형성된 눌림판(3)과, 상기 눌림판(3)의 일단부에 설치된 고리형상의 구부림부가 있는 손잡이(6)와, 상기 캔용기 몸체(1)의 상면판에 설치되어 구부림부가 있는 손잡이(6)와 눌림판(3)을 연결하는 힌지(5)로 구성어 있으며, 구부림부(7)는 구부림부가 있는 손잡이(6)의 전체 길이의 1/6 내외의 길이로 구성되어진 캔마개.

Description

캔마개{cork a can}
본 고안은 음료수등의 저장을 위한 원터치방식의 캔용기 입구를 개방하는 용기의 캔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캔용기의 음용구(飮用口)의 개방시 사용하는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맥주나, 쥬스, 탄산음료와 같은 음료수등이 담겨있는 알루미늄캔용기에는 음용구를 형성하기 위한 캔마개가 구비되는데, 상기 캔마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캔용기 몸체(1)의 상면판에 설치되며, 음용구(2)를 형성하기 위한 절취자국이 그 외주면에 형성된 눌림판(3)과, 상기 눌림판(3)의 일단부에 설치된 고리형상의 손잡이(4)와, 상기 캔용기 몸체(1)의 상면판에 설치되어 손잡이(4)와 눌림판(3)을 연결하는 힌지(5)로 구성되어 담겨진 내용물을 원터치방식으로 개방할수 있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고리형상의 손잡이(4)에 손가락을 집어 넣어서 상부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의 가압력에 의해 손잡이(4)의 일단부가 캔용기 상면판에 형성된 눌림판(3)을 누르게 되고, 외주면에 형성된 절취자국이 떨어져 나가면서 음용구(2)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캔마개는 손잡이(4)가 캔용기 상면판과 이격된 거리가 짧음으로 인하여,손잡이(4)에 손가락을 집어 넣어서 상부로 가압하려 할시에 손톱이 부러지거나, 손잡이(4)가 잡히지 않아 캔마개의 개봉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 캔마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캔용기의 손잡이를 사용자가 손쉽게 잡을수 있도록 하여, 캔마개를 보다 쉽게 개방 할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캔마개는,캔마개는 캔용기 몸체(1)의 상면판에 설치되며, 음용구(2)를 형성하기 위한 절취자국이 그 외주면에 형성된 눌림판(3)과, 상기 눌림판(3)의 일단부에 설치된 고리형상의 구부림부가 있는 손잡이(6)와, 상기 캔용기 몸체(1)의 상면판에 설치되어 구부림부가 있는 손잡이(6)와 눌림판(3)을 연결하는 힌지(5)로 구성되어 담겨진 내용물을 원터치방식으로 개방할수 있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2의 구부림부가 있는 손잡이(6)의 구부림부(7)는 손잡이에 힌지가 위치한 반대편의 손잡이 부분을 5~45도 각도로 구부려져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면판의 상측에서의 외부 압력이 구부림부가 있는 손잡이(6)의 구부림부(7)에 압력을 가함으로 인하여 눌림판(3)에 영향을 주어 눌림판(3)이 절취 되어지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구부림부(7)는 손잡이(6)의 1/6 내외의 길이를 가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맥주나, 쥬스, 탄산음료와 같은 음료수등이 담겨있는 알루미늄캔용기에는 음용구를 형성하기 위한 캔마개가 구비되는데, 상기 캔마개의 개봉시에 일반적인 캔마개 보다 손쉽게 캔마개를 개봉 시킬수 있다.
도 1은 음용구가 형성된 일반적인 캔용기,
도 2는 본 고안 캔마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캔용기 몸체
2 : 음용기(飮用口)
3 : 눌림판
4 : 손잡이
5 : 힌지
6 : 구부림부가 있는 손잡이
7 : 구부림부

Claims (1)

  1. 캔마개는 캔용기 몸체(1)의 상면판에 설치되며, 음용구(2)를 형성하기 위한 절취자국이 그 외주면에 형성된 눌림판(3)과, 상기 눌림판(3)의 일단부에 설치된 고리형상의 구부림부가 있는 손잡이(6)와, 상기 캔용기 몸체(1)의 상면판에 설치되어 구부림부가 있는 손잡이(6)와 눌림판(3)을 연결하는 힌지(5)로 구성어 있으며, 구부림부(7)는 구부림부가 있는 손잡이(6)의 전체 길이의 1/6 내외의 길이로 구성되어진 캔마개.
KR20-2005-0018423U 2005-06-25 2005-06-25 캔마개 KR2003956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423U KR200395610Y1 (ko) 2005-06-25 2005-06-25 캔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423U KR200395610Y1 (ko) 2005-06-25 2005-06-25 캔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610Y1 true KR200395610Y1 (ko) 2005-09-13

Family

ID=43696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423U KR200395610Y1 (ko) 2005-06-25 2005-06-25 캔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6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057207A3 (en) Beverage container construction
US20140374419A1 (en) Can Comprising a First, Dispense Opening and Second, Vent Opening
US201402379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ning of containers
EP2108615A3 (en) Assembly for guiding a dispensing line through a beverage dispenser
ATE456520T1 (de) Flaschen- oder behälterverschluss zum zudosieren einer inhaltskomponente
JP2011500466A (ja) 第1キャップ部材とそれに結合される第2キャップ部材とを有する瓶のキャップ
US20110185858A1 (en) Universal barrel opener
US9821936B1 (en) Bottle cap with integrated bottle opener
KR200395610Y1 (ko) 캔마개
CN102730291B (zh) 一种啤酒瓶盖及其加工方法
US20100186553A1 (en) Bottle Cap Remover
US20150183547A1 (en) Shotgun accessible beer can
KR200399800Y1 (ko) 캔마개
CN202244525U (zh) 一种啤酒瓶盖
US20150251888A1 (en) Opening Device For Container Closures
WO2006007418A3 (en) Bottle top and valve apparatus
KR20150141229A (ko) 원터치식 병뚜껑
KR200207440Y1 (ko) 개방이 용이한 캔뚜껑
WO2001042128A1 (en) Crown capper
KR200454700Y1 (ko) 원터치 손잡이와 회전 개폐구 어셈블리를 가지는 알루미늄 캔
KR200433708Y1 (ko) 코르크 마개
KR200271143Y1 (ko) 음료수 캔의 개봉 탭 구조
US7918147B2 (en) Removal device for pour top spouts
JP3101449U (ja) 王冠
KR200307681Y1 (ko) 요입홈이 형성된 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