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486Y1 - Variable connecting unit for a toilet stool - Google Patents

Variable connecting unit for a toilet s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486Y1
KR200395486Y1 KR20-2005-0017129U KR20050017129U KR200395486Y1 KR 200395486 Y1 KR200395486 Y1 KR 200395486Y1 KR 20050017129 U KR20050017129 U KR 20050017129U KR 200395486 Y1 KR200395486 Y1 KR 2003954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toilet
flange
circular pip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12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대우
Original Assignee
대림요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요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요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7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48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4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486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6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oor, e.g. to a floor out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용 접속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변기 본체의 배출구와 건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 사이를 연결하여 세정수가 보다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시공상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하는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connection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riable toilet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between the outlet of the toilet body and the drain pipe formed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more smoothly and at the same time to facilitate construction. will be.

본 고안에 의하면, 변기 본체의 배출구에 유입구가 삽입고정되고, 상기 유입구에서 하부측으로 연장 형성된 하강로와, 상기 하강로 하단에서 경사져서 상부측으로 연장 형성된 상승로와, 상기 상승로 상단에서 건물 바닥측에 수직으로 놓이는 유출구의 상단으로 유로가 사행형상으로 연결되는 가로 연결로로 이루어진 메인유닛과; 상기 메인유닛의 유출구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건물 바닥측에 안착되는 원형관 형상의 연결용 플랜지와; 상하부 2단 구조의 원형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측 원형관의 중심선에 대해 하부측 원형관의 중심선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호 어긋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측 원형관이 상기 연결용 플랜지와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하부측 원형관이 상기 배수관내로 끼워 넣어져 체결되는 배수용 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is inserted into the outlet of the toilet main body fixed, and the lower passage formed extending from the inlet to the lower side, the rising passage formed inclined from the lower end of the lower passage extending to the upper side, the building bottom side from the upper end of the riser A main unit consisting of a horizontal connection path connected to the top of the outlet vertically disposed in a meander shape; A flange for connection of a circular tube shape in which an outlet of the main unit is inserted inward and seated on a building floor; It consists of a circular pipe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two-stage structure, the center line of the lower circular pipe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upper circular pipe, the upper circular pipe is rotatable with the connecting flange It is fastened to, and the lower side circular pipe is inserted into the drain pipe flange for drain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scription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Variable connecting unit for a toilet stool}Variable connecting unit for a toilet stool

본 고안은 변기용 접속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변기 본체의 배출구와 건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 사이를 연결하여 세정수가 보다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시공상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하는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connection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riable toilet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between the outlet of the toilet body and the drain pipe formed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more smoothly and at the same time to facilitate construction. will be.

최근들어 변기 외관에 수로형상에 따른 돌출부위로 인하여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은 점을 보완하면서 동시에 유동저항을 개선하기 위하여 변기의 본체 내부에 별도의 접속유닛을 사용하는 경향이 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protruding portion according to the channel shape on the exterior of the toilet, a tendency to use a separate connection unit inside the main body of the toilet to improve the flow resistance while at the same time increasing the appearance resistance.

상기와 같은 접속유닛은 이미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변기용 접속유닛(등록실용 20-0329809호)에 제시된 바와 같다.Such a connection unit is as described in the toilet connection unit (registration room 20-0329809) already filed by the applicant.

상기와 같은 접속유닛은 변기 본체의 배출구와 건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 사이의 수평거리가 일정한 경우에 매우 실용적으로 사용가능하나, 욕실 리모델링 등을 통하여 벽면에서 배수관 사이의 간격이 달라짐으로 인하여 상기 수평거리가 달라질 경우 시공에 따른 불편함이 초래된다.Such a connection unit can be used practically when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outlet of the toilet body and the drain pipe formed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is constant, but the horizontal distance is changed due to the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drain pipes on the wall through bathroom remodeling. If different,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construction.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접속유닛의 길이를 가변형으로 하여 시공시 편리함을 도모하고자 등록실용 20-0366541호에 이를 제시한 바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this in Registration Room No. 20-0366541 in order to facilitate convenience during construction by varying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unit.

도 1은 종래 이와 같은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을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1 shows a conventional variable toilet connection unit, Figure 2 shows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toilet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형 접속유닛(100)은 그 일단부, 즉 유입부(110)가 변기의 배출구(140)에 접속되고, 상기 배출구(140)에서 어긋난 건물 바닥(400)측에 위치한 배수관(150)에 타단부, 즉 유출부(120)가 접속되어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As shown, the variable connection unit 100 is one end, that is, the inlet 110 is connected to the outlet 140 of the toilet, the drain pipe located on the side of the building floor 400 is shifted from the outlet 140 The other end, that is, the outlet 120 is connected to the 150 to form a structure therein.

그리고, 상기 가변형 접속유닛(100)은 유출관(104)이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슬라이드부(200)와, 상기 슬라이드부(200)의 신축을 안내함과 동시에 그 신축량을 제한하는 가이드부(250)와, 상기 가이드부(250)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변기 본체와 고정되는 고정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variable connection unit 100 guides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slide unit 200 and the slide unit 200 so that the outlet pipe 104 is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a guide for limiting the amount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And a fixing part 13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part 250 and the guide part 250 and fixed to the toilet body.

이때 시공상 규격에 의하면 벽면(300)과 상기 배수관(150) 사이의 간격(L)은 285㎜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간격(L)에 편차가 있을 경우에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부(200)에 의해 유출관(104)이 벽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소정거리, 예를 들면 24㎜만큼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벽면에서 상기 배수관(150, 도 1 참조)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는 경우에 따른 간격 차이(편차)를 상기 소정거리로 수용할 수가 있게 된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standards, the interval L between the wall surface 300 and the drain pipe 150 is maintained at 285 mm, and when there is a deviation in the interval L, FIGS. 2A and 2. As shown in (b), since the outlet pipe 104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24 mm, from the wall surface by the slide part 200, the drain pipe 150 on the wall surface. 1, the gap difference (deviation) when the gap between the two is not constant can be accommodated as the predetermined distance.

즉, 배수관이 벽면에서 시공상 규격보다 일정거리 만큼 더 떨어져 있을 경우, 도 2(a)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부(200)에 의해 유출관(104)을 상기 일정거리 만큼 더 빼어 낸 다음 유출부(120)를 배수관(150, 도 1 참조)에 끼워 넣을 수가 있으며, 이와 반대의 경우 도 2(b)와 같이 유출관(104)을 상기 일정거리 만큼 안으로 밀어넣은 다음 유출부(120)를 배수관(150, 도 1 참조)에 끼워 넣을 수가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drain pipe is separated from the wal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nstruction standard, the outlet pipe 104 is further drawn out by the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slide unit 200 as shown in Figure 2 (a) and then the outlet ( 120 may be inserted into the drain pipe 150 (refer to FIG. 1). 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2B, the outlet pipe 104 is pushed in by the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n the outlet 120 is drained. 150, see FIG. 1).

그러나, 종래 접속유닛의 경우 슬라이드부에 의해 유출관이 길이방향으로 가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유출관이 반드시 직선형태로 이루어져 하므로 접속유닛의 형상 변화,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유로의 변화폭이 다소 제한적이며, 또한 시공상 규격을 벗어나는 벽면과 배수관 사이의 간격을 보다 능동적으로 수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onnection unit, the outflow pipe must be made in a straight line shape so that the outflow pipe is vari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slide part, so that the shape change of the connection unit, more specifically, the change width of the inner flow path is somewhat limit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ore actively accommodate the gap between the wall surface and the drain pipe outside the construction specifications.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세척력이 뛰어나면서 다양한 형상의 접속유닛으로 변화가 가능하고, 시공상 규격을 벗어나는 벽면과 배수관 사이의 간격 차이(편차)를 능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connection unit of various shapes while excellent washing power, and actively the gap difference (deviation) between the wall surface and the drain pipe outside the construction standar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able toilet seat connection unit that can be accommodated.

또한, 본 고안은 필요한 부품개수를 최소화하고 형상 및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뛰어난 시공성을 도모할 수 있는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데도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riable toilet seat connection unit that can achieve excellent workability while minimizing the number of necessary parts and simplifying the shape and structure.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변기 본체의 배출구에 유입구가 삽입고정되고, 상기 유입구에서 하부측으로 연장 형성된 하강로와, 상기 하강로 하단에서 경사져서 상부측으로 연장 형성된 상승로와, 상기 상승로 상단에서 건물 바닥측에 수직으로 놓이는 유출구의 상단으로 유로가 사행형상으로 연결되는 가로 연결로로 이루어진 메인유닛과; 상기 메인유닛의 유출구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건물 바닥측에 안착되는 원형관 형상의 연결용 플랜지와; 상하부 2단 구조의 원형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측 원형관의 중심선에 대해 하부측 원형관의 중심선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호 어긋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측 원형관이 상기 연결용 플랜지와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하부측 원형관이 상기 배수관내로 끼워 넣어져 체결되는 배수용 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outlet of the toilet body, and the lower passage formed extending from the inlet to the lower side, the rising passage formed incline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passage extending to the upper side, the bottom of the building in the building A main unit consisting of a horizontal connection path in which a flow path is connected in a meandering shape to an upper end of an outlet that is vertically placed on the side; A flange for connection of a circular tube shape in which an outlet of the main unit is inserted inward and seated on a building floor; It consists of a circular pipe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two-stage structure, the center line of the lower circular pipe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upper circular pipe, the upper circular pipe is rotatable with the connecting flange It is fastened to, and the lower side circular pipe is inserted into the drain pipe flange for drain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여 자세히 설며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변기본체에 구비된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variable toilet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n the toilet body.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은 변기 본체의 배출구(140)와 건물 바닥(400)측 배수관(150) 사이를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유입구(11)와 유출구(12)사이에서 내부 유로를 형성하는 메인유닛(10)과, 건물 바닥(400)측 배수관(150)에 끼워지는 배수용 플랜지(30)와, 상기 메인유닛(10)과 배수용 플랜지(30)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용 플랜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the variable toilet seat conne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connecting between the outlet 140 of the toilet body and the drain pipe 150 on the building floor 400 side, and largely between the inlet 11 and the outlet 12. The main unit 10 forming the flow path, the drainage flange 30 to be fitted to the drain pipe 150 on the building floor 400 side, the connection interposed between the main unit 10 and the drainage flange 3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lange 20 for.

상기 메인유닛(10)의 유입구(11) 내측으로 변기 본체의 배출구(140)가 삽입되어 체결되며, 건물 바닥(400)측에 수직으로 놓이는 유출구(12)가 상기 연결용 플랜지(20) 내측으로 삽입되어 체결된다.The outlet 140 of the toilet body is inserted into the inlet 11 of the main unit 10 to be fastened, and the outlet 12 placed vertically on the building floor 400 is inside the connection flange 20. Inserted and tightened.

그리고, 상기 연결용 플랜지(20) 내측으로 배수관(150)에 끼워지는 배수용 플랜지(30)가 삽입되어지며, 이때 상기 배수용 플랜지(30)는 연결용 플랜지(20)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된다.Then, a drainage flange 30 fitted into the drainage pipe 15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flange 20, wherein the drainage flange 30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connection flange 20. .

여기서, 미설명 부호 300은 건물 벽면을 나타낸 것이다.Here, reference numeral 300 denotes a building wall surface.

도 4는 상기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그 정면도이며, 도 4(b)는 그 측면도이다.Figure 4 shows the variable toilet connection unit in more detail, Figure 4 (a) is a front view thereof, Figure 4 (b) is a side view thereof.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메인유닛(10)의 유출구(12)는 연결용 플랜지(20) 내측으로 삽입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연결용 플랜지(20)는 건물 바닥측에 놓여져 메인유닛을 지지하게 된다.As shown, the outlet 12 of the main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flange 20, in this state the connecting flange 20 is placed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to support the main unit. do.

상기 메인유닛(10)의 유출구(12) 부근에는, 양측으로 대향되게 연결 부재(15)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15)의 단부에는 변기 본체의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판(13)이 구비된다.In the vicinity of the outlet 12 of the main unit 10, the connecting member 15 is formed to protrude so as to face to both sides, the fixing plate 13 is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toilet body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5) It is provided.

상기 고정판(13)에는 다수개의 나사구멍(14)이 형성되어있어 나사못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변기 본체와 메인유닛(10)을 단단하게 고정하게 된다.A plurality of screw holes 14 are formed in the fixing plate 13 to firmly fix the toilet body and the main unit 10 using fastening means such as screws.

상기 연결용 플랜지(20)와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배수용 플랜지(30)는 배수관(150, 도 3 참조)과 체결시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외측 둘레에 오링 형태의 시일 부재(32)가 구비된다.The drainage flange 30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flange 20 is provided with a seal member 32 in the form of an O-ring around the outer side to seal the joint with the drain pipe 150 (see FIG. 3).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connection unit for a variab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접속유닛은 메인 유닛(10)과 배수용 플랜지(30), 그리고 상기 메인 유닛(10)과 배수용 플랜지(30)를 연결하여 접속하는 연결용 플랜지(20)로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ion flange 20 for connecting the main unit 10 and the drainage flange 30, and the main unit 10 and the drainage flange 30 to be connected. It consists of.

여기서, 상기 메인 유닛(10)은 유입구(11)에서 하부측으로 하강로(16)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하강로(16)의 하단에서 상부측으로 경사져 상승로(17)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승로(17) 상단에서 건물 바닥측에 수직으로 놓이는 유출구(12)의 상단으로는 유로가 사행(蛇行)형상으로 이루어진 가로 연결로(18)로 연결된다.Here, the main unit 10 has a downward path 16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inlet 11 to the lower side, inclined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downward path 16, the rising path 17 is formed, the rising A flow path is connected to a horizontal connection path 18 formed in a meandering shape from the top of the furnace 17 to the top of the outlet 12 vertically placed at the bottom of the building.

이와 같은 상기 가로 연결로(18)의 사행(蛇行)형상은 하부측으로 한번 굴곡을 주도록 하여 내부 유로의 형태가 대략 S자 형상이 되도록 하여 달성되게 된다.Such a meandering shape of the horizontal connection path 18 is achieved by giving a bend to the lower side once so that the shape of the internal flow path is approximately S-shaped.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메인 유닛(10)의 경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는 상기 하강로(16)를 통해 하단에 형성된 저수부(19)를 거쳐 이와 연장 형성된 상승로(17)를 타고 넘어 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상승로(17) 상단의 정점(둑부)를 지나는 세정수는 박리가 되면서 전방부로 튀어오르게 된다.In the case of the main unit 10 made as described above,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 passes through the storage unit 19 formed at the lower portion through the lowering passage 16, and the rising passage 17 extends therefrom. In this case, the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apex (dump) of the upper part of the rising path 17 is splashed to the front while being peeled off.

만약, 본 고안과 같이 가로 연결로(18)가 사행(蛇行)형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승로(17) 상단의 정점(둑부)에서 박리되어 전방부로 튀어오르는 세정수가 안측벽에 부딪혀 공기를 감는 활류가 되기 때문에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가 없게 된다.If,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connection path 18 is not formed in a meandering shape, the washing water that is peeled off from the apex of the upper part of the upward path 17 and bounces toward the front part hits the inner wall to release air. Winding winds prevent the air from being exhausted quickly.

따라서, 본 고안이 경우 상기 상승로(17) 상단에서 건물 바닥측에 수직으로 놓이는 유출구(12)의 상단을 연결하는 가로 연결로(18)상에 하부측으로 굴곡을 주어 내부유로가 사행(蛇行)형상이 되도록 하여 박리되어 전방부로 튀어오르는 세정수를 즉시 하강시켜 공기를 감는 활류를 최대한 억제토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flow path meanders (을 行) by giving a bend to the lower side on the horizontal connection path 18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outlet 12 placed vertically on the building floor side from the top of the riser 17. This problem is solved by immediately lowering the washing water that is peeled off to form a shape and bounces toward the front to minimize the flow of air that winds up.

그 결과 유출구(12) 부근에서의 실유로면적을 넓히는 효과를 유발하여 세정수의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As a result, the effect of widening the area of the actual oil passage in the vicinity of the outlet port 12 is made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more smoothly.

한편, 도 6(a) 내지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가로 연결로(18)로 이루어진 메인 유닛(10)을 볼 수가 있는데, 본 고안의 경우 사행(蛇行)형상의 내부유로가 미미하게 존재하는 도 6(c) 및 도 6(f) 보다는 도 6(a), 6(b), 6(d) 및 6(e)의 경우가 배수량의 피크값이 약 120∼140 리터/분 정도로 약 10∼20%정도의 상승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 (a) to Figure 6 (f) can see the main unit 10 consisting of a horizontal connection path 18 of various forms,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dering (蛇行) interior 6 (a), 6 (b), 6 (d), and 6 (e) have a peak value of approximately 120 to 140, rather than FIGS. 6 (c) and 6 (f) in which a flow path is insignificant. It can be seen that the synergistic effect of about 10 to 20% appears in liters per minute.

이를 토대로 하여 볼 때 변기용 접속유닛을 상기와 같은 사행(蛇行)형상으로 이루어진 가로 연결로를 구비한 메인 유닛(10)의 구조로 채택할 경우에 배수특성이 양호하게 되어 세척력이 뛰어나면서 동시에 다양한 형태의 내부유로를 구성할 수가 있게 된다.On the basis of this, when the toilet connection unit is adopted as the structure of the main unit 10 having a horizontal connection path made of the meandering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drainage property is good, and the washing power is excellent and at the same time various forms are obtained. Internal passages can be constructed.

한편, 상기와 같은 메인 유닛(10)은 연결용 플랜지(20)와 접속되게 되는데, 상기 연결용 플랜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용 플랜지(20)의 내측으로 상기 메인 유닛(10)의 유출구(12)가 삽입되어져 건물 바닥측에 안착된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unit 10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flange 20, the connecting flange 20 is made of a circular tube shape, as shown in Figure 5, the connecting flange 20 Inward) the outlet 12 of the main unit 10 is inserted into the building floor side.

상기 연결용 플랜지(20)와 체결되는 배수용 플랜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 원형관(34)에 대해 하부측 원형관(36)이 상호 어긋난 상태로 결합되어진 상하부 2단 구조,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측 원형관(34)의 중심선에 대해 하부측 원형관(36)의 중심선이 소정간격(d)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drain flange 30 fastened to the connection flange 20 has an upper and lower part 2 coupled to the upper circular pipe 34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circular pipe 36 is shifted from each other. However, the center line of the lower circular tube 36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d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upper structure, more specifically, the upper circular tube 34.

이때 상기 상부측 원형관(34)는 상기 연결용 플랜지(20)의 내측으로 체결되며, 상기 하부측 원형관(36)은 배수관(150, 도 3 참조)내로 끼워 넣어져 체결된다.At this time, the upper circular pipe 34 is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flange 20, the lower circular pipe 36 is fitted into the drain pipe 150 (see Fig. 3) is fastened.

그리고 상기 배수용 플랜지(30)가 배수관내로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역할을 하기 위하여 하부측 원형관(36)의 상부 외주연에는 걸림턱(37)이 돌출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ocking jaw 37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circular pipe 36 so that the drainage flange 30 is no longer inserted into the drain pipe.

이상과 같은 배출용 플랜지(30)의 경우, 상기 상부측 원형관(34)은 연결용 플랜지(20)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므로 연결용 플랜지(20)에 대해 배수용 플랜지(30)를 적절히 회전시켜 가면서 정확한 배수관(150, 도 3 참조)의 위치에 상기 하부측 원형관(36)을 위치시킬 수가 있게 되어 시공상 규격을 벗어나는 벽면과 상기 배수관 사이의 간격 차이(편차)를 충분히 수용할 수가 있게 된다.In the case of the discharge flange 30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circular pipe 34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connecting flange 20, so that the drain flange 30 is proper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flange 20. The lower side circular pipe 36 can be positioned at the exact position of the drain pipe 150 (see FIG. 3) while being able to sufficiently accommodate the gap (deviation) between the wall and the drain pipe outside the construction standard. do.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접속유닛의 경우,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용 플랜지(30)가 회전에 의해 벽면에서 전후방뿐 아니라, 도 7(c) 및 도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최대 30㎜ 정도까지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시공상 규격인 벽면에서 배수관(150) 사이의 간격(L)을 전후좌우로 285±30㎜까지 허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In the case of the conne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7 (a) and 7 (b), the drainage flange 30 is rotated back and forth from the wall surface as well as Figs. 7 (c) and ( As shown in d), it is possible to move up to about 30 mm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llowing the distance (L) between the drain pipes 150 to 285 ± 30 mm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wall surface. will be.

여기서, 상기 도 7(a) 내지 도 7(d)는 회전에 의해 가변되는 배수용 플랜지(30)의 위치를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접속유닛을 위에서 본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미설명 부호 15는 상기 메인유닛(10)의 유출구[12, 도 4(a) 및 도 4(b) 참조] 부근에 형성된 연결 부재를, 그리고 13은 고정판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Here, Figure 7 (a) to Figure 7 (d) is a plan view of the conne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early show the position of the drainage flange 30 that is variable by rotation, not shown 15 shows a connecting member formed near the outlet 12 of the main unit 10 (see FIGS. 4A and 4B), and 13 shows a fixing plate.

이상과 같이 하여 본 고안에서는 세척력이 뛰어나면서 시공상 규격을 벗어나는 벽면과 배수관 사이의 간격 차이(편차)를 능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을 제공하는데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이 있음을 알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sic technical idea to provide a variable toilet connection unit that can actively accommodate the gap (deviation) between the wall and the drain pipe that is excellent in cleaning power and out of construction specifications.

그리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하겠다.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s described above are of course possible.

상술한 바와 같은 본원 고안에 의하면, 종래와 달리 필요한 부품개수를 최소화하고 형상 및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양호한 세정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변기용 접속유닛을 제공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oilet connection unit that can exhibit a good cleaning ability while minimizing the required number of parts and simplifying the shape and structure, unlike the prior art.

또한, 접속유닛의 구조를 배수구와 접속하는 배수용 플랜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벽면과 배수구 사이의 간격 차이(편차)를 능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시공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가변형 접속유닛을 제공할 수도 있게 된다.In addition, by allowing the drainage flange to connect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on unit to the drainage rotatably coupled to the variable connection unit that can actively accommodate the gap (deviation) between the wall surface and the drainage port for construction convenience It can also provide.

도 1은 종래 변기본체에 구비된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variable toilet seat connection unit provided in a conventional toilet body;

도 2는 도 1에 따른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toilet seat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FIG.

도 3은 변기본체에 구비된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를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a variable toilet seat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n the toilet body;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그 정면도이며, 도 4(b)는 그 측면도이다.Figure 4 shows a variable toilet bowl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a) is a front view, Figure 4 (b) is a side view.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5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connection unit for a variab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가로 연결로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6 is a view showing various forms of a horizontal connection ro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7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메인 유닛 11, 12....유입, 유출구10 .... main unit 11, 12 .... inlet, outlet

16....하강로 17....상승로16 .... Descent 17 .... Upward

18....가로연결로 20....연결용 플랜지18 .... Horizontal connection Flange for 20 .... connection

30....배수용 플랜지 34, 36....상, 하부측 원형관30..Drainage flange 34, 36 .... Upper, lower side round pipe

Claims (1)

변기 본체의 배출구(140)와 건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150) 사이 내부유로를 형성하여 세정수를 배출하는 변기용 접속유닛에 있어서,In the toilet connection unit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by forming an internal flow path between the outlet 140 of the toilet body and the drain pipe 150 formed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상기 변기 본체의 배출구에 유입구가 삽입고정되고, 상기 유입구에서 하부측으로 연장 형성된 하강로와, 상기 하강로 하단에서 경사져서 상부측으로 연장 형성된 상승로와, 상기 상승로 상단에서 건물 바닥측에 수직으로 놓이는 유출구의 상단으로 유로가 사행형상으로 연결되는 가로 연결로로 이루어진 메인유닛(10)과;An inlet is fixedly inserted into the outlet of the toilet body, and the lower passage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inlet to the lower side, the rising ramp inclined from the lower end of the lower passage extending to the upper side, and placed vertically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at the top of the elevated passage. A main unit 10 formed of a horizontal connection path connected to the top of the outlet by a meandering shape; 상기 메인유닛의 유출구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건물 바닥측에 안착되는 원형관 형상의 연결용 플랜지(20)와;A flange for connection of a circular tube shape, the outlet of the main unit being inserted inward and seated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상하부 2단 구조의 원형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측 원형관의 중심선에 대해 하부측 원형관의 중심선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호 어긋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측 원형관이 상기 연결용 플랜지와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하부측 원형관이 상기 배수관내로 끼워 넣어져 체결되는 배수용 플랜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It consists of a circular pipe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two-stage structure, the center line of the lower circular pipe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upper circular pipe, the upper circular pipe is rotatable with the connecting flange It is fastened to, and the lower side circular pipe is fitted into the drain pipe flange for drainage 3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ariable toilet bowl connection unit comprising a.
KR20-2005-0017129U 2005-06-15 2005-06-15 Variable connecting unit for a toilet stool KR20039548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129U KR200395486Y1 (en) 2005-06-15 2005-06-15 Variable connecting unit for a toilet s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129U KR200395486Y1 (en) 2005-06-15 2005-06-15 Variable connecting unit for a toilet sto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486Y1 true KR200395486Y1 (en) 2005-09-15

Family

ID=43696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129U KR200395486Y1 (en) 2005-06-15 2005-06-15 Variable connecting unit for a toilet sto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486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475B1 (en) 2011-09-21 2013-05-06 대림비앤코주식회사 Connecting unit for a toilet stool with variable fixing part
KR101540284B1 (en) * 2014-01-14 2015-07-29 대림비앤코주식회사 Wall draining trap shape access unit for toil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475B1 (en) 2011-09-21 2013-05-06 대림비앤코주식회사 Connecting unit for a toilet stool with variable fixing part
KR101540284B1 (en) * 2014-01-14 2015-07-29 대림비앤코주식회사 Wall draining trap shape access unit for toil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77452B2 (en) Drainage channel
US9732506B2 (en) Anti-overflow toilet with detachable primary and secondary drain tubes
KR200395486Y1 (en) Variable connecting unit for a toilet stool
JP5965184B2 (en) Drainage system
CN211007806U (en) Prefabricated type integral bathroom structure made of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JP4685573B2 (en) Drainage pipe joint and drainage pipe structure using the same
CN110878583B (en) Pre-buried system of bathroom caisson secondary drainage floor drain
JP5203181B2 (en) Structure of two-stage confluence joint body for drainage vertical pipe
ES2957310T3 (en) Drain device for shower tray or bathtub
JPH07224455A (en) Indirect discharge type hygiene device
EP3746606B1 (en) Sanitary bowl
TWI247839B (en) Drain socket and flush toilet
JP5369397B2 (en) Drain socket
KR101260475B1 (en) Connecting unit for a toilet stool with variable fixing part
KR200329809Y1 (en) Connecting unit for a toilet stool
CN221193586U (en) Novel siphon type wall-drainage toilet
CN217923934U (en) Flushing water distributor and toilet bowl with same
CN219060205U (en) Spray gun device for bathroom cabinet
CN214784577U (en) Same-floor drainage floor drain
JP6861392B2 (en) Water faucet
CA3213202A1 (en) Method for interconnecting floor drains
JP6975947B2 (en) Water faucet
JP7025168B2 (en) Receptacle member and fitting
NO333135B1 (en) floor drain
KR200359678Y1 (en) Faucet capable of adjusting wid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