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228Y1 - 꼬임 방지용 호스 연결구 - Google Patents

꼬임 방지용 호스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228Y1
KR200395228Y1 KR20-2005-0018716U KR20050018716U KR200395228Y1 KR 200395228 Y1 KR200395228 Y1 KR 200395228Y1 KR 20050018716 U KR20050018716 U KR 20050018716U KR 200395228 Y1 KR200395228 Y1 KR 2003952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ube
twist
connecting tube
hos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7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창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창
Priority to KR20-2005-00187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2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2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2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급수용 호스와 각종 유체 토출용 기구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특히 간단한 이음 구조로 급수용 호스가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꼬임 방지용 호스 연결구를 개시한다.
이러한 꼬임 방지용 호스 연결구는, 각종 급수용 호스를 꼬임 방지가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구로서,
유체가 흐르기 위한 각각의 통로를 갖으며 이 통로들을 통하여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연결용 관체;
상기 2개의 연결용 관체 사이의 이음 지점에 배치되어 어느 하나의 연결용 관체와는 나사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연결용 관체와는 상기 통로와 동일한 축선을 이루며 스위블 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관체;
상기 가이드 관체에서 스위블 운동이 이루어지는 어느 하나의 연결용 관체를 저밀착, 저마찰의 걸림 상태로 끼움 결합하기 위한 돌기를 갖는 가이드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꼬임 방지용 호스 연결구{hose connector}
본 고안은 꼬임 방지용 호스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급수용 호스와 각종 유체 토출용 기구를 꼬임 방지가 가능한 이음 상태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특히 꼬임 방지를 위한 구조가 간단하고 한층 향상된 내구성을 얻을 수 있는 꼬임 방지용 호스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서 화단(花壇)이나 정원수(庭園樹), 잔듸 등에 물을 주거나 기타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간이 급수용 호스의 배출측 단부에는 물이 여러 갈래로 토출될 수 있도록 예를들어, 분사용 건과 같은 각종 유체 토출용 기구가 연결구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연결구의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유체가 흐르기 위한 통로를 갖는 2개의 관체가 일정 부분 서로 겹쳐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통로 축선을 기준으로 스위블 운동이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이들 관체의 이음부에서 상기 통로들의 틈새 사이에 신축성을 보유한 고무링이 1개 이상 끼워진다.
상기 고무링은 상기 통로들 틈새 사이에서 수밀을 유지하고, 위아래로 배치된 상기 관체들이 서로 걸려지면서 연결되도록 결속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관체와 연결되는 유체 토출용 기구와 다른 하나의 관체와 연결되는 급수용 호스가 수밀 유지는 물론이거니와 꼬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꼬임 방지를 위한 호스 연결구는, 상기 2개의 연결 관체 사이에 끼워지는 고무링에 의해 상기 관체들의 통로들이 서로 겹쳐진 틈새 사이에서 밀착 상태로 끼워지므로 상기 고무링의 밀착력 및 접지 마찰 등에 의해 이음 지점에서 꼬임 방지를 위한 스위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상기 2개의 관체가 회전될 때에 상기 고무링측에 마찰력과 같은 잦은 부하가 가해지면, 상기 고무링의 내구성 및 형태안정성 등을 저하시켜서 이음부 구간에서 만족할 만한 수밀성을 얻기가 어렵고, 상기 관체들의 결속력도 저하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꼬임 방지가 가능한 상태로 급수용 호스를 연결할 수 있으며, 특히 연결 구간의 마찰이나 부하를 줄여서 한층 향상된 내구성 및 수밀성을 얻을 수 있는 꼬임 방지용 호스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각종 급수용 호스를 꼬임 방지가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구로서,
유체가 흐르기 위한 각각의 통로를 갖으며 이 통로들을 통하여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연결용 관체;
상기 2개의 연결용 관체 사이의 이음 지점에 배치되어 어느 하나의 연결용 관체와는 나사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연결용 관체와는 상기 통로와 동일한 축선을 이루며 스위블 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관체;
상기 가이드 관체에서 스위블 운동이 이루어지는 어느 하나의 연결용 관체를 저밀착, 저마찰의 걸림 상태로 끼움 결합하기 위한 돌기를 갖는 가이드링을 포함하는 꼬임 방지용 호스 연결구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고안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과 관련하는 꼬임 방지용 호스 연결구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면 부호 2는 제1연결용 관체이고, 도면 부호 4는 제2연결용 관체를 지칭한다.
상기 제1연결용 관체(2)는, 일정한 길이를 갖으며 도면에서와 같이 내부에 유체가 흐르기 위한 통로(L1)가 형성되고, 아래쪽 외주에는 급수용 호스(D1)를 나사 결합으로 연결하기 위한 나사부(S1)가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용 관체(4)는 상기 제1연결용 관체(2)의 위쪽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유체가 흐르기 위한 통로(L2)가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용 관체(4)의 외주 위쪽에는 상기 급수용 호스(D1)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서 토출하기 위한 예를들면, 분사용 건과 같은 유체 토출용 기구(D2)를 나사 결합으로 연결하기 위한 나사부(S2)가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용 관체(2) 및 상기 제2연결용 관체(4)에 형성되는 나사부(S1, S2)는 상기 급수용 호스(D1) 및 유체 토출용 기구(D2)가 너트 등을 이용하여 이미 잘 알려진 방법으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용 관체(2)와 제2연결용 관체(4) 사이에는 이들 연결용 관체(2, 4)가 개별적으로 스위블(swivel) 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관체(6)가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관체(6)는 내부에 유체가 흐르기 위한 통로(L3)가 형성되고 이 통로(L3)가 상기 제1연결용 관체(2)와 제2연결용 관체(4)의 통로(L1, L2)들과 동일한 축선을 갖도록 위치된다.
상기 가이드 관체(6)는 상기 제1연결용 관체(2)와 나사 결합으로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1연결용 관체(2)의 통로(L1) 내부에 암나사부(S3)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관체(6) 외주 아래쪽에 숫나사부(S4)를 형성하여 이들 나사부(S3, S4)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제1연결용 관체(2)의 통로(L1)는 도 2에서와 같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이 단차진 부분과 상기 가이드 관체(6)의 숫나사부(S4) 아래쪽 단부가 서로 밀착 상태가 되기 위한 패킹용 링(R1)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관체(6)는 상기 제1연결용 관체(2)와 결합될 때에 이 제1연결용 관체(2)와 결합되는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 관체(6)의 외주 중앙부에 형성된 플랜지부(P1)가 상기 제1연결용 관체(2)의 위쪽에 접촉하는 상태로 위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가이드 관체(6)의 윗부분이 상기 제1연결용 관체(2)의 통로(L1) 내부에서 외부에 연장되므로 상기 제2연결용 관체(4)와 끼움 결합되기 위한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용 관체(2)와 제2연결용 관체(4) 및 가이드 관체(6)는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이미 잘 알려진 사출 성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관체(6)의 위쪽에는 상기 제2연결용 관체(4)가 저마찰의 걸림 상태로 스위블 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관체(6) 내측에 상기 제2연결용 관체(4)를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링(8)이 사용된다.
상기 가이드링(8)은 도 1에서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예를들면, "C"자 모양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재질은 저마찰 계수를 갖는 프라스틱 중에서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링(8)의 내주에는 적어도 2군데 이상의 걸림용 돌기(F1)들이 상기 링(8)의 중앙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관체(6)의 외주면 일측을 감싸는 상태로 위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관체(6)의 외주 일측에는 상기 각각의 걸림용 돌기(F1)들이 상기 가이드 관체(6)의 통로(L3)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기 위한 가이드홀(F2)이 도 2에서와 같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용 관체(4)는 상기 가이드홀(F2)들을 관통한 각각의 걸림용 돌기(F1)들에 대응하는 걸림용 홈(F3)이 도 1에서와 같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용 홈(F3)은 상기 가이드링(8)에 형성된 각각의 걸림용 돌기(F1)들에 대응하여 이 걸림용 돌기(F1)들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2연결용 관체(4)가 상기 가이드 관체(6)의 통로(L3) 축선을 따라 스위블 운동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걸림용 홈(F3)이 상기 가이드 관체(6)의 외주면 전체 둘레에 대응하여 도 1에서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용 홈(F3)은 상기 각각의 걸림용 돌기(F1)들이 끼워진 상태에서 이 돌기(F1)들이 상기 걸림용 홈(F3)에서 스위블 운동을 위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한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관체(6)의 위쪽에 형성된 플랜지부(P2)의 윗면과 상기 제2연결용 관체(4) 위쪽에 형성된 플랜지부(P3)의 저면이 저마찰 상태로 서로 맞대어질 수 있도록 위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관체(6)의 통로(L3)와 상기 제2연결용 관체(4)의 아래쪽 외주면 사이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시일용 링(R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시일용 링(R2)은 상기 가이드 관체(6)의 통로(L3) 내주면과 저마찰의 접촉 상태로 셋팅된다. 이를 위하여 저마찰 계수를 갖는 고무나 프라스틱 재질의 시일용 링(R2)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가이드링(8)은 상기 가이드 관체(6) 외주면을 감싸는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상기 가이드 관체(6)의 통로(L3)를 향하여 돌출된 걸림용 돌기(F1)들이 상기 제2연결용 관체(4)에 형성된 걸림용 홈(F3)에 끼워지면서 상기 가이드 관체(6)에서 상기 제2연결용 관체(4)를 저마찰 상태로 스위블 운동이 가능하게 지지 및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체결 구조는 상기 제1연결용 관체(2)에 상기 가이드 관체(6)의 아래쪽이 나사 결합으로 고정되고, 이 가이드 관체(6)의 위쪽에는 상기 가이드링(8)에 의해 상기 제2연결용 관체(4)가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링(8)의 걸림 작용에 의해 상기 제2연결용 관체(4)가 상기 제1연결용 관체(2)와 스위블 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특히, 상기 제2연결용 관체(4)는 상기 가이드 관체(6)와 연결될 때에 이들의 이음부가 상기 가이드링(8)에 의해 저밀착, 저마찰의 걸림 상태로 연결된 구조이므로 상기 제2연결용 관체(4)의 스위블 운동시에 이음부의 마찰이나 마모 등을 줄일 수 있으며, 원활한 회전 동작을 유도하여 급수용 호스(D1)의 꼬임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용 관체(4)와 상기 가이드 관체(6)의 이음부에는 도 2에서와 같이 별도의 가림용 관체(10)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가림용 관체(10)는 상기 제2연결용 관체(4)와 가이드 관체(6)의 이음부 전체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내부에 가림 공간(1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관체(6)의 위쪽에 형성된 플랜지부(P2)와 중앙부에 형성된 플랜지부(P1) 사이의 공간에 대응하는 길이 범위로 형성된다.
상기 가림용 관체(10)는 상기 가이드 관체(6)와 끼움 결합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림용 관체(10)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예를들면 "T"자 형태의 끼움용 돌기(K1)가 형성되고, 이 끼움용 돌기(K1)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 관체(6)의 외주면에는 끼움용 홈(K2)이 도면에서와 같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림용 관체(10)는 상기 가이드 관체(6)의 위쪽 외주면을 감싸는 상태로 끼워질 때에 이 끼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도 3에서와 같이 내부 가림 공간(12)의 아래쪽에 2개 이상의 고정용 돌기(G1)들이 이격 형성된다.
상기 고정용 돌기(G1)들은 상기 가림용 관체(10)가 상기 가이드 관체(6)의 아래쪽에서 위쪽을 향하여 끼워질 때에 이 가이드 관체(10)의 중앙부에 형성된 플랜지부(P1)가 상기 각각의 고정용 돌기(G1)들을 타고 넘으면서 도 2에서와 같이 걸려지므로 상기 가림용 관체(10)가 상기 가이드 관체(6)측에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즉, 상기 가림용 관체(10)는 상기 가이드 관체(6)의 아래쪽에서 위쪽을 향하여 설치되고, 이 설치 상태에서 상기 제2연결용 관체(4)의 연결 지점이 외부에 가려진다.
이러한 가림용 관체(10)는 상기 가이드 관체(6)와 상기 제2연결용 관체(4)의 이음부 전체를 가리는 상태로 설치되어 미관을 향상시키고, 특히 각종 충격으로부터 이음부를 보호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꼬임 방지용 호스 연결구는, 급수용 호스에 유체 분사용 건(gun)과 같은 각종 유체 토출용 기구를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이들의 이음부가 가이드링의 걸림 작용에 의해 유체가 흐르는 통로 축선을 기준으로 스위블 운동이 가능하여 호스가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이드링은 저밀착, 저마찰의 걸림 상태로 회전 이음부의 연결이 가능하므로 일반 고무링에 비하여 꼬임 방지를 위한 스위블 동작이 원활하고, 각종 마찰이나 마모 등을 방지하여 한층 향상된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꼬임 방지용 호스 연결구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꼬임 방지용 호스 연결구의 결합 상태에서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가이드링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가림용 관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5)

  1. 각종 급수용 호스를 꼬임 방지가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구로서,
    유체가 흐르기 위한 각각의 통로를 갖으며 이 통로들을 통하여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연결용 관체;
    상기 2개의 연결용 관체 사이의 이음 지점에 배치되어 어느 하나의 연결용 관체와는 나사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연결용 관체와는 상기 통로와 동일한 축선을 이루며 스위블 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관체;
    상기 가이드 관체에서 스위블 운동이 이루어지는 어느 하나의 연결용 관체를 저밀착, 저마찰의 걸림 상태로 끼움 결합하기 위한 돌기를 갖는 가이드링을 포함하는 꼬임 방지용 호스 연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링은, 내주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돌기들이 링의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임 방지용 호스 연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관체는, 상기 가이드링의 돌기들에 대응하여 이 각각의 돌기들이 관통하기 위한 가이드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임 방지용 호스 연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연결용 관체는, 상기 가이드링의 돌기들이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연결용 관체가 통로 축선을 기준으로 스위블 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홈이 외주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임 방지용 호스 연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링은, 저마찰 계수를 갖는 플라스틱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임 방지용 호스 연결구.
KR20-2005-0018716U 2005-06-28 2005-06-28 꼬임 방지용 호스 연결구 KR2003952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716U KR200395228Y1 (ko) 2005-06-28 2005-06-28 꼬임 방지용 호스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716U KR200395228Y1 (ko) 2005-06-28 2005-06-28 꼬임 방지용 호스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228Y1 true KR200395228Y1 (ko) 2005-09-07

Family

ID=43696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716U KR200395228Y1 (ko) 2005-06-28 2005-06-28 꼬임 방지용 호스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22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444B1 (ko) 2009-08-14 2009-12-29 주식회사 파이어스 꺾임과 꼬임 방지용 소방호스 연결구
KR100990788B1 (ko) * 2007-12-31 2010-10-29 조구호 농업용 분기관 연결구
KR102166350B1 (ko) * 2020-03-24 2020-10-15 박영식 상호 연결되는 배관 간의 회전이 가능토록 하는 배관연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788B1 (ko) * 2007-12-31 2010-10-29 조구호 농업용 분기관 연결구
KR100934444B1 (ko) 2009-08-14 2009-12-29 주식회사 파이어스 꺾임과 꼬임 방지용 소방호스 연결구
KR102166350B1 (ko) * 2020-03-24 2020-10-15 박영식 상호 연결되는 배관 간의 회전이 가능토록 하는 배관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2445B1 (en) Irrigation pipe system
US8985142B2 (en) Flow quantity regulator
US4722556A (en) Recreational vehicle sewerline adapter
US20070200013A1 (en) Shower head that is detached easily and quickly
CN104032802B (zh) 卫生嵌装件、嵌装件系统和卫生配件
KR200395228Y1 (ko) 꼬임 방지용 호스 연결구
CA2650174A1 (en) Plastic water meter with metal threads
KR102304858B1 (ko) 꼬임방지 기능을 갖는 수도배관용 고압호스 연결구
CN204493951U (zh) 软管接头
KR101676595B1 (ko) 샤워헤드 연결용 꼬임방지구
CN108700237B (zh) 用于软管或管道的多轴可旋转耦接元件
US11002376B2 (en) One-way check valve
US5395139A (en) Swivel type adapter pipe fitting for sprinkler or drip-type irrigation systems
US20160122982A1 (en) A basin mounting structure
CN103775672A (zh) 流动路径打开/闭合阀
US4018460A (en) Hose coupling
CN102518799B (zh) 卫生嵌置单元及配有卫生嵌置单元的喷淋器配件
GB2481921A (en) Fluid control valve
CN100432519C (zh) 管接头
US20080217432A1 (en) Sealing connection assembly for a handheld showerhead assembly
CN104653919A (zh) 用于连接水龙头和/或外部水源与供水软管的设备
CN208764524U (zh) 一种防缠绕淋浴软管
JPH11270766A (ja) 管継手
US11774019B2 (en) Connection system for distributing water
CA2576656C (en) Cold and hot water connecting tube structure for plastic fauc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