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851Y1 - 취반 조건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취반 조건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851Y1
KR200394851Y1 KR20-2005-0017542U KR20050017542U KR200394851Y1 KR 200394851 Y1 KR200394851 Y1 KR 200394851Y1 KR 20050017542 U KR20050017542 U KR 20050017542U KR 200394851 Y1 KR200394851 Y1 KR 2003948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rice
water
display bar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5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우
이상종
신홍기
이상길
윤정기
임성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Priority to KR20-2005-00175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8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8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8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3/00Devices having filling level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압력 밥솥의 내솥에 투입되는 쌀량 및 적정 가수량을 측정하는 취반 조건 측정 장치에 관해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은, 쌀량과 그에 따른 소정의 적정 가수량이 비교 표시되어 상기 내솥 저면에 접촉 설치되는 기준량 표시 바와; 중심이 상기 기준 표시바에 승강 가능하도록 삽통되고, 상기 기준량 표시 바에 표시된 기준량을 지시하는 지시 수단이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내솥 저면에 투입된 쌀을 가압하는 쌀량 감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투입된 쌀량을 간편하게 측정하여 그에 따른 적정 가수량을 객관적 데이터에 근거하여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최적의 취반 조건을 맞출 수 있도록 하고, 전통적 손맞춤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쌀량 및 적정 가수량을 측정하도록 함으로써 주부층이나 노인층 등 전자식 기계작동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는 사용자들에게도 용이하고 간편하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취반 조건 측정 장치{Rice Cooking Condition Mesuring Apparatus}
본 고안은 취반 조건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입된 쌀량을 간편하게 측정하여 그에 따른 적정 가수량을 객관적 데이터에 근거하여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최적의 취반 조건을 맞출 수 있도록 한 취반 조건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취반은 소화시키기 어려운 생녹말을 소화하기 쉬운 호화된 전분으로 바꾸는 과정을 말하며, 현재는 전기 압력 밥솥 등의 취반기의 발달로 과거의 직접 가열식에서 간접 가열식으로 변화되면서 간단 작동만으로도 개개인의 기호 특성에 맞도록 편리하게 취반을 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통상의 취반공정을 크게 구분하면, 예열, 가열, 뜸등의 3공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예열공정에서는 쌀에 불이 흡수되며, 취반기는 호화온도이하의 비교적 높은 온도상태를 일정시간 유지한다. 그리고, 가열공정에서는 비등기까지 온도를 높이며, 이 후 비등상태 일정시간을 유지하여 쌀의 전분을 호화시키며, 뜸 공정에서는 여분의 수분을 증발시켜 부드러운 취반을 완료한다.
여기서 가수량이 적고 화력이 강하여 취반시간이 단축되면 쌀 전분의 호화가 낮고 심이 많은 취반(된밥)이 되며, 역으로 가수량이 많고 화력이 약하여 취반시간이 길어지면 표면이 흐물흐물한 무른 밥(진밥)이 된다.
따라서 맛있는 밥을 취반하려면 먼저 쌀량에 맞는 적정 가수량을 조절하고, 그에 대응한 최적의 화력가감을 해야만 한다.
이에 종래에는 계량 컵 등으로 쌀을 계량하여 내솥에 투입하고 전통적 손맞춤 방법으로 적정 가수량을 조절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 방법은 적정 가수량을 개인별 주관적 기준에만 의지하여 결정하고, 쌀량에 따른 적정 가수량의 변화량을 민감히 반영하지 못하여 상황에 따른 취반 품질의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자에는 중량센서 등을 이용하여 쌀량 및 가수량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밥상태에 적합한지를 표시램프 등을 통해 시현해주는 기술이 고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 또한 전자식 작동 및 표시방법을 채택하고 있어 전통적 방법에 익숙한 주부층이나 노인층에게는 그 사용 방법이 복잡하여 접근성이 떨어지고, 기능 추가에 따른 제품 생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투입된 쌀량을 간편하게 측정하여 그에 따른 적정 가수량을 객관적 데이터에 근거하여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최적의 취반 조건을 맞출 수 있도록 한 취반 조건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측정기구에 의해 전통적 손맞춤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쌀량 및 적정 가수량을 측정하도록 함으로써 주부층이나 노인층 등 전자식 기계작동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는 사용자들에게도 용이하고 간편하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취반 조건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쌀량을 인분수에 근거해서 표시하고, 가수량을 밥상태에 따라 차별적으로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다양한 취반 목적에 맞게 가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취반 조건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취반 조건측정 장치는, 전기 압력 밥솥의 내솥에 투입되는 쌀량 및 적정 가수량을 측정하는 취반 조건 측정 장치에 있어서, 쌀량과 그에 따른 소정의 적정 가수량이 비교 표시되어 상기 내솥 저면에 접촉 설치되는 기준량 표시 바와; 중심이 상기 기준 표시바에 승강 가능하도록 삽통되고, 상기 기준량 표시 바에 표시된 기준량을 지시하는 지시 수단이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내솥 저면에 투입된 쌀을 가압하는 쌀량 감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기준량 표시 바에 표시되는 쌀량은 인분수(人分數)를 나타내도록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준량 표시 바에 표시되는 가수량은 밥의 종류에 따라 차별적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밥의 종류는 진밥, 보통밥, 된밥, 죽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준량 표시 바의 하단 일측에는 상기 쌀량 감지 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쌀량 감지 플레이트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취반 조건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취반 조건 측정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취반 조건 측정 장치의 쌀 감지 플레이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또한,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취반 조건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쌀량 및 적정 가수량을 측정하는 원리를 보인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취반 조건 측정 장치는, 상기 내솥 저면에 접촉 설치되는 기준량 표시 바(bar)(10)와, 소정의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중심이 상기 기준량 표시 바(10)에 삽통되어 승강 가능한 쌀량 감지 플레이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준량 표시 바(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종의 수직자와 같은 형태를 지니며 외면에 쌀량(11)과 그에 따른 소정의 적정 가수량(12)이 비교 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준량 표시 바(10)의 하단 일측에는 상기 쌀량 감지 플레이트(2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미도시)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사용 후 보관을 위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기준량 표시 바(10)에 표시되는 쌀량(11)은 인분수(人分數)를 기준으로 하여 표시되는 것이 사용자의 편의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쌀량(11)에 대비되어 비교 표시되는 가수량(12)은 객관적 데이터에 근거하여 최 적정의 대비치가 되도록 표시되며,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대비치만 표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밥의 종류에 따라 차별적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표시되는 밥의 일예로는 진밥, 보통밥, 된밥 등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죽 등의 경우도 부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실험에 의하면 진밥의 경우는 가수량이 쌀량의 1.7배 이상에서 취사시 형성되는 것으로 쌀의 외형의 터짐과 과다붕괴로 인해 밥 본연의 기능을 상실한 상태를 말하고, 된밥의 경우는 1.1배 미만인 경우로 쌀의 호화에 필요한 충분한 가수량의 부족으로 불충분 호화현상이 나타난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기준에 의거해서 물이 공급되면 별도의 가열패턴을 달리하지 않더라도 취반상태의 구별이 확실히 나타나게 된다.
상기 쌀량 감지 플레이트(20)는 소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중심이 상기 기준량 표시 바(10)에 승강 가능하도록 삽통되고, 상기 기준량 표시 바(10)에 표시된 기준량을 지시하는 지시 수단(21)이 중심으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내솥 저면에 투입된 쌀을 가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쌀량 감지 플레이트(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종의 손 모양을 나타내도록 형성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에 부합하고 사용자에게 친밀성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나, 이러한 형상에 의해 본 고안의 권리범위의 제한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할 것이며 디자인적 편의에 의해 얼마든지 다양한 형상, 예를 들면 꽃, 나뭇잎, 원반 등의 형상을 채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쌀량 감지 플레이트(20)의 상면에는 소정 형태의 관통홈(22)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쌀량 감지 플레이트(20)를 하방 가압하는 경우 등에 물의 통과가 용이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취반 조건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투입되는 쌀량 및 그에 따른 적정 가수량을 측정하는 원리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취반을 시작하기 위해 먼저 본 고안의 취반 조건 측정 장치의 기준량 표시 바(10)를 취반이 이루어지는 내솥(30) 저면에 접촉 설치하고 그 주변으로 쌀(R)을 투입하게 되고, 쌀(R)의 세척을 행하게 된다. 단, 세척의 순서는 이후에도 가능하다.
계속해서 사용자는 원하는 쌀의 양과 그에 대한 적정 가수량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쌀량 감지 플레이트(20)를 상기 기준량 표시 바(10)의 상단으로부터 삽입하여 하방 가압하게 되고, 상기 쌀량 감지 플레이트(20)에 의해 평탄 가압된 쌀량(11)은 상기 기준량 표시 바(10)의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지시 수단(21)에 의해 지시되고, 그에 대한 적정 가수량(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꺽은선 그래프와 같은 형태의 대비치로 나타나게 된다.
이때, 상기 적정 가수량(12)은 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취반하고자 하는 밥의 상태 예컨대, 진밥, 보통밥, 된밥, 또는 죽 등의 상태에 따라 차별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는 해당되는 가수량을 채택하여 해당 양만큼 물을 투입하고 이후의 일반적인 취반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바,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취반 조건 측정 장치에 의하면, 투입된 쌀량을 간편하게 측정하여 그에 따른 적정 가수량을 객관적 데이터에 근거하여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최적의 취반 조건을 맞출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간단한 측정기구에 의해 전통적 손맞춤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쌀량 및 적정 가수량을 측정하도록 함으로써 주부층이나 노인층 등 전자식 기계작동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는 사용자들에게도 용이하고 간편하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쌀량을 인분수에 근거해서 표시하고, 가수량을 밥상태에 따라 차별적으로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다양한 취반 목적에 맞게 가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취반 조건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취반 조건 측정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취반 조건 측정 장치의 쌀 감지 플레이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취반 조건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쌀량 및 적정 가수량을 측정하는 원리를 보인 작동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준량 표시 바(bar) 11 : 쌀량
12 : 적정 가수량 20 : 쌀량 감지 플레이트
21 : 지시 수단 22 : 관통홈

Claims (6)

  1. 전기 압력 밥솥의 내솥에 투입되는 쌀량 및 적정 가수량을 측정하는 취반 조건 측정 장치에 있어서,
    쌀량과 그에 따른 소정의 적정 가수량이 비교 표시되어 상기 내솥 저면에 접촉 설치되는 기준량 표시 바와;
    중심이 상기 기준 표시바에 승강 가능하도록 삽통되고, 상기 기준량 표시 바에 표시된 기준량을 지시하는 지시 수단이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내솥 저면에 투입된 쌀을 가압하는 쌀량 감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 조건 측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량 표시 바에 표시되는 쌀량은 인분수(人分數)를 나타내도록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 조건 측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량 표시 바에 표시되는 가수량은 밥의 종류에 따라 차별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 조건 측정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밥의 종류는 진밥, 보통밥, 된밥, 죽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 조건 측정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량 표시 바의 하단 일측에는 상기 쌀량 감지 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 조건 측정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쌀량 감지 플레이트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 조건측정 장치.
KR20-2005-0017542U 2005-06-17 2005-06-17 취반 조건 측정 장치 KR2003948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542U KR200394851Y1 (ko) 2005-06-17 2005-06-17 취반 조건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542U KR200394851Y1 (ko) 2005-06-17 2005-06-17 취반 조건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851Y1 true KR200394851Y1 (ko) 2005-09-07

Family

ID=43696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542U KR200394851Y1 (ko) 2005-06-17 2005-06-17 취반 조건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8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519Y1 (ko) * 2013-08-28 2014-12-05 김인혜 밥물 지시기
WO2023120824A1 (ko) * 2021-12-22 2023-06-29 김홍룡 밥물 맞춤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519Y1 (ko) * 2013-08-28 2014-12-05 김인혜 밥물 지시기
WO2023120824A1 (ko) * 2021-12-22 2023-06-29 김홍룡 밥물 맞춤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7729B (zh) Cooking utensils
KR20160092008A (ko) 조리 영역 식별 수단 및 온도 센서가 구비된 조리 용기
CA2568468A1 (en) Electric cooker
CN107836977A (zh) 电饭煲和电饭煲自动补偿水量的方法
KR200394851Y1 (ko) 취반 조건 측정 장치
JP2009000185A (ja) 炊飯器
CN207071039U (zh) 养生壶
CN201595655U (zh) 智能电饭锅
KR102123679B1 (ko) 전기밥솥 및 이의 제어방법
CN207477372U (zh) 一种智能感温的电热养生壶
CN208573434U (zh) 称重结构和具有其的烹饪器具
CN202751199U (zh) 烹任器具
WO2015102553A1 (en) A turkish coffee machine
CN104257223A (zh) 一种生活用具
CN205125892U (zh) 一种带蒸汽喷头的烹饪锅
CN208355255U (zh) 用于炊具的信号检测装置及炊具
CN108309036A (zh) 电烹饪器及其防溢出故障检测装置和防溢出故障检测方法
CN208228819U (zh) 烹饪器具的上盖温度感应装置、上盖总成及该烹饪器具
CN204207506U (zh) 一种生活用具
CN204743743U (zh) 烹饪器具
CN215650480U (zh) 一种防烫伤变色钛锅
CN207461964U (zh) 煎烤器防误操作安全保护机构
CN215533560U (zh) 一种显示倒油量且加热后提示受热状态的锅具
CN206560319U (zh) 液体加热容器
CN215738465U (zh) 一种动态显示标识的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