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769Y1 - 중력과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중력과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769Y1
KR200394769Y1 KR20-2005-0003956U KR20050003956U KR200394769Y1 KR 200394769 Y1 KR200394769 Y1 KR 200394769Y1 KR 20050003956 U KR20050003956 U KR 20050003956U KR 200394769 Y1 KR200394769 Y1 KR 2003947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cylinders
drain
buoyancy
power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균
이영
Original Assignee
김명균
안택수
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균, 안택수, 이영 filed Critical 김명균
Priority to KR20-2005-0003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7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7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7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hydrostatic thr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3/00Other motors, e.g. gravity or inertia motors
    • F03G3/02Other motors, e.g. gravity or inertia motors using wheels with circumferentially-arranged compartments co-operating with solid falling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력과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부체의 부력과 중력의 작용을 이용하여 부체에 연결된 출력레바의 반복회전운동으로부터 동력을 유도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동력발생장치는 부체(10a)(10b)가 각각 수용된 상부개방형의 두 실린더(12a)(12b), 수평축선 A1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반복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각각 연결롯드(18a)(18b)를 통하여 상기 부체(10a)(10b)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레바부분(14a)(14b)으로 구성되는 출력레바(14), 상기 각 실린더(12a)(12b)에 교대로 급수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실린더(12a)(12b)에 급수라인(24a)(24b)으로 연결된 급수탱크(22)와, 상기 각 실린더(12a)(12b)로부터 교대로 배수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실린더(12a)(12b)에 배수라인(30a)(30b)으로 연결되고 상기 급수탱크(22)에 송수하기 위한 송수라인(34)을 갖는 배수펌프(28)로 구성되고, 상기 각 실린더(12a)(12b)에 대하여 교대로 급수 및 배수가 이루어져 급수에 의한 부력의 작용으로 상승하는 상기 부체(10a 또는 10b)와 배수에 의한 중력의 작용으로 하강하는 상기 부체(10a 또는 10b)에 의하여 상기 출력레바(14)가 연속하여 좌우로 반복회전케 한다.

Description

중력과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POWER GENERATING APPARATUS USING GRAVITY AND BUOYANCY}
본 고안은 중력과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체가 자유롭게 승강될 수 있게 수용된 두 개의 실린더에 이들 실린더내에 부체를 부력으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교대로 급수함으로서 두 실린더에서 부체가 교대로 승강되게 하고 이러한 부체의 승강운동을 유도하여 동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한 동력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체는 유체내에 잠길 때에 유체내에 잠긴 부체의 부피와 같은 부피를 갖는 유체의 무게와 같은 부력을 받게 되며 이러한 부력의 방향은 중력과 반대되는 방향이다. 예를 들어 유체가 공급되는 실린더내에 부체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실린더에 예를 들어 물과 같은 유체를 공급할 때 부체는 부력의 작용으로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실린더내에 공급된 유체를 배출하는 경우 부체는 중력의 작용으로 하강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실린더에 부체를 수용하고 이 실린더에 유체인 물을 교대로 공급 및 배출하는 경우 부체는 교대로 승강하게 될 것이므로 이러한 부체의 승강운동을 유도하여 동력을 발생케 할 수 있다.
종래 부체의 부력을 이용하는 동력발생장치는 부력발생수단인 유체의 공급을 제어하여 부체에 연속적으로 부력이 작용토록 하고 이러한 부력의 작용에 의한 부체의 운동을 통하여 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으나 그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부체에 부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부체가 수용된 두 실린더에 공급되는 유체, 즉 물의 공급과 배출을 적절히 제어하고 부력의 작용에 의한 부체의 승강운동을 실용적인 동력으로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중력과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와 이러한 장치에 의하여 동력을 발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있어서는 중력과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바, 본 고안 장치는 부체가 각각 수용된 상부개방형의 두 실린더,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반복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각각 연결롯드를 통하여 상기 부체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레바부분으로 구성되는 출력레바, 상기 각 실린더에 교대로 급수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실린더에 급수라인으로 연결된 급수탱크와, 상기 각 실린더로부터 교대로 배수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실린더에 배수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급수탱크에 송수하기 위한 송수라인을 갖는 배수펌프로 구성되고, 상기 각 실린더에 대하여 교대로 급수 및 배수가 이루어져 급수에 의한 부력의 작용으로 상승하는 상기 부체와 배수에 의한 중력의 작용으로 하강하는 상기 부체에 의하여 상기 출력레바가 연속하여 좌우로 반복회전케 한다.
상기 출력레바는 중공형의 봉체형상이고 상기 실린더의 중간을 지나는 수직평면상에 배치되는 수평축선에 그 중심이 배치되며 내부에 출력증강을 위한 금속볼이 수용된다.
상기 배수펌프는 전기, 축전기 또는 기타 원동기를 포함하는 외부동력원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상기 각 급수라인에 이들의 제어를 위하여 솔레노이드 밸브의 형태인 급수밸브가 배치되고 상기 각 배수라인에 이들의 제어를 위하여 솔레노이드 밸브의 형태인 배수밸브가 배치된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와 도 2는 본 고안의 동력발생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것으로, 본 고안 장치의 연속작동을 설명하고 있다.
도 1에서, 본 고안의 기본 구성은 부체(10a)(10b)가 각각 수용된 상부개방형의 두 실린더(12a)(12b)와, 수평축선 A1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반복회전하는 출력레바(14)로 구성된다.
두 실린더(12a)(12b)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동일한 레벨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출력레바(14)는 이들 실린더(12a)(12b)의 중간을 지나는 수직평면상에 배치되는 수평축선 A1에 그 중심이 배치된다. 실질적으로, 출력레바(14)의 수평축선 A1에는 출력레바지지대(도시하지 않았음)가 배치되고 이에 출력레바(14)를 회전가능하게 착설하기 위한 회전지지구(16)가 배치되어 출력레바(14)의 좌우반복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출력레바(14)는 중공형의 봉체형상이며 제1레바부분(14a)과 제2레바부분(14b)으로 이루어진 둔각의 V자형으로 구성되고 수평축선 A1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대칭이며 각 제1 및 제2레바부분(14a)(14b)의 양 단부가 양측의 실린더(12a)(12b) 상부를 지나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출력레바(14)에 대하여 출력레바의 제1 및 제2레바부분(14a)(14b)의 양 단부는 각 실린더(12a)(12b)에 수용된 부체(10a)(10b)에 연결롯드(18a)(18b)로 연결된다. 도면에서는 이러한 연결롯드(18a)(18b)가 간단히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원활한 운동전달의 기능을 위한 기계적인 구성은 전문가에 의하여 이들의 통상적인 지식을 통하여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출력레바(14)에는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출력증강을 위한 금속볼(20)이 수용된다. 이러한 금속볼(20)은 출력레바(14)의 작동에 따라서 그 제1레바부분(14a)과 제2레바부분(14b)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금속볼(20)의 작용에 대하여서는 이후 본 고안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단계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실린더(12a)(12b)내에 수용되는 부체(10a)(10b)는 이들 실린더에 대하여 피스턴의 형태로 삽입되며 이들 부체의 외경과 실린더의 내경 사이의 간극은 부체(10a)(10b)의 원활한 승강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범위내에서 결정된다.
이들 실린더(12a)(12b)에 대한 유체, 즉 물의 공급과 배출은 다음의 구성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즉, 실린더(12a)(12b)의 상부측에는 이들 실린더(12a)(12b) 보다 상위위치에 놓이는 급수탱크(22)로부터 각각 연장된 급수라인(24a)(24b)이 연결된다. 그리고 이들 급수라인(24a)(24b)에는 각각 솔레노이드 밸브의 형태인 급수밸브(26a)(26b)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12a)(12b)의 하측에는 이들 실린더의 중간에 배수펌프(28)가 배치되고 이에 실린더(12a)(12b)의 하부측으로부터 배수라인(30a)(30b)이 연결되며 각 배수라인(30a)(30b)에 역시 솔레노이드 밸브의 형태인 배수밸브(32a)(32b)가 배치된다. 또한 배수펌프(28)에는 상부의 급수탱크(22)로 물을 송수하기 위한 송수라인(34)이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일측 실린더(12a)의 배수라인(30a)에서 배수밸브(32a)를 열고 타측 실린더(12b)의 급수라인(24b)에서 급수밸브(26b)를 열어 일측 실린더(12a)가 배수되고 타측 실린더(12b)에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일측 실린더(12a)의 배수라인(30a)에 연결되어 배수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배수펌프(28)는 외부동력원(36)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외부동력원으로서는 전기, 축전기 또는 기타 원동기일 수 있다. 또한, 급수라인(24b)을 통하여 타측실린더(12b)에 급수하는 급수탱크(22)는 이에 수용된 물의 낙차를 이용하여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거나 외부동력원(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하여 강제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급수탱크(22)에는 사용되는 물은 급수 또는 배수라인계의 누수 또는 증발등과 같은 이유에 의한 유실을 감안하여 보충될 수 있도록 급수보충탱크(38)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일측 실린더(12a)의 부체(10a)는 하강되고 타측 실린더(12b)의 부체(10b)는 상승됨으로서 출력레바(14)는 그 제1레바부분(14a)이 하향위치에 놓이고 제2레바부분(14b)은 상향위치에 놓인다. 한편 출력레바(14) 내에 수용된 금속볼(20)은 하향된 제1레바부분(14a)의 단부측으로 이동되어 있다.
연속하여, 일측 실린더(12a)의 배수라인(30a)에서 배수밸브(32a)를 폐쇄하고 타측 실린더(12b)의 급수라인(24b)에서 급수밸브(26b)를 폐쇄한 다음, 타측 실린더(12b)의 배수라인(30b)에서 배수밸브(32b)를 열고 일측 실린더(12a)의 급수라인(24a)에서 급수밸브(26a)를 열어 타측 실린더(12b)가 배수되고 일측 실린더(12a)에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에, 일측 실린더(12a)의 부체(10a)가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고 타측 실린더(12b)의 부체(10b)가 중력에 의하여 하강하면서 출력레바(1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도 2).
이와 같이, 각 실린더(12a)(12b)에 대한 급수 및 배수가 교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 출력레바(14)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연속하여 반복회전하고 출력레바(14)내에 수용되어 있는 금속볼(20)이 하향하는 제1 또는 제2레바부분(14a)(14b)으로 이동하여 출력레바(14)의 회전운동을 보조한다. 따라서 각 실린더(12a)(12b)에 대한 연속반복적인 급수 및 배수에 의하여 출력레바(14)가 좌우로 연속하여 반복회전운동함으로서 이 출력레바(14)로부터 동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출력레바(14)로부터 동력을 유도해낼 수 있는 수단으로서는 반복회전운동을 정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통상적인 운동변환기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운동변환기구는 기계설계분야에 정통한 전문가라면 자신의 지식수준에서 용이하게 구성하거나 상업적으로 쉽게 입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출력레바(14)로부터 동력을 유도해낼 수 있는 운동변환기구는 다양한 동력이용장치에 기계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부체에 부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부체가 수용된 두 실린더에 공급되는 유체의 공급과 배출을 적절히 제어하고 부력의 작용에 의한 부체의 승강운동을 실용적인 동력으로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중력과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출력레바 내에 내장되어 출력을 증강시키도록 하는 출력증강볼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a, 10b... 부체 12a, 12b... 실린더
14... 출력레바 18a, 18b... 연결롯드
20... 금속볼 22... 급수탱크
24a, 24b... 급수라인 26a, 26b... 급수밸브
28... 배수펌프 30a, 30b... 배수라인
32a, 32b... 배수밸브 34... 송수라인

Claims (5)

  1. 부체(10a)(10b)가 각각 수용된 상부개방형의 두 실린더(12a)(12b), 회전지지구(16)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반복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각각 연결롯드(18a)(18b)를 통하여 상기 부체(10a)(10b)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레바부분(14a)(14b)으로 구성되는 출력레바(14), 상기 각 실린더(12a)(12b)에 교대로 급수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실린더(12a)(12b)에 급수라인(24a)(24b)으로 연결된 급수탱크(22)와, 상기 각 실린더(12a)(12b)로부터 교대로 배수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실린더(12a)(12b)에 배수라인(30a)(30b)으로 연결되고 상기 급수탱크(22)에 송수하기 위한 송수라인(34)을 갖는 배수펌프(28)로 구성되고, 상기 각 실린더(12a)(12b)에 대하여 교대로 급수 및 배수가 이루어져 급수에 의한 부력의 작용으로 상승하는 상기 부체(10a 또는 10b)와 배수에 의한 중력의 작용으로 하강하는 상기 부체(10a 또는 10b)에 의하여 상기 출력레바(14)가 연속하여 좌우로 반복회전케 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과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레바(14)가 중공형의 봉체형상이고 상기 실린더(12a)(12b)의 중간을 지나는 수직평면상에 배치되는 회전지지구(16)에 그 중심이 배치되며 내부에 출력증강을 위한 금속볼(20)이 수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28)가 전기, 축전기 또는 기타 원동기를 포함하는 외부동력원(36)에 의하여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발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급수라인(24a)(24b)에 이들의 제어를 위하여 솔레노이드 밸브의 형태인 급수밸브(26a)(26b)가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발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배수라인(30a)(30b)에 이들의 제어를 위하여 솔레노이드 밸브의 형태인 배수밸브(32a)(32b)가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발생장치.
KR20-2005-0003956U 2005-02-15 2005-02-15 중력과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KR2003947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956U KR200394769Y1 (ko) 2005-02-15 2005-02-15 중력과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956U KR200394769Y1 (ko) 2005-02-15 2005-02-15 중력과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230A Division KR20060091800A (ko) 2005-02-15 2005-02-15 중력과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와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769Y1 true KR200394769Y1 (ko) 2005-09-07

Family

ID=43695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956U KR200394769Y1 (ko) 2005-02-15 2005-02-15 중력과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76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036B1 (ko) 2005-05-09 2007-03-02 임재범 중력 수압펌프
WO2011090739A3 (en) * 2009-12-29 2011-10-27 Hopper Energy System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ower generation by changing density of a fluid
CN110821765B (zh) * 2019-11-21 2020-10-09 顾金宏 一种新能源发电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036B1 (ko) 2005-05-09 2007-03-02 임재범 중력 수압펌프
WO2011090739A3 (en) * 2009-12-29 2011-10-27 Hopper Energy System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ower generation by changing density of a fluid
CN110821765B (zh) * 2019-11-21 2020-10-09 顾金宏 一种新能源发电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7303B1 (ko) 파력 발전장치
CN106050540A (zh) 一种多浮杆波浪能发电装置
KR200394769Y1 (ko) 중력과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CN105041559A (zh) 一种自吸式重力波浪泵
US20200003174A1 (en) Torque-generating apparatus powered by piston buoyancy
KR101024541B1 (ko) 조력 발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력 발전 방법
KR20060091800A (ko) 중력과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와 그 방법
JP3243383U (ja) 海波エネルギーから電気エネルギーを生成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洋上エネルギー島
US201500768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green energy from a tidal body of water
CN107989739A (zh) 波浪能发电装置及波浪能发电系统
JP2019501334A (ja) 浮力発電装置
JP2011179481A (ja) 液体浮力を利用した揚水式発電装置
KR101280522B1 (ko) 공진을 이용한 양력면형 조류발전기
KR102288655B1 (ko) 해수 양수장치
RU2781737C1 (ru) Волнов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выработки энергии
JP2021042718A (ja) エネルギー伝送装置
CN103388551A (zh) 一种海洋潮汐发电装置
KR101958615B1 (ko) 파력발전시스템
KR101469955B1 (ko) 파력 에너지를 이용한 양식장의 물 순환 구조
WO2011120532A1 (en) New unlimited/clean source of energy invention
KR20210038491A (ko) 물을 이용한 회전동력 발생장치
KR20150064491A (ko) 부력발전장치
JP2005133619A (ja) 駆動装置及びこの駆動装置への圧力液供給システム
KR20190095848A (ko) 해수 양수장치
GB2387880A (en) A liquid driven generator comprising a body which reciprocates in a liquid containing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