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720Y1 - 비상 전원 장치를 갖는 형광등 기구 - Google Patents

비상 전원 장치를 갖는 형광등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720Y1
KR200394720Y1 KR20-2005-0017293U KR20050017293U KR200394720Y1 KR 200394720 Y1 KR200394720 Y1 KR 200394720Y1 KR 20050017293 U KR20050017293 U KR 20050017293U KR 200394720 Y1 KR200394720 Y1 KR 2003947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ower supply
emergency power
rechargeable batter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2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정
Original Assignee
(주)이라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라이텍 filed Critical (주)이라이텍
Priority to KR20-2005-00172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7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7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7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22Emergency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3/06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last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상 전원 장치를 갖는 형광등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면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면에 위치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고정하며, 상기 케이스의 외주부에 장착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며, 내장된 충전지에 의해 비상시에 안정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 전원 장치를 갖는 형광등 기구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전원 장치는 내장된 충전지의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푸쉬 버튼과, 상기 측정부와 연결되어 측정된 충전지의 전압 또는 전류의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램프 및 상기 푸쉬 버튼을 케이스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두 개의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원 장치를 갖는 형광등 기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비상 전원 장치에 내장된 충전지의 상태를 단순히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즉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점검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점검에 소요되는 시간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비상 전원 장치를 갖는 형광등 기구{Illuminator with emergency power supply}
본 고안은 비상 전원 장치를 갖는 형광등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철이나 기타 장소에서 사용되는 조명 기구로서 정전시에 형광등 기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비상 전원 장치를 내장하는 형광등 기구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 역과 같은 공공 장소에는 다양한 종류의 조명 기구가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조명 기구들은 화재 발생시와 같은 비상시에도 꺼지지 않고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승객이나 이용자들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평상시에도 조명하고자 하는 장소가 일정한 조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전시에도 지속적으로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여야만 한다. 즉, 정전으로 인해 일시에 모든 조명 기구가 꺼지는 경우 이용자들이 상당한 불편을 겪게 될 뿐만 아니라 안전 사고의 발생 우려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부터 조명 기구에 사용되는 안정기에 정전시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비상 전원 장치를 내장한 형광등 기구가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비상 전원 장치들은 내부에 충전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평상시에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해 지속적으로 상기 충전지를 충전하고 있다가,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충전지를 이용해 안정기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형광등이 꺼지지 않고 점등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비상 전원 장치를 갖는 형광등 기구가 정상적인 작동을 하기 위해서는 내장된 충전지가 충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하므로, 정상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내장된 충전지의 상태를 모니터링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각각의 조명 기구들을 분해하여 충전지의 상태를 체크해야하는 바 이는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상당한 시간을 소요하게 되는 것이어서 개선이 필요하였다.
또한, 종래의 비상 전원 장치를 갖는 형광등 기구의 경우 형광등 램프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투명 커버로서 프리즘 처리 커버를 사용해 왔는 바, 이러한 프리즘 처리 커버는 정상적인 AC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비상 전원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경우에는 램프의 조도가 평소보다 30 ~ 40% 정도 감소하게 되어 충분한 조도를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외에도, 종래의 비상 전원 장치는 상기 프리즘 처리 커버를 조명 기구 본체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하고 있으나, 이는 기기 작동시에 본체에 가해지는 온도 변화에 따른 커버의 수축 및 팽창을 흡수할 수 없어 장기간 사용시에 커버나 본체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내장된 비상 전원 장치의 충전지의 상태를 기구를 분해하지 않아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비상 전원 장치를 갖는 형광등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정전시에 비상 전원 장치의 충전지에 의해 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도 램프의 조도를 유지할 수 있는 비상 전원 장치를 갖는 형광등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품의 작동시에 발생되는 커버의 수축 및 팽창을 흡수하여 장기간 사용하여도 커버나 본체가 변형되지 않고 원형을 유지할 수 있는 비상 전원 장치를 갖는 형광등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면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면에 위치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고정하며, 상기 케이스의 외주부에 장착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며, 내장된 충전지에 의해 비상시에 안정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 전원 장치를 갖는 형광등 기구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전원 장치는 내장된 충전지의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푸쉬 버튼과, 상기 측정부와 연결되어 측정된 충전지의 전압 또는 전류의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램프 및 상기 푸쉬 버튼을 케이스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두 개의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원 장치를 갖는 형광등 기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는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는 상기 개방면과 인접한 내벽에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서로 마주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홈을 가지며, 상기 커버는 상기 슬라이드 홈 내부에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스테인레스 30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램프는 충전지의 전압 또는 전류가 사전에 정해진 정상 범위에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비상 전원 장치를 갖는 형광등 기구의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는 내부에 형광등 램프와, 상기 형광등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안정기가 장착되는 케이스(1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약 0.7T 정도의 두께를 갖는 철판으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일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 박스 형태를 갖는다. 상기 케이스(100)는 일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면의 배면에는 상기 케이스(100)를 벽면 등에 소정 각도로 고정하기 위한 두 개의 고정 브라켓(추후 설명)이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개방면의 외주부에는 스테인레스 304로 이루어진 고정 프레임(104)이 삽입된다. 상기 고정 프레임(104)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액자 형태를 가지며 단면은 'ㄱ'자로 절곡되어 있어, 후술할 커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104)은 그 측면에 형성된 홀(105)을 통해서, 상기 케이스(100)와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104)의 안쪽에는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106)가 고정된다. 상기 커버(106)는 얇은 판재 형태를 가지며,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경우 광 투과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비상 전원 장치에 의해 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도 조도가 감소하지 않게 된다. 상기 커버(106)는 상기 케이스 중 개방면에 인접한 내벽에 상기 케이스(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홈에 끼워져서 고정되며, 그 위를 상기 고정 프레임(104)이 덮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106)가 케이스(100)의 홈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작동시에 발생되는 열에 의해 팽창하거나 수축되더라도 상기 홈 내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커버의 변형이 케이스로 전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커버의 표면이 휘는 등의 변형도 생기지 않게 된다. 상기 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는 두 개의 홀(110, 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 중 도 2에서 왼쪽에 위치하는 홀(110)을 통해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비상 전원 장치의 충전지 상태 지시 램프(114)가 노출되게 되며, 오른쪽에 위치하는 홀(112)을 통해 충전지 체크 버튼(116)이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홀(112)을 통해 노출된 체크 버튼을 단순히 누르는 것에 의해 충전지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고, 점검된 결과는 상기 홀(110)을 통해 노출된 체크 램프의 색상을 통해 즉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충전지의 상태가 정상 범위에 있게 되면, 상기 램프는 녹색으로 발광되며, 비정상인 경우에는 붉은색으로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동일한 색상의 램프를 정상인 경우엔 지속적으로 점등하게 하고, 비정상인 경우에는 점멸하게 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의 배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배면에는 한 쌍의 고정 브라켓(12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120)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케이스(100)에 고정되어 있으며, 벽면이나 천정에 접하게 되는 벽면 고정부(122)와 상기 케이스(100) 배면에 고정되는 케이스 고정부(124)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벽면 고정부(122)와 케이스 고정부(124)는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절곡된다. 상기 각도는 상기 실시예가 장착되는 각도에 따라서 사전에 결정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배면 중앙부에는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다수의 볼트공(126)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공(126)에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실시예 내부에 설치되는 형광등용 부품, 예를 들면 안정기와 같은 부품이 케이스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트공이 다수개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케이스 내부의 레이 아웃에 따라 안정기의 위치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기의 위치가 다른 다수의 제품에도 하나의 케이스를 적용할 수 있게 되므로, 제품의 개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장착되는 반사판(108)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반사판(108)은 임의의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 바, 도 4에서는 전체적으로 'V'자 형태로 절곡되어 내부에 형광등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의 반사판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면에는 상기 커버(106)가 케이스(100)의 측면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개방단턱(11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방단턱(118)으로부터 케이스(100) 반대쪽 단부까지 한 쌍의 슬라이드 홈(119)이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홈(119)의 높이는 상기 커버(106)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홈(119)의 전체 길이는 상기 커버(106)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106)는 상기 개방단턱(118)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 홈(119)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홈(119)의 길이 및 높이가 커버(106)의 두께 및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커버(106)와 슬라이드 홈(119)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유격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106)가 슬라이드 홈(119) 내부에 삽입된 후, 형광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열 및 팽창되어도 상술한 유격으로 인해 커버의 변형이 케이스로 직접 전달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는, 케이스의 변형이 있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장기간의 사용 중 발생되는 커버 및 케이스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해 케이스나 커버가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비상 전원 장치에 내장된 충전지의 상태를 단순히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즉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점검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점검에 소요되는 시간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형광등 기구의 유지 보수 작업이 매우 용이해지므로 이용자의 불편이나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커버의 재질을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하여 비상 전원 장치에 의해 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도 조도가 저하되지 않아 충분한 광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커버가 슬라이드 홈 내부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므로 열에 의한 커버의 팽창 및 수축이 케이스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케이스나 커버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상 전원 장치를 갖는 형광등 기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일단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스,
104 : 고정 프레임,
105 : 홀,
106 : 커버,
108 : 반사판,
114 : 충전지 상태 지시 램프,
116 : 충전지 체크 버튼,
119 : 슬라이드 홈,
120 : 고정 브라켓,
126 : 볼트공.

Claims (5)

  1. 일측면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면에 위치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고정하며, 상기 케이스의 외주부에 장착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며, 내장된 충전지에 의해 비상시에 안정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 전원 장치를 갖는 형광등 기구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전원 장치는 내장된 충전지의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푸쉬 버튼과, 상기 측정부와 연결되어 측정된 충전지의 전압 또는 전류의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램프 및 상기 푸쉬 버튼을 케이스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두 개의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원 장치를 갖는 형광등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원 장치를 갖는 형광등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개방면과 인접한 내벽에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서로 마주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홈을 가지며, 상기 커버는 상기 슬라이드 홈 내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원 장치를 갖는 형광등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스테인레스 30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원 장치를 갖는 형광등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충전지의 전압 또는 전류가 사전에 정해진 정상 범위에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원 장치를 갖는 형광등 기구.
KR20-2005-0017293U 2005-06-01 2005-06-16 비상 전원 장치를 갖는 형광등 기구 KR2003947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293U KR200394720Y1 (ko) 2005-06-01 2005-06-16 비상 전원 장치를 갖는 형광등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721 2005-06-01
KR20-2005-0017293U KR200394720Y1 (ko) 2005-06-01 2005-06-16 비상 전원 장치를 갖는 형광등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720Y1 true KR200394720Y1 (ko) 2005-09-05

Family

ID=43695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293U KR200394720Y1 (ko) 2005-06-01 2005-06-16 비상 전원 장치를 갖는 형광등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7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202Y1 (ko) * 2015-08-13 2016-12-29 강근영 스탠드형 조명 또는 걸이형 조명 또는 휴대용 조명으로 겸용할 수 있는 다용도 조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202Y1 (ko) * 2015-08-13 2016-12-29 강근영 스탠드형 조명 또는 걸이형 조명 또는 휴대용 조명으로 겸용할 수 있는 다용도 조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0072B2 (en) Exit signs with and without emergency lighting
US4967317A (en) Exit sign
US8674626B2 (en) LED lamp failure alerting system
US20060133096A1 (en) Emergency light
US20110194280A1 (en) Led light source for hazardous area lighting
US20100013658A1 (en) Dynamic emergency escape indicator
JP2007214037A (ja) 点灯装置及び照明モジュール
KR200394720Y1 (ko) 비상 전원 장치를 갖는 형광등 기구
KR200484595Y1 (ko) 배전반용 조명기구
KR20060034615A (ko) 비상 전원 장치를 갖는 형광등 기구
JP5725998B2 (ja) 表示装置
JP2019160608A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の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並びに照明装置の組込構造
ES2368805T3 (es) Lámpara, particularmente una lámpara de emergencia.
JP2004149225A (ja) 乗客コンベア
JP5647866B2 (ja) トンネル照明灯の保守管理システム
KR200289508Y1 (ko) 무 정전 다운 라이트
KR20100005129U (ko) 비상유도등의 배터리 취부구조
CN218379120U (zh) 一种led壁灯
CN211716343U (zh) 一种led应急灯
CN216243976U (zh) 一种应急照明灯
KR200318924Y1 (ko) 충전이상 상태와 비상구 거리가 표시되는 비상구 유도등
JP7030432B2 (ja) モニタ装置
KR101899491B1 (ko) 조명장치
JPH0757524A (ja) 誘導灯
KR101167986B1 (ko) 컨디션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