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614Y1 -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 - Google Patents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614Y1
KR200394614Y1 KR20-2005-0017436U KR20050017436U KR200394614Y1 KR 200394614 Y1 KR200394614 Y1 KR 200394614Y1 KR 20050017436 U KR20050017436 U KR 20050017436U KR 200394614 Y1 KR200394614 Y1 KR 2003946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ellation
frame
led
optical fibe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4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정수
Original Assignee
배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정수 filed Critical 배정수
Priority to KR20-2005-00174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6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6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6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7/00Planetaria; Globes
    • G09B27/04Star ma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제 밤하늘과 유사하고, 별의 밝기 표현이 가능하며, 별의 색깔 표현이 가능함과 더불어, 각각의 별자리 1개씩 학습할 수 있는 별자리 교육 실물 자료이며, 첨단 소재인 광섬유를 이용한 조광기 및 LED를 함께 이용하도록 된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밤하늘에 빛나는 별들을 학습하기 위하여 LED와 광섬유를 이용하여 제작된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에 있어서, 접착제가 부착된 용지에 별자리와 밑그림을 실사 출력한 별자리 그림(110)과, 상기 별자리 그림(110)이 일면에 부착됨과 더불어 반대쪽으로 LED와 광섬유(S)를 끼우도록 된 별자리틀(120)과, 상기 별자리틀의 내부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교류전원을 공급하도록 된 전원공급부(130)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직류로 전환하도록 별자리틀의 내부에 설치된 직류전환장치(140)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할로겐램프(151)와 광섬유를 이용하여 평상시 밤하늘 및 유성우 재현을 위해 원통(152)에 검은색 테이프 및 칼라테이프의 간격을 조절하여 부착한 상태로 모터(153)에 의해 회전하도록 별자리틀의 내부에 설치된 조광기(150)와, 상기 전원공급부로 부터 공급된 전원에 연결된 각각의 별자리 또는 전체 별자리의 LED가 선택적으로 점등되도록 조작하는 별자리점등수단(160)과, 상기 직류전환장치로 부터 연결되어 각각의 색깔의 LED가 점등되고, 점멸시간을 제어하며, 각각의 별자리별로 점등되도록 집적회로가 구성된 제어회로(170)와, 상기 제어회로(170)와 연결되어 상기 LED의 깜빡거림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윙카(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 { A CONSTELLATION MAP STUDY DEVICE }
본 고안은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제 밤하늘과 유사하고, 별의 밝기 표현이 가능하며, 별의 색깔 표현이 가능함과 더불어, 각각의 별자리 1개씩 학습할 수 있는 별자리 교육 실물 자료이며, 첨단 소재인 광섬유를 이용한 조광기 및 LED를 함께 이용하도록 된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지구와 별 지도 시 별자리와 관련된 활동은 야간에 이루어지는 특수성으로 인하여 교육 과정의 정상적 운영이 어렵고 야간 천체 관측 경험과 천문 기본 지식이 부족한 교사들은 학생들을 지도하는데 커다란 어려움은 물론 두려움 까지 느끼고 있다. 밤하늘을 다양게 재현하여 체험위주 학습과 수준별 학습자료가 필요하였다.
종래에 동경과학전시관 별자리관에 사계절 별자리가 1개의 커다란 원판에 꼬마전구로 표시되어 있고, 계룡산 자연사박물관에는 황도 12궁 그림에 광섬유를 이용 커다란 사각형에 별자리를 표현하였으며, 2005년 2월 제13회 가구, 조명박람회 자료에는 조광기를 이용한 작식용 광섬유 은하수 별자리가 1m의 크리로 전시되었다.
이러한 별자리와 관련한 학습장치중 동경과학전시관에는 사계절 별자리가 커다란 2m가량의 원판에 모두 그려져 있고, 계절별 별자리 스위치를 누르면 여름철 별 전체가 깜박이고, 별자리선이 점선으로 그려져 있어 4계절 별자리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지 않아 계절별 별자리를 지각하는데 부족하고, 또 별자리 1개 씩을 찾는 기능이 없어 학습기능이 떨어지며, 별자리선에 발광장치가 없어 학습효과가 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자연사 박물관의 황도 12궁의 별자리는 단순히 수평적으로 전시함으로써 공간개념이 없어, 밤하늘과 계절별로 유사하지 않다. 또한 조명박람회자료에는 할로겐 램프를 이용한 조광기에 의해 별자리가 장식적인 효과만 강조될 뿐 각각의 별자리를 찾아 볼 수 있는 교육적인 기능이 부족하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첨단 소재인 광섬유를 이용한 조광기 및 LED를 함께 이용하여 실제 밤하늘과 유사하고, 별의 밝기 표현이 가능하며, 별의 색깔 표현이 가능함과 더불어, 각각의 별자리 1개씩 학습할 수 있는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별자리가 점등되면서 별자리에 대한 설명이 한쪽에 표시되도록 한 표시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별자리판이 반구형으로 이루어져 입체감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 하기 위한 본 고안의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는, 밤하늘에 빛나는 별들을 학습하기 위하여 LED와 광섬유를 이용하여 제작된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에 있어서, 접착제가 부착된 용지에 별자리와 밑그림을 실사 출력한 별자리 그림과, 상기 별자리 그림이 일면에 부착됨과 더불어 반대쪽으로 LED와 광섬유를 끼우도록 된 별자리틀과, 상기 별자리틀의 내부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교류전원을 공급하도록 된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직류로 전환하도록 별자리틀의 내부에 설치된 직류전환장치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할로겐램프와 광섬유를 이용하여 평상시 밤하늘 및 유성우 재현을 위해 원통에 검은색 테이프 및 칼라테이프의 간격을 조절하여 부착한 상태로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별자리틀의 내부에 설치된 조광기와, 상기 전원공급부로 부터 공급된 전원에 연결된 각각의 별자리 또는 전체 별자리의 LED가 선택적으로 점등되도록 조작하는 별자리점등수단과, 상기 직류전환장치로 부터 연결되어 각각의 색깔의 LED가 점등되고, 점멸시간을 제어하며, 각각의 별자리별로 점등되도록 집적회로가 구성된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와 연결되어 상기 LED의 깜빡거림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윙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는, 상기 별자리점등수단은, 상기 별자리틀의 내부에 별자리별로 설치된 스위치 단자함과, 상기 스위치단자함과 연결되면서 별자리틀의 아래쪽에 설치된 광원장치가 부착된 푸쉬업 스위치를 포함하는 푸쉬업 별자리 O기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는, 상기 각각의 별자리가 점등되면 별자리에 대한 설명이 별자리틀의 한쪽에 표시되도록 한 표시부를 더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는, 상기 별자리틀이 반구형으로 이루어져 입체감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조광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버튼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광섬유의 굵기별로 묶어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도 5의 광섬유에 LED를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배선도이다.
본 고안은 밤하늘에 빛나는 별들을 학습하기 위하여 LED와 광섬유(S)를 이용하여 제작된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에 있어서, 접착제가 부착된 용지에 별자리와 밑그림을 실사 출력한 별자리 그림(110)과, 상기 별자리 그림(110)이 일면에 부착됨과 더불어 반대쪽으로 각각의 별자리별로 설치된 LED(D1,D2,D3,..D36)와 광섬유(S)를 끼우도록 된 별자리틀(120)과, 상기 별자리틀의 내부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교류전원을 공급하도록 된 전원공급부(130)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직류로 전환하도록 별자리틀의 내부에 설치된 직류전환장치(140)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할로겐램프(151)를 이용하여 평상시 밤하늘 및 유성우 재현을 위해 원통(152)에 검은색 테이프 및 칼라테이프의 간격을 조절하여 부착한 상태로 모터(153)에 의해 회전하도록 별자리틀의 내부에 설치된 조광기(150)와, 상기 전원공급부로 부터 공급된 전원에 연결된 각각의 별자리 또는 전체 별자리의 LED가 선택적으로 점등되도록 조작하는 별자리점등수단(160)과, 상기 직류전환장치로 부터 연결되어 각각의 색깔의 LED가 점등되고, 점멸시간을 제어하며, 각각의 별자리별로 점등되도록 집적회로가 구성된 제어회로(170)와, 상기 제어회로(170)와 연결되어 상기 LED의 깜빡거림을 주기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윙카(18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별자리점등수단(160)은, 상기 별자리틀(120)의 내부에 별자리별로 설치된 스위치 단자함(161)과, 상기 스위치단자함과 연결되면서 별자리틀의 아래쪽에 설치된 광원장치(L1,L2,L3,…)가 부착된 푸쉬업 스위치(PB1,PB2,PB3,…)를 포함하는 푸쉬업 별자리 O기 스위치(162)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별자리점등수단은, 상기 별자리틀(120)의 내부에 각각의 별자리를 전자적으로 온/오프시키도록 구성된 스위치와, 이 스위치에 연결되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이 수신부로 신호를 무선으로 조작하여 보내도록 된 리모콘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스위치를 별자리 판과 분리 또는 무선화 함으로서 스위치를 별자리 판과 분리하여 멀리에서도 작동하여 다수의 학생이 동시 학습이 가능하게되고, 무선으로 점멸하게 하여 작동 거리의 제한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170;마이콤)에는 공지기술에 의해 상기 각각의 별자리가 점등되면 별자리에 대한 설명이 입력되고, 상기 별자리점등수단을 조작하게 되면 그에 해당하는 별자리에 대한 설명이 별자리틀(120)의 한쪽에 표시되도록 한 표시부(190)에 설명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에는 시계기능을 부여하고, 또 이 시간에 맞춰서 그 시간에 볼 수 있는 별자리만을 점등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스위치 작동시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추가 함에 따라 별자리 스위치 작동시 별자리 이름, 별자리 전설, 별의 크기, 별까지의 거리 등 천체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음성 및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별자리틀(120)이 반구형으로 이루어져 입체감을 갖추어 학습효과를 증진시키게 된다.
다음에는 광섬유 및 LED를 이용한 별자리판의 제작과정에 대해서 살펴본다.
1) 천체관측 소프트 프로그램(starry night)에서 여름철 별자리를 편집을 위해 파일로 저장한다.(6/22, 22:00, 서울 밤하늘, 별밝기 4등급 지정)
2) 그림화일 편집 소프트 프로그램(포토샵 7.0-한글판)을 이용하여 편집 한다. 가) 별자리 이름을 한글로 입력한다. (starry night 프로그램에서는 영문만 표기 가능-한글판 없음) 나) 1등성 이름, 은하수 위치, 하늘의 방향을 한글로 입력한다. 다) 황도, 여름철 대 삼각형, 봄철 대 삼각형, 봄철 대곡선을 그려 넣는다. 라) 스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사각형을 그린 후 별자리 이름을 입력하여 여름철 별자리판 그림을 만든다. 마) 그림 편집 프로그램(일러스트레일)으로 수정하여 글자의 해상도를 높인다. (포토샵으로 편집 시 글자의 해상도가 떨어져 번짐) 바) 여름철 별자리 그림을 접착제가 부착된 용지에 실사 출력한다.
3) 광섬유 별자리판 제작
가) 흰색 포팩스판을 이용 광섬유를 끼울 별자리 판 틀을 제작한다.(1m×1.2m×0.13m, 두께 3mm) 나) 실사출력한 여름철 별자리 그림을 포팩스판에 붙인다. 다) 틀 내부에 전원공급 장치를 설치한다.(220V용) 라) 틀 내부에 직류전환 장치를 설치한다.( 교류220V--->직류12V 전환용) 마) 틀 내부에 평상시 밤하늘 및 유성우 재현을 위한 조광기를 설치한다. (220V용, 할로겐 램프 75W) 바) 틀 내부에 별지리 별로 스위치 단자함을 설치한다.(단자 10개 × 4판넬) 사) 틀 외부 아래쪽에 별자리 찾기 스위치 39개를 부착한다.(광원 장치가 부착된 push-up 스위치, 2㎝×1.6㎝) 아) 각 색깔별(빨간, 초록, 노란, 파란색)로 LED점별이 가능 하도록 회로가 입력된 IC판을 부착한다. 자) 조광기의 원통에 평상시 밤하늘 및 유성우 재현이 가능하도록 검은색 테입 및 칼라 테이프의 간격을 조절하여 부착한다.
4) 광섬유를 이용하여 별자리 표현
가) 별의 밝기 등급 표현 - 광섬유 의 굵기 및 가닥수 재현하게 되는바, (1) 1등성 표기 : 빨간색 광섬유 ø0.75㎜×15개.(밝기에 따라 개수 조정) (2) 2등성 표기 : 초록색 광섬유 ø0.75㎜×5개.(밝기에 따라 개수 조정) (3) 3등성 표기 : 초록색 광섬유 ø0.75㎜×2개.(밝기에 따라 개수 조정) (4) 4등성 표기 : 초록색 광섬유 ø0.75㎜×1개. (5) 별자리선 표기 : 노랑색 광섬유 ø0.5㎜×1개. (6) 봄철 대곡선 및 계절별 대 삼각형 : 청색 광섬유 ø0.5㎜×1개.
나) 광섬유 다발을 색깔별로 제작하게 되는바, 투명고무관(ø6mm, 길이 2.3mm, 두께 1mm)에 색깔별로 광섬유를 길이 40㎝로 접착제(굳는 시간 30용 접착제)를 발라 끼워 넣어 광섬유다발을 필요한 개수 만큼 만든다. (1) 빨간색 다발(20개) : 투명 고무관에 광섬유ø0.75㎜×약27개 넣음. (2) 초록색 다발(60개) : 투명 고무관에 광섬유ø0.75㎜×약27개 넣음. (3) 노란색 다발(80개) : 투명 고무관에 광섬유ø0.5㎜×약60개 넣음. (4) 파란색 다발(10개) : 투명 고무관에 광섬유ø0.5㎜×약60개 넣음.
다) LED양극에 납땝하여 전선( 40㎝)을 연결하게 되는바, (1) 빨간색 LED용 20개 제작하고, (2) 초록색 LED용 60개 제작하며, (3) 노란색 LED용 80개 제작하고, (4) 파란색 LED용 10개 제작한다.
5)광섬유를 별자리 판에 꽂기
가) 별자리 표현-(1) 별의 밝기 등급 표현은 (가) 1등성 표기 : 빨간색 광섬유 ø1.5㎜×13개. (나) 2등성 표기 : 초록색 광섬유 ø1.5㎜×5개. (다) 3등성 표기 : 초록색 광섬유 ø1.5㎜×2개. (라) 4등성 표기 : 초록색 광섬유 ø1.5㎜×1개. (마) 별자리선 표기 : 노랑색 광섬유 ø0.5㎜×1개. (바) 봄철 대곡선 및 대 삼각형 : 파란색 광섬유 ø0.5㎜×1개. (사) 여름철 대 삼각형 : 파란색 광섬유 ø0.5㎜×1개. (아) 유성우 및 잔별 : 투명 광섬유 ø0.5㎜×1개.
나) 유성우 및 평상시 밤하늘을 표현하는 별에 광섬유를 접착제를 발라 꽂는다.(접착제 굳는 시간 30분-일명, 30분 본드)
다) 조광기 제작-광원장치는 (원통 회전 주기: 20초/회)로 한다.
(1) 별의 색깔 연출 - 칼라 색 테이프를 연출 하고자 하는 색깔별로 간격 및 넓이로 잘라 원통에 부착하여 장식한다. (2) 별의 반짝 임, 유성우 연출 - 검정색 테입을 연출하고자 하는 간격 및 넓이로 잘라 원통에 부착하여 장식한다. (3) 조광기에 광섬유로 표현하고자 하는 종류별(유성우, 유성, 잔별)로 모아 1열로 고정시킨다.
6) 광섬유를 각 별자리 스위치에 연결하기
가) 별자리 마다 별의 밝기 등급에 해당하는 광섬유 다발을 전선이 연결된 LED와 끼워 연결한다. (1) 빨간색 광섬유 다발 구멍 - 빨간색 LED를 끼움, (2) 초록색 광섬유 다발 구멍 - 초록색 LED를 끼움, (3) 노란색 광섬유 다발 구멍 - 노란색 LED를 끼움, (4) 파란색 광섬유 다발 구멍 - 파란색 LED를 끼움.
나) 큰곰 별자리 (+)극, (-)극 별로 모아진 LED전선을 (+)극은 각 별자리 스위치에 연결하고, (-)극은 COM단자에 연결한다.
다) 나머지 별자리 전극도 해당 별자리 스위치에 위(나)와 같이 연결한다.
라) 청색 별자리선 전극(봄철 대삼각형, 여름철 대삼각형)도 위(나)와 같이 해당 스위치 단자에 연결한다.
이후 별자리 학습장치의 구성 및 활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1. 학습장치의 구성
가. 유성우 및 평상시 밤하늘 재현- 유성우 스위치를 누르면 전원이 들어오면서 유성, 유성우 등 평상시 밤하늘이 형형색색으로 재현된다. 나. 각각의 별자리의 스위치를 누른다. 별의 표시는 빨간색 또는 초록색으로 점멸하여 별의 위치와 밝기를 나타낸다. 별자리 선은 노란색으로 점멸하여 별자리를 나타낸다. 다. 봄철 대 삼각형, 여름철 대 삼각형 스위치를 누른다. 봄별 대 삼각형 및 봄철 대곡선을 나타내는 파란색 선이 점멸 한다. 여름철 대 삼각형(데네브-베가-알타이르)을 나타내는 파란색 선이 점멸 한다.
2. 학습장치의 사용 방법
가. 찾고자 하는 별자리 스위치를 눌러 확인한다. 나. 계절별 중요한 별자리를 스위치를 눌러 확인한다. 다. 이중성의 위치를 확인하고 백조자리에서 이중성을 확인한다.(실제로 쌍안경이나 60mm 천체망원경으로 관측하면 2중성이 잘 보임) 라. 1등성에 해당하는 별의 개수와 이름을 찾아본다. 마. 황도상에 있는 별자리를 관찰하고 황도 12궁을 찾아본다. 바. 자신이 태어난 별자리가 있는지 확인하고 별자리 전설을 조사한다. 사. 별자리 빨리 찾기 게임을 친구들과 한다. 아. 주극성의 위치와 별자리를 확인한다. (주극성: 사계절 항상 관측이 가능한 별) 자. 별자리 이름과 밑그림의 형상을 연관시킨다. 차. 오늘 밤에 보이는 별자리를 찾아본다.
3. 학습장치의 활용.
가. 교육용 : 교육기관, 공공기관, 학원, 수련원, 천문대, 콘도, 터미널 등.
나. 장식용 : 카페, 식당, 백화점, 숙박시설 등 사람이 모이는 곳 모두 가능.
따라서 기존의 멀티미디어 학습자료의 단점인 프리젠테이션 수준에 머무르는 것을, 본 학습장치는 실물이므로 복도에 전시하여 체험 중심의 자기주도적학습을 유도 할 수 있다. 복도에 항시 전시하여 분산학습 및 동료학습, 선행학습, 수준별 학습이 가능하다. 첨단 신소재인 광섬유를 이용하여 실물 학습자료를 만듬으로서 신소재의 효용성과 과학의 편리함을 체험한다. 광섬유가 점멸하여 학습의 집중도 및 학습효과의 지속력을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전시된 별자리을 직접 조작함으로서 체험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는 점멸 방식을 다단계로 다양화 하여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스위치 작동시 마다 별1개 씩 순서대로 점멸--->별자리 내의 별 전체 점멸 --->(별+별자리선) 동시에 점멸하거나, 또는 스위치 작동시 마다 계절별 별1개 씩 순서대로 점멸--->계절별 별자리 순차적으로 별 점멸 --->별자리의 별 및 별자리선이 동시에 순차적으로 점멸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별자리틀이 날짜와 시간에 따라 회전하여 4계절 별자리를 볼 수 있게 할 수 있고, 하나의 별자리틀에 4계절의 별자리 모두를 표시하여 볼 수 있다. 또 일정시간 동안 조작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별과 별자리, 밤하늘이 순차적으로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별자리 그림이 반구에 그려져 있고 계절별 별자리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며, 1회 동작으로 전체 별자리가 ON-OFF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첨단 소재인 광섬유를 이용한 조광기 및 LED를 함께 이용하여 실제 밤하늘과 유사하고, 별의 밝기 표현이 가능하며, 별의 색깔 표현이 가능함과 더불어, 각각의 별자리 1개씩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표시부에 의해 별자리가 점등되면서 별자리에 대한 설명을 함으로써 학습효과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별자리판이 반구형으로 이루어져 입체감을 갖춘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을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조광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버튼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광섬유의 굵기별로 묶어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도 5의 광섬유에 LED를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배선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별자리그림 120 별자리틀
130 전원공급부 140 직류전환장치
150 조광기 160 별자리점등수단
170 제어회로 180 윙카
190 표시부

Claims (4)

  1. 밤하늘에 빛나는 별들을 학습하기 위하여 LED와 광섬유를 이용하여 제작된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에 있어서,
    접착제가 부착된 용지에 별자리와 밑그림을 실사 출력한 별자리 그림(110)과,
    상기 별자리 그림(110)이 일면에 부착됨과 더불어 반대쪽으로 LED와 광섬유(S)를 끼우도록 된 별자리틀(120)과,
    상기 별자리틀의 내부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교류전원을 공급하도록 된 전원공급부(130)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직류로 전환하도록 별자리틀의 내부에 설치된 직류전환장치(140)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할로겐램프(151)와 광섬유를 이용하여 평상시 밤하늘 및 유성우 재현을 위해 원통(152)에 검은색 테이프 및 칼라테이프의 간격을 조절하여 부착한 상태로 모터(153)에 의해 회전하도록 별자리틀의 내부에 설치된 조광기(150)와,
    상기 전원공급부로 부터 공급된 전원에 연결된 각각의 별자리 또는 전체 별자리의 LED가 선택적으로 점등되도록 조작하는 별자리점등수단(160)과,
    상기 직류전환장치로 부터 연결되어 각각의 색깔의 LED가 점등되고, 점멸시간을 제어하며, 각각의 별자리별로 점등되도록 집적회로가 구성된 제어회로(170)와,
    상기 제어회로(170)와 연결되어 상기 LED의 깜빡거림을 주기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윙카(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별자리점등수단(160)은, 상기 별자리틀(120)의 내부에 별자리별로 설치된 스위치 단자함(161)과, 상기 스위치단자함과 연결되면서 별자리틀의 아래쪽에 설치된 광원장치가 부착된 푸쉬업 스위치(PB1,PB2,PB3,…)를 포함하는 푸쉬업 별자리 O기 스위치(1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별자리가 점등되면 별자리에 대한 설명이 별자리틀(120)의 한쪽에 표시되도록 한 표시부(190)를 더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별자리틀이 반구형으로 이루어져 입체감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
KR20-2005-0017436U 2005-06-17 2005-06-17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 KR2003946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436U KR200394614Y1 (ko) 2005-06-17 2005-06-17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436U KR200394614Y1 (ko) 2005-06-17 2005-06-17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614Y1 true KR200394614Y1 (ko) 2005-09-02

Family

ID=43695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436U KR200394614Y1 (ko) 2005-06-17 2005-06-17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61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930B1 (ko) 2008-09-23 2010-05-11 중원웰픽스주식회사 별자리 교습판
KR101249755B1 (ko) * 2011-01-21 2013-04-03 최해덕 홍보용 정보 표시장치
KR20210155650A (ko) 2020-06-16 2021-12-23 김선경 스토리 텔링 및 이미지학습법이 적용된 사계절 별자리 탐구 교재 및 그 사용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930B1 (ko) 2008-09-23 2010-05-11 중원웰픽스주식회사 별자리 교습판
KR101249755B1 (ko) * 2011-01-21 2013-04-03 최해덕 홍보용 정보 표시장치
KR20210155650A (ko) 2020-06-16 2021-12-23 김선경 스토리 텔링 및 이미지학습법이 적용된 사계절 별자리 탐구 교재 및 그 사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6811B1 (en) Fiber optic starlight furniture
WO2016078029A1 (zh) 一种城市规划沙盘展示系统
WO2016129698A1 (ja) 星空再現装置
KR200394614Y1 (ko) 별자리 지도 학습장치
CN205983920U (zh) 一种地球仪教具
CN208620213U (zh) 墙壁安装式多功能led楼道灯
CN101515417B (zh) 显示昼夜的地球仪
CN205508255U (zh) 一种多展示的地球仪
CN105910006A (zh) 一种台灯
JP2001306013A (ja) イルミネーション装置
CN204375229U (zh) 一种具有电教鞭结构的歌唱教学设备
JPH03631B2 (ko)
CN204117491U (zh) 一种教学用地球仪
CN201429927Y (zh) 磁推式昼夜地球仪
CN210223297U (zh) 一种多功能地球仪教具
CN204372768U (zh) 具立体影像显示的发光装置
CN204117489U (zh) 一种用于教学演示和观赏的同步月相灯
JPS6037586Y2 (ja) 星図見取盤の構造
CN211376011U (zh) 一种交变电流发电机模型教具
CN2911841Y (zh) 四季星空演示板
JPS5865468A (ja) 宇宙天体表示具
CN109118842A (zh) 一种用于检测汽车性能维修的教学平台
CN213601462U (zh) 一种光源教具
CN202835167U (zh) 一种景观灯装置
CN108844018A (zh) 一种墙壁安装式多功能led楼道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