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586Y1 - 건축용 조립판넬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조립판넬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586Y1
KR200394586Y1 KR20-2005-0016170U KR20050016170U KR200394586Y1 KR 200394586 Y1 KR200394586 Y1 KR 200394586Y1 KR 20050016170 U KR20050016170 U KR 20050016170U KR 200394586 Y1 KR200394586 Y1 KR 2003945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anel
building
assembled
fasten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미
Original Assignee
김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미 filed Critical 김영미
Priority to KR20-2005-0016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5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5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586Y1/ko
Priority to JP2006038903A priority patent/JP4719026B2/ja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04F13/0848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in sheet-like materials, e.g. sheet-metal or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04F13/0837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extending completely through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내, 외벽용 조립판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미적기능과 진열기능 및 보온, 방음기능 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시공작업이 용이한 건축용 조립판넬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조립판넬의 연결구조는, 건축물의 내·외벽면에 체결되는 금속재의 판넬을 연결 적층시켜 미려한 외벽을 구성하도록 하는 통상의 조립판넬에 있어서, 상단부에 "ㄴ"형으로 내향절곡된 소정공간의 제1체결요입부와, 상기 제1체결요입부의 외향측 선단 모서리부로부터 약 45°의 역방향 경사면이 내측에 형성된 제1경사돌출턱으로 된 상단체결부와, 하단부에는 "ㄷ"형으로 내향절곡됨과 동시에 하측 선단에 상기 제1경사돌출턱과 대응하는 경사면을 형성한 제1체결판으로 된 하단체결부로 이루어진 판넬부재와; 상기 하단체결부와 동일한 형태이고, 상기 판넬부재의 상단체결부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제2체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단마감부재와; 상기 상단체결부와 동일한 형태이고, 상기 판넬부재의 하단체결부를 억지끼움 결합하는 제2체결요입부 및 제2경사돌출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하단마감부재가 연결조립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조립판넬의 연결구조{Structure for connecting prefabricated panel use ofarchitecture}
본 고안은 건축물의 내, 외벽용 조립판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미적기능과 진열기능 및 보온, 방음기능 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시공작업이 용이한 건축용 조립판넬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건축 후 오랜시간이 지나는 동안 햇볕과 비, 눈 등의 기후조건과 각종 공해 등으로 외벽이 손상됨에 따라 크게 보수하여 리모델링(remodeling)하거나 실내·외 벽체의 손상을 커버함과 동시에 미감적인 인테리어 효과 및 상품진열 등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금속(알루미늄 등)재의 판넬을 여러형태로 절곡성형한 조립판넬을 부착 설치하여 왔다.
이러한 판넬은 소정의 형상모양을 갖는 기다란 판넬을 상, 하로 적층시키면서 체결못 등을 통해 벽면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목적으로 구성되는 판넬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 국내 실용출원 제2004-0002303호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좌,우 연속적으로 길게 구성된 일정폭을 갖는 조립판넬과 상기 조립판넬의 상,하단부를 마감하는 다수의 마감재를 조립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각 판넬부재의 연결부를 통한 누수 및 파손을 방지하면서 시공이 용이하도록 한 건축용 조립판넬의 연결구조를 제공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고안은, 단순히 지그재그 형상모양으로 절곡된 가로형 판넬의 상,하단부를 마감하는 형태로 적층시켜 조립하는 구성으로만 이루어진다.
따라서, 물품진열을 위한 진열대를 상기 조립판넬의 적정위치에 걸어 고정시킨 후 물품을 진열하는 경우, 진열된 다수의 물품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건축물의 내, 외벽과 상기 조립판넬이 이격되어 들뜨는 현상 즉, 배부름현상 등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어 왔다.
그러므로, 상기한 종래고안의 목적인 누수 및 파손방지 역할을 감당하지 못하게 되고, 더불어 상기와 같은 배부름현상에 의해 미관상 좋지 않은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인식시키게 되어 리모델링 효과를 상실하게 된다.
또한, 조립판넬이 벽면에서 이격되는 현상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진열대 위에 놓인 진열물품 등이 바닥으로 낙하여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왔다.
더 나아가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장기적으로 발생하면 벽체에 조립시공된 상기 조립판넬의 수명단축되거나 벽면에서 떨어져 나감에 의해 인근에 위치해 있던 판매원 또는 소비자가 부상당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초래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 하마감부재와 판넬부재 간 소정크기로 돌출형성됨과 동시에 역방향의 경사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경사돌출턱과, 그와 대응하여 끼움결합하는 반대의 경사면이 선단에 형성된 체결판을 구성하고 상호 억지끼움되는 형태로 조립작업이 용이하면서 경제적인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조립판넬의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복수의 마감부재와 판넬부재가 유동되지 않고 견고한 연결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다수의 진열물품에 의해 발생하는 높은 하중에도 그 형상이 변형되지 않음과 동시에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도록 하는 건축용 조립판넬의 연결구죠를 함께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건축물의 내·외벽면에 체결되는 금속재의 판넬을 연결 적층시켜 미려한 외벽을 구성하도록 하는 통상의 조립판넬에 있어서, 상단부에 "ㄴ"형으로 내향절곡된 소정공간의 제1체결요입부와, 상기 제1체결요입부의 외향측 선단 모서리부로부터 약 45°의 역방향 경사면이 내측에 형성된 제1경사돌출턱으로 된 상단체결부와, 하단부에는 "ㄷ"형으로 내향절곡됨과 동시에 하측 선단에 상기 제1경사돌출턱과 대응하는 경사면을 형성한 제1체결판으로 된 하단체결부로 이루어진 판넬부재와; 상기 하단체결부와 동일한 형태이고, 상기 판넬부재의 상단체결부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제2체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단마감부재와; 상기 상단체결부와 동일한 형태이고, 상기 판넬부재의 하단체결부를 억지끼움 결합하는 제2체결요입부 및 제2경사돌출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하단마감부재가 연결조립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판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판넬(1)은, 건축물의 내·외벽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물품진열을 위해 설치되는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형성된 판넬부재(10)와, 상기 판넬부재(10)의 상단부를 마감하도록 조립되는 상부마감부재(20)와, 상기 판넬부재(10)의 하단부를 마감하도록 조립되는 하단마감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판넬부재(10)는, 좌우로 일정길이 연장된 지그재그 형상모양의 ""형으로 절곡된 알루미늄 등의 금속판체이고, 일정범위 외향 단부면을 갖는 하나 이상의 복수개가 일정간격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전면판(110)(110')(110")과, 상기 복수의 전면판(110)(110')(110") 사이로 소정크기 "ㄷ"형으로 내향절곡되어 후방 외측으로 절곡된 면이 벽체에 부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내향절곡판(120)이 일체로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다수의 전면판(110)(110')(110") 중 최상단에 형성된 전면판(110") 끝단으로부터 상기 상단마감부재(20)를 조립하기 위해 상기 내향절곡판(120)의 거리와 상부마감부재(20)의 두께를 감안한 거리만큼 "ㄴ"형으로 내향절곡된 상단체결부(130)와, 최하단에 형성된 상기 전면판(110)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하단마감부재(30)를 조립결합하기 위해 상기 내향절곡판(120)과 유사한 "ㄷ"형으로 내향절곡된 하단체결부(14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상단체결부(130)와 상기 전면판(210")이 절곡됨에 의하여 형성된 모서리부에는 내측이 약 45°의 역방향 경사면을 형성한 제1경사돌출턱(132)과 상기 상단마감부재(20)를 수용하기 위한 소정공간의 제1체결요입부(1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단체결부(140)의 하측 선단에는 상기 상단체결부(130)의 제1경사돌출턱(132)과 반대되는 경사면을 형성한 제1체결판(141)이 외향 돌출됨에 의해 상기 판넬부재(10)가 상기 하단마감부재(30)에 끼워진 상태로 연결 조립된다.
상기 상단마감부재(20)는, 좌,우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형으로 절곡된 금속판체이며, 상기 판넬부재(10)의 하단체결부(140) 제1체결판(141)과 동일한 형태로 된 제2체결판(21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판넬부재(10)의 상단에 형성된 상단체결부(130)의 제1체결요입부(131)와 제1경사돌출턱(132) 사이로 상기 제2체결판(210)이 억지끼움 결합된 상태로 수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조립된다.
상기 하단마감부재(30)는, 좌우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형으로 절곡된 금속판체이며, 상기 판넬부재(10)의 전면판(110)과 상단체결부(130)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제2체결요입부(310)와 제2경사돌출턱(3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판넬부재(10)의 하단에 형성된 하단체결부(140)가 상기 제2체결요입부(310)와 제2경사돌출턱(320) 사이에 상기 판넬부재(10)에 상부마감부재(20)가결합되는 과정과 동일하게 억지끼움결합된 상태로 수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조립된다.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P)은 건축물의 벽체이며, (3)은 체결못, (4)은 진열대, (5)는 진열물품, (111)은 걸이편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조립판넬 마감부재 조립구조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a 내지 도2c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판넬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판넬(1)을 공지와 같이 건축된 지 오래된 건축물을 리모델링하여 건축물의 보호와 보수를 실시할 때 건축물 내·외벽의 하부로부터 상부까지 적층하는 구조로 연결하게 된다.
즉, 도2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건축물의 내·외 벽체(P)의 하단부터 상기 조립판넬(10)의 하단부를 마감하게 되는 상기 하단마감부재(30)를 부착하되 체결못(3) 등을 통해 박아 고정하게 된다.
그런 후, 도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벽체(P) 하단에 부착된 상기 하부마감부재(30)에 상기 판넬부재(10)를 끼워 조립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부마감부재(30)의 중앙부에 소정공간으로 내향절곡된 제2체결요입부(310)와 그 선단으로부터 절곡모서리부에 상측으로 역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한 소정의 상기 제2경사돌출턱(320) 사이로 상기 판넬부재(10) 하단부에 소정거리 외향된 하단체결부(140)가 억지끼움되는 형식으로 조립됨과 동시에 제1체결판(141)이 상기 제2경사돌출턱(320) 내측에 형성된 경사면에 대응삽입되어 상기 판넬부재(10)가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조립된다.
그 다음으로, 도2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조립된 판넬부재(10)에 상기 상부마감부재(20)가 조립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판넬부재(10) 상부에 형성된 상단체결부(130) 하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소정공간을 형성한 제1체결요입부(131)와 상기 전면판(110")에 사이 절곡모서리부로부터 소정크기 돌출 형성된 제1경사돌출턱(132)의 내측 역방향 경사면 사이로 상기 상부마감부재(20)의 제2체결판(210)이 수용됨과 동시에 그 선단에 형성된 경사면이 상기 제1경사돌출턱(132) 내측에 역방향으로 형성된 경사면으로 대응삽입됨으로서 상기 상부마감부재(20)가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조립되어 하나의 조립판넬(1)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2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넬부재(10)에 상하로 일정하게 배열형성된 전면판(110)(110')(110")의 상측 선단과 내향절곡판(120) 사이의 모서리부에는 소정크기 상부로 돌출된 걸이편(111)이 각각 형성됨에 따라, 진열물품(5)의 판매를 위한 매장 등에서는 상기와 같이 조립된 조립판넬(1)에 형성된 다수의 전면판(110)(110')(110")에 형성된 걸이편(111)으로 진열판을 포함하는 진열대(4)를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걸어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판넬부재(10)와 상단마감부재(20) 및 하단마감부재(30)를 간단히 끼워맞춤함으로서 설치 및 조립작업이 용이함과 더불어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한 특징을 발휘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은 판넬부재 및 상·하마감부재 각각에 상호 연관되는 체결요입부 및 경사돌출턱과 함께 체결편의 구성을 통해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하여 진열물품에 의한 높은 하중에도 무리없이 견딜 수 있게 됨에 따라, 하중에 의해 상기 조립판넬이 벽면에서 이격됨과 같은 배부름현상 및 그에 따른 진동, 소음발생 등을 미연에 차단하여 제품수명 연장의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억지끼움조립을 통한 견고한 시공성에 따라 본 고안의 원초적인 목적인 누수방지, 방수방음, 보온성 증대를 오랜기간동안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판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2a 내지 도2c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판넬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조립판넬, 3 : 체결못
4 : 진열대, 5 : 진열물품
10 : 판넬부재, 20 : 상단마감부재
30 : 하단마감부재, 110,110',110" : 전면판
111 : 걸이편, 120 : 내향절곡판
130 : 상단체결부, 131 : 제1체결요입부
132 : 제1경사돌출턱, 140 : 하단체결부
141 : 제1체결판, 210 : 체2체결판
310 : 제2체결요입부, 320 : 제2경사돌출턱
P : 벽체

Claims (1)

  1. 건축물의 내·외벽면에 체결되는 금속재의 판넬을 연결 적층시켜 미려한 외벽을 구성하도록 하는 통상의 조립판넬에 있어서,
    상단부에 "ㄴ"형으로 내향절곡된 소정공간의 제1체결요입부와, 상기 제1체결요입부의 외향측 선단 모서리부로부터 약 45°의 역방향 경사면이 내측에 형성된 제1경사돌출턱으로 된 상단체결부와, 하단부에는 "ㄷ"형으로 내향절곡됨과 동시에 하측 선단에 상기 제1경사돌출턱과 대응하는 경사면을 형성한 제1체결판으로 된 하단체결부로 이루어진 판넬부재와;
    상기 하단체결부와 동일한 형태이고, 상기 판넬부재의 상단체결부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제2체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단마감부재와;
    상기 상단체결부와 동일한 형태이고, 상기 판넬부재의 하단체결부를 억지끼움 결합하는 제2체결요입부 및 제2경사돌출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하단마감부재가 연결조립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판넬의 연결구조.
KR20-2005-0016170U 2005-06-07 2005-06-07 건축용 조립판넬의 연결구조 KR2003945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170U KR200394586Y1 (ko) 2005-06-07 2005-06-07 건축용 조립판넬의 연결구조
JP2006038903A JP4719026B2 (ja) 2005-06-07 2006-02-16 建築用組立パネルの連結構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170U KR200394586Y1 (ko) 2005-06-07 2005-06-07 건축용 조립판넬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586Y1 true KR200394586Y1 (ko) 2005-09-05

Family

ID=3763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170U KR200394586Y1 (ko) 2005-06-07 2005-06-07 건축용 조립판넬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719026B2 (ko)
KR (1) KR2003945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358B1 (ko) * 2015-08-27 2017-09-15 전정택 건축물 외장패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8922A (ja) * 1983-12-27 1985-07-23 Hitachi Chem Co Ltd レジスト像の製造法
KR200168541Y1 (ko) * 1999-08-17 2000-02-15 양경철 벽부착형 조립식 패널 유니트
EP1497509B1 (en) * 2002-04-13 2007-01-03 Young Mi Kim Kit and assembly of prefabricated pane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358B1 (ko) * 2015-08-27 2017-09-15 전정택 건축물 외장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42658A (ja) 2006-12-21
JP4719026B2 (ja)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4904B2 (en) Structure for connecting prefabricated architecture panels
US20190053623A1 (en) Floating shelf apparatus
US20040168384A1 (en) Skirting board with finishing elements
US11246431B2 (en) Hanging apparatus and bracket thereof
KR200394586Y1 (ko) 건축용 조립판넬의 연결구조
AU2016200453B2 (en) Spa cabinet attachment
KR200418240Y1 (ko) 조립식 책상
EP1118728B1 (en) Supporting structure for partitions, shelves and similar items
KR200394327Y1 (ko) 건축용 조립판넬의 연결구조
KR100488392B1 (ko) 건축용 조립 판넬의 연결구조
JPH0434751Y2 (ko)
KR200311571Y1 (ko) 선반
KR200157279Y1 (ko) 벽걸이 고정용 패널
KR200411324Y1 (ko) 조립식 코너 선반
KR200225339Y1 (ko) 조립식 선반
US11882949B2 (en) Frame apparatus
KR20230110906A (ko) 전시 부스용 목재 조립식 패널
KR200220220Y1 (ko) 개량공구케이스
KR200331489Y1 (ko) 다단 확장 테이블
JP3079364U (ja) 商品陳列用パネル装置
KR200312557Y1 (ko) 액자용 프레임
KR200254828Y1 (ko) 조립식 진열대
JPS6028271Y2 (ja) 物品保持具係止用パネル
JP3085981U (ja) 商品陳列用装飾パネル装置
KR200408033Y1 (ko) 걸이용 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