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645Y1 - Container with a web-shaped containing member between container body and lid - Google Patents

Container with a web-shaped containing member between container body and l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645Y1
KR200393645Y1 KR20-2005-0015286U KR20050015286U KR200393645Y1 KR 200393645 Y1 KR200393645 Y1 KR 200393645Y1 KR 20050015286 U KR20050015286 U KR 20050015286U KR 200393645 Y1 KR200393645 Y1 KR 2003936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body
container
opening
receiv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28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완근
Original Assignee
박완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완근 filed Critical 박완근
Priority to KR20-2005-00152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64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6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645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생수 등과 같은 음료를 수용하는 용기가 개시된다. 용기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의 내측면에는 수용 공간을 구비한 망상의 수용부재가 개재된다. 수용부재의 수용공간 내에 녹차 티백 등을 넣고 뚜껑에 고정시킨 후 뚜껑을 용기본체에 체결함에 따라 수용공간 내의 티백에서 차가 우러나게 된다. 컵과 같은 별도의 도구 없이도 평상시에 용기 자체에서 차 등을 우려낼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차가 우러난 생수를 음용할 수 있고 음용 전에 차가 우러나기를 기다릴 필요가 없다.A container for containing a beverage, such as bottled water, is disclosed.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is interposed with a mesh-like receiving member having a receiving space. After inserting the green tea tea bag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receiving member and fixing it to the lid, the tea is drawn from the tea bag in the receiving space by fastening the lid to the container body. Even without a separate tool, such as a cup, you can usually drink tea from the container itself, so you can conveniently drink the bottled water and do not have to wait for the tea to drink before drinking.

Description

용기본체와 뚜껑 사이에 망상의 수용부재를 구비한 용기 {Container with a web-shaped containing member between container body and lid}Container with a web-shaped containing member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Container with a web-shaped containing member between container body and lid}

본 고안은 생수나 음료수 등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containing bottled water or beverages.

음료수, 특히 생수를 수용하는 용기는 통상적으로 용기본체와 뚜껑을 구비하고 있다. 용기본체는 생수를 주입하고 또한 생수를 따를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뚜껑은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통상 나선상의 결합 구조를 가지고 있다.Containers for drinking water, in particular bottled water, typically have a container body and a lid. The container body is formed with an opening to inject bottled water and to pour the bottled water, and the lid usually has a spiral coupling structure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이러한 용기에 수용된 생수를 녹차 등과 같은 차나 음료로 우려내어 마시기 위해서는 용기에 수용된 물을 컵에 따르고 컵에 녹차 티백 등을 넣어 마셔야 한다. 따라서, 생수병 등을 들고 다니면서 차를 우려내어 마시기 위해서는 항상 별도의 컵이 준비되어야 한다.In order to drink the bottled water contained in such a container with a tea or a drink such as green tea, drink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in a cup and put green tea tea bags into the cup. Therefore, in order to drink tea while drinking bottled water, etc., a separate cup should always be prepared.

또한, 별도의 컵을 준비하더라도 가열되지 않은 생수의 상태에서는 차를 우려내는 데에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차가 우러난 생수를 즉시 마시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if a separate cup is prepared, it takes a long time to soak tea in a state of unheated bottled water, so it is difficult to immediately drink the bottled tea.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컵과 같은 별도의 도구 없이도 용기 자체에서 차 등을 우려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게 차가 우러난 생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drink the bottled tea water conveniently by allowing tea, etc. to be concerned in the container itself without a separate tool such as a cup. To provide courag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생수병을 휴대하고 다니는 상태 등과 같은 평상시에 차가 우러나도록 함으로써 음용 전에 차가 우러나기를 기다릴 필요가 없도록 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in which a tea is made in ordinary times, such as while carrying a bottle of water, so that the car does not have to wait for drinking before drink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용기는, 액체를 수용하며 액체를 유입 및 유출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 및 상기 뚜껑의 내측면에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그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한 망상의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ntainer body having an opening for receiving and injecting liquid and the liquid;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And a receptacle receiving member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lid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의 내측면에 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재를 상기 뚜껑의 내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킨다.Preferably, a fixing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lid to detachably fix the receiving member to the inner side of the lid.

상기 개구부, 상기 뚜껑 및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용기본체의 기립 상태에서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한 부위에 위치될 수 있다.The opening, the lid, and the receiving member may be located at any one of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in an upright state of the container body.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뚜껑의 중앙 부위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The receiving member may be formed in an area exclud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lid.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액체를 수용하며 액체를 유입 및 유출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 상기 뚜껑의 외측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보조뚜껑; 및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망상의 구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body for receiving the liquid and having an opening for inflow and outflow of the liquid;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Receiving portion to form a receiving space on the outside of the lid; Auxiliary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ceiving portion; And a network partition that partitions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accommodation space while the lid is installed on the container body.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 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 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측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뚜껑의 저면도, 그리고 도 3 은 도 1 의 수용부재의 사시도이다.1 to 3 are views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view of the lid of Figure 1, an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ceiving member of FIG. 1.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는, 용기본체(10), 뚜껑(20) 및 수용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body 10, a lid 20, and a receiving member 30.

용기본체(10)는 생수나 음료수 등과 같은 액체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며, 그의 상부는 개구부로서 형성되어 용기본체(10) 내에 액체를 유입시키거나 용기본체(10)로부터 액체를 유출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용기본체(10)의 개구부의 둘레구간의 외주면에는 뚜껑(20)과 체결되기 위한 나선부(11)가 형성되어 있다.The container body 10 is provided to receive a liquid such as bottled water or beverages, and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formed as an opening and used to introduce liquid into or flow out of the liquid from the container body 1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ection of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10, a spiral portion 11 for fastening with the lid 20 is formed.

뚜껑(20)은 용기본체(10)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하여 마련되며, 그 내주면에는 용기본체(10)의 나선부(11)와 체결되는 나선부(21)가 마련되어 있다. 뚜껑(20)을 개구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돌림으로써 뚜껑(20)의 나선부(21)와 용기본체(10)의 나선부(11)가 나선상으로 체결된다.Lid 20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10,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s provided with a spiral portion 21 is fastened to the spiral portion 11 of the container body 10. By turning the lid 20 in contact with the opening, the spiral portion 21 of the lid 20 and the spiral portion 11 of the container body 10 are fastened in a spiral shape.

한편, 뚜껑(20)의 내측면에는 수용부재(3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5)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부(25)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돌기로서 형성되며, 이때, 도 2 와 같이 4 개의 돌기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형성된다. 돌기의 형상이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 외에도 원형의 리브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20 is provided with a fixing portion 25 for fixing the receiving member (30). Fixing portion 25 is formed as a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20, as shown in Figure 2, at this time, four projections are formed radially arranged as shown in FIG. The shape or number of the protrusions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n addition to the shape,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 circular rib shape.

또한, 뚜껑(20)의 내측면에는 원형의 돌출 리브(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리브(23)는 뚜껑(20)이 용기본체(10)에 체결된 상태에서 개구부에 인접되 영역에 기밀적으로 접촉된다. 따라서, 뚜껑(20)의 체결 상태에서 생수가 새는 것이 방지된다.In addition, a circular protruding rib 23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lid 20, and the protruding rib 23 is form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opening in a state where the lid 20 is fastened to the container body 10. Confidential contact Thus, the bottled water is prevented from leaking in the fastened state of the lid 20.

수용부재(30)는 뚜껑(20)의 내측면에 용기본체(20)의 내부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재(30)는 그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상부가 개방된 망(31)과, 망(31)의 상부에 부착된 림(33)으로 구성된다. 림(33)은 그 상면이 뚜껑(20)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림(33)의 외측 연부가 뚜껑(20)의 고정부(25)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뚜껑(20)에 림(33)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Receiving member 30 is installed to be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20 on the inner side of the lid (20). As shown in Figure 3, the receiving member 30 is formed of a receiving space therein,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 net 31 and the rim 33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net (31). The rim 33 is coupled such that its upp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20. At this time, the outer edge of the rim 33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ortion 25 of the lid 20 and locked so that the rim 33 is detachably fixed to the lid 20.

따라서,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수용부재(30)와 뚜껑(20)을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당기면 수용부재(30)가 뚜껑(20)으로부터 분리되며, 분리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수용부재(30)를 뚜껑(20) 내측면으로 가압함으로써 수용부재(30)를 뚜껑(20)과 결합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pulls the receiving member 30 and the lid 20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he receiving member 30 is separated from the lid 20, in the separated state, the user pulls the receiving member 30 The pressing member 30 may be coupled to the lid 20 by pressing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20.

수용부재(30)를 뚜껑(20)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수용부재(30)의 수용공간 내에 녹차 티백이나 기타 분말상의 차가루 등을 넣고 수용부재(30)를 뚜껑에 결합시킨 후, 수용부재(30)를 뚜껑(20)에 결합시키고 뚜껑(20)을 용기본체(10)에 체결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수용부재(30)의 망(31)이 용기본체(10) 내에 수용된 생수에 잠기게 되고, 따라서 용기본체(10) 내에서 티백에 담겨 있는 녹차 또는 분말상의 녹차가 우러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평상시에 녹차가 생수에 우러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들고다니면서 마실 수 있게 된다.After the receiving member 30 is removed from the lid 20, the green tea tea bag or other powdered powdered tea powder is put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receiving member 30, and the receiving member 30 is coupled to the lid. 30 is coupled to the lid 20 and the lid 20 is fastened to the container body (10). In this state, the net 31 of the receiving member 30 is immersed in the bottled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10, and thus the green tea or powdered green tea contained in the tea bag in the container body 10 is brewed. Therefore, the user can make the green tea in the bottled water in ordinary times, and can drink while holding it.

한편, 생수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사용자는 용기본체(10)를 도 1 과 같이 기립상태가 아닌 옆으로 누운 상태로 둠으로써 녹차를 우러나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amount of bottled water is small, the user can make the green tea by leaving the container body 10 in the side lying state, not the standing state as shown in FIG.

한편, 녹차 등과 같이 티백의 형태로 제공되는 차를 우릴 경우에는 녹차 가루가 생수에 혼입될 우려가 없으므로 망(31)이 조밀하지 않아도 되며 따라서 망(31)은 플라스틱 재질 등을 이용하여 성긴 메쉬구조로 제조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ea provided in the form of tea bags, such as green tea, there is no fear that the green tea powder is mixed in the bottled water, so the mesh 31 does not have to be dense, and thus the mesh 31 has a coarse mesh structure using a plastic material. It can also be prepared.

그러나, 분말 형태의 차를 넣어 우리고자 하는 경우도 대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망(31)은 매우 조밀한 것이 바람직하다. 분말 형태의 차가 생수로 혼입되지 않을 정도의 조밀한 망(31)은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하는 것 보다는 녹차 티백 제조시 사용되는 천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경우에는 망(31)의 메쉬 구조가 매우 조밀하여 육안으로는 망의 구조로 보이는 것이 아니라 주머니의 구조로 보일 것이다.However, when preparing to put the difference in the form of powder, the net 31 is preferably very dense. It is preferable that the dense net 31 so as not to be mixed with powdered tea into bottled water is made of a cloth material used for manufacturing green tea tea bags, rather than made of plastic material. That is, in this case, the mesh structure of the net 31 is very dense so that the naked eye does not look like the structure of the net but rather the structure of the bag.

이와 같은 점에 기인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망" 또는 "망상"으로 기재된 것은 이와 같이 육안으로는 망의 구조로 보이지 않을 정도의 조밀한 구조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망"이라는 용어가 수용부재(30) 내의 수용공간과 용기본체(10)의 내부공간 사이에서 물이 상호 유동 가능하여 수용부재(30)의 수용공간 내에서 우러난 차가 용기본체(10) 내로 혼입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재질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된다.Due to this point,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laims described as "nets" or "nets" concept as such includes a structure that is as compact as the structure of the network is not visible to the naked eye. As a term, the term “net” means that water flows between the receiving space in the receiving member 30 and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body 10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eiving body 30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receiving member 30 is the container body 10. Defined as a concept that includes all types of materials that can be incorporated into.

도 4 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5 는 도 4 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한다.4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FIG.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s in the foregoing first embodiment.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서 용기본체(10), 뚜껑(20) 및 수용부재(30)의 구성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유사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부재(30)와 뚜껑(20)간의 체결 구조가 제 1 실시예와 상이하다.In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s. 4 and 5,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ainer body 10, the lid 20 and the receiving member 30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fastening structure between the receiving member 30 and the lid 20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즉, 제 1 실시예에서는 고정부(25)가 수용부재(30)의 림(33)의 외측면을 걸어 고정시키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25a)가 그 내측면에 나선 결합구조를 구비하고 있고 수용부재(30)의 림(33a) 또한 고정부(25a)의 나선 구조에 대응되도록 그 외측면이 나선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용부재(30)를 돌리는 방식으로 뚜껑(20)과 수용부재(30)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That i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xing portion 25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rim 33 of the receiving member 30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ing portion 25a is spiral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The outer surface is formed in the spiral structure so that the rim 33a of the accommodating member 30 may also correspond to the spiral structure of the fixing part 25a. Therefore, the lid 20 and the receiving member 30 may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urning the receiving member 30.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제 1 실시예에서의 구조에 비하여 수용부재(30)의 결합이 견고하여 질 수 있고, 상호간의 원하지 않는 분리가 방지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as compared with the structur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oupling of the receiving member 30 can be made firm, and unwanted separation between them is prevented.

도 5a 는 도 4 의 용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5A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ontainer of FIG. 4.

본 변형예에는 도 4 의 용기와 비교할 때 고정부와 림의 위치가 반대로 되어 있다. 즉, 본 변형예에서는, 고정부(25a-1)가 외측 방향으로 형성된 나선부분을 구비하고 있고 림(33a-1)이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 나선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림(33a-1)의 직경이 고정부(25a-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정부(25a-1)의 외측에 림(33a-1)이 맞물리게 된다.In this modification, the positions of the fixing portion and the rim are reversed as compared with the container of FIG. 4. That is, in this modification, the fixing part 25a-1 is provided with the spiral part formed in the outer direction, and the rim 33a-1 is provided with the spiral part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rim 33a-1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portion 25a-1 so that the rim 33a-1 is engaged with the outside of the fixing portion 25a-1.

도 6 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부분 측단면도이다.6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도 용기본체(10), 뚜껑(20) 및 수용부재(30)의 구성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유사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부재(30)의 림(33b)의 구조가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상이하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ainer body 10, the lid 20 and the receiving member 30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 of the rim 33b of the receiving member 30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즉, 본 실시예에서는 림(33b)의 직경이 용기본체(30)의 개구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림(33b)이 용기본체(10)의 상단부에 걸쳐질 수 있게 된다. 림(33b)은 뚜껑(20)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기 형상의 고정부(25a-2)에 걸리어 뚜껑(2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diameter of the rim 33b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30, so that the rim 33b can span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0. The rim 33b is caught by the projection-shaped fixing portion 25a-2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lid 20 and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lid 20.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림(33b)의 직경이 용기본체(30)의 개구부의 직경보다 크므로 림(33b)이 용기본체(10)로 빠질 우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since the diameter of the rim 33b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30, the rim 33b has no advantage of falling into the container body 10.

나아가, 이러한 구조에서는 수용부재(30)의 망(31)이 용기본체(10) 내에 수용되도록 림(33b)을 개구부에 걸쳐놓은 후에 뚜껑(30)을 용기본체(10)에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25a-2)의 구성이 본 실시예에서는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이에 따라 고정부(25a-2)를 형성하지 않을 경우 뚜껑(20)의 구성이 보다 간단하게 될 수 있다.Furthermore, in such a structure, the lid 30 may be fastened to the container body 10 after the rim 33b is placed over the opening so that the net 31 of the receiving member 30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10. Therefore, the configuration of the fixing portion 25a-2 is not necessarily essential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us, the configuration of the lid 20 may be simpler when the fixing portion 25a-2 is not formed.

도 7 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8 은 도 7 의 뚜껑 부분의 저면도이며, 도 9 는 도 7 의 수용부재의 사시도이다.7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bottom view of the lid portion of FIG. 7,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ceiving member of FIG. 7.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부재(30)의 망(31a)이 그 단면이 도우넛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림(33c)이 내측의 작은 림과 외측의 큰 림으로 이중으로 구성된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수용부재(30)가 뚜껑(20)의 내측의 전 영역에 걸쳐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부재(30)가 뚜껑(20)의 중앙 부위를 제외한 영역에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이중으로 구성된 림(33c)의 구조에 대응하여 고정부(25b)는 외측의 큰 림의 외측 연부와 내측의 작은 림의 내측 연부를 고정지지할 수 있도력 형성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net 31a of the receiving member 30 is formed such that its cross section has a donut shape, and correspondingly, the rim 33c is composed of a double inner rim and a large outer rim. 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receiving member 30 is formed to form the receiving space over the entire area of the inner side of the lid 2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ceiving member 30 is the center of the lid 20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in the area except the site. In addition,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e of the rim 33c formed in a double, the fixing portion 25b is formed to be capable of fixing and supporting the outer edge of the outer large rim and the inner edge of the inner small rim.

이러한 구조는 휴대용 생수병이 아닌 일반 냉온수기에 적용되는 대형 생수병에 적합한 구조이다. 즉, 냉온수기는 통상적으로 그의 상부에 대형 생수병을 그 개구부가 아래로 향하도록 뒤집어서 얹어 놓는 형태로 설치되는데, 이때 생수병의 뚜껑(20)을 개방시킨 후에 생수병을 냉온수기에 얹어 놓는 것도 있으나 뚜껑(20)을 개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생수병을 냉온수기에 얹어놓는 것도 있다. 뚜껑(20)을 개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생수병을 냉온수기에 설치하는 타입은 생수병이 거꾸로 안착될 때 냉온수기의 안착 위치의 중앙부에 첨축부가 마련되어 뚜껑(20)의 중앙부를 찔러 파단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냉온수기에 생수병이 안착된 상태에서는 냉온수기 내로 생수가 공급될 수 있게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Such a structure is suitable for large bottled water bottles applied to general cold and hot water machines, not portable bottled water bottles. In other words, the cold and hot water machine is usually installed in the form of placing a large bottle of mineral water upside down in the upper portion thereof, the opening facing downward, in which case the bottle of water bottle is placed in the cold and hot water after opening the lid (20) of the bottle Some bottles of water can be placed in cold or hot water without opening (20). The type of installing the bottled water bottle in the cold and hot water without opening the lid 20 is provided with a tip portion at the center of the cold and hot water's seating position when the bottled water is seated upside down to puncture and break the center portion of the lid 20. . Accordingly, when the bottled water bottle is seated in the cold / hot water machine, the bottled water may be supplied into the cold / hot water machine.

이러한 타입의 냉온수기에 적용되는 생수병은 뚜껑(20)의 중앙부위가 냉온수기의 첨축부에 파열되므로 뚜껑(20)의 중앙부위를 제외한 부위에만 수용부재(30)가 배치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와 같은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ttled water bottle applied to this type of cold and hot water dispenser has a central portion of the lid 20 ruptured at the axle portion of the cold and hot water dispenser so that the receiving member 30 may be disposed only at the portion except the central portion of the lid 20.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same structure.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재(30)에 녹차 티백 같은 것을 넣고 뚜껑(20)을 체결한 후 냉온수기에 설치하면, 첨축부가 수용부재(30)는 건드리지 않으면서도 뚜껑(20)을 파열시키게 된다. 따라서, 수용부재(30) 내의 녹차 티백 등에서 자연스럽게 차가 우러나오게 되어 녹차 생수를 평상시에 음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f you put something like green tea tea bags in the receiving memb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n install the cap 20 in a cold or hot water, the tip portion ruptures the lid 20 without touching the receiving member 30. do. Therefore, the tea naturally comes out from the green tea bag or the like in the receiving member 30, so that the green tea bottled water can be normally drinking.

도 10 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측단면도이다.10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부가 용기본체(10)의 상부는 물론 하부에도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opening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as well as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 is shown an example.

용기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는 상부뚜껑(20)에 의해 개폐되며,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는 하부뚜껑(20a)에 의해 개폐된다. 수용부재(30)는 하부뚜껑(20a)과 용기본체(10)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수용부재(30)의 구조는 용기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된다는 점 외에는 전술한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다.The opening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 is opened and closed by the upper lid 20, the opening formed in the lower is opened and closed by the lower lid (20a). The receiving member 30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lid 20a and the container body 10. The structure of the receiving member 30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third embodiment except that it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용기는 수용부재(30)가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용기본체(10) 내의 생수가 줄어들더라도 용기가 기립된 상태에서 상시 수용부재(30)가 생수에 담그어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생수가 줄어드는 경우 용기를 옆으로 누인 상태로 두지 않아도 차가 우러난다는 장점이 있다.In the container having such a structure, since the receiving member 30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even if the bottled water is reduced in the container body 10, the container 30 is always in the bottled state in the standing state. Therefore, when the bottled water is reduc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ea is made even without the container lying sideways.

도 11 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측단면도이다.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는 뚜껑(20c)의 구조가 일반 용기에 적용되는 뚜껑과 상이하며, 용기본체(10)의 구조는 일반적인 것이고,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별도의 수용부재(30)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In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 of the lid 20c is different from the lid applied to the general container, the structure of the container body 10 is general, and no separate receiving member 30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provided. .

뚜껑(20c)은 제1뚜껑(20c-1)과 수용부(20c-2) 및 제2뚜껑(20c-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뚜껑(20c-1)은 용기본체(10)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기능을 하며, 수용부(20c-2)는 제1뚜껑(20c-1)의 상측에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제2뚜껑(20c-3)은 보조 뚜껑으로서 수용부(20c-2)를 개폐하는 기능을 한다.The lid 20c is composed of a first lid 20c-1, a receiving portion 20c-2, and a second lid 20c-3. The first lid (20c-1) has a func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10, the receiving portion (20c-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lid (20c-1) to accommodate the receiving space The second lid 20c-3 serves to open and close the accommodating portion 20c-2 as an auxiliary lid.

수용부(20c-2)와 제1뚜껑(20c-1)사이에는 제1뚜껑(20c-1)이 용기본체(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용기본체(10)의 내부 공간과 수용부(20c-2)의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망상의 구획부(20c-4)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망상의 구획부(20c-4)에 의하여 수용부(20c-2)의 수용공간과 용기본체(10)의 내부 공간이 상호 물이 흐를 수 있는 구조가 된다.Between the accommodating part 20c-2 and the first lid 20c-1,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accommodating part 20c- with the first lid 20c-1 installed on the container body 10. The network partition 20c-4 which partitions the storage space of 2) is provided. By the network partition 20c-4, the receiving sp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0c-2 and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body 10 have a structure in which water flows.

따라서, 사용자는 제2뚜껑(20c-3)을 열어 수용부(20c-2)의 수용공간에 티백 등을 넣고 제2뚜껑(20c-3)을 닫는다. 그리고, 용기본체(10) 내의 생수를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뚜껑(20c-1)을 열어 용기본체(10) 내의 생수를 따르거나 음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opens the second lid 20c-3, puts a tea bag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0c-2, and closes the second lid 20c-3. And, if you want to drink the bottled water in the container body (10) by opening the first lid (20c-1) can follow or drink the bottled water in the container body (10).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보다 사용자의 사용이 보다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is more convenient to use.

도 11a 는 도 11 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1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FIG. 11.

본 변형예에서는, 도 11 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도 11 의 구획부(20c-4)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도 11a 에서는 구획부(20c-4a)가 버킷(bucket)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In this modification, the partition 20c-4 of FIG. 11 is formed in a plate shape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of FIG. 11, but the partition 20c-4a is formed in a bucket shape in FIG. 11A. The point is different.

이와 같은 구획부(20c-4a)의 기능은 기본적으로 도 11 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변형예에서의 구획부(20c-4a)에 의하면 수용부(20c-2)의 수용공간이 상하방향으로 더 늘어나므로 전체 수용공간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수용부(20c-2)의 수용공간 내에 크기가 큰 티백 등을 넣기가 용이하며 수용부(20c-2) 자체의 높이도 낮게 만들 수 있다.The function of such compartments 20c-4a is basically the same as in the embodiment of FIG. However, according to the partition part 20c-4a in this modification, since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20c-2 further extends in the up-down direction, the size of the whole accommodation space becomes large. Therefore, it is easy to put a large tea bag, etc.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receiving portion (20c-2) and can also make the height of the receiving portion (20c-2) itself.

한편,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구조에서, 수용부재는 망과 림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의 부재로서 제작되어 부착될 수도 있다.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수용부재가 제조되는 경우에는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공정의 간소화와 비용의 절감 측면에서 유리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ructure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membe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net and the rim or may be manufactured and attached as a separate member. In the case where the receiving member is made of plastic material or the like,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simplifying the process and reducing the cost.

본 고안에 따르면, 컵과 같은 별도의 도구 없이도 평상시에 용기 자체에서 차 등을 우려낼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차가 우러난 생수를 음용할 수 있고 음용 전에 차가 우러나기를 기다릴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worry about tea from the container itself at any time without a separate tool such as a cup,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convenient to drink the bottled water and do not have to wait for the tea to drink before drinking.

이상은 본 고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Since the above is merely described with respect to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s well know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described abov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idea that is together with the fundamental will all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측단면도,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도 1 의 뚜껑의 저면도,2 is a bottom view of the lid of FIG. 1,

도 3 은 도 1 의 수용부재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ceiving member of FIG. 1;

도 4 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부분 측단면도,4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도 4 의 부분 확대도,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4;

도 5a 는 도 4 의 용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5a shows a variant of the container of FIG. 4,

도 6 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부분 측단면도,6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부분 측단면도,7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도 7 의 뚜껑 부분의 저면도,8 is a bottom view of the lid portion of FIG. 7, FIG.

도 9 는 도 7 의 수용부재의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ceiving member of FIG. 7,

도 10 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측단면도,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측단면도, 그리고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11a 는 도 11 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1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FIG. 11.

Claims (5)

액체를 수용하며 액체를 유입 및 유출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 용기본체;A container body containing a liquid and having an opening for introducing and discharging the liquid; 상기 용기본체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 및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And 상기 뚜껑의 내측면에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그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한 망상의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And a receptacle receiving member installed on an inner side of the lid to be positioned inside the container body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뚜껑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재를 상기 뚜껑의 내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And a fixing part form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lid to detachably fix the receiving member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li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개구부, 상기 뚜껑 및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용기본체의 기립 상태에서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한 부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The opening, the lid and the receiving member is a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at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ntainer body in the standing stat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뚜껑의 중앙 부위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The receiving member is a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area except the central portion of the lid. 액체를 수용하며 액체를 유입 및 유출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 용기본체;A container body containing a liquid and having an opening for introducing and discharging the liquid; 상기 용기본체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상기 뚜껑의 외측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Receiving portion to form a receiving space on the outside of the lid;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보조뚜껑; 및Auxiliary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ceiving portion; And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망상의 구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And a receptacle for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accommodation space while the lid is installed on the container body.
KR20-2005-0015286U 2005-05-30 2005-05-30 Container with a web-shaped containing member between container body and lid KR20039364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286U KR200393645Y1 (en) 2005-05-30 2005-05-30 Container with a web-shaped containing member between container body and l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286U KR200393645Y1 (en) 2005-05-30 2005-05-30 Container with a web-shaped containing member between container body and li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255A Division KR100732180B1 (en) 2005-05-25 2005-05-25 Container with a web-shaped containing member between container body and li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645Y1 true KR200393645Y1 (en) 2005-08-24

Family

ID=43694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286U KR200393645Y1 (en) 2005-05-30 2005-05-30 Container with a web-shaped containing member between container body and li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645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337B1 (en) * 2015-05-19 2015-09-17 주식회사 티업 Receipt case of a tea bag for mineral water case
EP4378854A1 (en) * 2022-12-02 2024-06-05 ALPLA Werke Alwin Lehner GmbH & Co. KG Packaging uni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337B1 (en) * 2015-05-19 2015-09-17 주식회사 티업 Receipt case of a tea bag for mineral water case
EP4378854A1 (en) * 2022-12-02 2024-06-05 ALPLA Werke Alwin Lehner GmbH & Co. KG Packaging unit
CH720295A1 (en) * 2022-12-02 2024-06-14 Alpla Werke Alwin Lehner Gmbh & Co Kg Packaging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180B1 (en) Container with a web-shaped containing member between container body and lid
CN102448853B (en) Cartridge for coffee and soluble products for preparing beverages
EP21907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mixing two or more substances
CN104379031B (en) Method, device and pocket for soaking beverage
CN105050458B (en) Method, apparatus and pocket for soaking beverage
US20090266737A1 (en) Beverage container permitting multiple configurations
WO2013043048A1 (en) Beverage filter systems and methods
CN105792711A (en) Device and method for brewing a beverage
US20100078436A1 (en) Fluid container with two liquid compartments and two end caps
CN102379630A (en) Beverage cartridge
KR200393645Y1 (en) Container with a web-shaped containing member between container body and lid
JP2014061949A (en) Sealing device
WO2005105612A1 (en) Plastic vessel
KR101843468B1 (en) Tumbler having changable function of glass and bottle for drinking tea
KR200419616Y1 (en) Tea containers
KR20070114940A (en) Tea vessel structure for straining out tea leaves
KR20130137737A (en) Cup with straw thereinside
JP3083368U (en) Beverage material leaching tool for PET bottles
WO2005077780A1 (en) Lid for a drinking beaker comprising a chamber filled with drink powder
KR102607335B1 (en) The assembled one-touch cup for sacramental ceremony
KR101311199B1 (en) A Vessel having mixed two-type materials
CN211022043U (en) Cup with cup body
KR100455615B1 (en) Capsule tool
KR200415586Y1 (en) A folding paper cup within a tea
KR101921719B1 (en) Shaker Tumbler with Desorption Storage Sp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