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616Y1 - Tea containers - Google Patents
Tea contain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9616Y1 KR200419616Y1 KR20060009766U KR20060009766U KR200419616Y1 KR 200419616 Y1 KR200419616 Y1 KR 200419616Y1 KR 20060009766 U KR20060009766 U KR 20060009766U KR 20060009766 U KR20060009766 U KR 20060009766U KR 200419616 Y1 KR200419616 Y1 KR 20041961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a
- container
- container body
- outlet
- li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3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suspended from the top of the beverage container so as to remain in contact with the prepared inf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茶)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 내에 유출 안내관이 형성된 필터부을 설치하여 상기 유출 안내관을 통해 외부로 찻물은 흘러나오게 하고 상기 필터부는 우려내고 남은 찻잎은 걸러 낼 수 있도록 하는 차(茶) 용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a container, and in particular, by installing a filter unit formed with an outlet guide tube in the container to allow tea to flow out through the outlet guide tube and to filter out the remaining tea leaves of the filter unit. To provide a tea container.
상기한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의 차 용기는,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본체와,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바닥면에 거름망 및 일정 높이만큼 유출 안내관이 형성된 필터부와, 상기 용기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유출구가 형성된 뚜껑부로 구성된다.Tea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object, the container body having an opening is formed, the filter unit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the filter guid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outflow guide tube by a certain height, and Remov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nd consists of a lid portion formed with an outlet.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필터부에 형성된 유출 안내관이 뚜껑부에 형성된 유출관에 결합되어 용기본체에 저장된 찻물을 뚜껑부의 개방 없이 마개의 간편한 개폐로 음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간편한 효과가 있다.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outlet guide tube formed in the filter unit is coupled to the outlet tube formed in the lid portion can drink the tea stored in the container body by opening and closing the lid without opening the lid portion, there is a convenient effect on use.
필터부, 뚜껑부, 거름망, 마개, 유출구, 연결부, 유출안내관, 용기본체, 잠금날개, 잠금돌기 Filter part, lid part, strainer, stopper, outlet, connection, outflow guide, container body, lock wing, locking projection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용기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te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용기의 측단면도,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tea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용기의 마개부가 분리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stopper portion of the te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도 4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용기의 분해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ea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용기의 결합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e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용기본체 110: 필터부 지지턱100: container body 110: filter portion support jaw
120: 잠금돌기 130: 고정홈120: locking projection 130: fixing groove
140: 계량눈금 150: 받침대 결합홈140: weighing scale 150: pedestal coupling groove
200: 필터부 210: 걸림턱200: filter unit 210: locking jaw
220: 거름망 230: 유출안내관220: strainer 230: spill guide
300: 뚜껑부 310: 마개부300: lid 310: cap
312: 연결부 313: 고정링312: connection 313: retaining ring
320: 유출구 330: 회전방지 돌기320: outlet 330: anti-rotation protrusion
340: 잠금날개 350: 고정돌기340: lock wing 350: fixing protrusion
360: 패킹 400: 받침대360: packing 400: pedestal
본 고안은 차(茶)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내에 유출 안내관이 형성된 필터부을 설치하여 상기 유출 안내관을 통해 외부로 찻물은 흘러나오게 하고 상기 필터부는 우려내고 남은 찻잎은 걸러 낼 수 있도록 하는 차음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a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by installing a filter unit in which a discharge guide tube is formed in the container, tea is allowed to flow out through the discharge guide tube, and the filter unit is filtered out to filter out the remaining tea leav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tea beverages.
일반적으로, 녹차잎이나 홍차잎 등의 여러가지 차 재료에 온수를 부어 찻물을 우려내는 방식 중, 찻물은 흘러나오게 하고, 찻물을 우려내고 남은 찻잎은 걸러낼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은 크게 2가지가 있다. In general, among the methods of pouring hot water on various tea materials such as green tea leaves or black tea leaves, the tea water flows out, and the tea leaves are filtered out so that the remaining tea leaves can be filtered out.
하나는 찻잎 자체를 포장하여 찻물을 우려낸 후의 찻잎은 외부로 나오지 못하게 하는 방식의 티백(Tea bag)을 이용하여 차를 우려내는 방식이다. One is to brew tea using a tea bag that wraps the tea leaves themselves so that tea leaves do not come out.
그리고, 다른 한가지 방식은 용기 자체에 찻물은 흘러나오게 하고 찻잎은 걸러내는 거름수단을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방식의 대표적인 것은 푸쉬로드(Push load)를 도입한 용기인데, 용기의 상부에는 탈착이 가능한 뚜껑체가 결합되어 있고, 뚜껑체의 중앙은 관통되어져 푸쉬로드가 끼워지고, 푸쉬로드에는 여과수단이 장착되어 푸쉬로드의 상하 작동에 의하여 용기 내부에 들어 있는 차를 걸러내는 방식이다.And another way is to use the filtering means to let tea flow out and filter the tea leaves in the container itself. Representative of this method is a container in which a push rod is introduced, and a detachable cap body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the center of the cap body is penetrated so that the push rod is fitted, and the push rod is equipped with a filtration means. It is a way to filter the car inside the container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ush rod.
상기한 방식의 차 용기는, 용기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가 노출됨에따라 용기 내부에 차가 수납된 상태에서는 휴대나 보관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으며, 푸쉬로드를 사용할 경우, 구조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tea container of the above-described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mpossible to carry or store the car in a state in which the car is stored i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s the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is exposed. When using the push rod,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cost is increased. there was.
이와 같은 차 용기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353860호(출원번호 제2004-6370호, 고안의 명칭: 차 음료용 용기)가 있다. 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solving the problems of such a tea container, there is a domestic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53860 (application number 2004-6370, the name of the design: a container for tea beverage).
상기한 종래 기술의 차 음료용 용기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riefly described above the tea beverage container of the prior art as follows.
상기 차 음료용 용기는, 음료수가 저장되는 용기본체와 거름망이 형성되고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필터부및, 상기 용기본체와 연결부로 결합된 뚜껑부로 구성된다.The tea beverage container is formed of a container body and a filter net is formed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in which the beverage is stored, and a lid portion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nnection por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용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즉, 용기본체에 일정 온도의 물을 채워넣고 필터부에 티백(Tea bag) 형태나 잎 형태의 녹차, 홍차, 허브 등의 내용물을 넣은 후 상기 용기본체 내에 상기 필터부를 결합한다. 이후, 뚜껑부를 결합시킨 후 흔들거나 뒤집어 상기 내용물과 물이 혼합되도록 하여 차를 우려내고, 이렇게 우려낸 찻물을 필요시에 뚜껑을 개방하여 음용한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찻물을 우려낼 수 있는 기구에 비하여 휴대성과 보관성이 뛰어나면서도 푸시로드가 없어 구조가 간단한 장점이 있었다.The container configured as above is used as follows. That is, the container body is filled with water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hen the contents of the tea bag or leaf-shaped green tea, black tea, herbs, and the like are combined with the filter unit in the container body. Thereafter, the lid portion is combined and then shaken or flipped so that the contents and water are mixed to make tea, and the soaked tea is opened by drinking the lid if necessary.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because there is no push rod while having excellent portability and storage compared to a device that can cause tea.
그러나, 이러한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종래 기술인 차 음료용 용기는 활동이 많은 등산이나 운동 후에 갈증해소를 위해 사용할 경우, 상기와 같이 뚜껑을 개방하고 필터부를 제거하고 음용해야 하므로 사용상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spite of these advantages, the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for tea beverages has a problem in that it is cumbersome in that it is necessary to open the lid, remove the filter part and drink as described above when used for quenching thirst after a lot of activity or climbing.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부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뚜껑부로 이루어진 종래의 차 용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에는 유출 안내관 및 거름망을 형성하고, 상기 뚜껑부에는 상기 유출 안내관이 결합되도록 유출구를 형성하여, 상기 용기본체에 저장된 찻물이 상기 유출 안내관을 통해 유출구로 흘러나오게 함으로써, 뚜껑부를 개방하지 않고도 찻물을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는 차 용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tea container consisting of a container body having an opening is formed, the filter unit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portion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The filter unit forms an outlet guide tube and a strainer, and the lid unit is formed with an outlet port so that the outlet guide tube is coupled, so that tea stored in the container body flows to the outlet port through the outlet guide tub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a container capable of easily drinking tea without opening.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차 용기는,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바닥면에 거름망 및 일정 높이만큼 유출 안내관이 형성된 필터부 및 용기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유출구가 형성된 뚜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뚜껑을 개방하지 않고 유출구를 통해 음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tea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body with an opening is formed detachably in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the filter unit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with a filter net and a certain height outflow guide tube And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nd comprises a lid formed with the outle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drinking through the outlet without opening the lid.
바람직하게, 필터부의 상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용기본체의 개구부에는 필터부 지지턱이 형성되어 필터부가 탈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 locking jaw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lter unit, and a filter unit supporting jaw is formed at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so that the filter unit is detachable.
바람직하게, 용기본체의 하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립을 방지하는 받침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is detachably couple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edestal is further installed to prevent slip.
바람직하게, 유출구에는 탈착가능하게 형성된 마개부가 더 설치되어 개폐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outlet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is formed detachably pluggable.
바람직하게, 용기본체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잠금돌기가 형성되고, 뚜껑부의 외주면에는 잠금돌기에 대응되도록 잠금날개가 더 형성되어 뚜껑부가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at least one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and a lock wing is further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d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protrusion, so that the lid is detachable.
바람직하게, 용기본체의 외측면에는 내용물의 용량을 측정할 수 있는 계량눈금이 형성되어, 내용물의 용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is formed with a metering scale for measuring the capacity of the cont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acity of the contents can be measured.
바람직하게, 마개부는 유출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링과 고정링에 일체로 연장된 연결부와 연결부에 일체로 형성된 마개로 이루어져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opper is detachable by being composed of a stopper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on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integrally extended to the fixing ring and the fixing r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let.
바람직하게, 마개에는 개폐시 용이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opper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r more protrusions are formed to facilitate opening and closing.
바람직하게, 고정링과 유출구에는 회전방지 돌기 및 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xing ring and the outl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rotation projections and grooves are formed respectively.
바람직하게, 뚜껑부의 하단 및 용기본체의 상단에는 고정돌기 및 홈이 각각 형성되어 결합시에 간편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lower end of the lid and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rojections and grooves are formed at the time of easy coupling.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용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용기의 측단면도이며, 도 3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용기의 마개부가 분리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te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te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topper of the te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e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 용기는,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본체(100)와 상기 개구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부(200)와 상기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뚜껑부(3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tea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0)는 바닥면보다 개구부의 횡단면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200)가 쉽게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필터부(2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된 필터부 지지턱(110)이 형성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ontainer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단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잠금돌기(120)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돌기(120)가 상기 용기본체(100)에 접하는 면에는 후술되는 뚜껑부(300)의 고정돌기(350)가 삽입되는 고정홈(180)이 더 형성된다. At least one
이때, 상기 잠금돌기(120)가 2개이상 설치될 경우에는 상호 대칭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뚜껑부(300)가 균형적으로 잠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용기본 체(100)의 재질은 금속재질 또는 폴리에스테르 및 PET와 같은 합성수지 등으로 사출성형과 같은 제조수단으로 제작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wo or
한편, 상기 용기본체(100)의 바닥면에는 받침대 결합홈(150)이 소정의 깊이만큼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 결합홈(150)에는 받침대(400)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상기 받침대(400)는 반투명의 열가소성수지로서 부드러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전체적인 형상이 고리모양이되, 하단보다 상단이 좁게 형성된 단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단을 상기 받침대 결합홈(150)에 삽입하여 결합 및 이탈을 용이하게 하고, 실내에서 사용시에 바닥에 놓인 차 용기의 슬립을 방지하게 된다.The
상기 용기본체(100)의 외측면에는 내용물의 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계량눈금(140)이 더 형성된다.The outer surface of the
상기 필터부(200)는 상기 용기본체(100)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되, 바닥 횡단면이 좁고 상부 횡단면이 넓게 형성된 오목한 그릇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200)의 바닥면은 거름망(220)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200)의 외주면에는 걸림턱(210)이 더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의 내부에 형성된 필터부 지지턱(110)에 상기 걸림턱(210)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The
상기 거름망(220)은 녹차나 홍차 등과 같은 건조된 차의 재료가 용기본체(100)로 투입되지 않도록 망의 간극을 좁게 형성하되, 거름망(220)의 형상은 사각형이나 원형 및 띠형상 등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The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바닥면의 일측에는 유출안내관(230)이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유출안내관(230)은 상기 바닥면과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높이 만큼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integrally formed with an
즉, 상기 유출안내관(230)은 후술되는 뚜껑부(300)에 형성된 유출구(320)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만큼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유출구(320)와 상기 유출안내관(230)은 결합시 서로 밀착되는 크기로 형성하여, 비교적 작은 차잎 등이 상기 유출안내관(230)과 유출구(320)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That is, the
상기 뚜껑부(300)는 상기 용기본체(100) 및 필터부(200)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되, 사용자가 뚜껑부(300)를 개방하지 않고도 음용할 수 있도록 뚜껑부(300)의 상면에는 유출구(320)가 돌출형성되고, 뚜껑부(300)의 외주면에는 상기 용기본체(100)에 형성된 잠금돌기(120)에 대응되도록 잠금날개(340)가 더 형성된다. The
상기 잠금날개(340)는 상기 뚜껑부(300)에 일체로 형성되고 손으로 쉽게 잠금 및 열 수 있도록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잠금날개(340)의 중앙부에는 관통된 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100)에 형성된 잠금돌기(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The
또한, 상기 뚜껑부(300)의 하면에는 상기 용기본체(100)에 결합되도록 홈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홈에는 밀폐용 패킹(360)을 더 설치하여 뚜껑부(300)의 결합시 기밀성을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groove is furth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유출구(320)에는 휴대시 용기본체(100)에 담긴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마개부(310)를 더 설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마개부(310)는 외주면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마개(311)와, 상기 마개(311)의 분실방지를 위해 상기 마개(311)와 일체로 연장된 연결부(312)및, 상기 연결부(312)와 일체로 형성된 고정링(313)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출구(320)에 고정링(313)을 결합하여 마개(311)의 분실을 방지하게 할 수 있고, 용기세척시에는 상기 마개(311)를 이탈시켜 세척함으로써 간편하고 청결하게 세척을 할 수 있게 된다.The
또한, 상기 고정링(313)에는 홈을 형성하고 상기 유출구(320)에는 회전방지 돌기(330)를 더 형성하여 상기 고정링(313)이 상기 유출구(320)에 결합 되었을 때, 상기 마개부(310)가 좌우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뚜껑부(300)의 외주면 하단에는 고정돌기(350)가 더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350)는 상기 용기본체(100)에 형성된 고정홈(180)에 결합되어, 잠금날개(340)의 결합시 잠금돌기(120)에 대응되는 곳에 쉽게 안착 되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fixing
한편, 상기 마개부(110)는 상기 용기본체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및 PET와 같은 합성수지가 적용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반투명의 열가소성수지로서 부드러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비교적 작은 힘으로도 상기 마개부(110)를 상기 유출구(320)에 유연하게 결합시키거나 또는 분리시킬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차 용기에 대한 사용상태에 대해 도 4 및 아래의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state of use of the tea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nd the drawings below.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용기의 결합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tea contain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 용기는 용기본체(100)에 음용하고자 하는 음료를 채워 놓고 필요시에 마개(311)를 개방하여 음용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tea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lled with the beverage to be drinked in the
또한, 용기본체(100) 내에 일정 온도의 물을 채워 놓고, 필터부(200) 내에는 잎 형태나 티백 형태의 홍차, 녹차, 벤자민, 허브 등을 넣고 용기본체(100)에 넣어서 뚜껑부(300)를 결합시킨 후에 흔들거나 뒤집음으로써 상기 내용물과 물이 서로 섞이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내용물과 물이 서로 섞이면서 사용자가 음용하고자 하는 차 음료를 형성한 후 사용자는 상기 음료를 음용하게 된다. 이때, 필터부(200)에 의하여 내용물이 용기본체(10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음료는 유출안내관(230)을 통해 유출구(320)로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자는 별도로 내용물을 거르거나 뚜껑부(300)를 개방할 필요없이 상기 유출구(320)에 결합된 마개(311)를 개방함으로써, 간편하게 음료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contents are mixed with water to form a tea beverage that the user intends to drink, the user drinks the beverage. At this time, the
또한, 용기 외측면에 인쇄된 계량눈금(140)으로 물이나 다른 음료의 용량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용기본체(100) 바닥면에 결합된 받침대(400)는 실내에서 사용시 바닥면에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받침대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등산이나 야유회와 같은 휴대시에는 상기 받침대를 분리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차 용기의 구성에 의하여, 필터부에 형성된 유출 안내관이 뚜껑부에 형성된 유출구에 결합되어 용기본체에 저장된 찻물을 뚜껑부의 개방 없이 마개의 간편한 개폐로 음용할 수 있어 사용상 간편한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the configuration of the tea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et guide tube formed in the filter portion is coupled to the outlet formed in the lid portion can drink the tea stored in the container body by opening and closing of the lid without opening the lid portion for ease of use It is easy to use.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60009766U KR200419616Y1 (en) | 2006-04-12 | 2006-04-12 | Tea containe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60009766U KR200419616Y1 (en) | 2006-04-12 | 2006-04-12 | Tea container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9616Y1 true KR200419616Y1 (en) | 2006-06-21 |
Family
ID=42163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60009766U KR200419616Y1 (en) | 2006-04-12 | 2006-04-12 | Tea containe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9616Y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134062A2 (en) * | 2008-04-29 | 2009-11-05 | Moon Byungkook | Tea container |
KR101016350B1 (en) * | 2008-04-29 | 2011-03-21 | 아뱅코인터내셔널주식회사 | Tea vessel |
KR101608721B1 (en) | 2015-03-20 | 2016-04-04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Functionality cup improved drinking convenience |
-
2006
- 2006-04-12 KR KR20060009766U patent/KR200419616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134062A2 (en) * | 2008-04-29 | 2009-11-05 | Moon Byungkook | Tea container |
WO2009134062A3 (en) * | 2008-04-29 | 2010-02-25 | Moon Byungkook | Tea container |
KR101016350B1 (en) * | 2008-04-29 | 2011-03-21 | 아뱅코인터내셔널주식회사 | Tea vessel |
KR101608721B1 (en) | 2015-03-20 | 2016-04-04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Functionality cup improved drinking convenien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23234Y1 (en) | A portable drinking receptacle for tea | |
US7806298B2 (en) | Multi-compartment dispensing container | |
US20090229472A1 (en) | Brewing system and packaging | |
CA1224749A (en) | Dispensing closure for spouted container | |
WO2013151581A1 (en) | Segmented collapsible container | |
KR200419616Y1 (en) | Tea containers | |
KR100732180B1 (en) | Container with a web-shaped containing member between container body and lid | |
KR20090005514U (en) | A portable drinking receptacle for tea | |
JP3185488U (en) | Portable beverage container | |
US20160367064A1 (en) | Reusable filter cartridge for multiple brewer types | |
KR20110002519A (en) | Bottle for filtering tea | |
KR200455438Y1 (en) | Disposable Bean Coffee Extraction Container | |
WO2019106356A1 (en) | Beverage making assembly | |
JP6328371B2 (en) | Drink cup lid and drink cup | |
CN111787834B (en) | Brewing container | |
KR101873833B1 (en) | Detachable water bottle | |
CN209950940U (en) | Inner plug, container cover and container | |
KR20070114940A (en) | Tea vessel structure for straining out tea leaves | |
KR20150045100A (en) | Receipt case of a tea bag for mineral water case | |
KR200489383Y1 (en) | Separate type beverage container | |
KR20180014448A (en) | A cap with a tea filter | |
KR200424359Y1 (en) | A drinking receptacle for tea | |
WO2005013775A1 (en) | Device for making a beverage | |
KR200353860Y1 (en) | Bottle for drinking tea | |
KR200393645Y1 (en) | Container with a web-shaped containing member between container body and li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616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