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528Y1 - 신발 끈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신발 끈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528Y1
KR200393528Y1 KR20-2005-0016039U KR20050016039U KR200393528Y1 KR 200393528 Y1 KR200393528 Y1 KR 200393528Y1 KR 20050016039 U KR20050016039 U KR 20050016039U KR 200393528 Y1 KR200393528 Y1 KR 2003935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hoelace
binding
binding device
operat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0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이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민 filed Critical 이상민
Priority to KR20-2005-00160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5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5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5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3/00Hooks for laces; Guards for hoo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원의 좌·우 몸체가 하단 흰지부에 의해 결합되어 링형을 이루고, 좌측 또는 우측 몸체의 하단에 구비된 고정부에 의해 신발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부가 구비되지 않은 우측 또는 좌측 몸체에는 경사각을 갖는 작동구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구의 하단과 신발 사이에는 탄성구가 설치되어 상·하 이동 후 복원력을 갖는 신발 끈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결속장치는 배열순서에 상관없이 신발끈을 용이하게 결착시킬 수 있어, 종래 신발의 결속공에 차례대로 일일이 끼워 관통시켜야 하는 번거러움과, 신발끈을 좌·우 엇갈려 끼움에 있어 중간에 잘못 끼웠을 경우 잘못 끼워진 부분까지 다 풀고 다시 끼워야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발 끈 결속장치{A combination equipment for shoestrings}
본 고안은 신발 끈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운동화, 등산화, 구두, 부츠, 샌들 등과 같은 신발에 장착되어 끈을 용이하게 결속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이라 함은 발 부분의 보호와 장식을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재료로는 고대로부터 짚, 목재, 가죽을 썼고, 오늘날에는 천, 고무, 플라스틱 또는 이런 재료를 함께 혼합해서 쓰는 경우가 많다.
신의 기능을 살펴보면, 종래에는 발의 보호를 주목적으로 하였으나, 최근에는 보행 또는 일의 능률 증진, 복장과의 조화 등 다양한 목적을 띄는 특수신발들이 출시됨에 따라 그 종류도 운동화, 등산화, 구두, 부츠, 샌들, 슬리퍼 등과 같이 다양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류의 신발들 중에서 전면에 끈을 결속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마다 다른 발의 크기에 맞춰 신발끈을 조임으로써 착용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제품이 있으며, 이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신발끈이 장착된 신발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100) 전면에 다수개의 결속공(200)이 좌·우 양쪽에 일렬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속공(200)을 신발끈(300)이 통과하면서 결속되어 있다.
상기한 신발(100)에 신발끈(300)을 결속하기 위해서는 가장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결속공(200)에 좌·우 길이를 맞춰 신발끈(300)을 삽입한 다음 차례로 좌·우 엇갈리게 결속공(200)에 삽입한 후, 가장 상단의 결속공(200)을 통해 나온 신발끈(300)을 서로 묶어 주도록 되어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신발끈(300)을 신발(100)에 결속하기는 하나 본 고안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언급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신발에 신발끈을 결속하는 경우 가장 하단의 결속공에서 부터 최상단의 결속공까지 일일이 끼워 관통시켜야 하는 번거러움과, 신발끈을 좌·우 엇갈려 끼움에 있어 중간에 잘못 끼웠을 경우 잘못 끼워진 부분까지 다 풀고 다시 끼워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다양하고 특별한 것을 요구하는 소비자는 현재까지 일반적이고 획일화된 신발끈의 결속방법으로는 만족할 수 없었으며, 이에 새로운 신발끈의 결속방법을 원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신발에 신발끈을 결속하기 위해 결속공에 신발끈을 일일이 끼워 관통시키지 않고 결속공의 배열순서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결착시킬 수 있으며, 최근 다양하고 특별한 것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할 수 있는 신발 끈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신발의 전면 좌·우 양측에 장착되어 신발끈을 결속하기 위한 결속장치에 있어서,
반원의 좌·우 몸체가 하단 흰지부에 의해 결합되어 링형을 이루고, 좌측 또는 우측 몸체의 하단에 구비된 고정부에 의해 신발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부가 구비되지 않은 우측 또는 좌측 몸체에는 경사각을 갖는 작동구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구의 하단과 신발 사이에는 탄성구가 설치되어 상·하 이동 후 복원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끈 결속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고안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의 결속장치가 장착된 신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결속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결속장치(1)는 다수개가 신발(2)의 전면 좌·우 양측에 일렬로 설치되어, 신발끈(3)을 결속장치(1)의 몸체(10)에 끼워 결속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결속장치(1)는 반원의 좌·우 몸체(10a,10b)가 하단에 흰지부(11)에 의해 결합되어 링형을 이루고, 좌측 몸체(10a)의 하단에는 고정부(12)가 구비되어 신발(2)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부(12)가 구비되지 않은 우측 몸체(10b)에는 경사각을 갖는 작동구(13)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구(13)의 하단과 신발(2) 사이에는 탄성구(14)가 설치되어 상·하 이동 후 복원력을 갖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반원의 좌·우 몸체(10a,10b)가 서로 결합되어 완전한 링형을 이뤄 신발끈(3)이 통과되도록 하며, 상기 좌·우 몸체(10a,10b)는 흰지부(11)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부(12)에 의해 고정되지 않은 우측 몸체(10b)가 벌어지거나 닫힘으로써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우측 몸체(10b)에는 경사각을 갖는 작동구(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구(13)를 하단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우측 몸체(10b)는 좌측 몸체(10a)에 대하여 벌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구(10)는 그 하단과 신발(2) 사이에 장착된 스프링과 같은 탄성구(22)에 의해 하단으로 이동 후 원상태로 돌아오려는 복원력을 갖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도면은 오른쪽 신발의 안쪽 부분을 나타낸 것으로, 이에 결속장치는 좌측 몸체의 하단에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가 구비되지 않은 우측 몸체에는 경사각을 갖는 작동구가 형성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오른쪽 신발의 바깥쪽 부분은 반대로 위치되어 우측 몸체의 하단에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가 구비되지 않은 좌측 몸체에는 경사각을 갖는 작동구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은 오른쪽 신발 뿐만 아니라 왼쪽 신발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부분이므로 해당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의 결속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결속장치(1)는 우측 몸체(10b)에 형성된 작동구(13)를 하단으로 누르게 되면, 그 하단에 위치된 탄성구(14)를 압착시킴과 동시에 흰지부(11)에 의해 좌측 몸체(10a)에 대하여 벌어지게 되며, 상기와 같이 벌어진 부분을 통하여 신발끈(3)을 용이하게 끼우거나 빼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몸체(10a,10b)에 신발끈(3)을 끼우거나 빼낸 다음 작동구(13)를 누르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작동구(13)에 의해 압착되어 있던 탄성구(22)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자동으로 돌아오게 되고, 이에 벌어져 있던 우측 몸체(10b)는 오므려져 완전한 링형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신발 끈 결속장치는 결속장치의 배열순서에 상관없이 신발끈을 용이하게 결착시킬 수 있어, 종래 신발에 형성된 결속공을 통하여 신발끈을 결속함으로써 가장 하단의 결속공에서 부터 최상단의 결속공까지 일일이 끼워 관통시켜야 하는 번거러움과, 신발끈을 좌·우 엇갈려 끼움에 있어 중간에 잘못 끼웠을 경우 잘못 끼워진 부분까지 다 풀고 다시 끼워야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결속공을 통하여 획일적으로 이루어지던 신발끈 결속방법에서 벗어나, 최근 다양하고 특별한 것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할 수 있도록 새로운 신발끈 결속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결속장치는 신발끈을 통하여 신발을 조일 수 있도록 설계된 운동화, 등산화, 구두, 부츠, 샌들 등과 같은 다양한 신발에 모두 적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신발 끈 결속장치는 결속장치의 배열순서에 상관없이 신발끈을 용이하게 결착시킬 수 있어, 종래 신발의 결속공에 차례대로 일일이 끼워 관통시켜야 하는 번거러움과, 신발끈을 좌·우 엇갈려 끼움에 있어 중간에 잘못 끼웠을 경우 잘못 끼워진 부분까지 다 풀고 다시 끼워야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고안은 결속공을 통하여 획일적으로 이루어지던 신발끈 결속방법에서 벗어나, 최근 다양하고 특별한 것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할 수 있도록 새로운 신발끈 결속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신발끈이 장착된 신발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속장치가 장착된 신발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속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결속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 : 결속장치
10a : 좌측 몸체 10b : 우측 몸체
11 : 흰지부 12 : 고정부
13 : 작동구 14 : 탄성구
2 : 신발
3 : 신발끈

Claims (1)

  1. 신발의 전면 좌·우 양측에 장착되어 신발끈을 결속하기 위한 결속장치에 있어서,
    반원의 좌·우 몸체가 하단 흰지부에 의해 결합되어 링형을 이루고, 좌측 또는 우측 몸체의 하단에 구비된 고정부에 의해 신발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부가 구비되지 않은 우측 또는 좌측 몸체에는 경사각을 갖는 작동구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구의 하단과 신발 사이에는 탄성구가 설치되어 상·하 이동후 복원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끈 결속장치.
KR20-2005-0016039U 2005-06-03 2005-06-03 신발 끈 결속장치 KR2003935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039U KR200393528Y1 (ko) 2005-06-03 2005-06-03 신발 끈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039U KR200393528Y1 (ko) 2005-06-03 2005-06-03 신발 끈 결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528Y1 true KR200393528Y1 (ko) 2005-08-22

Family

ID=43694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039U KR200393528Y1 (ko) 2005-06-03 2005-06-03 신발 끈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52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8373A (en) Laced shoe and method for tieing shoelaces
AU764289B2 (en) Shoe with a pivotal counter portion
US6640464B2 (en) Sandal with interchangeable upper and sole
CN101340831A (zh) 可拆开的鞋
US20060168784A1 (en) Device for tying shoelace
US20190261726A1 (en) Sandal with Magnetically Connected Upper Straps
WO2008120903A1 (en) Accessories for string of footwear
KR200393528Y1 (ko) 신발 끈 결속장치
US4477985A (en) Sanitary sandals
USD586088S1 (en) Footwear covering
KR200393525Y1 (ko) 신발 끈 결속장치
KR200390374Y1 (ko) 갑피가 착탈되는 신발
KR20140140733A (ko) 운동화의 끈 자동 풀림 과 조임 방법 및 그 장치
KR200422135Y1 (ko) 신발끈 결속장치
KR101659936B1 (ko) 사용이 편리한 신발끈 결속장치
KR101038052B1 (ko) 신발 바닥의 구조
DE29807082U1 (de) Sohle für Sportschuh, insbesondere Rasensportschuh
KR200251089Y1 (ko) 신발끈 고정구
KR200400412Y1 (ko) 조립식신발
KR20200120363A (ko) 신발끈 고정구
KR20140108091A (ko) 신발끈 조임해제클립이 구비된 신발
CN206303302U (zh) 一种鞋扣
KR200156876Y1 (ko) 신발
KR200378911Y1 (ko) 신발끈 고정구
KR930008582Y1 (ko) 신발끈 체결용 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