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300Y1 -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300Y1
KR200393300Y1 KR20-2005-0014064U KR20050014064U KR200393300Y1 KR 200393300 Y1 KR200393300 Y1 KR 200393300Y1 KR 20050014064 U KR20050014064 U KR 20050014064U KR 200393300 Y1 KR200393300 Y1 KR 200393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grain
grains
bu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40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식
Original Assignee
한세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세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한세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20-2005-00140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3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3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16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 B65G53/18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through a porous wall
    • B65G53/20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through a porous wall of an air slide, e.g. a troug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65G17/126Bucket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58Weight of the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물의 선별공정 중 곡물을 다른 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하부에 위치한 곡물을 상부로 이송시키는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벨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회전하는 상·하부 벨트풀리와, 상기 벨트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구비되어 상기 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버킷을 통해 본체 하부에 위치한 곡물을 상부로 이송시키는 일반적인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에 있어서,
별도의 공기 분사수단을 구비시키고, 상기 공기 분사수단을 통해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이송과정에서 본체의 바닥으로 떨어져 쌓인 곡물들을 공중으로 솟아오르도록 하고, 솟아오른 곡물들이 이동하는 버킷내부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일일이 수작업으로 본체바닥에 쌓인 잔곡을 수거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cereal conveyance device of elevator type}
일반적으로 수확한 곡물은 시중에 최종출하 하기 전에 이물질과 곡물을 별도로 선별하는 여러 선별공정들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선별공정들은 대부분 곡물을 선별기에 넣어 위에서 아래로 낙하시키고, 곡물이 낙하하는 과정에서 여러 방법을 통해 이물질과 곡물이 선별된다.
이렇게 선별작업을 거친 곡물은 선별기의 하부에 모이게 되고, 이러한 곡물은 다른 선별기의 상부로 다시 이송되어 또다시 낙하하면서 다음 선별작업을 거치게 된다.
이처럼 선별기의 하부에 모인 곡물을 다른 선별기의 상부로 이송시킬 때에는 별도의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를 이용한다.
이러한 종래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일측에 곡물투입구(1)가 구비되고, 상부 일측에는 곡물배출구(2)가 구비된 본체(3)와,
상기 본체(3) 내부의 상측에 구비된 상부 벨트풀리(4) 및 상기 상부 벨트풀리(4)와 벨트(5)를 통해 연결되되 본체(3) 내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벨트풀리(8)와,
상기 벨트(5)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구비되어 벨트(5)를 따라 이동하는 버킷(6)과,
상기 상부 벨트풀리(4) 또는 하부 벨트풀리(8)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7)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를 통해 곡물을 이송시키는 과정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먼저 구동수단(7)을 작동시켜 상부 벨트풀리(4)를 회전시키면 벨트(5)를 통해 하부 벨트풀리(8)도 함께 회전한다. 이로 인해 벨트(5)에 설치된 버킷(6)이 벨트(5)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곡물투입구(1)를 통해 본체(3) 내부로 투입된 곡물은 이동하는 버킷(6)에 담겨 상부 벨트풀리(4)까지 이송되고, 버킷(6)이 상부 벨트풀리(4)를 지나면서 젖혀지면 곡물은 곡물배출구(2)로 유입되어 최종 배출된다.
상기 버킷(6)은 벨트(5)를 따라 일정궤도로 이동하고, 벨트(5)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이송과정과 배출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에서 곡물투입구(1)를 통해 버킷(6)에 담기는 곡물 중 일부는 버킷(6)외부로 튀어 본체(3) 바닥에 떨어져 쌓이게 된다.
또한 버킷(6)이 상부 벨트풀리(4)를 지나면서 젖혀짐에 따라 버킷(6)에 담겨있는 곡물이 곡물배출구(2)로 투입되는 과정에서도 곡물 중 일부가 본체(3)의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본체(3) 바닥에 쌓인 잔곡은 일정량 이상이 되면 본체로부터 수거하여 버킷이 회전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체 바닥에 개폐가능한 수거구를 구비시켜, 상기 수거구(9)를 통해 잔곡을 본체로부터 꺼낸 후 다시 곡물투입구(1)로 투입된다.
그러나 이처럼 본체바닥에 쌓인 잔곡을 수거하는 작업 중에는 보통의 경우에는 안전상의 문제에 의해 이송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그런데 보통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곡물의 양이 많고 작업시간도 길어 수시로 본체에 쌓인 잔곡을 수거해야 함으로서, 그때마다 이송장치의 작동을 수시로 중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잔곡 수거를 위해 수시로 이송장치의 작동을 중지해야 하므로 그만큼 작업시간도 지연되고 수거작업과 수거된 곡물을 곡물투입구로 투입시키기 위한 인력이나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인력 및 비용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설사 이송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키지 않고 수작업을 한다하더라도, 장치의 구조상 작업자가 수거구(9)를 일일이 열고 작업하기가 매우불편한 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첫째, 종래와 같은 잔곡 수거작업을 거치지 않고도 버킷에 잔곡들을 바로 다시 담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이송장치의 작동을 멈추지 않은 상태에서도 잔곡의 수거 및 재투입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전체적인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셋째, 자동으로 수거 및 버킷으로의 재투입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으므로 종래 잔곡 수거작업에 필요한 인력이나 장비를 줄일 수 있으며, 더불어 비용절감 효과도 얻을 수 있는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고안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고 본체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어 벨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상·하부 벨트풀리 및 상기 벨트에 구비되는 버킷을 포함한 이송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상기 기본구성에서 본체의 일측에 별도의 공기분사장치가 더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중 공기분사수단에 의한 공기 및 잔곡의 이동방향을 나타낸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100)(이하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이송장치'라 한다)는 기본적으로 본체(10)와 구동장치(30), 상기 구동장치(30)에 의해 작동하는 이송수단(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는 설치공간(12)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외부에서 본체 내부로 곡물을 투입시키기 위한 곡물투입구(1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0) 중 상기 곡물투입구(14)의 반대쪽 상측에는 상부로 이송된 곡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곡물배출구(1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바닥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곡면을 이루고 있으며, 그 중간에는 수거구(18)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10)의 내부에는 이송수단(20)과 구동수단(30) 및 곡물의 이송에 필요한 구성모두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수단(20)은 본체(10) 내부에 투입된 곡물을 상부로 이송시켜 곡물배출구(16)로 보내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이송수단(20)은 본체(10) 내부 중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 벨트풀리(22)와,
본체(10) 내부 중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벨트풀리(24)와,
상기 상부 벨트풀리(22) 및 하부 벨트풀리(24)에 감겨 상·하부 벨트풀리(22,24)를 함께 회전시키기 위한 벨트(26)와,
상기 벨트(26)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배치되는 버킷(28)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부 벨트풀리(22)의 설치위치는 곡물배출구(16)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여 버킷(28)이 젖혀지면서 버킷(28)내부에 위치한 곡물들이 원활하게 곡물배출구(16)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부 벨트풀리(24)는 곡물투입구(14)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하여 곡물투입구(14)를 통해 본체(10)내부로 투입된 곡물이 버킷(28)으로 원활하게 담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 벨트풀리(22) 또는 하부 벨트풀리(24)에는 구동수단(30)이 연결되어 상부 벨트풀리(22) 또는 하부 벨트풀리(24)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송장치(100) 중 본체(10)의 일측에는 별도의 공기분사수단(40)이 구비되어 상기 공기분사수단(40)을 통해 본체(10) 내부바닥에 쌓인 잔곡들이 이동 중인 버킷(28)에 담기도록 유도하는데,
상기 공기분사수단(40)은 압축공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공기압축장치(42)와 압축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44)로 구성된다.
상기 공기압축장치(42)는 기체가 일정 압력을 유지한 상태로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반적인 에어콤프레서(Air Compressor)와 같은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공기압축장치(42)의 일측으로 연결배관(43)이 연결되고, 이 연결배관(43)의 타단부에는 분사노즐(44)이 연결된다.
상기 분사노즐(44)은 상기 연결배관(43)을 통해 공기압축장치(42)에 연결된 상태에서, 본체(10) 일측에 형성된 설치구(19)를 통해 분사노즐(44)의 분사공이 본체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분사노즐(44)은 분사공이 본체(10)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위치되어 분사노즐(44)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본체(10) 바닥면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되, 공기가 분사되는 방향은 버킷(28)이 이동하는 방향과 같도록 위치된다.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상기 공기분사수단(40)과 연결된 제어부(50)를 구비시켜, 작업자가 상기 제어부(50)를 조작하여 공기분사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에 별도의 자동제어장치(60)를 구비시켜 공기분사수단(4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자동제어장치(60)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는데, 제어부(50)와 연결된 타이머(62) 형태로 제작하여 미리 지정한 시간이 되면 타이머에서 제어부(50)로 신호를 보내 제어부(50)가 작동되도록 하여 공기분사수단(40)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센서(64)형태로 자동제어장치(60)를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감지센서(64)를 이용한 방식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감지센서(64)를 본체(10) 내부 일측에 설치시키고 잔곡이 본체(10)바닥에 지정높이 이상으로 쌓이게 되면 감지센서(64)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50)로 신호를 보내 공기분사수단(40)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상기 감지센서(64)의 형태는 앞에 설명한 위치감지센서 형태 외에도 본체(10) 바닥에 설치되어, 쌓인 잔곡의 무게를 감지하여 일정 무게 이상이 되면 제어부(50)로 신호를 보내는 무게감지센서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제어장치(60)는 타이머(62)나 감지센서(64) 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두 형태를 동시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자동제어장치(60)는 앞에 설명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자동으로 공기분사수단(40)을 제어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얼마든지 변형 적용이 가능하다.
다음은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수단(30)을 통해 상부 벨트풀리(22)나 하부 벨트풀리(24) 중 하나를 회전시키면 벨트(26)에 의해 다른 롤러도 함께 회전한다.
이로 인해 벨트(26)에 설치된 버킷(28)들은 벨트(26)의 이동궤적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하부 벨트풀리(24)를 거쳐 상부로 이동하고 상부 벨트풀리(22)를 거치면서 젖혀진 상태로 하부도 다시 이동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곡물투입구(14)를 통해 곡물을 본체(10) 내부로 투입하면 곡물은 이동 중인 버킷(28)에 담겨 상부로 이송된다. 그 후 버킷(28)이 상부 벨트풀리(22)를 지나면서 젖혀지게 되고 이로 인해 버킷(28)에 담겨있는 곡물은 곡물배출구(16) 쪽으로 배출되게 된다.
곡물이 곡물투입구로 지속적으로 투입되고 벨트(26)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배치된 상태에서 이동하는 버킷(28)에 의해 이러한 과정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상기 곡물투입구(14)를 통해 투입된 곡물이 버킷(28)에 담기는 과정에서 곡물의 일부는 본체(10)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버킷(28)에 의해 상부로 이송된 곡물이 버킷(28)으로부터 곡물배출구(16)로 배출되는 과정에서도 곡물 중 일부가 곡물배출구(16)로 투입되지 못하고 아래로 떨어지는데,
장시간 곡물의 이송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이처럼 본체(10)바닥으로 떨어진 곡물들은 계속 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지나면 타이머 형태의 자동제어장치(60)가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고 신호를 받은 제어부(50)는 공기압축장치(42)를 작동시킨다.
공기압축장치(42)에 의해 압축된 공기는 연결배관(43)을 통해 분사노즐(44)로 이동하여 분사노즐(44)의 분사공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이때 상기 본체(10) 바닥은 곡면을 이루고 있고, 분사노즐(44)은 본체 바닥을 향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공기의 분사방향이 버킷(28)의 이동방향과 같도록 되어 있으므로, 강한 압력으로 분사된 공기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10) 바닥면을 따라 버킷이동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공기가 이동함에 따라 본체(10) 바닥에 쌓여 있는 잔곡들도 이동하는 공기의 힘에 의해 본체(10)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곡면부의 끝부분에서는 공중으로 솟구친다.
이때 버킷(28)들은 벨트(26)에 다수 배치된 체로 벨트(26)를 따라 이동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공중으로 솟구친 잔곡들이 이동중인 버킷(28)내부로 자연스럽게 떨어지거나 솟구친 잔곡들을 버킷이 낙아채는 형태로 잔곡이 버킷에 들어가게 된다.
이 중 일부는 다시 본체(10) 바닥으로 떨어지지만 분사노즐(44)에서 지속적으로 공기가 분사되기 때문에 잔곡들이 공중으로 솟구친 후 버킷(28)내부로 떨어지는 현상은 반복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일정시간동안 반복됨에 따라, 결국 본체 바닥에 쌓여 있던 잔곡들은 거의 대부분 버킷에 의해 상부로 이송되어 배출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잔곡에 섞여 있는 돌은 잔곡보다 무거워 공중으로 솟구치지 않으므로 결국 잔곡만 버킷(28)으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비록 본체(10)바닥으로 떨어지지 않고 정상적으로 이송되는 곡물의 양에 비해선 작은 양이지만 본체(10)에 쌓인 잔곡들을 돌과 자연스럽게 선별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동제어장치(60)에 의해 공기분사수단(40)은 작동을 멈추고 다시 일정시간이 흐르면 자동제어장치(60)에 의해 공기분사수단(40)이 작동하여 앞에 설명한 잔곡처리 작업이 다시 이루어지게 된다.
[도 4]은 본체의 바닥이 평면일 경우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10)의 바닥이 곡면이 아닌 평면일 경우에는 다수의 분사노즐(44)을 본체(10) 바닥전체에 매설시켜, 각 분사노즐(44)에서 동시에 공기가 분사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본체(10)바닥 전체에 걸쳐 쌓여 있는 잔곡들이 동시에 위로 솟구쳐 이동중인 버킷(28)내부로 들어가 앞에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공기분사수단(40)을 이용하여 잔곡을 처리함으로서, 이 과정에서 이송장치(10)를 전혀 멈출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곡물의 이송작업이 끝난후에 미처 수거되지 않은 잔곡들은 일정시간동안 다시 공기를 공급하여 앞에 설명한 방법을 통해 최종 수거를 함으로서, 잔곡의 완벽한 수거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앞에 설명한 것처럼 분사된 공기에 의해 잔곡들이 자연스럽게 버킷(28)내부로 들어가도록 하는 방법으로 잔곡들을 처리함으로서, 종래 일일이 수작업으로 잔곡을 수거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으며, 이러한 수거작업 때마다 이송장치(100)를 중지시킴으로 작업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첫째, 공기분사수단을 통해 분사된 공기에 의해 본체바닥에 쌓인 잔곡이 자연스럽게 버킷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수거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작업공정을 줄일 수 있는 장점 있다.
둘째, 공기흐름을 통해 본체바닥에 쌓인 잔곡을 처리함으로서, 이송장치의 작동과 동시에 잔곡 처리작업을 실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이송장치의 작동과 동시에 잔곡 처리작업을 실시 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작업효율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넷째, 잔곡처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 잔곡처리에 필요한 인력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를 나타낸 전체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전체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 중 본체 내부로 공급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설치공간
14 :곡물투입구 16 : 곡물배출구
18 : 개폐구 20 : 이송수단
22 : 상부 벨트풀리 24 : 하부 벨트풀리
26 : 벨트 28 : 버킷
29 : 하부 벨트풀리축 30 : 구동수단
40 : 공기 분사수단 42 : 공기압축장치
44 : 분사노즐 50 : 제어부
60 : 자동제어장치 62 : 타이머
64 : 감지센서

Claims (4)

  1.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고 본체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어 벨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상·하부 벨트풀리 및 상기 벨트에 설치되는 버킷을 포함한 이송수단으로 이루어진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바닥으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공기분사장치가 더 부가되되, 상기공기분사장치는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압축장치와,
    상기 공기압축장치와 연결되어 본체 내부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타이머로 이루어진 별도의 자동제어장치를 더 부가하여 상기 공기분사장치와 연결시킴으로서, 공기분사장치를 자동제어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잔곡의 쌓인 높이나 무게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진 자동제어장치를 더 부가하여 상기 공기분사장치와 연결시킴으로서, 공기분사장치를 자동제어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바닥이 곡면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공기의 분사방향이 버킷의 이동방향을 향하도록 하되 공기가 본체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KR20-2005-0014064U 2005-05-18 2005-05-18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KR200393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064U KR200393300Y1 (ko) 2005-05-18 2005-05-18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064U KR200393300Y1 (ko) 2005-05-18 2005-05-18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300Y1 true KR200393300Y1 (ko) 2005-08-22

Family

ID=43694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064U KR200393300Y1 (ko) 2005-05-18 2005-05-18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3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731A (ko) * 2016-12-30 2018-07-10 (주)세영 채염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731A (ko) * 2016-12-30 2018-07-10 (주)세영 채염기
KR101907679B1 (ko) * 2016-12-30 2018-10-12 (주)세영 채염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73412B (zh) 一种带式输送转载装置
KR101504944B1 (ko) 공기를 이용한 곡물 이송장치
JPWO2013179758A1 (ja) 色彩選別機
KR200393300Y1 (ko)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KR102339655B1 (ko)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
US6789661B2 (en) Inline feeder
CN111397350A (zh) 适应于分子筛生产的旋风带式干燥机
KR20150013844A (ko) 색채 선별기
JP6733642B2 (ja) 籾摺選別機
KR102363599B1 (ko) 자주식 계사청소기
KR20200005893A (ko)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KR100896603B1 (ko) 집진기 수분혼합 장치
CN210060823U (zh) 一种自动上料履带式抛丸清理机
US4601385A (en) Self-cleaning tail piece
KR200393299Y1 (ko)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EP1072800A2 (en) Suction device and separator using same
KR101072012B1 (ko) 너트 정렬 장치
CN108482945B (zh) 下层带料的带式输送机
KR100919846B1 (ko) 고층 건축물의 쓰레기 회수 설비의 쓰레기 수집기
KR200419276Y1 (ko) 고추 선별기
US4941295A (en) Abrasive elevating apparatus for blast machines and method of using
JP2008055280A (ja) 揺動選別式籾摺装置の残粒除去
KR20000042191A (ko) 분말형 원료의 연속하역장치
CN219817068U (zh) 一种复合式蝶式筛选机
KR100450519B1 (ko) 마늘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