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114Y1 - 각목고정수평틀걸이 - Google Patents

각목고정수평틀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114Y1
KR200392114Y1 KR20-2005-0010772U KR20050010772U KR200392114Y1 KR 200392114 Y1 KR200392114 Y1 KR 200392114Y1 KR 20050010772 U KR20050010772 U KR 20050010772U KR 200392114 Y1 KR200392114 Y1 KR 2003921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ber
horizontal frame
fixed
frame hanger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7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진
홍민우
Original Assignee
홍성진
홍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진, 홍민우 filed Critical 홍성진
Priority to KR20-2005-00107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1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1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1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종래에는 각목고정구(1)로 각재(4a)를 고정하고 적은각재를 '보'나 '옹벽'과 엊갈리게 적당한간격으로 못을 박아 (4c,)를 설치하고 수평틀을 설치하였으나 본 고안은 각목고정구(1)과 수평틀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각재고정수평틀걸이에 관한 것으로 유로폼 최상단 폼과 폼사이에 판구멍에 결합되도록 결합창공를 창설한 결합편이 형성되고 중단상측에 지지홈이 형성되며 상단 전방에 요동하도록 결합된 밀착편을 중항에 조임용 타격부를 형성한 작동편으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작동편이 결합된 몸체는 후단상부에.좌.우 거프집 양측에 인접하게 하여 각목고정구로 각재(4a)를 조여주고 그뒤쪽에 수평으로 하고 각목(4b)하고 크기가 달라 중간에 꺽임부(33)를두어 각목(4a)와.같이 수평으로 맞추기 위함이고 받침부에 외각프레임(111) 사이에 섭설하여 결합되도록하고 후단에 받침목을 받쳐주는 받침부를 설치하고 못을 박을 수 있는 구멍을 설치한 구조다

Description

각목고정수평틀걸이{omitted}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공보 제 014248호는 거푸집 받침구는 작동편이 결합된 후단에 받침편을 형성하고 하단에 외각 후레임을 내려 대각선 받침부를 설치하고 수평으로 하였으나 각목(41)과 거푸집지지구각목(42)의 차이가 계단식으로 상의 함에 따라 별도에 받침각목(40) 한개가 하부에 추가로 설치되야 함으로 시공상 인력과 자재가 낭비되어 경제적인 효가가 상의 함을 알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 10-2003-0072561호 및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 20-2004-0007477호는 본인이 개발한 것으로써 각목고정구와 수평틀걸이가 각각 분리되어 이원화 작업을 해야됐으나 본 개발품은 이 이원화된 작업을 단일작업으로 일치시킨 고안으로.작업 효율성과 건축비 절감효과을 극대화 시킨 각목고정수평틀걸이(10) 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각목고정구(1)에 받침부를 설치하여 각목고정구를 설치하고 수평틀을 걸기위해 각재를 이중작업을 해야하고 본고안품은 각목고정과 수평틀이 동시에 작업이 이루어지며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자원을 절약하고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각목고정수평틀걸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품은 다른목적 건물 내외부 옹벽뿐만 아니라 보에도 적용하며 반복 사용할 수 있고 각목고정과 수평틀걸이을 동시에 시공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자원절약과 인건비가 절약되것이다. 이모든 것이 각목고정수평틀걸이(10)의 특성에 의해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한측 고정구에 고정된각목(4a)와 수평틀걸이 위에 있는 각목(4b)를 동시에 받쳐주고 반대편한측 고정구에 고정된각목(4a)의 수평틀걸이 위에있는 각목(4b)에 밑에 받침대(51)과 받침목(61)을 설치하고 각목(4b)의 수평으로 각파이프(41)를 다수 설치하고 합판이음부(42)에 맞추어 합판(110)을 깔면 슬라브가 형성되어 철근을 깔고 마감작업을하고 난후 콘크리트타설해서 작업을 완료한다.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해체하여 반복사용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을 할수있다.
본 고안의 첨부된 도면 1도를 보면 종래에 방법으로 각목고정구(1)로각목(4a,)를 조여주고 적은각재(5)를 일정간격으로 못을박아 설치하고 밑을 받쳐준후 못을박아 메달리게 하는종래 방법의 사시도를 그려놓은 모습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도면 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목고정수평틀걸이(10)는 각재받침부(35)가 연장되어 있고 안쪽에걸림부(31) 밀착편통공부(32) 꺽임부(33)와 각재받침부(35)로.못구멍(36)과.하단몸체(15)전면에.고정구통공(11)과.좌우걸림부(12.13)와 뒤쪽에 슬라이드편(14)을 설치하고 슬라이편에 고정부(23)을 끼우고 타격부(22)와 밀착편(21)이 형성되고 밀착편 및 타격부 고정부가 단일로형성되고 슬라이드편에 고정부를끼워 빠지지안게 끝을 접는다(도면:작동하여 요동치는모습)
본 고안에 첨부된도면 3도에 도시된바는 우측은 각목 고정 수평틀걸이(10가 설치된 사시도이며 좌측은 각목고정구가 설치된 사시도 좌측각목(4a)만 고정하고 1도 도면처럼 옹벽과 엇갈리게 일정간격으로 각재(5)를 설치해야 하는 이중작업을 해야하나, 우측 각목고정수평틀걸이(10)을 설치하면 각목고정구로 각목(4a)을 고정하고 받침대가 연장된 수평틀걸이가 각목(4b)을 받쳐줌으로써 반대편에도 우측과같은 방법으로시공하여 동시에 작업할 수 있는 모습[각목고정수평틀걸이(10)]을 나타낸 것이다. 이는 작업의 시간와 자재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첨부된 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목고정수평틀걸이(10)에 양측 옹벽에 설치하여 고정된각목(4a)와 수평틀걸이 위에 있는 각목(4b)를 동시에 받쳐주고 반대편한측 고정구에 고정된각목(4a)의 수평틀위걸이위에있는 각목(4b)에 밑에 받침대(51)과 받침목(61)을 설치하고 각목(4b)의 수평으로 각파이프(41)를 다수 설치하고 합판이음부(42)에 맞추어슬라브를 깔고 철근작업을 마치고 큰크리트를 타설해놓은 사시도이며 유로폼(111)상단에 각목고정구로써 각목(4a)를 고정시키고 수평틀걸이에 각목(4b)를 양측옹벽에 설치하고 받침목(51)을 설치하여 버티목(61)을 다수받친후 파이프(41)를 다수깔고 그위에 합판(110)이음에 각목(42)를 설치하여 슬라부 상판을 마무리함으로써 자재와 인건비절감에 획기적인 고안품인 것이다.
본 고안은 영구적으로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고 빌딩, 아파트, 보. 옹벽 공사 현장에 용이하게 시공하고 철거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으며, 반복 사용함으로써 자원을 절약하고 건축비를 절감할 수 있는 각목고정 수평틀걸이를 제공하는 고안의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건물 내,외부의 옹벽 뿐 아니라 보에도 적용하여 지지력이 증대되는 각목고정수평틀걸이를 제공하는 고안의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고안외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제 1도 보 및 옹벽을 시공하고 각목고정구와 수평틀걸이를 걸기위한 사시도
제 2도 본 고안에 따른 각목고정용 타격부와 수평틀받침대의 계략적 사시도
제 3도 본 고안의 옹벽 각목고정수평틀걸이가 설치된 단면 사시도
(좌측 각목고정구 사시도)
제 4도 각목고정 수평틀걸이를 설치하고 거프집을.마감하고.콩크리트 타설 후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고정부통공 11; 고정부통공
12; 좌 걸림부 13;우 걸림부
14; 슬라이드편 15; 몸체
21; 밀착편 22; 타격부
23; 고정부 31;걸림부
32; 밀착편 통공부 33;꺽임부
35; 각재 받침부 36; 못구멍

Claims (1)

  1. 각목고정구와 수평틀받침대가 연장되어있으며 각목고정수평틀걸이(10)에는 좌우걸림부(12,13)과 고정구통공(11)이 유로폼(111)에 고정되며 슬라이드편(14)이 고정부와 밀착편 조임용타격부(21, 22, 23)가 일체로 되어있고, 받침부 앞쪽에 걸림부(21) 유로폼(111)에 끼워져 고정되며 고정부통공(11)이 있어 밀착편(21)이 들어갈 수 있는 밀착편통공부(32)가 있고 뒤쪽에는 받침부로 각목(4a)과 각목(4d)의 두께에 차이에 따라 꺽임부(33)를두어 수평을 유지하고, 각목(4a, 4d)의 두깨에 따라 변형될 수 있고 뒤쪽에 받침부(35)가 설치되어 못구멍(36)을 두어 각목 받침대를 동시에 설치할수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목고정 수평틀걸이(10)
KR20-2005-0010772U 2005-04-19 2005-04-19 각목고정수평틀걸이 KR2003921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772U KR200392114Y1 (ko) 2005-04-19 2005-04-19 각목고정수평틀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772U KR200392114Y1 (ko) 2005-04-19 2005-04-19 각목고정수평틀걸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639A Division KR20060110747A (ko) 2006-03-08 2006-03-08 각목고정 수평틀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114Y1 true KR200392114Y1 (ko) 2005-08-11

Family

ID=43693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772U KR200392114Y1 (ko) 2005-04-19 2005-04-19 각목고정수평틀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1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01784A1 (en) Skirting wall system
US20080104913A1 (en) Lightweight Concrete Wall Panel With Metallic Studs
WO199804057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mensionally uniform building construction using interlocking connectors
KR101422789B1 (ko) 조립식 한옥골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92114Y1 (ko) 각목고정수평틀걸이
CN204001289U (zh) 具有承载悬挑臂的轻钢龙骨隔墙
KR20060110747A (ko) 각목고정 수평틀걸이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KR100681317B1 (ko) 건축용 목조 구조체 및 그 시공공법
KR100637861B1 (ko) 발코니 슬래브 거푸집 수평 받침대와 이를 이용한 발코니슬래브 거푸집 구조
KR100685440B1 (ko) 거푸집용 지지구
KR200380884Y1 (ko) 데크판넬 연결용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
KR200391928Y1 (ko) 거푸집용 수평틀 걸이
KR20100031310A (ko) 건물의 벽체구조물
KR100336382B1 (ko) 옹벽 거푸집 브라켓 및 그것을 이용한 콘크리트 시공방법
RU2293824C1 (ru) Каркасная облегченная пакетная стена из различных материалов
KR102388349B1 (ko) 실내 벽면 마감용 황토벽돌 구조물
KR200189909Y1 (ko) 철근,철골콘크리트거푸집용 판넬
KR200352501Y1 (ko) 거푸집용 수평틀 걸이
JPH0754427A (ja) 壁体の構築工法及びその装置
GB2470721A (en) A stud for use in timber frame walls
JPH11193572A (ja) 木造建築用の接合金具
KR200383688Y1 (ko) 발코니 슬래브 거푸집 수평 받침대
JPH0412207Y2 (ko)
KR200375082Y1 (ko) 데크판넬 연결을 위한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