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826Y1 - 평면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평면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826Y1
KR200391826Y1 KR20-2005-0012757U KR20050012757U KR200391826Y1 KR 200391826 Y1 KR200391826 Y1 KR 200391826Y1 KR 20050012757 U KR20050012757 U KR 20050012757U KR 200391826 Y1 KR200391826 Y1 KR 2003918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printed
preliminary
printed circuit
main body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7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안-싱 우
슈-웨이 호
Original Assignee
윈테크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윈테크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윈테크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20-2005-00127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8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8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8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68Green display, e.g. recycling, reduction of harmful substan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평면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평면 디스플레이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제2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과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연성 인쇄회로기판에는 예비회로를 설계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측정하여 불량품이 발견되는 경우 그 불량품 부분을 제거하고 새로운 디스플레이 유닛을 다시 예비회로에 연결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해 제조공정이 순조롭게 진행되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평면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본 고안은 평면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비회로를 포함하는 연성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통상의 듀얼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진 평면 디스플레이의 모듈 조합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연성 인쇄회로기판(1), 제1 디스플레이(2) 및 제2 디스플레이(3)를 개시하고 있다. 연성 인쇄회로기판(1)은 휨성을 가진 본체(1a) 및 본체(1a) 표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전기전도 접점(1b)을 포함하며, 연성 인쇄회로기판(1)의 일측은 제1 디스플레이(2)와 결합하고, 전기전도 접점(1b)은 기타 전자소자(도시되지 않음)에서 발생된 신호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3)에 입력시킨다.
상기 각 부품을 결합한 다음 여러 항목의 전기적 테스트를 거쳐 제1 디스플레이(2) 및 제2 디스플레이(3)의 정상 작동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테스트를 거쳐 하자가 없을 경우, 즉 제1 디스플레이(2)와 제2 디스플레이(3)가 모두 합격품일 경우 후속되는 완성품 포장작업에 들어가게 되며, 테스트를 거쳐 그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가 불량품일 경우 통상의 처리방식은 아래와 같이 세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불량 디스플레이를 연성 인쇄회로기판(1)으로부터 절단한 다음 다시 새로운 디스플레이를 접착시킨다. 그러나 상기 절단공정이 너무 번거롭고 곤란하며 절단과정에서 조심하지 않으면 인쇄회로기판의 회로를 파괴하기 쉬우므로 제조공정의 어려움이 증가한다;
둘째, 연성 인쇄회로기판(1)에 커넥터(connector)를 미리 설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조립시 융통성을 가지도록 한다. 다만, 커넥터를 증설하는 방식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절단과정에 따르는 불편을 해소할 수는 있지만, 커넥터의 원가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대량으로 연성 인쇄회로기판(1)에 사용될 경우 원가가 크게 증가한다;
셋째, 바로 폐기 처분한다. 테스트과정에서 불량품이 발견될 확률은 높지 않지만, 그 중의 한 디스플레이가 불량품으로 발견되었다 하여 다른 하나의 합격품 디스플레이마저 함께 폐기 처분하는 것은 지나친 낭비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의 설계인은 깊은 연구와 수년에 걸친 관련 분야의 제품 개발에 종사하면서 쌓은 경험을 통하여 본 고안을 개시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예비회로를 구비한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전자소자의 전기적 연결 부품으로 사용하여, 테스트과정에 불량품을 발견할 경우 불량품 부분만 제거하고 다시 새로운 전자소자를 예비회로에 연결함으로써 제조공정을 순조롭게 진행하고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평면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과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은, 편상(片狀) 본체; 상기 본체와 연결된 연장 패널; 상기 본체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복수 개의 전기전도선을 포함하는 전송회로; 및 복수 개의 예비도선을 포함하는 병렬연결회로를 포함한다. 병렬연결회로에서 상기 예비도선은 각각 하나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입력단자는 상기 전기전도선과 연결되고 상기 출력단자는 상기 연장 패널에 설치되어 예비 디스플레이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이용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10)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연성 인쇄회로기판(10)은 본체(12), 연장 패널(14), 전송회로(16), 병렬연결회로(18)와 전기전도성을 가진 복수 개의 통공(2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2)는 휨성을 가진 박편(얇은 편)으로 형성되며, 투각부(121)를 구비한다.
상기 연장 패널(14)은 상기 본체(12)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며 휨성을 가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 패널(14)은 대개 U형으로 설치되는데, 연장 패널(14)의 설치 형상이 L형으로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전송회로(16)는 상기 연장 패널(14)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전기전도선(17)이 공동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전기전도선(17) 각각은 하나의 연결단자(171) 및 하나의 전도단자(172)를 포함한다.
상기 병렬연결회로(18)는 복수 개의 예비도선(19)이 공동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예비도선(19) 각각은 하나의 입력단자(191) 및 하나의 출력단자(19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예비도선(19)과 상기 전기전도선(17)은 서로 다른 층(layer)에 구분되어 위치하므로 상호간에 직접적인 교접 현상은 없으며 상기 각 입력단자(191)는 각각 하나의 통공(20)에 의하여 대응되는 전기전도선(17)의 전도단자(172)와 연결되며, 상기 출력단자(192)는 상기 본체(12)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예비도선(19)은 본체(12)에 설치된 복수 개의 전자소자(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 연결을 이룬다.
이상은 본 고안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10)에 대한 서술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10)을 사용한 디스플레이 모듈(30)을 개시한 도면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은 제1 디스플레이 유닛(32), 제2 디스플레이 유닛(34)과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1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32)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34)은 모두 액정디스플레이 모듈이며, 제1 디스플레이 유닛(32)은 본체(12)의 일측에 결합되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34)은 상기 전기전도선(17)의 연결단자(171)를 통하여 본체(12)상에 설치된 전자소자와 전기적 연결을 이룸으로써 전자소자에서 출력된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32)과 제2 디스플레이 유닛(34)은 연성 인쇄회로기판(10)과 결합된 다음 전기적 테스트를 받는다. 테스트 결과 제1 디스플레이 유닛(32)과 제2 디스플레이 유닛(34)이 모두 소정의 기능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면, 작업자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34)을 연장 패널(14)과 함께 접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꺾은 선(L)은 꺾는 부분을 표시하며, 이로써 도 4에 표시된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다음 제1 디스플레이 유닛(32), 제2 디스플레이 유닛(34) 및 연성 인쇄회로기판(10)을 함께 하나의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 설치하고 후속되는 조립처리를 거치면, 듀얼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제품을 얻을 수 있게 되는데, 폴더형 휴대폰이 하나의 실시예가 된다.
그러나 테스트를 거쳐 그 중 한 디스플레이 유닛이 불량품임을 발견할 경우, 현장 작업자는 단지 불량품 부분에 대해서만 절단 작업을 진행하면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2 디스플레이 유닛(34)이 불량품이라고 가정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L1)은 절단 경로를 표시하며, 부분적 연장 패널(14)은 불량품인 제2 디스플레이 유닛(34)과 함께 제거되고(도 5 참조),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32)은 남겨진다. 상기 예비도선(19)이 대응되는 전기전도선(17)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제2 디스플레이 유닛(34’)을 다시 상기 본체(12)의 상기 출력단자(192)에 결합시키기만 하면, 새로운 제2 디스플레이 유닛(34’)을 본체(12) 상에 설치된 전자소자(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다음 테스트를 거쳐 이상이 없으면 새로운 제2 디스플레이 유닛(34’)을 제1 디스플레이 유닛(32)과 함께 프레임에 설치하고 후속되는 완성품 조립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전술한 내용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성 인쇄회로기판(10)에 전송회로(16)와 균등 효과를 가지는 병렬연결 회로(18)를 설계하여 예비용으로 사용한다. 상기 병렬연결 회로(18)는 디스플레이 모듈(30)이 테스트를 거쳐 불량품으로 확인될 경우 새로운 디스플레이 유닛을 결합시키는데 사용된다. 다시 말해, 본 고안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이상이 발생하였다 하여 전체 디스플레이 모듈(30)을 함께 폐기할 필요가 없다. 이상의 내용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확실히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연성 인쇄회로기판 회로가 파괴되는 것과 같이 종래의 절단 작업에서 발생될 염려가 있는 단점이 존재하지 않아 제조공정이 보다 더 순조롭게 진행되도록 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10)의 연장 패널(14)이 절단된 다음 병렬연결 회로(18)의 예비도선(19)과 다른 하나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유닛이 다시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새로운 디스플레이 유닛(38)은 T형 연성 인쇄회로기판(36)에 의하여 상기 예비도선(19)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연성 인쇄회로기판(40)의 전기전도선(42)과 예비도선(44)은 회로 설계를 거쳐 각각의 전기전도선(42)과 각각의 예비도선(44)이 서로 이격되도록 분포하고, 각각의 전기전도선(42)과 각각의 예비도선(44)은 서로 교차되지 않으며, 각 전기전도선(42)은 대응되는 각 예비도선(44)에 대응 연결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해당할 뿐이며, 본 고안의 명세서를 이용하여 진행한 균등 변화는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포함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평면 디스플레이는, 예비회로를 구비한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전자소자의 전기적 연결 부품으로 사용하여, 테스트과정에 불량품을 발견할 경우 불량품 부분만 제거하고 다시 새로운 전자소자를 예비회로에 연결함으로써 제조공정을 순조롭게 진행하고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듀얼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종래의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2 디스플레이 유닛과 전송회로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 디스플레이 유닛과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연장 패널이 본체로부터 절단되어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 유닛과 새로운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과 유사하게, T형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 제2 디스플레이 유닛과 병렬연결회로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2)

  1. 연성 인쇄회로기판에 있어서,
    본체, 연장 패널, 전송회로, 및 병렬연결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편상을 이루고;
    상기 연장 패널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전송회로는 상기 연장 패널에 설치되며, 상기 전송회로의 일구간은 상기 본체까지 연장되며, 상기 전송회로에는 복수 개의 전기전도선이 설치되고, 상기 전기전도선의 양단에는 각각 하나의 연결단자와 하나의 전도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본체와 이격되어 있는 상기 연장 패널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병렬연결 회로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병렬연결 회로에는 복수 개의 예비도선이 설치되며, 상기 예비도선의 양단에는 각각 하나의 입력단자와 하나의 출력단자가 설치되며, 상기 입력단자는 각각 상기 전송회로의 상기 전도단자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인쇄회로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전기전도성 통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기전도선과 상기 예비도선은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며,
    상기 통공은 상기 예비도선의 입력단자와 상기 전기전도선의 전도단자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인쇄회로기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기전도선과 각 예비도선은 각각 서로 이격되어 분포되며 서로 교차되지 않으며,
    상기 각 전기전도선은 대응되는 각 예비도선과 대응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인쇄회로기판.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패널은 U자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인쇄회로기판.
  5.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패널은 L자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인쇄회로기판.
  6.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은, 전송회로 및 병렬연결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회로는 복수 개의 전기전도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전도선은 각각 하나의 연결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단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병렬연결 회로는 복수 개의 예비도선을 포함하고, 상기 예비도선의 양단에는 각각 하나의 입력단자와 하나의 출력단자가 설치되며, 상기 입력단자는 각각 상기 전송회로의 상기 전도단자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연결 회로의 상기 출력단자는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은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된 연장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회로는 상기 연장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전송회로의 일구간이 상기 본체까지 연장되며, 상기 병렬연결 회로의 상기 출력단자는 상기 본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패널은 U자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패널은 L자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
  11.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전기전도성 통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전도선과 상기 예비도선은 서로 다른 층에 구분되어 위치하며,
    상기 통공은 상기 예비도선의 입력단자와 상기 전기전도선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
  12.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기전도선과 각 예비도선은 각각 서로 이격되어 분포되며 서로 교차되지 않으며,
    상기 각 전기전도선은 대응되는 각 예비도선과 대응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
KR20-2005-0012757U 2005-05-06 2005-05-06 평면 디스플레이 KR2003918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757U KR200391826Y1 (ko) 2005-05-06 2005-05-06 평면 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757U KR200391826Y1 (ko) 2005-05-06 2005-05-06 평면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826Y1 true KR200391826Y1 (ko) 2005-08-09

Family

ID=43693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757U KR200391826Y1 (ko) 2005-05-06 2005-05-06 평면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8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7795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its inspecting method
US11099682B2 (en) Binding region connection structure, touch screen and display device
WO2003107085A1 (ja) 液晶表示装置
US8628349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KR200391826Y1 (ko) 평면 디스플레이
JP2005286471A (ja) 制御機能付コネクタ装置
JP2009038121A (ja) 車載装置
US9589489B2 (en) Probe frame for array substrate detecting apparatus and detec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373838B2 (en) Display apparatus
CN111148343B (zh) 一种柔性电路板、点灯测试系统以及测试方法
CN210641131U (zh) Fpc柔性线路板、显示模组及电子装置
CN113179579A (zh) 电路板和电子设备
JP2000021525A (ja) コネクタシステム
JP2004259750A (ja) 配線基板、接続配線基板及びその検査方法、電子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電子モジュール並びに電子機器
JP3853729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JP4599117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H10282516A (ja) 液晶表示装置
KR102309370B1 (ko) Pcb 검사지그의 커넥터 어셈블리
WO2023281740A1 (ja) プローブカード用配線基板
JP2007298728A (ja) 表示装置
JPH1139953A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1217048A (ja) コネクタおよび接続検査方法
CN115248368A (zh) 一种测试板、测试机构
JP2005285460A (ja) 制御機能付コネクタ装置
TW201411148A (zh) 電性連接組件及其檢測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