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761Y1 - 고층 건물의 실내 환기시스템용 배기장치 - Google Patents

고층 건물의 실내 환기시스템용 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761Y1
KR200391761Y1 KR20-2005-0014690U KR20050014690U KR200391761Y1 KR 200391761 Y1 KR200391761 Y1 KR 200391761Y1 KR 20050014690 U KR20050014690 U KR 20050014690U KR 200391761 Y1 KR200391761 Y1 KR 2003917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xhaust pipe
exhaust
floo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46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준
Original Assignee
영신산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신산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신산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46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7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7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7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 F24F2007/002Junction box, e.g. for ducts from kitchen, toilet or bathro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내부에 1층부터 옥상까지 단일로 형성된 배관 통로내에 내장되는 단일의 메인 배기 배관과, 이 메인 배기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각층의 세대로 연통되게 설치되는 보조 배기 배관과, 상기 메인 배기 배관의 최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배기 배관을 통해 실내의 공기를 배기함과 아울러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배기팬 유니트로 이루어진 고층 건물의 실내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배기팬 유니트의 요구배기풍량에 맞게 각층별 및 각세대별 배기 압력을 다르게 설정하여 전층에 대하여 실내의 공기를 원활하게 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컴팩트한 타입으로 제작하여 건물의 천정 또는 벽면에 간단하게 설치함으로써 설치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 고층 건물의 실내 환기시스템용 배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물의 내부에 1층부터 옥상까지 단일로 형성된 배관 통로내에 내장되는 단일의 메인 배기 배관과, 이 메인 배기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각층의 세대로 연통되게 설치되는 보조 배기 배관과, 상기 메인 배기 배관의 최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배기 배관을 통해 실내의 공기를 배기함과 아울러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배기팬 유니트로 이루어진 고층 건물의 실내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물 내부의 천정 또는 벽면에 관통 형성된 설치공에 설치되고, 일측 전면이 개방되며, 일측에 상기 보조 배기 배관과 연결되는 배출관이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 개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외기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부를 갖는 덮개수단과; 상기 케이스내에 내장 설치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에 연통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공기안내덕트와; 상기 공기안내덕트의 유입구의 내측면에 접촉되게 설치되며, 다수의 공기 배출 압력 조절공이 구비된 조절판과; 상기 공기 배출 압력 조절공을 개폐하는 다수의 마개를 포함하며, 각 층별 및 각 세대의 배기 압력에 따라 상기 공기 배출 압력 조절공을 개방 갯수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층 건물의 실내 환기시스템용 배기장치{Exhaustion device}
본 고안은 고층 건물의 실내 환기시스템용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는 건물의 내부에 1층부터 옥상까지 단일로 형성된 배관 통로내에 내장되는 단일의 메인 배기 배관과, 이 메인 배기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각층의 세대로 연통되게 설치되는 보조 배기 배관과, 상기 메인 배기 배관의 최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배기 배관을 통해 실내의 공기를 배기함과 아울러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배기팬 유니트로 이루어진 고층 건물의 실내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배기팬 유니트의 요구배기풍량에 맞게 각층별 및 각세대별 배기 압력을 다르게 설정하여 전층에 대하여 실내의 공기를 원활하게 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컴팩트한 타입으로 제작하여 건물의 천정 또는 벽면에 간단하게 설치함으로써 설치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 고층 건물의 실내 환기시스템용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또는 초 고층 건물의 욕실을 포함한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시스템은 건물의 내부에 1층부터 옥상까지 단일로 형성된 배관 통로내에 내장되는 단일의 메인 배기 배관과, 이 메인 배기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각층의 세대로 연통되게 설치되는 보조 배기 배관을 갖는 구성에서 직접 배기 방식과 간접 배기 방식을 추가하는 것이다.
상기 직접 배기 방식은 상기 보조 배기 배관과 연통되게 각층의 세대별로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배기팬 유니트를 설치하는 방식이고, 상기 간접 배기 방식은 상기 메인 배기 배관의 최상부측에 배기팬 유니트를 설치하는 방식이다.
상기 전자의 방식은 각 세대의 실내에 인접하여 배기팬 유니트가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에 의한 배기팬의 작동시 실내에서의 소음이 많이 발생하여 쾌적한 주거 환경을 조성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각세대별로 고가의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배기판 유니트를 설치함에 따른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전자의 방식에서 문제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후자의 방식을 종종 채택하고 있는데, 이 후자의 방식은 건물의 최상층인 옥상의 높이에 해당되는 메인 배기 배관에 배기팬 유니트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팬의 작동력만으로는 건물의 전층의 세대에 해당되는 실내의 공기를 원활하게 배기시키기에 큰 무리가 뒤따랐다.
즉, 저층에 위치한 각 세대의 배기 압력과, 중층에 위치한 각 세대의 배기 압력과, 고층에 위치한 각 세대의 배기 압력은 서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저층으로 갈수록 배기가 잘 되지 않음과 아울러 고층으로 갈수록 배기가 원활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그리고, 후자의 방식에서 좀더 개량된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353974호가 있는데, 이 기술은 배기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이 내부에 별도의 개폐 및 제어수단을 설치함에 따른 설치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 및 제어수단은 배기통로를 단순히 개방 및 폐쇄하는 것이어서 고층으로 갈수록 배기가 잘되나 저층으로 갈수록 배기가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건물의 내부에 1층부터 옥상까지 단일로 형성된 배관 통로내에 내장되는 단일의 메인 배기 배관과, 이 메인 배기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각층의 세대로 연통되게 설치되는 보조 배기 배관과, 상기 메인 배기 배관의 최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배기 배관을 통해 실내의 공기를 배기함과 아울러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배기팬 유니트로 이루어진 고층 건물의 실내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배기팬 유니트의 요구배기풍량에 맞게 각층별 및 각세대별 배기 압력을 다르게 설정하여 전층에 대하여 실내의 공기를 원활하게 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컴팩트한 타입으로 제작하여 건물의 천정 또는 벽면에 간단하게 설치함으로써 설치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 고층 건물의 실내 환기시스템용 배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물의 내부에 1층부터 옥상까지 단일로 형성된 배관 통로내에 내장되는 단일의 메인 배기 배관과, 이 메인 배기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각층의 세대로 연통되게 설치되는 보조 배기 배관과, 상기 메인 배기 배관의 최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배기 배관을 통해 실내의 공기를 배기함과 아울러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배기팬 유니트로 이루어진 고층 건물의 실내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물 내부의 천정 또는 벽면에 관통 형성된 설치공에 설치되고, 일측 전면이 개방되며, 일측에 상기 보조 배기 배관과 연결되는 배출관이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 개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외기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부를 갖는 덮개수단과; 상기 케이스내에 내장 설치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에 연통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공기안내덕트와; 상기 공기안내덕트의 유입구의 내측면에 접촉되게 설치되며, 다수의 공기 배출 압력 조절공이 구비된 조절판과; 상기 공기 배출 압력 조절공을 개폐하는 다수의 마개를 포함하며, 각 층별 및 각 세대의 배기 압력에 따라 상기 공기 배출 압력 조절공을 개방 갯수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고층 건물의 실내 환기시스템용 배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배기장치를 고층 건물의 실내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개폐부개가 개방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측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케이스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공기안내덕트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타나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900)의 내부에 1층부터 옥상까지 단일로 형성된 배관 통로(910)내에 내장되는 단일의 메인 배기 배관(920)과, 이 메인 배기 배관(920)으로부터 분기되어 각층의 세대로 연통되게 설치되는 보조 배기 배관(930)과, 상기 메인 배기 배관(920)의 최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배기 배관(930)을 통해 실내의 공기를 배기함과 아울러 모터(미도시)에 의해 작동되는 배기팬 유니트(940)로 이루어진 고층 건물의 실내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배기팬 유니트(940)의 요구 배기 풍량에 대응하여 실내의 공기를 배기 압력에 맞게 설정하여 배기할 수 있도록 한 배기장치(10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배기장치(1000)는 크게 케이스(100)와, 역류방지수단(250)과, 덮개수단과, 공기안내덕트(800)와, 조절판(700)과, 마개(7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건물(900) 내부의 천정(901) 또는 벽면(902)에 관통 형성된 설치공(도면 부호 미지정)에 설치되고, 일측 전면이 개방되며, 일측에 상기 보조 배기 배관(930)과 연결되는 배출관(110)이 구비된다.
상기 역류방지수단(250)은 상기 배출관(110)내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배기 배관으로부터 공기가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힌지등에 배출관(110)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통상적인 기술이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덮개수단은 덮개(300)와, 개폐부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300)는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 개방부(10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에 일정 크기의 그릴(310)이 요입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그릴(310)에는 공기중의 습기, 또는 악취, 냄새등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수단(400)이 내장된다.
상기 개폐부재(500)는 상기 여과수단(400)이 그릴(3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덮개(3000의 외면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공기를 상기 그릴(310)로 인입시키기 위해 간극부(540)를 형성하며, 상기 덮개(300)의 일측에 힌지수단(510)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덮개(300)의 외면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300)의 외면이 개폐부재(500)에 의해 폐쇄 상태로 있도록 록킹하는 역할을 하는 록킹수단(570)이 구비되는데, 이 록킹수단(570)의 상세한 구성은 덮개(300)의 외면에 대응되는 상기 개폐부재(500)의 일면에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후크부(571)와, 이 후크부(571)가 삽입되어 록킹되도록 상기 덮개(300)의 외면에 형성되는 록킹홈(57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수단(510)은, 일단은 상기 덮개(310)의 일측변 양측에 각각 압입되어 끼워지고, 타단은 후크부(511)를 형성하여 개폐부재(500)에 록킹 결합되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간극부 및 그릴은 케이스(100)의 내부로 외기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덮개수단의 유입부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공기안내덕트(800)는 상기 케이스(100)내에 내장 설치되는 것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810)와, 상기 유입구(810)에 연통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820)를 갖는다.
상기 조절판(700)은 상기 공기안내덕트(800)의 유입구(810)의 내측면에 접촉되게 설치되며, 다수의 공기 배출 압력 조절공(710)이 구비된다.
상기 마개(750)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 배출 압력 조절공(710)을 선택적으로 막아 개폐하게 된다.
상기 마개(750)를 이용하여 각 층별 및 각 세대의 배기 압력에 따라 상기 공기 배출 압력 조절공(750)을 개방 갯수를 다르게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조절판(700)은 상기 공기안내덕트(800)에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조절판(700)은 상기 유입구(81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액츄에이터(760)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전원이 공급되어 저항이 변함에 따라 로드(761)의 돌출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는 통상적인 기술이어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730은 공기 배출 압력 조절공(750)보다 크기가 큰 형상으로 소정 형상으로 라운딩지게 형성된 상시 개구공이다.
그리고, 부호 767은 액츄에이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체이고, 766은 고정체를 공기안내덕트(800)에 연결하는 브릿지이며, 771은 고정체에 액츄에이터를 고정하는 고정볼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각 실내의 천정(901) 또는 벽면(902)에 본 고안의 배기장치(1000)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배기장치(1000)를 설치하기 전에 마개(750)를 이용하여 각층별 및 각 세대의 배기 압력에 맞게 조절판(700)에 형성된 공기 배출 압력 조절공(750)의 개방 갯수를 다르게 설정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부언하면, 저층으로 갈수록 공기 배출 압력 조절공(750)의 개방 갯수를 증가시키고, 고층으로 갈수록 공기 배출 압력 조절공(750)의 개방 갯수를 줄인다.
상기와 같이 각층별 및 각 세대별로 공기 배출 압력 조절공(750)의 개방 갯수를 다르게 설정된 배기장치(1000)를 건물의 각 실내의 천정(901) 또는 벽면(902)에 관통 형성된 설치공에 설치한다.
즉, 본 고안의 배기장치(1000)를 컴팩트한 타입으로 제작하여 천정(901) 또는 벽면(902)에 설치하기 때문에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유지 보수를 위해 천정 또는 벽면으로부터 탈거할때도 별 어려움이 없게 된다.
이후,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배기팬 유니트(940)를 작동시키게 되면, 건물의 각층별 및 각 세대의 실내 공기는 정풍량으로 상기 브릿지 사이를 지나 유입구(710)로 유입된 후, 공기 배출 압력 조절공(750)을 통해 배출되어 보조 배기 배관(930)을 지나 메인 배기 배관(920)으로 모아진 후, 배기팬 유니트(9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고안은 각층별 및 각 세대별로 설치된 배기장치(1000)의 공기 배출 압력 조절공(750)이 배기팬 유니트(940)의 요구 배기 풍량에 맞게 배기 압력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의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며, 특히 저층으로 갈수록 실내의 공기가 매우 원활하게 배출됨으로써, 실내의 공기를 효율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요구 배기 풍량은 배기팬 유니트(940)가 배출할 수 있는 배기 풍량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환기창(905)을 통해 유입된 외기는 다시 배기장치(1000)를 통해 배기되기 때문에 실내의 환기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유입구(810)의 개방 정도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액츄에이터(760)를 작동시켜 조절판(700)을 상하 이동시키도록 하여 공기 배출 압력을 각 층별 및 세대별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조절판(700)을 상하 이동시키는 타입과, 조절판(700)을 고정볼트(770)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타입을 병행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액츄에이터(760)가 고장난 경우를 대비하여 수동으로 조절판(700)에 형성된 공기 배출 압력 조절공(750)의 개방 갯수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공기 배출압력 조절공의 형상을 조절판에 장공 타입으로 형성하여 슬라이드판을 내장한 후 이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장공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타입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고층 건물의 실내 환기시스템용 배기장치에 따르면, 건물의 내부에 1층부터 옥상까지 단일로 형성된 배관 통로내에 내장되는 단일의 메인 배기 배관과, 이 메인 배기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각층의 세대로 연통되게 설치되는 보조 배기 배관과, 상기 메인 배기 배관의 최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배기 배관을 통해 실내의 공기를 배기함과 아울러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배기팬 유니트로 이루어진 고층 건물의 실내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배기팬 유니트의 요구배기풍량에 맞게 각층별 및 각세대별 배기 압력을 다르게 설정하여 전층에 대하여 실내의 공기를 원활하게 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컴팩트한 타입으로 제작하여 건물의 천정 또는 벽면에 간단하게 설치함으로써 설치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배기장치를 고층 건물의 실내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개폐부개가 개방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측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케이스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공기안내덕트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타나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케이스
110 : 배출관
250 : 역류방지수단
700 : 조절판
710 : 공기 배출 압력 조절공
750 : 마개
800 : 공기안내덕트
900 : 건물
910 : 배관통로
920 : 메인 배기 배관
930 : 보조 배기 배관
940 : 배기팬 유니트

Claims (3)

  1. 건물(900)의 내부에 1층부터 옥상까지 단일로 형성된 배관 통로(910)내에 내장되는 단일의 메인 배기 배관(920)과, 이 메인 배기 배관(920)으로부터 분기되어 각층의 세대로 연통되게 설치되는 보조 배기 배관(930)과, 상기 메인 배기 배관(920)의 최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배기 배관(930)을 통해 실내의 공기를 배기함과 아울러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배기팬 유니트(940)로 이루어진 고층 건물의 실내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물(900) 내부의 천정(901) 또는 벽면(902)에 관통 형성된 설치공에 설치되고, 일측 전면이 개방되며, 일측에 상기 보조 배기 배관(930)과 연결되는 배출관(110)이 구비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 개방부(10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로 외기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부를 갖는 덮개수단과;
    상기 케이스(100)내에 내장 설치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810)와, 상기 유입구(810)에 연통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820)를 갖는 공기안내덕트(800)와;
    상기 공기안내덕트(800)의 유입구(810)의 내측면에 접촉되게 설치되며, 다수의 공기 배출 압력 조절공(710)이 구비된 조절판(700)과;
    상기 공기 배출 압력 조절공(710)을 개폐하는 다수의 마개(750)를 포함하며,
    각 층별 및 각 세대의 배기 압력에 따라 상기 공기 배출 압력 조절공(750)을 개방 갯수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의 실내 환기시스템용 배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700)은 상기 공기안내덕트(800)에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의 실내 환기시스템용 배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700)은 상기 유입구(810)의 개방 정도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액츄에이터(760)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의 실내 환기시스템용 배기장치.
KR20-2005-0014690U 2005-05-24 2005-05-24 고층 건물의 실내 환기시스템용 배기장치 KR2003917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690U KR200391761Y1 (ko) 2005-05-24 2005-05-24 고층 건물의 실내 환기시스템용 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690U KR200391761Y1 (ko) 2005-05-24 2005-05-24 고층 건물의 실내 환기시스템용 배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761Y1 true KR200391761Y1 (ko) 2005-08-08

Family

ID=43692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690U KR200391761Y1 (ko) 2005-05-24 2005-05-24 고층 건물의 실내 환기시스템용 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7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2362A1 (ko) * 2017-03-31 2018-10-04 김동규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2362A1 (ko) * 2017-03-31 2018-10-04 김동규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60946A1 (en) Ventilating system
US5447470A (en) Apparatus insuring distribution and automatic control of air supplies, in particular for ventilation of buildings
WO2019184506A1 (zh) 室外接管结构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KR100807273B1 (ko) 고층건물 환기 시스템
JP2008032347A (ja) 吹出口の風向制御機構およびダクトレス換気システム
KR100785399B1 (ko) 수직통로를 이용한 고층건물 환기시스템
KR20210106836A (ko) 건물 환기 시스템
KR200391761Y1 (ko) 고층 건물의 실내 환기시스템용 배기장치
JP4460887B2 (ja) 自然換気装置
KR100893073B1 (ko) 발코니 결로 방지 기능이 통합된 욕실 환기 시스템
JP2007024407A (ja) 住宅用換気システム
JP4818690B2 (ja) 天井裏あるいは床下の換気設備
JP2001289476A (ja) 換気システムおよび換気方法
KR100867305B1 (ko)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구조
JP2000274764A (ja) 換気システム
JP2006010269A (ja) 住宅用ダクトレス給排気システム
KR102395958B1 (ko) 급속 주방공기 청정 시스템
US6666761B2 (en) Wall-mounted supply-air device
JP2956468B2 (ja) 多室換気方法及び多室換気装置並びに多室換気システム
JP5315842B2 (ja) 浴室換気乾燥機
JP2005114331A (ja) 換気装置
JP3924478B2 (ja) 換気構造
KR20230099757A (ko) 벽부형 환기장치
JPH11287489A (ja) 換気装置
KR20110019457A (ko) 환기 장치 및 그를 구비한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