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330Y1 - 도어 힌지 - Google Patents

도어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330Y1
KR200391330Y1 KR20-2005-0011522U KR20050011522U KR200391330Y1 KR 200391330 Y1 KR200391330 Y1 KR 200391330Y1 KR 20050011522 U KR20050011522 U KR 20050011522U KR 200391330 Y1 KR200391330 Y1 KR 2003913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plate
door
bracket
door hinge
operating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5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웅
Original Assignee
풍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풍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풍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15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3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3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3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3Mounting of doors, e.g. hinges, counterbalan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2011/1092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the angle between the hinge parts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브라켓 및 도어를 개폐시키는 작동대와, 상기 작동대에 설치되어 좌, 우 이동하는 슬라이드판과,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판의 안내곡면에 안치되어 슬라이드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로 구성한 도어 힌지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스토퍼가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슬라이드판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단턱부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며 슬라이드판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가이드롤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도어 힌지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도어 힌지{door hinge}
본 고안은 도어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 힌지의 구성품인 롤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어 힌지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도어 힌지는 도어가 개폐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로서, 이러한 도어 힌지는 도어가 일측을 기점으로 해서 좌, 우 여닫이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도어가 상단을 기점으로 해서 상, 하 여닫이방식(즉, 앞쪽으로 눕혀지며 출몰하는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나뉘어진다.
한편, 후자에 해당하는 도어 힌지는 가전제품인 가스오븐렌지나 전자렌지의 도어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 도어 힌지의 종래 구성을 첨부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도 1, 2를 참조하면 종래 도어 힌지(130)는 도어프레임(110)에 설치되는 브라켓(132)과, 도어(120)에 설치되는 작동대(134)로 구성한다. 상기 작동대(134)는 힌지핀(138)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도어(120)를 개폐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대(134)에는 슬라이판(14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슬라이드판(140)은 작동대(134)의 회동에 따라 좌, 우 이동하며 상기 작동대(134)의 열림각도를 조정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판(140)의 상단에는 안내곡면(14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내곡면(140a)에는 전술한 브라켓(132)에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롤러(148)가 안치되어 슬라이드판(140)의 이동동작을 가이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판(140)의 선단부에는 걸림턱(1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턱(150)에는 상기 가이드롤러(148)가 선택적으로 접촉하며 슬라이드판(140)의 이동을 구속하게 되며, 따라서 슬라이드판(140)은 작동대(134)가 필요이상 열리지 않도록 작동대(134)의 열림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가이드롤러(148)가 걸림턱(150)에 자주 접촉하게 되면 접촉과정에서 발생한 충격으로 가이드롤러(148)가 파손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롤러(148)가 파손될 경우에는 슬라이드판(14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없게 됨으로서 도어 힌지(130) 전체 구성품을 새것으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 힌지의 구성품인 브라켓에 스토퍼를 설치하여 슬라이드판의 선단에 형성된 단턱부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며 슬라이드판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함으로서 도어 힌지의 구성품인 가이드롤러의 파손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어 힌지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브라켓 및 도어를 개폐시키는 작동대와, 상기 작동대에 설치되어 좌, 우 이동하는 슬라이드판과,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판의 안내곡면에 안치되어 슬라이드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로 구성한 도어 힌지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스토퍼가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슬라이드판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단턱부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며 슬라이드판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를 제시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기술될 도어 힌지는 도어가 상단을 기점으로 해서 상, 하 여닫이방식(즉, 앞쪽으로 눕혀지며 출몰하는 방식)으로 개폐되는 도어 구조에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3과 도 4에는 본 고안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도어 힌지의 구성들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3, 4를 참조하면 도어 힌지(30)는 도어프레임(10)에 설치되는 브라켓(32)과, 도어(20)에 설치되는 작동대(34)로 나뉘어진다.
상기 브라켓(32)은 도어프레임(10)에 고정되어 도어 힌지(30)의 구성품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이며, 상기 작동대(34)는 상기 브라켓(32)에 구비되어 있는 연결판(36)과 힌지(38) 체결되어 연결 구성되며 상기 힌지핀(38)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도어(20)를 개방 혹은 폐쇄시키는 개폐수단에 해당한다.
상기 작동대(34)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슬라이드판(40)과, 스프링(44)이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판(40)은 끝단으로 상기 작동대(34)와 핀(42)으로 체결되고, 선단은 상기 브라켓(32)을 관통한 상태로 하여 작동대(34)의 회동에 따라 좌, 우 이동하며 작동대(34)의 열림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44)은 상기 슬라이드판(40)과 연결핀(42)으로 연결되어 슬라이드판(40)의 좌, 우 이동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적정압력의 텐션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판(40)의 상부면은 소정의 굴곡면을 가지는 안내곡면(4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내곡면(40a)에는 상기 브라켓(32)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롤러(48)가 안치되어 슬라이드판(40)의 좌, 우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판(40)의 선단에는 단턱부(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턱부(50)에는 전술한 브라켓(32)에 설치되어 있는 스토퍼(52)가 선택적으로 접촉하며 걸려지게 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판(40)이 작동대(34)의 회동으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브라켓(32)에 구비된 스토퍼(52)가 상기 슬라이드판(40)의 단턱부(50)에 걸려지며 슬라이드판(40)의 이동을 구속하게 되며, 따라서 작동대(34)는 슬라이드판(40)의 구속으로 더 이상 회동하지 않고 슬라이드판(40)의 이동거리만큼만 회동하여 도어(20)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52)의 위치는 가이드롤러(48)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도어(20) 개방시 가이드롤러(48)가 슬라이드판(40)의 선단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스토퍼(52)가 슬라이드판(40)의 단턱부(50)에 먼저 접촉하며 부딧치도록 하여 가이드롤러(48)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가이드롤러(48)는 상기 스토퍼(52)에 의해 종래와 같이 슬라이드판(40) 선단과의 접촉이 일어나지 않게 됨으로서 장기간의 사용에도 가이드롤러(48)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도어 힌지의 작동상태를 첨부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도어 힌지(30)의 구성인 브라켓(32)은 도어프레임(10)에 설치하고 작동대(34)는 도어(20)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도어(20)를 개방시키고자 할 때에는 손잡이(도면에 미 도시 함)를 잡고 도어(20)를 앞쪽방향(도면에서는 우측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도어(20)에 설치되어 있는 작동대(34)가 힌지핀(38)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작동대(34)와 핀(42) 체결되어 있는 슬라이드판(40)은 스프링(44)의 텐션으로 우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32)에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롤러(48)가 슬라이드판(40)의 안내곡면(40a)에 안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드판(40)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후, 작동대(34)의 회동으로 슬라이드판(40)이 적정길이만큼 우측으로 이동하면 첨부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판(40)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단턱부(50)가 브라켓(32)에 설치되어 있는 스토퍼(52)에 걸려지게 됨으로서 슬라이드판(40)의 이동을 구속하게 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판(40)의 이동이 구속되면 작동대(34)역시 더 이상 회동하지 않고 정지하게 됨으로서 도어(20)는 열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롤러(48)는 슬라이드판(40)의 단턱부(50)에 걸려지는 스토퍼(52)에 의해 슬라이드판(40)의 선단부와 부딧치지 않게 됨으로서 충격으로 인한 파손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달성한다.
즉, 도어 힌지의 구성품인 브라켓에 스토퍼를 설치하여 슬라이드판의 선단에 형성된 단턱부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며 슬라이드판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함으로서 슬라이드판을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가 슬라이드판과의 부딧침을 방지하여 사용과정에서 가이드롤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도어 힌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도어 힌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힌지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도어 힌지의 구성을 절개하여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힌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도어 힌지 32: 브라켓
34: 작동대 38: 힌지핀
40: 슬라이드판 48: 가이드롤러
50: 단턱부 52: 스토퍼

Claims (1)

  1. 도어프레임(10)에 설치되는 브라켓(32) 및 도어(20)를 개폐시키는 작동대(34)와, 상기 작동대(34)에 설치되어 좌, 우 이동하는 슬라이드판(40)과, 상기 브라켓(32)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판(40)의 안내곡면(40a)에 안치되어 슬라이드판(4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48)로 구성한 도어 힌지(30)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32)에는 스토퍼(52)가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52)는 상기 슬라이드판(40)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단턱부(50)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며 슬라이드판(40)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
KR20-2005-0011522U 2005-04-26 2005-04-26 도어 힌지 KR2003913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522U KR200391330Y1 (ko) 2005-04-26 2005-04-26 도어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522U KR200391330Y1 (ko) 2005-04-26 2005-04-26 도어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330Y1 true KR200391330Y1 (ko) 2005-08-02

Family

ID=43692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522U KR200391330Y1 (ko) 2005-04-26 2005-04-26 도어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33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129B1 (ko) * 2006-01-25 2007-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1085901B1 (ko) * 2006-09-28 201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기
KR20110137919A (ko) * 2010-06-18 2011-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1526802B1 (ko) * 2014-05-09 2015-06-08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도어 힌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129B1 (ko) * 2006-01-25 2007-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1085901B1 (ko) * 2006-09-28 201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기
KR20110137919A (ko) * 2010-06-18 2011-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1526802B1 (ko) * 2014-05-09 2015-06-08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도어 힌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1330Y1 (ko) 도어 힌지
JP4552758B2 (ja) 収納容器
KR20100055110A (ko) 도어 힌지
JP5204711B2 (ja) ドアクローザー
CN103440705B (zh) 一种支撑机构及具有该机构的清分机
US20190301220A1 (en) Door hinge
JP5420271B2 (ja) 上框上端の傷つき防止機能付内倒し窓
JP2008185635A5 (ko)
KR200403183Y1 (ko) 도어 힌지
JP5216502B2 (ja) カバー開閉機構
JP2889230B1 (ja) ストッパー機構付きステー装置
KR101492094B1 (ko) 도어 힌지
KR20010096463A (ko) 개구부의 덮개용 아암 스토퍼장치
KR101051313B1 (ko) 창문 개폐장치의 열림 방지장치
JPS5453421A (en) Device for checking automotive door
KR20160042696A (ko) 차량용 후드힌지 장치
KR20150015150A (ko) 도어 힌지
JP3881205B2 (ja) ヒンジ装置及び蓋付き容器
KR20010019228A (ko) 도어개폐장치
KR20090010164U (ko) 도어 힌지
JP2011026023A (ja) エレベータ用制御装置
KR101519249B1 (ko) 차량용 후드 개폐장치
JP4182275B2 (ja) 折り畳み式ハンドル
KR100552185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힌지 장치
KR200334494Y1 (ko) 사무기기용 커버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