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163Y1 - 콘크리트관 보수용 철망 - Google Patents

콘크리트관 보수용 철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163Y1
KR200391163Y1 KR20-2005-0012967U KR20050012967U KR200391163Y1 KR 200391163 Y1 KR200391163 Y1 KR 200391163Y1 KR 20050012967 U KR20050012967 U KR 20050012967U KR 200391163 Y1 KR200391163 Y1 KR 2003911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sh
concrete
repair
fastening
fastening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9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민희
Original Assignee
맹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민희 filed Critical 맹민희
Priority to KR20-2005-00129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1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1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1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8Rigid pipes of concrete, cement, or asbestos cement,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관 보수용 철망에 관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관로의 부분 보수를 위한 작업을 비굴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효율을 향상시킴과 함께 작업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로대(11)와 세로대(12)가 일정간격으로 상호간 용접에 의해 교차되는 망형태로 제작되어 원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하며, 그 외주에는 콘크리트관(30) 내주면과 소정 간격이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관(13)이 감싸져 구성되는 콘크리트관 보수용 철망(10) 및 상기 지지관(13)과 가로대(11)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탄성의 체결클립(20)이 다수의 개소에 체결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관 보수용 철망{A REPAIR WORKS WIRE MASH}
본 고안은 콘크리트관 보수용 철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구경 콘크리트 관로의 부분적인 손상 발생시 비굴착 방식으로 관로 내면에서 작업자가 보수작업을 실시하는데 용이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는 보수용 철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 용으로 지하에 매설되어지는 대구경 콘크리트 관로는 상부토압이나 중차량의 빈번한 통행으로 인하여 충격하중이 가해지는 경우가 많고, 지반침하도 발생되는 경우가 있어서 이러한 외적 요인으로 인하여 크랙 등의 하자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관로간 이음부에서 단차가 발생하게 되면 누수로 인하여 토양이 오염되게 되므로 이를 신속하게 보수해야 하며, 이러한 관로 보수를 위한 종래 방법으로는 보수가 이루어질 관로 부분이 노출될 수 있도록 굴삭장비를 이용하여 땅을 판 후 노후된 콘크리트관을 교체해주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보수방법에서는 주변을 통제한 상태에서 도로를 굴착해야 함으로 공사기간 동안 차량 소통에 방해를 주는 것은 물론, 관로 교체에 따른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비굴착 방식으로 콘크리트관의 교체 없이도 관로 보수가 가능한 보수용 철망을 제공함으로서 보수작업이 한층 용이하게 실시되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철망의 설치작업이 체결클립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가로대와 세로대가 일정간격으로 상호간 용접에 의해 교차되는 망형태로 제작되어 원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하며, 그 외주에는 콘크리트관 내주면과 소정 간격이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관이 감싸져 구성되는 콘크리트관 보수용 철망 및 상기 지지관과 가로대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탄성의 체결클립이 다수의 개소에 체결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 보수용 철망을 통해 이룰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보수용 철망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보수용 철망의 관로내 설치상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보수용 철망의 체결클립 조립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클립의 체결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체결클립의 부품 사시도 및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보수용 철망(10)의 전체적인 구조을 살펴보면, 도 1에서와 같이 보수용 철망(10)은 가로대(11)와 세로대(12)가 일정간격으로 상호간 용접에 의해 교차되는 망형태를 이루는 가운데 실제 관로내 설치시는 원통형상으로 말아서 사용하게 되며, 이때 그 외주면에는 콘크리트관(30) 내주면과 소정 간격이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관(13)을 동일한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 철망 외주를 감싸는 형태로 함께 구성되게 된다.
상기 지지관(1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로대(11)를 따라 설치된 후 체결클립(20)에 의해 소정 개소에서 상호간에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체결클립(2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관(13)과 가로대(11)가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어진 개구부(22)와 만곡된 호형상의 삽입부(21)를 형성하는 "U"자 형상의 날개 2개가 한쌍을 이루고 있다.
특히, 탄성력에 의한 체결 및 이탈 방지를 위해 상기 개구부(22)의 폭(d)이 삽입부(21)의 폭(D)보다 작도록 제작되어져 있으며, 개구부(22)의 탄성 지지력을 보강함과 함께 체결시 가로대(11)가 안내되어질 수 있도록 연장부(23)가 개구부(22)측 일단에서 절곡된 형태로 연장 구비되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고안 보수용 철망(10)의 설치에 따른 작업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대구경 콘크리트관(30)의 관로내에 크랙 또는 단차가 발생된 경우 작업자가 본 고안의 보수용 철망(10)과 지지관(13)을 해당 작업 위치로 이동시킨 후, 도 1과 같은 원통형의 형상으로 말아준 상태에서 관로 내부에 설치하면 보수용 철망(10)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관로의 내부 지름에 해당하는 크기까지 점차 확장되면서 도 2에서와 같이 관로 내벽면에 접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보수용 철망(10)과 함께 지지관(13)도 같이 확장되면서 보수용 철망(1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위치하여 콘크리트관(30)의 내벽면에 밀착하여 설치되게 되는데, 이러한 지지관(13)의 두께만큼 보수용 철망(10)은 관로 벽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보수용 철망(10)과 지지관(13)의 1차적인 위치 및 형태가 설정되어지면, 이러한 형태의 고정을 위한 본 고안의 체결클립(20) 체결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즉 이때에는, 본 고안의 체결클립(20)을 다수의 개소에 체결하게 되면 상호 유동이 자유로운 상태였던 지지관(13)과 보수용 철망(10)이 결합되면서 하나의 구조체를 이루게 된다.
상기 체결클립(20)의 체결작업은 작업자가 내측에서 지지관(13)의 위치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체결하게 되는 것으로서, 해당 위치에서 클립(20)을 잡고 밀어주기만 하면 되면 연장부(23)에 의해 지지관(13)과 가로대(11)가 안내되어짐과 동시에 개구부(22)의 탄성력에 의해 도 5에서와 같이 지지관(13)과 가로대(11)가 함께 체결되어지게 됨으로 용이하면서 신속하게 체결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체결클립(20)은 선단측에서 절곡된 형태를 이루는 연장부(23)가 연장 형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개구부(22)의 탄성 내구성을 증가시켜 보다 안정적인 체결상태의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체결클립(20)의 체결작업이 완료되면 보수가 이루어질 콘크리트관(30)의 내벽면에 보수용 철망(10)이 밀착 설치되어 유동이 방지되는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으로, 이후 콘크리트 모르타르 작업을 해당 부위에 실시한 후 마무리 미장 작업을 수행하면 도 4에서와 같이 철망(10)과 관로 내벽면 사이의 이격공간에 콘크리트 보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콘크리트관(3)의 관로 내부에 작업자가 직접 들어가서 본 고안의 보수용 철망(10)을 이용하여 내벽면에 대한 보수작업을 실시함으로서 저비용의 신속한 보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특히, 보수용 철망(10) 설치 과정에서 체결클립(20)을 이용한 철망(10)과 지지관(13) 상호간의 체결작업을 실시함으로서 작업 효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몇가지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체결클립 구조 및 형상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클립의 선단부를 절곡시켜 연장부(23)를 형성하고 있으나, 이러한 연장부가 절단된 형태로 제작된 상태에서도 클립 자체 탄성력에 의해 어느 정도 개구부(22)의 탄성력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보수용 철망은, 콘크리트 관로의 부분 보수를 위한 작업을 비굴착식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됨으로 작업효율 향상은 물론 작업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작업시 보수용 철망의 유동 방지를 위한 체결부재로서 탄성의 체결클립을 사용함으로서 체결작업을 한층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일단이 소정 경사형태로 절곡된 연장부를 형성함으로서 체결작업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보수용 철망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보수용 철망의 콘크리트 관로내 설치상태도.
도 3은 도 2의 A-A'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체결클립의 보수용 철망 조립상태도.
도 5는 본 고안 체결클립의 체결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체결클립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6a는 부품 사시도.
6b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수용 철망 11 : 가로대
12 : 세로대 13 : 지지관
20 : 체결클립 21 : 삽입부
22 : 개구부 23 : 연장부
30 : 콘크리트관

Claims (4)

  1. 가로대(11)와 세로대(12)가 일정간격으로 상호간 용접에 의해 교차되는 망형태로 제작되어 원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하며, 그 외주에는 콘크리트관(30) 내주면과 소정 간격이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관(13)이 감싸져 구성되고, 상기 지지관(13)과 가로대(11)는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간 체결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 보수용 철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으로는 체결클립(20)을 사용하여 다수의 개소에서 지지관(13)과 가로대(11)를 상호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 보수용 철망.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클립(20)은 지지관(13)과 가로대(11)가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어진 개구부(22)와 만곡된 호형상의 삽입부(21)를 갖는 "U"자 형상을 이루되, 상기 개구부(22)의 폭(d)이 삽입부(21)의 폭(D)보다 작도록 제작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 보수용 철망.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체결클립(20)은 개구부(22)의 탄성 지지력을 보강함과 함께 가로대(11)가 안내되어질 수 있도록 연장부(23)가 일단에서 절곡된 형태로 연장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 보수용 철망의 체결클립.
KR20-2005-0012967U 2005-04-06 2005-05-09 콘크리트관 보수용 철망 KR2003911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967U KR200391163Y1 (ko) 2005-04-06 2005-05-09 콘크리트관 보수용 철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407 2005-04-06
KR20-2005-0012967U KR200391163Y1 (ko) 2005-04-06 2005-05-09 콘크리트관 보수용 철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163Y1 true KR200391163Y1 (ko) 2005-08-01

Family

ID=43692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967U KR200391163Y1 (ko) 2005-04-06 2005-05-09 콘크리트관 보수용 철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1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864B1 (ko) 2005-08-10 2007-06-27 이철민 비 굴착식 관로 보수용 메쉬철망 설치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864B1 (ko) 2005-08-10 2007-06-27 이철민 비 굴착식 관로 보수용 메쉬철망 설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73935A (zh) 裂插法地下管线更换方法
KR100732864B1 (ko) 비 굴착식 관로 보수용 메쉬철망 설치공법
KR100989946B1 (ko) 확폭된 플랜지부를 구비한 티형 가이드부가 형성된 강관을 이용한 비개착식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KR200391163Y1 (ko) 콘크리트관 보수용 철망
CN204717227U (zh) 用于在大口径管道内衬钢质材料用的撑管器
CN103629474B (zh) 用于修复受损铸铁消防管道的连接导水管的修复方法
JP3128229U (ja) 支保工部材
KR101186482B1 (ko) 지하 매설관 비굴착 교체방법
KR100751969B1 (ko) 현장제관 관로 설치공법
CN212715245U (zh) 一种建筑给排水用具有防逆流功能的排水管道
CN114319375A (zh) 大管径有压水管道封堵作业支护结构
CN104747860B (zh) 管道内衬修复装置
CN204611218U (zh) 管道内衬修复装置
CN204098067U (zh) 方涵式地下管廊
KR20120085398A (ko) 비굴착식 파형강관 보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팩커
KR200211157Y1 (ko) 지중관체 보수장치
CN209839370U (zh) 一种钢纤维混凝土管
KR100739858B1 (ko) 관로 내부의 보수공법
JP4833607B2 (ja) 補修用被覆体
CN213204151U (zh) 一种基坑用支护结构
CN102817472A (zh) 管道边沿防渗漏支护模板
CN213598758U (zh) 一种管道接头装置
KR100966601B1 (ko) 기존관로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설치공법
JP2012107469A (ja) 目地開口寸法制限装置及び目地開口寸法制限方法
CN217081713U (zh) 一种穿地下室外墙的管道逆向施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