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148Y1 -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 - Google Patents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148Y1
KR200391148Y1 KR20-2005-0012590U KR20050012590U KR200391148Y1 KR 200391148 Y1 KR200391148 Y1 KR 200391148Y1 KR 20050012590 U KR20050012590 U KR 20050012590U KR 200391148 Y1 KR200391148 Y1 KR 2003911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ub
fork coupling
circumferential surface
pl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5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계수
Original Assignee
(주)피티카플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티카플링 filed Critical (주)피티카플링
Priority to KR20-2005-00125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1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1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1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64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comprising elastic elements arranged between substantially-radial walls of both coupling parts
    • F16D3/68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comprising elastic elements arranged between substantially-radial walls of both coupling parts the elements being made of rubber or simi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력 전달을 위해 두 개의 축을 연결하는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은, 허브의 일측면상에 일정간격으로 잇빨이 형성된 허브몸체, 상기 각 허브몸체의 잇빨 사이홈에 설치되어 구동축에서 종동축으로 동력 전달을 이루는 엘리먼트, 상기 엘리먼트 외주면에 삽착되는 링커버로 구성된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를 포함하여 각 허브의 외주면까지 감싸는 형태로 하우징을 성형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엘리먼트를 포함한 각 허브의 외주면상에서 착탈이 원활한 분할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엘리먼트의 외주면상에 설치되었던 종래 합성수지재의 링커버에 비해 설치작업이 간편하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엘리먼트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설치된 실링부재에 의해 외부로부터 먼지나 이물질 등의 유입 역시 차단할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The pliable fork coupling}
본 고안은 동력 전달을 위해 두 개의 축을 연결하는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축이 삽착되는 허브의 일측면상에 일정간격으로 잇빨(Tooth)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호 대향되는 각 허브의 잇빨 사이홈에 동력 전달 매개체인 엘리먼트(Element, 일명 스파이더라 함)가 설치된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Pliable Fork Coupling)의 외주면 즉, 상기 엘리먼트를 포함한 각 허브의 외주면상에 착탈이 원활하도록 분할된 구조의 하우징을 설치 구성함으로써, 상기 엘리먼트의 외주면상에 설치되었던 종래 합성수지재의 링커버에 비해 설치작업이 간편하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엘리먼트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설치된 실링부재에 의해 외부로부터 먼지나 이물질 등의 유입 역시 차단될 수 있도록 한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플링(Coupling)이라 함은 모터와 연결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분리된 종동축을 상호 연결하여 구동축으로부터 종동축으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동력 전달용 기계요소로서, 이에 대한 커플링으로는 크게 양축간의 오차를 어느 정도까지 허용하고 진동과 충격을 줄이는 특성 때문에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플렉시블 커플링(Flexible Coupling)과, 양축을 단순히 연결하는 기능의 리지드 커플링(Rigid Coupling)과, 오일 또는 파우더를 이용하여 슬로우 스타트를 하여 모터나 동력전달 계통의 부하를 줄이고 또한 과부하시 자동적으로 피동부 축과의 연결이 끊어지므로 모터나 피동기 시스템을 보호하는 기능의 유체 커플링(Fluid Coupling)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 중, 상기 플렉시블 커플링(Flexible Coupling)의 일종으로, 구동축(3)과 종동축(5)이 삽착되는 각 허브의 일측면상에 일정간격으로 잇빨(Tooth)(12)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호 대향되는 각 허브의 잇빨 사이홈(미도시)에 동력 전달 매개체인 엘리먼트(20)가 설치되고, 상기 엘리먼트(20)의 외주면에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엘리먼트(20)를 보호하기 위한 링커버(30)가 결합된 구조의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Pliable Fork Coupling)(1)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종래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1)의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축이 삽착되는 허브의 일측면상에 하나 이상의 잇빨(1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허브몸체(10)와; 상호 대향되는 각 허브몸체(10)의 잇빨 사이홈에 설치되어 구동축(3)에서 종동축(5)으로 동력 전달을 이루는 엘리먼트(20)와; 상기 엘리먼트(20) 외주면에 삽착 고정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엘리먼트(20)를 보호하는 링커버(3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3)과 종동축(5)의 경우, 키(Key)를 통해 각 허브몸체(10)의 중앙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엘리먼트(20)의 경우, 동력 전달을 위한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1)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엘리먼트(20)가 링커버(30)의 내주면으로 확대 팽창될 수 있도록 우레탄재질로 형성됨과 아울러 링 형태에서 일측이 절개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된 엘리먼트(20)의 하단에는 상호 대향되는 각 허브몸체(10)의 잇빨 사이홈에 결착될 수 있도록 상기 잇빨 사이홈 형상과 동일한 사다리꼴 형태의 결착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엘리먼트(20)의 외주면 양측에는 링커버(30)와 슬라이딩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 홈(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홈(24) 중앙에는 슬라이딩 결합된 링커버(30)와의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결합홀(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엘리먼트(20) 외주면에 삽착 고정되는 링커버(30)의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전체 형상이 엘리먼트(20)의 폭과 동일한 크기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링커버(30)의 내주면에는 엘리먼트(20)와의 결합시 상기 엘리먼트(20)의 가이드 홈(24)과 대응되어 상호 슬라이딩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돌기(32)에는 엘리먼트(20)의 볼트결합홀(26)과 대응되어 볼트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나사홀(34)이 관통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1)의 동력 전달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호 대향되는 각 허브몸체(10)의 잇빨 사이홈에 동력 전달 매개체인 엘리먼트(20)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엘리먼트(20)의 외주면에 링커버(30)가 결합된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1)의 각 허브몸체(10)에 구동축(3)과 종동축(5)이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3)의 회전으로 구동축(3)과 결합된 일측 허브몸체(10)가 회전하게 되면, 원심력에 의해 엘리먼트(20)가 링커버(30)의 내주면으로 확대 팽창되면서 상기 엘리먼트(20)에 의한 링커버(30)의 면압이 작용함과 아울러, 상호 대향되는 잇빨 사이홈에 결착되어 상기 각 허브몸체(10)의 잇빨(12)들을 구속하는 엘리먼트(20) 하단의 결착돌기(22)에 의해 구동축(3)의 회전력이 종동축(5)이 결합된 타측 허브몸체(10)로 전달되면서 상기 구동축(3) 및 일측 허브몸체(10)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타측 허브몸체(10)의 회전에 따른 종동축(5) 역시 타측 허브몸체(10)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1)의 경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엘리먼트(20)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엘리먼트(20)의 외주면상에 결합되었던 링커버(30)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구동축(3)으로부터 종동축(5)으로의 동력 전달을 위한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1)의 회전으로 확대 팽창된 엘리먼트(20)로부터 링커버(30)에 면압이 작용되는 상태에서 외력이 작용할 경우, 상기 엘리먼트(20)부터 작용되는 면압에다 외력까지 더해지면서 상기 링커버(30)가 쉽게 파손됨과 아울러, 상기 파손된 링커버(30)에 의해 엘리먼트(20)까지 손상을 입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면압 및 외력에 의해 링커버(30)가 파손될 경우, 원심력에 의해 확대 팽창되는 엘리먼트(20)가 결착되었던 잇빨 사이홈으로부터 분리 이탈되게 되면서 구동축(3)으로부터 종동축(5)으로의 목적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상기 링커버(30)의 경우, 전체 형상이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먼트(20)와의 결합시 상기 엘리먼트(20) 외주면의 가이드 홈(24)과 상기 링커버(30) 내주면의 가이드 돌기(32)를 상호 대응시킨 후 슬라이딩 결합을 이뤄야 하는 등, 분활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에 비해 설치작업이 매우 불편하며, 특히 상기 엘리먼트(20)와 링커버(30) 간의 슬라이딩 결합과정에서 상호 중심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링커버(30)의 경우, 엘리먼트(20)와의 결합시 상기 엘리먼트(20)의 외주면만 감싸고 양측면은 외부에 개방된 상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동력 전달을 위한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1)의 회전과정에서 먼지나 이물질 등이 개방된 링커버(30)의 양측면을 통해 상기 엘리먼트(20)와 링커버(30) 사이나 또는 상기 엘리먼트(20)와 상호 대향된 각 허브몸체(10) 사이로 유입되게 되는 문제점과 함께, 상기와 같이 먼지나 이물질 등이 유입된 상태에서 동력 전달을 위한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1)이 회전할 경우, 원심력에 의한 엘리먼트(20)의 확대 팽창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됨과 아울러, 상기 링커버(30)와 엘리먼트(20)간의 유효간격이 좁아지면서 상기 확대 팽창되는 엘리먼트(20)로부터 링커버(30)에 작용되는 면압력이 상승하게 되어 결국에는 상승된 면압력에 의해 링커버(30)가 파손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각 축이 삽착되는 허브의 일측면상에 일정간격으로 잇빨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호 대향되는 각 허브의 잇빨 사이홈에 동력 전달 매개체인 엘리먼트가 설치된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의 외주면 즉, 상기 엘리먼트를 포함한 각 허브의 외주면상에 착탈이 원활하도록 분할된 구조의 하우징을 설치 구성함으로써, 상기 엘리먼트의 외주면상에 설치되었던 종래 합성수지재의 링커버에 비해 설치작업이 간편하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엘리먼트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분활 구조로 형성된 하우징의 양단에 실링부재를 설치 구성하여 외부로부터 먼지나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동력 전달을 위한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엘리먼트가 하우징의 내주면으로 확대 팽창되어 상기 엘리먼트에 의한 하우징의 면압작용을 통해 회전하면서 구동축으로부터 종동축으로 동력 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은, 허브의 일측면상에 일정간격으로 잇빨이 형성된 허브몸체, 상기 각 허브몸체의 잇빨 사이홈에 설치되어 구동축에서 종동축으로 동력 전달을 이루는 엘리먼트, 상기 엘리먼트 외주면에 삽착되는 링커버로 구성된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를 포함하여 각 허브의 외주면까지 감싸는 형태로 하우징을 성형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엘리먼트를 포함한 각 허브의 외주면상에서 착탈이 원활한 분할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구동축 회전으로 확장된 엘리먼트로부터 하우징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엘리먼트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과 엘리먼트의 사이 간격이 0.3-0.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는 외부로부터 먼지나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O-링 형태의 실링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오일 주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 중 허브몸체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 중 엘리먼트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고안의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 중 하우징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본 고안의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1a)은, 도 1에 도시된 종래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1)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되, 동력 전달 매개체인 엘리먼트(20)만을 감싸도록 상기 엘리먼트(2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결합시켰던 종래의 링커버(30) 대신, 상기 엘리먼트(20a)를 포함한 각 허브의 외주면까지 감쌀 수 있도록 다이캐스팅에 의해 하우징(30a)을 형성하되, 그 구조를 착탈이 원활하도록 하는 분할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엘리먼트(20a)를 안전하게 보호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먼지나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1a)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1a)의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축이 삽착되는 허브의 일측면상에 하나 이상의 잇빨(1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허브몸체(10)와; 상호 대향되는 각 허브몸체(10)의 잇빨 사이홈(14)에 설치되어 구동축(3)에서 종동축(5)으로 동력 전달을 이루는 엘리먼트(20a)와; 상기 엘리먼트(20a)를 포함하여 각 허브의 외주면까지 감싸도록 설치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엘리먼트(20a)를 보호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먼지나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분할 구조의 하우징(30a)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허브몸체(10)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허브몸체(10)와 동일한 구조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브의 일측면 즉, 구동축(3) 또는 종동축(5)이 삽착되는 허브의 일측 원주면상에 하나 이상의 잇빨(1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잇빨(12)과 잇빨(12) 사이에는 엘리먼트(20a)의 결착돌기(22a)가 결착될 수 있도록 잇빨 사이홈(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허브몸체(10)의 중앙에 키(Key)(16)를 통해 구동축(3)과 종동축(5)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엘리먼트(20a)의 경우, 상호 대향되는 각 허브몸체(10)의 잇빨 사이홈(14)에 설치되어 구동축(3)에서 종동축(5)으로 동력 전달을 이루는 요소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 전달을 위한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1a)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엘리먼트(20a)가 하우징(30a)의 내주면으로 확대 팽창될 수 있도록 신축성이 있는 우레탄재질로 형성됨과 아울러 링 형태를 이루되 일측이 절개된 상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절개된 엘리먼트(20a)의 하단에는 상호 대향되는 각 허브몸체(10)의 잇빨 사이홈(14)에 결착될 수 있도록 상기 잇빨 사이홈(14) 형상과 동일한 사다리꼴 형태의 결착돌기(2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0a)의 경우, 상기 엘리먼트(20a)를 포함하여 각 허브의 외주면까지 감싸도록 설치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엘리먼트(20a)를 보호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먼지나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요소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합금의 일종인 AC4C(주가 Al이고 Cu, Zn, Mn, Ni, Mo, Si 등의 성분을 소량 첨가하여 만든 알루미늄 합금 : ASTM A356, KS D 6008) 재질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전체 형상이 엘리먼트(20a)를 포함한 각 허브의 외주면상에서 착탈이 원활한 분할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하우징(30a) 내주면에는 결합된 엘리먼트(20a)로부터 하우징(30a)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엘리먼트 안착홈(3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30a)의 양단면에는 분할된 구조의 하우징(30a)과 하우징(30a)을 볼트 결합시키기 위한 관통홀(33a)과 나사홀(34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30a)의 양단에는 외부로부터 먼지나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O-링 형태의 실링부재(3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30a)의 외주면에는 오일 주입을 통한 하우징(30a) 내의 엘리먼트(20a) 및 각 허브몸체(10)의 윤활성이 양호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오일 주입구(3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하우징(30a)의 설치 고정시 도 3과 같이, 엘리먼트(20a)와 하우징(30a)간의 사이 간격이 0.3-0.5mm를 유지하여야 하는데, 이 때 상기 엘리먼트(20a)와 하우징(30a)간의 사이 간격이 0.3mm 이하일 경우, 동력 전달을 위한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1a)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엘리먼트(20a)가 하우징(30a)의 내주면으로 확대 팽창되는 엘리먼트(20a)로부터 하우징(30a)에 작용되는 면압력 상승에 의해 하우징(30a)이 변형되거나 또는 종래와 같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링커버(30)의 경우 상승된 면압력에 의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상기 엘리먼트(20a)와 하우징(30a)간의 사이 간격이 0.5mm 이상일 경우, 엘리먼트(20a)에 의해 상호 이격되었던 각 허브몸체(10)의 잇빨(12)들이 상기 원심력에 의한 엘리먼트(20a)의 확대 팽창과정에서 각 허브몸체(10)간의 잇빨(12)들 사이 간격이 유지되지 못하고 상기 허브몸체(10)의 잇빨(12)들끼리 서로 부딪히면서 마찰작용에 의한 마모가 발생하거나 충돌에 따른 잇빨(12)들이 파손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한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의 동력 전달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고안의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에 의한 동력 전달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대한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1a)의 경우 종래 기술에서 서술한 종래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1)의 작동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작동되면서 상기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1a) 중 엘리먼트(20a)에 의해 결속되는 각 허브몸체(10)에 결합된 구동축(3)으로부터 종동축(5)으로 동력이 전달되게 되는데, 이러한 본 고안의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1a) 작동과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우선, 상호 대향되는 각 허브몸체(10)의 잇빨 사이홈(14)에 동력 전달 매개체인 엘리먼트(20a)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엘리먼트(20a)를 포함하여 각 허브의 외주면까지 감싸도록 하우징(30a)이 결합된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1a)의 양 허브몸체(10)에 구동축(3)과 종동축(5)이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3)의 회전으로 구동축(3)과 결합된 일측 허브몸체(10)가 회전하게 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심력에 의해 엘리먼트(20a)가 하우징(30a)의 내주면으로 확대 팽창되면서 상기 엘리먼트(20a)에 의한 하우징(30a)에 면압이 작용함과 아울러, 상호 대향되는 잇빨 사이홈(14)에 결착되어 상기 각 허브몸체(10)의 잇빨(12)들을 구속하는 엘리먼트(20a) 하단의 결착돌기(22a)에 의해 구동축(3)의 회전력이 종동축(5)이 결합된 타측 허브몸체(10)로 전달되면서 상기 구동축(3) 및 일측 허브몸체(10)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타측 허브몸체(10)의 회전에 따른 종동축(5) 역시 타측 허브몸체(10)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고안의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은, 각 축이 삽착되는 허브의 일측면상에 일정간격으로 잇빨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호 대향되는 각 허브의 잇빨 사이홈에 동력 전달 매개체인 엘리먼트가 설치된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의 외주면 즉, 상기 엘리먼트를 포함한 각 허브의 외주면상에 착탈이 원활하도록 분할된 구조의 하우징을 설치 구성함으로써, 상기 엘리먼트의 외주면상에 설치되었던 종래 합성수지재의 링커버에 비해 설치작업이 간편하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엘리먼트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분활 구조로 형성된 하우징의 양단에 실링부재를 설치 구성하여 외부로부터 먼지나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동력 전달을 위한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엘리먼트가 하우징의 내주면으로 확대 팽창되어 상기 엘리먼트에 의한 하우징의 면압작용을 통해 회전하면서 구동축으로부터 종동축으로 동력 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등의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2는 종래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 중 링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 중 허브몸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 중 엘리먼트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 중 하우징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에 의한 동력 전달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 3. 구동축
5. 종동축 10. 허브몸체
12. 잇빨 14. 잇빨 사이홈
16. 키(Key) 20a. 엘리먼트
22a. 결착돌기 30a. 하우징
32a. 엘리먼트 안착홈 35. 오일 주입구
37. 실링부재

Claims (5)

  1. 허브의 일측면상에 일정간격으로 잇빨이 형성된 허브몸체, 상기 각 허브몸체의 잇빨 사이홈에 설치되어 구동축에서 종동축으로 동력 전달을 이루는 엘리먼트, 상기 엘리먼트 외주면에 삽착되는 링커버로 구성된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를 포함하여 각 허브의 외주면까지 감싸는 형태로 하우징을 성형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엘리먼트를 포함한 각 허브의 외주면상에서 착탈이 원활한 분할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구동축 회전으로 확장된 엘리먼트로부터 하우징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엘리먼트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엘리먼트의 사이 간격이 0.3-0.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는 외부로부터 먼지나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O-링 형태의 실링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오일 주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
KR20-2005-0012590U 2005-05-04 2005-05-04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 KR2003911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590U KR200391148Y1 (ko) 2005-05-04 2005-05-04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590U KR200391148Y1 (ko) 2005-05-04 2005-05-04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148Y1 true KR200391148Y1 (ko) 2005-07-29

Family

ID=43692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590U KR200391148Y1 (ko) 2005-05-04 2005-05-04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1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549B1 (ko) * 2015-03-26 2015-06-01 박계수 구속력 증대와 체결 편의성 및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549B1 (ko) * 2015-03-26 2015-06-01 박계수 구속력 증대와 체결 편의성 및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7240B2 (en) Thrust washer with enclosed channels
JP6240687B2 (ja) クラッチおよびそれを備えた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US5367920A (en) Damped double flywheel for a motor vehicle
US20040185940A1 (en) Damper mechanism and damper disk assembly
US20070107545A1 (en) Transmission housing
BR112016020344B1 (pt) Amortecedor de vibração torcional e sistema de acionamento de acessório da extremidade frontal
AU2005268761A1 (en) Device for transmitting a torque
US20030155204A1 (en) One way clutch
JP5784943B2 (ja) ダンパ付プーリ
KR200391148Y1 (ko) 플라이어블 포크 커플링
JP5905693B2 (ja) 車両用流体伝動装置
JP5822246B2 (ja) スリップヨークアセンブリ
JP2004125074A (ja) 流体式トルク伝達装置のロックアップ装置
KR101765644B1 (ko) 하이브리드 변속기용 엔진 클러치의 모터 연결구조
KR980008695A (ko) 록업 클러치
KR100653608B1 (ko) 동력 전달을 위한 커플링 장치
US6003648A (en) Torque converter
EP2762746B1 (en) Torque variation-absorbing device
US7228950B2 (en) Fluid transmission apparatus with lockup clutch
KR200390500Y1 (ko) 유체 커플링
JP2021025562A (ja) カップリング
JP2011112101A (ja) 車両用ダンパ
KR200378976Y1 (ko) 차량용 댐퍼풀리의 장착구조
KR101348725B1 (ko) 가공장비의 이송펌프 내부에 장착되는 밀봉장치 구조
JP4576170B2 (ja) フロントカバー及びそれが用いられた流体式トルク伝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