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691Y1 - 콘크리트 상단에 황토를 압착한 이층구조의 블록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상단에 황토를 압착한 이층구조의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691Y1
KR200390691Y1 KR20-2005-0011586U KR20050011586U KR200390691Y1 KR 200390691 Y1 KR200390691 Y1 KR 200390691Y1 KR 20050011586 U KR20050011586 U KR 20050011586U KR 200390691 Y1 KR200390691 Y1 KR 2003906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ocher
layer
block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5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예순
Original Assignee
이예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예순 filed Critical 이예순
Priority to KR20-2005-00115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6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6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6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04C1/41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load-bearing 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04B2/44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04B2/46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15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parate protru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26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s and grooves next to each other on the en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블록체에 있어 ⅔ 두께는 콘크리트재 층으로 하고 약 ⅓은 황토재 층으로 일체로 되게 압착시켜 각기 다른 두개의 소재를 이용하여 하나의 물품에 두층으로 압착하여 만든 콘크리트 상단에 황토를 압착한 이층구조의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공지의 벽돌이나 블록제품 몸체에 있어서, 하단부분의 약 ⅔정도로 고강도 콘크리트재 층으로 몸통부분을 만들고, 그 상단의 약 ⅓정도에 다수의 첨가제를 희석한 황토재 층을 일체로 압착한 이층구조로 된 블록과 벽돌로 만든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상단에 황토를 압착한 이층구조의 블록{omitted}
본 고안은 하나의 블록체에 있어 ⅔ 두께는 콘크리트재 층으로 하고 약 ⅓은 황토재 층으로 일체로 되게 압착시켜 각기 다른 두개의 소재를 이용하여 하나의 물품에 두층으로 압착하여 만든 콘크리트 상단에 황토를 압착한 이층구조의 블록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블록은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블록이나 벽돌, 도로 주변에 사람이 다닐 수 있도록 설치하는 보도블록용 벽돌, 강이나 하천의 법면 보호용으로 시공되는 호안용 식생블록, 도로의 경사면이나 절개지 법면에 사용하는 옹벽블록등 그 종류가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각종 블록이나 벽돌들은 대부분 시멘트에 모래를 섞어 만든 콘크리트 제품이나 건축용으로 황토로서 만든 적 벽돌 정도가 있다.
상기의 블록이나 벽돌에 있어서도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황토블록은 고가의 제품으로 대부분 외부 치장용으로 사용되는데 먼저 내부에 콘크리트 블록으로 쌓은후 외부에 마무리용으로 사용하고 있어 그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
이의 황토블록은 제조 공정상에 있어 높은 열을 이용하여 고로에서 구워서 만듬으로서 벽돌이 비틀어지는 불량률이 높으며 벽돌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그 시설 규모가 방대하여 시설 비용이 많이 들어가며 황토의 특성상 크기가 큰 제품은 생산하지 못하고 건축용으로 사용하는 벽돌 정도만 생산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도로 주변에 사람이 다닐 수 있도록 설치하는 보도블록용 벽돌은 콘크리트로 만든 블록의 표면에 화학용 색소로 코팅처리 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만들어 보도 블록을 아름답게 만들고 있으나, 처음 시공시에는 아름다운 색상으로 인해 시각적인 미감은 있으나 많은 사람이 밟고 다니는 과정에 있어 코팅부분이 마모되어 콘크리트 부분이 노출되어 오히려 시공바닥이 지저분하여 오래 사용하지 않고 다시 재시공하는 사례가 많아 예산 낭비만 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강이나 하천의 법면 보호용으로 시공되는 호안용 식생블록 이나 도로의 경사면이나 절개지 법면에 사용하는 옹벽블록들은 대부분 콘크리트를 그대로 사용하여 넓은 면적 모두가 회색 빛깔로 자연 환경과 주변 환경에 좋지 않다.
종래의 제품들은 이러한 문제가 있으나 콘크리트 제품의 강도가 높아 대부분 콘크리트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으로 자연 환경에 좋은 황토를 사용하여 제품을 만들고자 하나 황토만으로는 제품의 강도가 현저하게 떨어져 일반적으로 제품을 만들어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며 이와 더불어 황토는 수분을 많이 머금어야 모양을 만들 수 있는 특성상 크기가 큰 제품은 생산이 어려워 식생블록과 같은 대형 블록은 생산하고 있지 않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한 것으로 벽돌이나 블록제품의 ⅔정도로 몸통부분을 콘크리트로 만들고 그 상단 ⅓정도에 다수의 첨가제를 희석한 황토를 일체로 하여 만든 것으로 콘크리트와 황토의 장점을 모두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콘크리트의 강도와 황토에서 나오는 원적외선과 미네랄로 인해 자연 환경에도 좋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공지의 벽돌이나 블록제품 몸체에 있어서, 하단부분의 약 ⅔정도로 고강도 콘크리트재 층으로 몸통(2) 부분을 만들고, 그 상단의 약⅓정도에 다수의 첨가제를 희석한 황토재 층(3)을 일체로 한 이층구조로 된 블록과 벽돌(4)로 된것이다.
상기 이층구조의 블록과 벽돌(4)에 있어 사용되는 약⅓정도의 황토재 층(3)은 점토재 층을 사용하여도 가능하다.
위의 황토재 층(3)으로 사용되는 황토에 사용하는 첨가제로는 황토의 색을 밝게하기 위해 백색 시멘트를 적당량과 경화제를 사용하여 황토층의 강도를 최대한으로 높여준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있어 실시예로 이층구도의 제품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제품의 하부 금형틀에 시멘트, 모래, 자갈, 적당량의 물을 희석한 몰탈인 고강도 콘크리트재를 ⅔정도 투입하고 그 상단부분에 약⅓ 정도 다수의 첨가제를 희석한 황토재 를 투입후 상부 금형으로 진동 압착 성형하는 것이다.
이렇게 압착 성형함에 있어 콘크리트재와 황토재가 접촉되어 건조시 자연적으로 접착되어 상호간에 떨어지지 않고 안전하게 접착되어 튼튼한 제품으로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천변 주차장이나 공원의 주차장에 많이 사용하는 잔디 블록으로 만들어 사용할 경우 자연 친화력이 뛰어나고 잔디의 식생에도 좋은 영향을 주어 잔디가 잘자 라 빠른 식생을 도와주며 콘크리트의 강도에 의해 블록의 파손됨이 적고 자연 환경에도 좋은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콘크리트와 황토를 일체로 한 것으로 콘크리트의 강도와 황토의 친 환경성을 겸하여 튼튼한 제품과 주변 자연환경에도 잘 어울리는 것으로 시공 후 다소의 기간이 경과하여 블록이나 벽돌의 황토재 층이 다소 마모되어도 황토의 색상이 그대로 살아 있어 제품 전체에 변화가 없어 오랫동안 처음 시공때와 같은 깨끗함을 보존한다.
이러한 제품을 강변이나 하천의 법면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식생블록으로 제작할 경우 많은 량의 사용으로 주변이 회색빛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콘크리트에서 나오는 독성을 중화시켜 꽃이나 잡초가 빠른 시간내에 무성하게 자라 식생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도 뛰어난 자연 환경에도 어울리는 제품을 생산하도록 개발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 고강도 콘크리트재 층 몸통 3: 황토재 층
4: 블록과 벽돌

Claims (2)

  1. 공지의 벽돌이나 블록제품 몸체에 있어서, 하단부분의 약 ⅔정도로 고강도 콘크리트재 층으로 몸통 부분을 만들고, 그 상단의 약 ⅓정도에 다수의 첨가제를 희석한 황토재 층을 일체로 압착한 이층구조로 된 블록과 벽돌(4)로 됨을 특징으로 한 콘크리트 상단에 황토를 압착한 이층구조의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약⅓정도의 황토재 층을 점토재 층으로 사용하여 됨을 특징으로 한 콘크리트 상단에 황토를 압착한 이층구조의 블록.
KR20-2005-0011586U 2005-04-22 2005-04-22 콘크리트 상단에 황토를 압착한 이층구조의 블록 KR2003906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586U KR200390691Y1 (ko) 2005-04-22 2005-04-22 콘크리트 상단에 황토를 압착한 이층구조의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586U KR200390691Y1 (ko) 2005-04-22 2005-04-22 콘크리트 상단에 황토를 압착한 이층구조의 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324A Division KR20060103794A (ko) 2005-03-28 2005-03-28 콘크리트 상단에 황토를 압착한 이층구조의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691Y1 true KR200390691Y1 (ko) 2005-07-22

Family

ID=43691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586U KR200390691Y1 (ko) 2005-04-22 2005-04-22 콘크리트 상단에 황토를 압착한 이층구조의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6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411005A (en) Building block
GB2127872A (en) Paving or building block
CN204875442U (zh) 人行道地砖及人行道
US20080267703A1 (en) Paver stone system
KR200390691Y1 (ko) 콘크리트 상단에 황토를 압착한 이층구조의 블록
KR20060103794A (ko) 콘크리트 상단에 황토를 압착한 이층구조의 블록
US350101A (en) Artificial-stone or concrete pavement
KR100853396B1 (ko) 천연골재를 이용한 인터록킹 블록의 제조방법
JP3115030U (ja) セメントブロック及びセメントブロックを用いた構造体
US777860A (en) Road or pavement.
CN210066583U (zh) 一种绿化防撞一体化新型公路隔离墩
RU2801568C2 (ru) Пиксельное изображение на архитектурной форме "пиксель-арт"
KR100966293B1 (ko) 복층형 투수평판 및 그 제조방법
US777858A (en) Road or pavement.
KR200393523Y1 (ko) 생태복원용 황토 투수블럭
US527416A (en) Building-block
US305243A (en) Brick walk or pavement
US247421A (en) John j
KR100460129B1 (ko) 다각형 단위부재를 이용한 다용도 마감재
US146423A (en) Improvement in concrete pavements
US153187A (en) Improvement in paving-blocks
RU2176711C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для декоративной отделки зданий
US166486A (en) Improvement in concrete pavements
KR20090096569A (ko) 도자기 관 안에 철재 골조를 넣고 콘크리트를 부어넣어서하나의 구조물로 결합한 외부 표면이 도자기 재료인건축물의 기둥 및 들보를 형성하는 방법.
ATE252521T1 (de) Eine mischung von gebranntem ton und zement enthaltendes bau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