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361Y1 - 개량형 콘센트 - Google Patents

개량형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361Y1
KR200390361Y1 KR20-2005-0011885U KR20050011885U KR200390361Y1 KR 200390361 Y1 KR200390361 Y1 KR 200390361Y1 KR 20050011885 U KR20050011885 U KR 20050011885U KR 200390361 Y1 KR200390361 Y1 KR 2003903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plug
rotating body
terminal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8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명
Original Assignee
이해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명 filed Critical 이해명
Priority to KR20-2005-00118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3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3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3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량형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콘센트의 플러그가 결합되는 소켓이 고정 타입으로 되지 않고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면서 전류가 도통하게 되어 전자제품의 설치위치나 플러그의 형태 등 여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플러그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은 플러그(20)가 결합되는 소켓(11)의 내부에 회전체(12)를 내장하여 회전이 가능하면서 전류가 도통하게 하는 개량형 콘센트(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10)를 구성하는 소켓(11)의 상부에 내향 돌출된 환형테(13)를 형성하고, 이의 내부에는 회전체(12)를 회전이 가능하게 내장하되, 상기 회전체(12)에는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한쌍의 소켓단자(14)를 별도 결합하고, 상기 한쌍의 소켓단자(14) 중 하나는 배선을 중앙으로 하여 별도의 접지단자(16)와 연결하고, 나머지 하나의 소켓단자(14)는 링 타입의 동판(15)에 연결하여 별도의 접지단자(16)와 연결하므로서 회전체(12)가 회전할 경우도 소켓단자(14)는 항상 배선이 접속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량형 콘센트{an improved model concent}
본 고안은 개량형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콘센트의 플러그가 결합되는 소켓이 고정 타입으로 되지 않고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면서 전류가 도통하게 되어 전자제품의 설치위치나 플러그의 형태 등 여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플러그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통상 각종 전기를 이용해 전원을 공급하는 제품에는 전기의 공급을 목적으로 전선이 배선되어 선단에는 플러그가 연결되 있고, 이를 접속하는 콘센트는 그 종류 및 사용여건에 따라 단구 내지는 복수구의 소켓이 마련되어 벽면에 부착되거나 고정되지 않고 적정의 장소에 비치되어 있다.
이러한 콘센트는 그 특성상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 전선에서 여러개의 전기제품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하거나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단구 또는 복수구로 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콘센트는 그 구조의 특성상 플러그의 플러그단자가 결합되는 콘센트의 소켓이 고정되어 소켓단자가 움직이지 못하게 되어 있다.
즉, 콘센트는 설치위치나 전자제품에 연결된 플러그의 형상에 따라 그 소켓단자의 각도가 변화되어야 할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다시 말해서,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 플러그와 콘센트를 연결하거나 각종 전자제품의 설치여건에 따라 소켓단자의 각도가 어느 정도 유동적이어야 할 경우는 고정타입의 콘센트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통상의 콘센트는 접지단자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자형의 플러그는 별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절곡형 플러그나 상기 절곡형 플러그를 연결한 전자제품을 접지단자에 결합할 경우는 위쪽이나 아래쪽에 사용되는 플러그에 간섭현상이 발생하여 여러개의 제품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불편함도 고수하고 굳이 사용할 경우는 접지단자에 결합된 플러그단자를 분리하여 다른 위치의 접지단자에 재결합하여 사용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고정타입으로 사용하지 않고 이동타입의 콘센트는 그나마 사용상의 불편함이 덜할 수 있으나, 벽에 고정 부착하여 사용하는 부착형 콘센트의 경우는 일단 한번 부착하면 부착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여건 번거로운 것이 아니므로 다소 불편함을 감수하고 그대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콘센트의 특성상 대부분이 노출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각종 제품의 후방에 보이지 않게 부착된 경우가 많아서 사용상의 어려움은 더욱 가중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콘센트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콘센트의 플러그가 결합되는 소켓의 내부에 회전체를 내장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면서 전류가 도통하게 되어 전자제품의 설치위치나 플러그의 형태 등 여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플러그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콘센트의 내부에 구비되는 소켓단자를 고정타입으로 조립하지 않고 외력에 의해 자체적으로 회전이 가능한 회전체를 내장하되, 상기 회전체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소켓단자를 별도 결합하여 소켓 내부의 회전체가 회전하면서 2개의 소켓단자 중 하나는 배선을 중앙으로 하여 별도의 접지단자와 연결하고, 나머지 하나의 소켓단자는 링 타입의 동판에 연결하여 별도의 접지단자와 연결하므로서 회전체가 회전할 경우도 소켓단자는 항상 정확하게 배선이 접속될 수 있게 하여 소켓에 플러그의 플러그단자를 결합한 상태에서 임의의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면서 전기의 공급이 가능토록 하므로서 콘센트의 설치여건이나 장소 등에 구애받음이 없이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과 이의 사용방법 등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콘센트(10)의 플러그(20)가 결합되는 소켓(11)의 내부에 회전체(12)를 내장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면서 전류가 도통하게 되어 전자제품의 설치위치나 플러그(20)의 형태 등 여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플러그(2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데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콘센트(10)를 구성하는 소켓(11)의 상부에 내향 돌출된 환형테(13)를 형성하고, 이의 내부에는 회전체(12)를 고정타입으로 조립하지 않고 외력에 의해 자체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내장한다.
상기 회전체(12)에는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한쌍의 소켓단자(14)를 별도 결합하여 소켓(11) 내부의 회전체(12)가 회전하면서 2개의 소켓단자(14) 중 하나는 배선을 중앙으로 하여 별도의 접지단자(16)와 연결한다.
나머지 하나의 소켓단자(14)는 링 타입의 동판(15)에 연결하여 별도의 접지단자(16)와 연결하므로서 회전체(12)가 회전할 경우도 소켓단자(14)는 항상 정확하게 배선이 접속될 수 있게 하여 소켓(11)의 소켓단자(14)에 플러그(20)의 플러그단자(21)를 결합한 상태에서 임의의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면서 전기의 공급이 가능토록 하므로서 콘센트(10)의 설치여건이나 장소 등에 구애받음이 없이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물론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각 소켓단자(14)와 접지되는 동판(15)과 접지단자(16)는 임의의 규격으로 변형이 가능할 것이고, 각각을 배선하여 연결하므로서 외부로 전선이 배선되는 것은 일반적인 것이다.
또한 소켓(11)의 상부에 내향 돌출된 환형테(13) 역시 내부의 회전체(12)가 빠지지 않을 정도의 규격이면 가능하고, 이의 조립은 하부에서부터 회전체(12)를 조립할 수 있을 것으로, 이의 조립순서는 적절히 선택하여 변형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될 수 있는 본 고안은 콘센트(10)의 플러그(20)가 결합되는 소켓(11)의 내부에 회전체(12)를 내장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면서 전류가 도통하게 되어 전자제품의 설치위치나 플러그(20)의 형태 등 여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플러그(20)를 결합하여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데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사용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콘센트(10)를 구성하는 소켓(11)의 상부에 내향 돌출된 환형테(13)가 형성되어, 이의 내부에는 회전체(12)를 고정타입으로 조립하지 않고 외력에 의해 자체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내장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12)에는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한쌍의 소켓단자(14)를 별도 결합되어 있으므로 소켓(11) 내부의 회전체(12)가 회전하면서 2개의 소켓단자(14) 중 하나는 배선을 중앙으로 하여 별도의 접지단자(16)와 연결하고, 나머지 하나의 소켓단자(14)는 링 타입의 동판(15)에 연결하여 별도의 접지단자(16)와 연결하게 되면 소켓(11) 내부의 회전체(12)가 회전할 경우도 소켓단자(14)는 항상 정확하게 배선이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소켓(11)의 소켓단자(14)에 플러그(20)의 플러그단자(21)를 결합한 상태에서 임의의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면서 전기의 공급이 가능토록 하므로서 콘센트(10)의 설치여건이나 장소 등에 구애받음이 없이 매우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벽 부착형이나 벽 부착형이 아닐 경우도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에 대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플러그(20)의 플러그단자(21)를 콘센트(10)에 연결할 경우는 먼저 플러그단자(21)를 소켓(11) 내부에 내장된 회전체(12)의 소켓단자(14)에 접속하게 되면 상기 소켓단자(14) 중 하나는 배선이 중앙으로 하여 별도의 접지단자(16)와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의 소켓단자(14)는 링 타입의 동판(15)에 연결되어 별도의 접지단자(16)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소켓(11) 내부의 회전체(12)가 회전할 경우도 소켓단자(14)는 항상 정확하게 배선이 접속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소켓(11) 내부의 회전체(12)는 소켓(11) 상부에 내향 돌출된 환형테(13)에 의해 상부로의 이탈은 방지되면서 하부로는 동판(15) 등 접지단자(16)에 의해 항상 긴밀하게 배선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회전체(12)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할 경우도 용이하게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각 소켓단자(14)와 접지되는 동판(15)과 접지단자(16)는 그 크기나 형상 등을 임의로 변형할 수 있다.
그리고 소켓(11)의 상부에 내향 돌출된 환형테(13)는 내부에 결합된 회전체(12)가 빠지지 않을 정도로 구성하며, 각각을 조립하는 과정은 하부에서부터 회전체(12)를 조립하므로서 조립의 용이성이나 신속성을 보장하면서 회전체(12)가 사용도중 이탈하는 등의 폐단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존 콘센트(10)의 플러그(20)가 결합되는 소켓(11)의 내부에 회전체(12)를 내장하여 외력에 의해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면서 전류가 도통하게 되어 전자제품의 설치위치나 플러그(20)의 형태 등 여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플러그(20)를 결합하여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개량형 콘센트(10)로서 그 기대되는 가치가 대단히 우수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콘센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을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콘센트 11 : 소켓
12 : 회전체 13 : 환형테
14 : 소켓단자 15 : 동판
16 : 접지단자
20 : 플러그 21 : 플러그단자

Claims (1)

  1. 플러그(20)가 결합되는 소켓(11)의 내부에 회전체(12)를 내장하여 회전이 가능하면서 전류가 도통하게 하는 개량형 콘센트(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10)를 구성하는 소켓(11)의 상부에 내향 돌출된 환형테(13)를 형성하고, 이의 내부에는 회전체(12)를 회전이 가능하게 내장하되, 상기 회전체(12)에는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한쌍의 소켓단자(14)를 별도 결합하고, 상기 한쌍의 소켓단자(14) 중 하나는 배선을 중앙으로 하여 별도의 접지단자(16)와 연결하고, 나머지 하나의 소켓단자(14)는 링 타입의 동판(15)에 연결하여 별도의 접지단자(16)와 연결하므로서 회전체(12)가 회전할 경우도 소켓단자(14)는 항상 배선이 접속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콘센트.
KR20-2005-0011885U 2005-04-28 2005-04-28 개량형 콘센트 KR2003903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885U KR200390361Y1 (ko) 2005-04-28 2005-04-28 개량형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885U KR200390361Y1 (ko) 2005-04-28 2005-04-28 개량형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361Y1 true KR200390361Y1 (ko) 2005-07-20

Family

ID=43691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885U KR200390361Y1 (ko) 2005-04-28 2005-04-28 개량형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3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379B1 (ko) 2012-11-22 2014-12-16 박채선 전기콘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379B1 (ko) 2012-11-22 2014-12-16 박채선 전기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5436B1 (en) Rotating plug adapter with integral two blade receptacle
US8123528B2 (en) Electrical plug adapter having a receptacle rotatable around a cap with projecting conductive members
TWI427875B (zh) 具有旋轉及摺合的插頭
US6296522B1 (en) Electrical socket
US7497740B2 (en) Tandem-connected rotatable receptacle unit
US7264514B2 (en) Rotary socket assembly
US9004951B2 (en) Multi-functional transfer connector for connecting with different receptacles
GB2447515A (en) Foldable power supply device
CN103762472A (zh) 一种多功能插座
KR100843665B1 (ko) 가변형 멀티콘센트
CN106099580A (zh) 两相三相可转换插头
US20150038019A1 (en) Triple extension adaptor
GB2410844A (en) Swivel electrical connector
KR200390361Y1 (ko) 개량형 콘센트
KR200387542Y1 (ko) 수평 접속 멀티콘센트
KR101852371B1 (ko) 콘센트 탈부착이 가능한 모듈형 멀티 플러그
KR200152521Y1 (ko)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
US20100015819A1 (en) Power Supply Connection Apparatus
JP3121285U (ja) 回転スイッチを有するコンセント
WO2008108739A1 (en) Omni-directional power outlet cover
KR20160000119U (ko) 접이식 회전 접속형 콘센트
KR100608145B1 (ko) 절전형 콘센트와 절전형 멀티 콘센트
KR101884421B1 (ko) 멀티 회전 콘센트
JP3197061U (ja) 多機能の回転式ソケット
CN210897819U (zh) 一种插头旋转型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